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SOCKOR)는 한반도 내 미국 특수 작전 부대의 지휘, 훈련, 계획을 총괄하는 사령부이다. 1988년 창설되어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와 연합 작전을 수행하며, 휴전 시에는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 작전 부대 활동을 책임진다. SOCKOR 사령관은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 사령관을 겸임하며, 전시에는 연합 특수 작전을 지휘한다. 2012년 닐 톨리 준장의 발언 논란으로 사령관이 교체되었으며, 현재까지 여러 지휘관을 거쳐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1986년 설립 -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광주광역시의 선거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86년 광주직할시 선거관리위원회로 창설되어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위원장, 상임위원, 비상임위원, 사무처로 구성되어 5개의 구별 선거관리위원회를 산하에 두고 있다.
  • 1986년 설립 - 안양종합운동장
    안양종합운동장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종합 스포츠 시설로, 주경기장, 안양체육관, 안양 아이스 아레나, 보조경기장, 테니스장, 씨름장, 수영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FC 안양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과거 국제 경기 개최 경험도 있다.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
개요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 문장
문장
활동 기간1986년 7월 14일 ~ 현재
종류특수부대사령부
역할한국 전구 안의 특수부대 지휘통제
규모기밀사항
명령 체계예속: 미국 특수작전사령부
지원: 주한 미군
본부캠프 험프리스
별명미확인
지휘부
사령관공군 소장
주임원사육군 원사
주요 지휘관미확인
인식표 (육군 부대)
특수작전사령부 육군 부대 SSI
SSI
특수작전사령부 육군 부대 DUI
DUI
특수작전사령부 육군 부대 베레 플래시
베레 플래시
특수작전사령부 육군 부대 배경 트리밍
배경 트리밍
관련 정보
표어미확인
미확인
군가미확인
마스코트미확인
장비미확인
참전미확인
기념일미확인
장식미확인
훈장미확인

2. 역사

1988년 이전까지 대한민국 내의 특수작전부대는 주한 미군 J3 주한 특수작전부(USFK J3 Special Operations Division-Korea|USFK J3 특수작전부영어)의 관리를 받았다. 1988년 10월, USFK J3 내에 SOC-K가 창설되었고, 제임스 에스탭 대령이 J3 SOD-K 첫 지휘관이자 C3 SOD-K 참모장을 겸임했다. 이러한 겸임 지휘 체제는 1995년까지 이어졌다. 5번째 지휘관인 부스 대령은 SOC-K를 독립 기능사령부로서 USFK J3 SOD로부터 분리하였다. 이후 SOCKOR로 개명되고, 주한 미군 지휘관의 예하 작전 지휘를 받는 하위 사령부가 되어 전구특수작전사령부(Theater Special Operations Commands|전구특수작전사령부영어)로 참모들이 이동하였다. 1989년 창설 초기에는 8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현역 82명 규모로 성장하였다. 2000년에는 로널드 S. 메그넘 준장이 최초로 SOCKOR 장성급 지휘관이 되었다. 2005년 10월 16일, 기존의 주한 특전분견대(Special Forces Detachment-Korea|주한 특전분견대영어)가 제39특전분견대로 바뀌었다.[12]

2009년,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E중대가 4대대로 옮겨가면서 한반도를 떠났다.

2012년 5월 29일, 미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 열린 전구(戰區) 특수작전사령부 회의에서 패널 토의 참가자인 SOCKOR 사령관 닐 톨리 준장은 "한·미 특전사 부대원들이 비밀리에 낙하산으로 북한으로 침투했다"고 발언했다고 더 디플로멧의 기자 데이비드 엑스가 보도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이후 건설된 20개 가량의 지하 비행장과 수천 개의 지하 포병 진지, 그리고 최소 4개의 DMZ 지역 침투 땅굴이 있는데 정확히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따라서 우리는 한·미 특전사 대원들에게 특수 정찰 임무를 부여했고, 그들은 조선인민군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경량 센서와 고주파 무전기 등의 최소한의 장비를 갖추고 침투했다"라고 덧붙였다.[13]

이 발언은 특수부대의 비밀 작전에 대한 보안 위반 문제부터 진실성 논란까지 여러 논란을 낳았으며, 5일 뒤인 5월 30일, 닐 톨리 준장은 자신의 발언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였다.[14] 그는 6월 1일자로 해임되었으며, 국제안보지원군 아프가니스탄 북부지역 부사령관을 맡고 있던 에릭 웨트 준장이 같은 날 장성 인사에 따라 닐 톨리 사령관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고 SOCKOR은 2012년 6월 5일에 언론을 통해 밝혔다.[15]

서울 송파구에 있던 제39특전분견대는 2016년에 특수전사령부가 경기도 이천으로 이전하자 함께 이전하였다.[16]

2. 1. 창설 배경

1988년 이전까지 대한민국 내의 특수작전부대는 주한 미군 J3 주한 특수작전부(USFK J3 Special Operations Division-Korea|USFK J3 특수작전부영어)의 관리를 받았다. 1988년 10월, USFK J3 내에 SOC-K가 창설되었고, 제임스 에스탭 대령이 J3 SOD-K 첫 지휘관이자 C3 SOD-K 참모장을 겸임했다. 이러한 겸임 지휘 체제는 1995년까지 이어졌다. 5번째 지휘관인 부스 대령은 SOC-K를 독립 기능사령부로서 USFK J3 SOD로부터 분리하였다. 이후 SOCKOR로 개명되고, 주한 미군 지휘관의 예하 작전 지휘를 받는 하위 사령부가 되어 전구특수작전사령부(Theater Special Operations Commands|전구특수작전사령부영어)로 참모들이 이동하였다. 2000년에는 로널드 S. 메그넘 준장이 최초로 SOCKOR 장성 지휘관이 되었다.

