박종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종팔은 1977년 프로 데뷔 후, 한국 미들급 챔피언, OPBF 미들급 챔피언, IBF 슈퍼미들급 챔피언, 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복서로 활동했다. 1988년 은퇴 후 사업 실패와 개인적인 불행을 겪었으나, 재기에 성공하여 체육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미들급 권투 선수 - 마커스 데이비스
마커스 데이비스는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전직 프로 복싱 선수로, 복싱에서 17승 1패 2무의 전적을 쌓은 후 종합격투기로 전향하여 UFC와 벨라토르 MMA 등 주요 단체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선수 - 백인철 (권투 선수)
백인철은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과 슈퍼미들급 챔피언을 거쳐 1989년 세계복싱협회(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에 올랐으나, 1990년 타이틀을 잃고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슈거 레이 레너드
슈거 레이 레너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라이트 웰터급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프로 복싱 선수로서 웰터급, 주니어 미들급, 미들급, 슈퍼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등 5개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석권하며 복싱계의 전설이 된 미국의 전직 프로 복싱 선수이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로이 존스 주니어
로이 존스 주니어는 미국 출신의 권투 선수로, 4체급을 석권하며 복싱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올림픽 은메달 획득 후 프로 전향하여 다수의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고 은퇴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무안 박씨 - 박주민
박주민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서울 은평구 을 지역구의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으로, 서울대 법학과 졸업 후 변호사, 민변 사무처장, 참여연대 부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사법개혁 및 정치개혁에 주력하며 여러 논란 속에서도 시민 참여와 진보적 가치를 강조하는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무안 박씨 - 박승재
박승재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교수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박종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종팔 |
본명 | 박종팔 |
출생일 | 1958년 8월 11일 |
출생지 | 전라남도 무안군 |
신장 | 178cm |
스타일 | 오소독스 |
경력 | |
총 경기 수 | 53 |
승리 | 46 |
KO 승리 | 39 |
패배 | 5 |
무승부 | 1 |
무효 경기 | 1 |
체급 | 미들급 슈퍼미들급 라이트헤비급 |
리치 | 72 in |
2. 프로 선수 경력
박종팔은 1977년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1988년 은퇴할 때까지 IBF와 WBA 슈퍼미들급 세계 챔피언을 지냈다. 프로 선수 경력 동안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서 | 날짜 | 상대 선수 | 결과 | 라운드 | 장소 | 비고 |
---|---|---|---|---|---|---|
1 | 1977-11-26 | 정영수 | KO 승 | 3/4 | 부산 | 프로 데뷔 |
2 | 1977-12-23 | 김정식 | KO 승 | 2/4 | 서울 | |
3 | 1977-12-25 | 강승환 | PTS 승 | 6/6 | 서울 | |
4 | 1978-03-25 | 강승환 | PTS 무승부 | 8/8 | 서울 | |
5 | 1978-06-14 | 강흥원 | KO 패 | 1/10 | 서울 | |
6 | 1978-08-28 | Kazuo Goshima | KO 승 | 1/6 | Tokyo, Japan | |
7 | 1978-12-17 | 최창백 | KO 승 | 3/10 | 서울 | 한국 미들급 챔피언 획득 |
8 | 1979-02-03 | Thomas Abarca | KO 승 | 2/10 | 서울 | |
9 | 1979-03-17 | Alberto Cruz | KO 승 | 3/10 | 대구 | |
10 | 1979-04-22 | Armando Boniquit | KO 승 | 3/10 | 서울 | |
11 | 1979-06-02 | Michihiro Horihata | KO 승 | 3/10 | 서울 | |
12 | 1979-08-22 | Cassius Naito | KO 승 | 2/12 | 서울 | OPBF 미들급 챔피언 획득 |
13 | 1980-01-27 | Katsuo Esashi | KO 승 | 3/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1차 방어 |
14 | 1980-03-18 | Kenji Shibata | KO 승 | 5/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2차 방어 |
15 | 1980-05-04 | Rocky Joe | KO 승 | 8/12 | Jakarta, Indonesia | OPBF 미들급 타이틀 3차 방어 |
16 | 1980-06-21 | Fred Rolando Pastor | KO 승 | 4/10 | 서울 | |
17 | 1980-08-08 | Peter Piamonte | KO 승 | 4/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4차 방어 |
18 | 1980-09-24 | Torkano Marcos | TKO 승 | 5/12 | 서울 장충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5차 방어 |
