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우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우원은 명나라 성화제의 아들이자 가정제의 아버지이다. 1487년 흥왕에 봉해졌으며, 1519년 사망했다. 아들 주후총(가정제)이 황위에 오르자 흥헌제로 추존되었고, 묘호는 예종이다. 가정제는 생부 추존 문제를 둘러싸고 대례의 논쟁을 겪었으며, 주우원은 사후 헌왕으로 불리다가 황제로 추존되어 묘가 현릉으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화제의 황자 - 홍치제
    홍치제는 명나라의 9대 황제로, 국정 쇄신, 인재 등용, 법규 정비, 외교 관계 개선을 통해 명나라 중흥을 이끌었으며, 검소한 생활과 일부일처제를 실천한 황제로 평가받는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상순
    주상순은 명나라 만력제의 아들로, 복왕에 봉해졌으나 사치를 부리다 이자성의 난 때 처형당했으며, 아들이 황제로 추존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1476년 출생 - 윤인경
    윤인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생원·진사 합격 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 중종반정 공신 책봉, 삼포왜란 진압 기여 등 뛰어난 행정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보이며 영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 1476년 출생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우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아리 스크롤에 있는 사후 초상화, 타이베이,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작위흥왕(興王)
재위 기간1487년 7월 30일 ~ 1519년 7월 13일
재위 유형임기
후임주후총
가문
묘호예종(睿宗)
시호지천수도홍덕연인관목순성공간경문헌황제(知天守道洪德淵仁寬穆純聖恭簡敬文獻皇帝)
아버지성화제
어머니효혜황후
출생일1476년 7월 22일 (성화 12년 7월 2일)
사망일1519년 7월 13일 (정덕 14년 6월 17일)
매장지현릉 (현재의 후베이성 중샹)
배우자자효헌황후(1492년 결혼, 1519년 사망)
배우자 유형정비
자녀주후희, 월회왕
가정제
장녕공주
선화공주
영복공주
영춘공주
개인 정보
주우원(朱祐杬)
시호 (사후)흥헌왕(興獻王) → 흥헌제(興獻帝) → 공예원인관목순성헌황제(恭睿淵仁寬穆純聖獻皇帝) → 지천수도홍덕연인관목순성공간경문헌황제(知天守道洪德淵仁寬穆純聖恭簡敬文獻皇帝)

2. 생애

1487년 흥왕(興王)에 봉해졌으며, 1494년 후베이성 종시앙 시를 영지로 받았다. 슬하에 아들 둘을 두었으나, 첫 아들 주후희는 일찍 사망했고, 둘째 아들 가정제(주후총)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1]

1519년 아들 가정제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 사망했다. 1521년 정덕제가 후사 없이 붕어하자, 내각대학사 양정화는 황명조훈에 의거하여 황위 계승자를 찾았다. 그 결과 정덕제의 사촌 동생인 주후총이 황제로 옹립되었다.[3]

주우원은 성화제의 넷째 아들이었고, 효혜태후를 어머니로 태어났다. 홍치제의 이복 동생이며, 정덕제의 숙부이다. 1520년 후베이 성 송림산 언덕에 안장되었고, 능은 현릉이다.[1]

2. 1. 추존 논란과 대례의

가정제 즉위 초, 입경의례(入京儀禮)와 생부인 흥헌왕에 대한 존호 및 제사 등의 문제로 오랜 기간 대신들과 갈등을 빚었다. 황제의 생부 추존 문제로 시작된 이 사건은 세종 치세에 정치의 문란과 부패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3년 만에 종결된다.[1]

가정제는 즉위 후 계통상 효종의 아들이라는 신하들과 맞서 대례의 논쟁을 벌였다. 조정 신하들은 주우원을 칭할 때 황숙고 흥헌대왕(皇叔考興獻大王)이라 칭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가정제는 그를 흥헌제(興獻帝)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1524년 3월, 가정제는 흥헌제의 존칭을 본생황고 공목흥헌황제(本生皇考恭穆獻皇帝)로 정했다가 그해 7월 본생(本生) 두 글자를 제거하여 공목흥헌황제로 하고, 그의 묘를 현릉(顯陵)으로 정했다.

원래 대신들은 주우원을 위한 황실 사당 봉안에 대해 가정제에게 반대했다. 그러자 가정제는 그를 위해 다른 사당을 세우고 "세묘"(世廟)라고 이름 지은 다음, 1536년에 "현종묘"(顯宗廟)로 개칭했다.[1] 2년 후, 사당은 황실 종묘로 재단장되었고 가정제는 주우원에게 사당호 "예종"(睿宗)을 올렸다. 당시 가정제는 주우원이 형제였기 때문에 홍치제의 사당과 함께 사당을 이전했다.[2]

사당이 재건된 후, 가정제는 주우원이 홍치제와 같은 사당을 공유하는 것을 거부했으며,[3] 정덕제의 사당 위에 사당을 이전했다.[4] 이 시점에서 가정제는 마침내 주우원을 황제로 추존하고 제사를 마쳤다.