SOCKOR는 창설 이후 미국과 주둔국의 특수 작전 부대가 연합 작전을 위해 제도적으로 조직된 유일한 TSOC였다. SOCKOR과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SWC)는 정기적으로 연합 작전 임무를 훈련하며, SOCKOR의 제39특전분견대는 대한민국 특수전 부대와 미국 특수 작전 부대 간의 전담 연락 임무를 수행한다.

휴전 상황에서 SOCKOR 사령관은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 작전 부대 활동의 계획, 훈련 및 실행을 책임진다. SOCKOR 사령관은 또한 모든 미국 특수 작전 부대 문제와 관련하여 주한미군사령관(COMUSFK)의 선임 고문 역할을 수행한다. 휴전이 실패할 경우, SOCKOR과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는 연합군사령부(CFC) 산하의 연합 비정규전 임무 부대를 창설하기 위해 통합될 것이다. SOCKOR는 또한 유엔군사령부(UNC) 산하의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로 지정되며, SOCKOR 사령관은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 사령관을 겸임한다.

2. 2. 초기 발전 (1988년 ~ 2000년)

1988년 이전까지 대한민국 내의 특수작전부대는 주한 미군 J3 주한 특수작전부(USFK J3 )의 관리를 받았다. 1988년 10월, USFK J3 내에 SOC-K가 창설되었고, 제임스 에스탭 대령이 J3 SOD-K 첫 지휘관이자 C3 SOD-K 참모장을 겸임하였다. 이러한 겸임 지휘 체제는 1995년까지 이어졌다. 5번째 지휘관인 부스 대령은 SOC-K를 독립 기능사령부로서 USFK J3 SOD에서 분리하였다. 이후 SOCKOR로 개명되고, 주한 미군 지휘관의 예하 작전 지휘를 받는 하위 사령부가 되었으며, 참모들은 전구특수작전사령부()로 이동하였다.[12] 1989년 창설 초기에는 8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현역 82명 규모로 성장하였다. 2000년에는 로널드 S. 메그넘 준장이 최초로 SOCKOR 장성급 지휘관이 되었다.[12]

2. 3. 작전 능력 강화 (2000년 ~ 현재)

1988년 이전에는 주한 미군(USFK) 합동 작전 참모부(J3)의 주한 특수작전부(USFK J3 Special Operations Division-Korea영어)가 대한민국 내 특수작전부대를 관리했다. 1988년 10월, USFK J3 내에 SOC-K가 창설되었고, 제임스 에스탭 대령이 J3 SOD-K 첫 지휘관이자 C3 SOD-K 참모장을 겸임했다. 이러한 겸임 지휘는 1995년까지 이어졌다. 5번째 지휘관인 부스 대령은 SOC-K를 USFK J3 SOD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인 기능사령부로 만들었다. SOCKOR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주한 미군 지휘관의 작전 지휘를 받는 하위 사령부가 되어 전구특수작전사령부(Theater Special Operations Commands영어)로 참모들이 이동하였다. 1989년 초기에는 8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현역 82명 규모로 성장했다. 2000년에는 로널드 S. 메그넘 준장이 최초로 SOCKOR 장성 지휘관이 되었다. 2005년 10월 16일, 기존의 주한 특전분견대(Special Forces Detachment-Korea영어)가 제39특전분견대로 변경되었다.[12]

2009년,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E중대가 4대대로 이동하면서 한반도를 떠났다.

2012년 5월 29일, 미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 열린 전구(戰區) 특수작전사령부 회의에서 패널 토의 참가자인 SOCKOR 사령관 닐 톨리 준장이 "한·미 특전사 부대원들이 비밀리에 낙하산으로 북한으로 침투했다"고 발언했다는 것을 더 디플로멧의 기자 데이비드 엑스가 보도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이후 건설된 20개 가량의 지하 비행장과 수천개의 지하 포병 진지, 그리고 최소 4개의 DMZ 지역 침투 땅굴이 있는데 정확히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따라서 우리는 한·미 특전사 대원들에게 특수 정찰 임무를 부여했고, 그들은 조선인민군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경량 센서와 고주파 무전기 등의 최소한의 장비를 갖추고 침투했다"라고 덧붙였다.[13]

이 발언은 특수부대의 비밀 작전에 대한 보안 위반 문제부터 진실성 논란까지 여러 논란을 낳았으며, 5일 뒤인 5월 30일, 닐 톨리 준장은 자신의 발언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였다.[14]