19 | 1980-11-03 | Phil Spider Davies | KO 승 | 3/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6차 방어 |
20 | 1980-12-06 | Joe Willisco | KO 승 | 3/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7차 방어 |
21 | 1981-04-05 | Caesar Sasaki | KO 승 | 6/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8차 방어 |
22 | 1981-06-21 | Kenji Shibata | KO 승 | 5/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9차 방어 |
23 | 1981-08-02 | 이상호 | KO 승 | 9/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10차 방어 |
24 | 1981-09-09 | Mana Premchai | KO 승 | 11/12 | 서울 장충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11차 방어 |
25 | 1981-11-07 | Fulgencio Obelmejias | KO 패 | 8/10 | Caracas, Venezuela | |
26 | 1982-01-03 | Mana Premchai | KO 승 | 4/10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12차 방어 |
27 | 1982-02-07 | Ritchie Roberts | KO 승 | 8/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13차 방어 |
28 | 1982-04-18 | Suwarno | KO 승 | 4/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14차 방어 |
29 | 1982-07-18 | Valence Haralan | KO 승 | 2/12 |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15차 방어 |
30 | 1982-12-26 | Naoto Suzuki | KO 승 | 4/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16차 방어 |
31 | 1983-04-10 | Antonio Leyva | KO 승 | 4/10 | 서울 | |
32 | 1983-05-29 | 나경민 | KO 패 | 7/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실패 |
33 | 1983-09-04 | 나경민 | KO 승 | 4/12 |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탈환 |
34 | 1983-11-06 | Gary Hubble | KO 승 | 9/12 | 서울 | OPBF 라이트헤비급 타이틀 방어 |
35 | 1983-12-04 | Rosendo Ruvalcaba | KO 승 | 5/10 | 서울 | |
36 | 1984-02-05 | Charles Carter | PTS 승 | 10/10 | 서울 | |
37 | 1984-06-17 | Roosevelt Green | KO 승 | 9/10 | 서울 | |
38 | 1984-07-22 | Murray Sutherland | KO 승 | 11/15 | 서울 장충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챔피언 획득 |
39 | 1984-10-07 | Wally Carr | PTS 승 | 10/10 | 서울 | |
40 | 1985-01-02 | Roy Gumbs | KO 승 | 2/15 | 서울 문화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1차 방어 |
41 | 1985-04-28 | 노창환 | PTS 승 | 12/12 | 부산 | |
42 | 1985-06-30 | Vinnie Curto | UD 승 | 15/15 | 서울 문화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2차 방어 |
43 | 1986-01-02 | 노창환 | KO 승 | 9/ | 서울 | |
44 | 1986-04-11 | Vinnie Curto | KO 승 | 15/15 | 미국 LA 스포츠 아레나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3차 방어 |
45 | 1986-07-06 | Lindell Holmes | 무효 | 2/15 | 충주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4차 방어 |
46 | 1986-09-14 | Marvin Mack | UD 승 | 45/15 | 부산 구덕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5차 방어 |
47 | 1987-01-25 | Doug Sam(호주) | TKO 승 | 15/15 | 서울 힐튼호텔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6차 방어 |
48 | 1987-05-03 | Lindell Holmes | SD 승 | 15/15 | 인천서린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7차 방어 |
49 | 1987-07-26 | Emmanuel Otti | TKO 승 | 4/15 | 광주실내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8차 방어 (이후 반납) |
50 | 1987-12-06 | Jesus Gallardo | TKO 승 | 2/12 | 부산 사직체육관 |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챔피언 획득 |
51 | 1988-03-01 | Polly Pasireron | KO 승 | 5/12 | 청주실내체육관 |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1차 방어 |
52 | 1988-05-23 | Fulgencio Obelmejias | UD 패 | 12/12 | 수안보 Waikiki Arena |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실패 |
53 | 1988-12-22 | 백인철 | KO 패 | 9/10 | 서울 | 은퇴 경기 |
1983년에는 OPBF 라이트헤비급 타이틀을 획득하기도 했다.