만력제천계제 재위 기간 동안 대신들은 주우원의 사당을 철거할 것을 요청했지만 거부되었다.[5]

2. 2. 사후

정덕제가 내린 시호는 헌(献)으로 흥헌왕이 되었다가 가정제 때 황제로 추존되었다.[1]

1520년 4월 19일 후베이성 송림산(松林山) 언덕에 안장되었다. 능은 후베이성 종샹시(钟祥市) 동쪽 송림산에 위치한 현릉(顯陵)이다.[1] 그의 묘는 원래 후베이성 중샹시 송린산에 위치한 평범한 왕자의 묘였다. 묘는 1519년에 재건되어 1521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1] 그의 아들인 가정제가 즉위한 후, 가정제는 그의 시호 문제로 신하들과 대립했다. 이후 그는 "흥헌제"(興獻帝)로 추존되었고, 그의 묘는 황제의 양식으로 재건되어 "현릉"(顯陵)으로 개명되었다.[1]

1521년 정덕제가 후사 없이 붕어하자, 내각대학사 양정화는 "황명조훈"에 의거하여 황위 계승자를 찾았다. 홍치제의 두 아들이 요절했으며, 성화제의 장남과 차남이 요절했고, 셋째 아들이 홍치제였으며, 넷째 아들인 흥왕 주우원(朱祐杬)도 이미 사망했지만 두 아들이 있었다. 장남 주후희(朱厚熙)는 요절했고, 차남 주후총(朱厚熜)이 후사로 세워졌으며, 정덕제의 사촌 동생이었으므로, 신제로 옹립되었다.[3]

주후총은 즉위한 후, 생부에게 존호를 추증하고 싶어 했고, 이것이 3년 반에 걸친 "대례의" 논쟁의 발단이 되었다.[3] 조정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정제는 생부를 흥헌제(興獻帝)로 추존했다. 또한 생모 장씨(蔣氏)에게도 장성황태후(章聖皇太后)로 존호를 올리고, 홍치제를 "황백고(皇伯考)"로 개칭했다.[3] 1538년 9월, 주우원에게 "예종(睿宗)"의 묘호가 추존되었다. 원래 흥헌제의 묘는 명의 현릉으로 이장되었다.[3]

3. 시호, 묘호

1521년 (정덕 16년), 정덕제가 후사 없이 붕어하자, 내각대학사 양정화는 "황명조훈"에 의거하여 황위 계승자를 찾았고, 정덕제의 사촌 동생인 주후총(朱厚熜)이 가정제로 즉위하였다.[8]

가정제는 즉위 후 생부에게 존호를 추증하려 했고, 이는 3년 반에 걸친 "대례의" 논쟁의 발단이 되었다. 조정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정제는 생부를 '''흥헌제'''(興獻帝)로 추존하였다. 이후 '''공예헌황제'''(恭睿獻皇帝)로 고쳤다가, 다시 '''공예연인관목순성헌황제'''(恭睿淵仁寬穆純聖獻皇帝)로 추존하였다.

1539년 2월, 묘호는 '''예종'''(睿宗), 시호는 '''지천수도홍덕연인관목순성공간경문헌황제'''(知天守道洪德淵仁寬穆純聖恭簡敬文獻皇帝)로 정식 추존되었다.[8]

1556년, 가정제는 주우원을 상황(上皇)으로 추존하고, 삼천금궐무상옥당도선법주현원도덕철혜성존개진인화대제(三天金闕無上玉堂都仙法主玄元道德哲慧聖尊開真仁化大帝)로 추존하였다.[8]

4. 가족 관계

wikitext

주우원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영종 예황제 주기진(朱祁鎭)
조모효숙황후 주씨(周氏)
부친헌종 성화순황제 주견심(朱見深)
모친효혜황후 소씨(邵氏)
정실자효헌황후(慈孝献皇后) 장씨(蔣氏)장교(蔣斅)의 딸
측실온정숙비(温静淑妃) 왕씨(王氏)
아들주후희(朱厚熙)요절
아들주후총(朱厚熜)가정제
장녕공주(長寧公主)요절
선화공주(善化公主)
영복공주(永福公主)
영순공주(永淳公主)


4. 1. 부인

주우원의 부인
봉호시호이름(성씨)비고
흥왕비(興王妃)자효헌황후장씨(蔣氏)[9],[10]
숙비(貴妃)온정숙비(溫靜淑妃)왕씨(王氏)


4. 2. 자녀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악왕(岳王)회(懷)주후희(朱厚熙)1500년자효헌황후 장씨[11] 요절
흥왕(興王)주후총(朱厚熜)1507년 ~ 1567년자효헌황후 장씨제11대 황제 가정제(嘉靖帝).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장녕장공주(長寧長公主)1501년 ~ 1504년자효헌황후 장씨요절
선화장공주(善化長公主)1503년 ~ 1512년온정숙비 왕씨조졸
영복장공주(永福長公主)? ~ 1525년자효헌황후 장씨영간백(榮簡伯) 우경화(鄔景和)
영순장공주(永淳長公主)1510년 ~ 1540년자효헌황후 장씨사소(謝詔)


참조

[1] 서적 明史卷五十二
[2] 서적 明史卷五十二
[3] 서적 明史卷五十二
[4] 서적 明史·志第二十七 禮五
[5] 서적 明史卷五十一
[6] 문서 헌종순황제실록 1576-07
[7] 문서 무종의황제실록 1519-06
[8] 웹사이트 明史/卷307 https://zh.wikisourc[...]
[9] 문서 흥헌후
[10] 문서
[11] 문서 악회헌왕(岳懷獻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