2. 1. 초기 경력 및 OPBF 타이틀 획득 (1977-1983)
박종팔은 1977년 11월 26일 프로 데뷔하여, 1978년 12월 17일 최창백을 3회 KO로 꺾고 한국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2] 1979년 8월 22일에는 유제두가 반납한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카시아스 나이토를 2회 KO로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다.[3]이후 박종팔은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타이틀을 15차례 방어했는데, 그 중 일본 선수들과의 대결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1월 27일 에사시 카츠오 (1차 방어)[4]
- 1980년 3월 18일 시바타 겐지 (2차 방어)[5]
- 1981년 4월 5일 시저 사사키 (8차 방어)[6]
- 1981년 6월 21일 시바타 겐지 (9차 방어)[7]
- 1982년 12월 26일 스즈키 나오토 (15차 방어)[10]
1981년 11월 8일에는 풀헨시오 오베르메히아스에게 8회 KO패를 당하기도 했다.[8]
1983년 5월 29일, 박종팔은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16차 방어전에서 나경민에게 7회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9] 그러나 1983년 9월 4일, 나경민과의 재대결에서 4회 KO승을 거두며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타이틀을 탈환했다.[10]
2. 2. IBF 슈퍼미들급 챔피언 등극 (1984-1987)
1984년 7월 22일, 박종팔은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국제복싱연맹(IBF) 슈퍼미들급 타이틀전에서 머레이 서덜랜드를 11라운드 KO로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다.[11]이후 박종팔은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8차 방어에 성공했다. 주요 방어전은 다음과 같다.
순서 | 날짜 | 상대 선수 | 결과 | 라운드 | 장소 | 비고 |
---|---|---|---|---|---|---|
1차 | 1985년 1월 2일 | 로이 검스 | KO 승 | 2/15 | 서울 문화체육관 | |
2차 | 1985년 6월 30일 | 비니 커토 | UD 승 | 15/15 | 서울 문화체육관 | |
3차 | 1986년 4월 11일 | 비니 커토 | KO 승 | 15/15 | 미국 로스앤젤레스 스포츠 아레나 | |
4차 | 1986년 7월 6일 | 린델 홈스 | 무효 | 2/15 | 충주체육관 | |
5차 | 1986년 9월 14일 | 마빈 맥 | UD 승 | 45/15 | 부산 구덕체육관 | |
6차 | 1987년 1월 25일 | 더그 샘 | TKO 승 | 15/15 | 서울 힐튼호텔 | |
7차 | 1987년 5월 3일 | 린델 홈스 | SD 승 | 15/15 | 인천 서린체육관 | |
8차 | 1987년 7월 26일 | 에마누엘 오티 | TKO 승 | 4/15 | 광주실내체육관 | [12] |
특히, 1986년 7월 6일 린델 홈스와의 4차 방어전은 2라운드에 무효 경기로 처리되었으나, 1987년 5월 3일 재대결에서 판정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지켜냈다.
1987년 7월 26일, 8차 방어전에서 에마누엘 오티에게 4라운드 TKO승을 거둔 후[12] IBF 타이틀을 반납했다.
2. 3. WBA 슈퍼미들급 챔피언 등극과 은퇴 (1987-1988)
박종팔은 1987년 7월 26일 광주실내체육관에서 에마누엘 오티를 상대로 TKO 승을 거두며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8차 방어에 성공한 후, 타이틀을 반납했다.[12] 이후 WBA 슈퍼미들급 초대 챔피언 결정전에 출전하여, 1987년 12월 6일 부산사직체육관에서 헤수스 가야르도를 2회 TKO로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다.[13]1988년 3월 1일, 청주실내체육관에서 열린 WBA 타이틀 1차 방어전에서 폴리 파시레론을 상대로 5회 KO승을 거두었다.[13] 그러나 1988년 5월 23일, 수안보 와이키키 아레나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에게 12회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4]
이후 1988년 12월 22일, 서울에서 백인철과의 경기에서 9회 KO패를 당한 것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15]
3. 전적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53 | 패 | 46-5-1 (1) | 백인철 | KO | 9 (10), 1:47 | 1988년 12월 22일 | 대한민국 서울 세계무역센터 | [15] |
52 | 패 | 46-4-1 (1) |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 | 판정 | 12 | 1988년 5월 23일 | 대한민국 수안보 와이키키 체육관 |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상실 [14] |
51 | 승 | 46-3-1 (1) | 폴리 파시레론 | KO | 5 (12), 2:25 | 1988년 3월 1일 | 대한민국 전주 전주실내체육관 |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50 | 승 | 45-3-1 (1) | 헤수스 가야르도 | TKO | 2 (12), 0:27 | 1987년 12월 6일 | 대한민국 부산 사직체육관 | 초대 WBA 슈퍼미들급 타이틀 획득 [13] |
49 | 승 | 44-3-1 (1) | 에마뉘엘 오티 | TKO | 4 (15), 3:08 | 1987년 7월 26일 | 대한민국 광주 콜리세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12] |
48 | 승 | 43-3-1 (1) | 린델 홈스 | 판정 | 15 | 1987년 5월 3일 | 대한민국 인천 선인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7 | 승 | 42-3-1 (1) | 더그 샘 | TKO | 15 (15), 1:55 | 1987년 1월 25일 | 대한민국 서울 힐튼 호텔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6 | 승 | 41-3-1 (1) | 마빈 맥 | 판정 | 15 | 1986년 9월 14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5 | 무효 | 40-3-1 (1) | 린델 홈스 | NC | 2 (15), 1:10 | 1986년 7월 6일 | 대한민국 충주 스포츠 경기장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4 | 승 | 40-3-1 | 비니 커토 | KO | 15 (15), 2:15 | 1986년 4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3 | 승 | 39-3-1 | 노창환 | KO | 9 (12), 2:10 | 1986년 1월 2일 | 대한민국 서울 | |
42 | 승 | 38-3-1 | 비니 커토 | 판정 | 15 | 1985년 6월 30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41 | 승 | 37-3-1 | 노창환 | 판정 | 12 | 1985년 4월 28일 | 대한민국 부산 | |
40 | 승 | 36-3-1 | 로이 검스 | KO | 2 (15), 1:42 | 1985년 1월 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방어 |
39 | 승 | 35-3-1 | 월리 카 | 판정 | 10 | 1984년 10월 7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
38 | 승 | 34-3-1 | 머레이 서덜랜드 | KO | 11 (15), 1:12 | 1984년 7월 22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IBF 슈퍼미들급 타이틀 획득 [11] |
37 | 승 | 33-3-1 | 루즈벨트 그린 | KO | 9 (10), 1:33 | 1984년 6월 17일 | 대한민국 서울 | |
36 | 승 | 32-3-1 | 찰스 카터 | 판정 | 10 | 1984년 2월 5일 | 대한민국 서울 | |
35 | 승 | 31-3-1 | 로젠도 루발카바 | KO | 5 (10), 0:42 | 1983년 12월 4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34 | 승 | 30-3-1 | 개리 허블 | KO | 9 (12), 1:10 | 1983년 11월 6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라이트 헤비급 타이틀 획득 |
33 | 승 | 29-3-1 | 라경민 | KO | 4 (12), 1:32 | 1983년 9월 4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획득 [10] |
32 | 패 | 28-3-1 | 라경민 | KO | 7 (12), 1:48 | 1983년 5월 29일 | 대한민국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상실 [9] |
31 | 승 | 28-2-1 | 안토니오 레이바 | KO | 4 (10) | 1983년 4월 10일 | 대한민국 서울 | |
30 | 승 | 27-2-1 | 시바타 나오토 | KO | 4 (12) | 1982년 12월 26일 | 대한민국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7] |
29 | 승 | 26-2-1 | 발렌스 하랄란 | KO | 2 (12), 1:44 | 1982년 7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28 | 승 | 25-2-1 | 수와르노 | KO | 4 (12), 2:59 | 1982년 4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27 | 승 | 24-2-1 | 리치 로버츠 | KO | 8 (12), 1:32 | 1982년 2월 7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26 | 승 | 23-2-1 | 마나 프렘차이 | KO | 4 (10), 0:57 | 1982년 1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25 | 패 | 22-2-1 |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 | KO | 8 (10) | 1981년 11월 7일 |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 [8] |
24 | 승 | 22-1-1 | 마나 프렘차이 | KO | 11 (12), 0:12 | 1981년 9월 9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23 | 승 | 21-1-1 | 이상호 | KO | 9 (12) | 1981년 8월 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22 | 승 | 20-1-1 | 시바타 겐지 | KO | 5 (12), 1:45 | 1981년 6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6] |
21 | 승 | 19-1-1 | 사사키 카이사르 | KO | 6 (12), 2:23 | 1981년 4월 5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5] |
20 | 승 | 18-1-1 | 조 윌리스코 | KO | 3 (12), 2:27 | 1980년 12월 6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19 | 승 | 17-1-1 | 필 데이비스 | KO | 3 (12), 1:32 | 1980년 11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18 | 승 | 16-1-1 | 토르카노 마르코스 | TKO | 5 (12), 1:29 | 1980년 9월 24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17 | 승 | 15-1-1 | 피터 피아몬테 | KO | 4 (12), 0:54 | 1980년 8월 8일 | 대한민국 서울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16 | 승 | 14-1-1 | 프레드 롤란도 파스토르 | KO | 4 (10) | 1980년 6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15 | 승 | 13-1-1 | 록키 조 | KO | 8 (12), 1:07 | 1980년 5월 4일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14 | 승 | 12-1-1 | 시바타 겐지 | KO | 5 (12), 1:17 | 1980년 3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4] |
13 | 승 | 11-1-1 | 에사시 가쓰오 | KO | 3 (12), 1:17 | 1980년 1월 27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3] |
12 | 승 | 10-1-1 | 카시우스 나이토 | KO | 2 (12), 1:55 | 1979년 8월 2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OPBF 미들급 타이틀 획득 [2] |
11 | 승 | 9-1-1 | 호리하타 미치히로 | KO | 3 (10), 2:33 | 1979년 6월 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10 | 승 | 8-1-1 | 아르만도 보니퀴트 | KO | 3 (10), 2:01 | 1979년 4월 2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9 | 승 | 7-1-1 | 알베르토 크루즈 | KO | 3 (10), 2:29 | 1979년 3월 17일 | 대한민국 대구 대구체육관 | |
8 | 승 | 6-1-1 | 토마스 아바르카 | KO | 2 (10), 2:14 | 1979년 2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7 | 승 | 5-1-1 | 최창백 | KO | 3 (10), 0:22 | 1978년 12월 17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대한민국 미들급 타이틀 획득 |
6 | 승 | 4-1-1 | 고시마 가즈오 | KO | 1 (6), 0:27 | 1978년 8월 28일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
5 | 패 | 3-1-1 | 강흥원 | KO | 1 (10), 2:57 | 1978년 6월 14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대한민국 미들급 타이틀 매치 |
4 | 무승부 | 3-0-1 | 강승환 | 판정 | 8 | 1978년 3월 25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3 | 승 | 3-0 | 강승환 | 판정 | 6 | 1977년 12월 25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2 | 승 | 2-0 | 김정식 | KO | 2 (4), 0:55 | 1977년 12월 23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1 | 승 | 1-0 | 정용수 | KO | 3 (4) | 1977년 11월 26일 | 대한민국 부산 부산 문화체육관 |
4. 획득 타이틀
- 제20대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왕좌 (15차 방어)[1]
- 제22대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왕좌 (0차 방어)[1]
- IBF 세계 슈퍼미들급 왕좌 (8차 방어)[1]
- WBA 세계 슈퍼미들급 왕좌 (1차 방어)[1]
5. 은퇴 이후의 삶과 평가
박종팔은 세계 타이틀전에서 5000만원이 넘는 돈을 받았고, 경기 때마다 땅을 사들여 "돈팔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그러나 이후 사기와 사업 실패로 파산, 우울증, 아내의 죽음 등 불행을 겪었지만, 재혼 후 체육관 운영 등으로 재기에 성공했다.[17][18]
5. 1. 은퇴 이후의 삶
세계 타이틀전의 파이트 머니는 5000만원을 넘어섰고, 시합 때마다 토지를 구입하여 시가 90억원의 자산을 얻어 "돈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당시 서울시의 평당 시세는 1만원이었다)[16]。 그 후, 사기 및 사업 실패 등으로 파산하고, 우울증, 부인의 사망 등 불행을 겪었지만, 재혼하여 체육관 운영 등으로 재기에 성공했다[17][18]。6. 에피소드
박종팔은 세계 타이틀전에서 5000만원이 넘는 파이트 머니를 받았고, 시합 때마다 부동산에 투자하여 시가 90억원의 자산을 모아 "돈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당시 서울의 땅값은 평당 1만 원 수준이었다.[16] 그러나 이후 사기와 사업 실패로 파산하고, 우울증과 배우자의 사망 등 불행한 일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혼 후 체육관을 운영하며 재기에 성공했다.[17][18]
참조
[1]
웹사이트
Park Chong-pal – Lineal Super Middle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2]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78-12-18
[3]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79-08-23
[4]
뉴스
京郷新聞
http://newslibrary.n[...]
1980-01-28
[5]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0-03-19
[6]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1-04-06
[7]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1-06-22
[8]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1-11-09
[9]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3-05-30
[10]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3-09-05
[11]
뉴스
京郷新聞
http://newslibrary.n[...]
1984-07-23
[12]
뉴스
京郷新聞
http://newslibrary.n[...]
1987-07-27
[13]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7-12-07
[14]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8-05-24
[15]
뉴스
東亜日報
http://newslibrary.n[...]
1988-12-23
[16]
뉴스
박종팔 “한때 별명이 ‘돈팔이’, 갈퀴로 긁어… 다 잃고나니 행복 찾아와”
http://www.munhwa.co[...]
文化日報
2012-06-22
[17]
뉴스
득구야, 벨트 못 따면 죽어서 오겠다는 약속은 왜 지켰냐
http://news.joins.co[...]
중앙SUNDAY
2018-01-28
[18]
뉴스
세계 복싱 챔피언 박종팔, 90억 탕진…설마
http://honestnews.co[...]
honestnews
2013-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