그는 6월 1일자로 해임되었으며, 국제안보지원군 아프가니스탄 북부지역 부사령관을 맡고 있던 에릭 웨트 준장이 6월 1일자 장성 인사에 따라 닐 톨리 사령관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고 SOCKOR은 2012년 6월 5일에 언론을 통해 밝혔다.[15]

서울 송파구의 SOCKOR 근처에 있던 제39특전분견대가 2016년에 특수전사령부가 경기도 이천으로 이전하자 함께 이전하였다.[16]

2. 4. 닐 톨리 준장 발언 논란 (2012년)

2012년 5월 29일, 미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 열린 전구(戰區·theater) 특수작전사령부 회의에서 패널 토의 참가자인 SOCKOR 사령관 닐 톨리 준장은 "한·미 특전사 부대원들이 비밀리에 낙하산으로 북한으로 침투했다"고 발언했다고 더 디플로멧의 기자 데이비드 엑스가 보도하였다.[13]

데이비드 엑스는 닐 톨리 준장이 한국 전쟁 이후 건설된 20개 가량의 지하 비행장과 수천 개의 지하 포병 진지, 그리고 최소 4개의 DMZ 지역 침투 땅굴이 있는데 정확히 얼마나 많은지 모르며, 따라서 한·미 특전사 대원들에게 특수 정찰 임무를 부여했고, 그들은 조선인민군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경량 센서와 고주파 무전기 등의 최소한의 장비를 갖추고 침투했다고 덧붙여 말하였다고 보도하였다.[13]

이 발언은 특수부대의 비밀 작전에 대한 보안 위반 문제부터 진실성 논란까지 여러 논란을 낳았으며, 5일 뒤인 5월 30일, 닐 톨리 준장은 자신의 발언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였다.[14]

2. 5. 최근 동향

2009년,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E중대가 4대대로 옮겨가면서 한반도를 떠났다.

2012년 5월 29일, 미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 열린 전구(戰區·theater) 특수작전사령부 회의 중, 패널 토의로 참가한 SOCKOR 사령관 닐 톨리 준장은 "한·미 특전사 부대원들이 비밀리에 낙하산으로 북한으로 침투했다"고 발언했다는 것을 더 디플로멧의 기자인 데이비드 엑스가 보도하였다. 해당 발언에 뒤이어 "한국 전쟁 이후 건설된 20개 가량의 지하 비행장과 수천개의 지하 포병 진지, 그리고 최소 4개의 DMZ 지역의 침투 땅굴이 있는데 정확히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따라서 우리는 한·미 특전사 대원들에게 특수 정찰 임무를 부여했다, 그들은 조선인민군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경량 센서와 고주파 무전기 등의 최소한의 장비를 갖추고 침투했다"라고 덧붙였다.[13]

이 발언은 특수부대의 비밀 작전에 대한 보안 위반 문제부터 진실성 논란까지 여러 논란을 낳았으며, 5일 뒤인 5월 30일, 닐 톨리 준장은 자신의 발언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였다.[14]

그에 따라 그는 6월 1일자로 해임되었으며, 국제안보지원군 아프가니스탄 북부지역 부사령관을 맡고 있던 에릭 웨트 준장이 6월 1일자 장성 인사에 따라 닐 톨리 사령관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고 SOCKOR은 2012년 6월 5일에 언론을 통해 이와 같은 사실을 밝혔다.[15]

서울시 송파구의 SOCKOR 근처에 있던 제39특전분견대가 2016년에 특수전사령부가 경기도 이천으로 이전하자 같이 이전하였다.[16]

3. 임무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SOCKOR)는 휴전, 위기 및 분쟁 상황에서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작전 부대(SOF) 자산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위한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ROK SWC) 및 유엔군(U.N.) SOF와 협력하여 유엔군 사령부(UNC)/한미연합군사령부(CFC)/주한 미군(USFK) 사령관을 지원, 역내 침략을 억제하고 안정을 증진한다.

분쟁이나 전시에는 오키나와와 미국 본토로부터 특전부대 인원이 증원되며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와 함께 연합특수작전구성사령부(Combined Special Operations Component Command Korea|코리아영어)를 구성하여 한미 연합 특수작전을 개시하게 된다.[11]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을 맡고 미국의 SOCKOR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게 되며 그린베레 제1특전단이 여기에 배속된다.[11]

명령에 따라, SOCKOR는 ROK SWC와 통합하여 연합 비정규전 태스크 포스(CUWTF)를 구성하며, SOCKOR 사령관은 또한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군(UNCSOC) 사령관이 되어 UNC/CFC/USFK 사령관의 대외 위협 격퇴 및 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특수 작전을 수행한다.

3. 1. 평시 임무

SOCKOR은 평시에는 미 육군 그린베레 제1특전단의 한국 파견대인 "''제39특전분견대''"(39th Special Forces Detachment영어)를 비롯하여,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미국 특수부대 요원들에 대한 집행, 훈련, 확보, 계획을 총괄한다. 분쟁이나 전쟁 시에는 오키나와와 미국 본토로부터 특전부대 인원이 증원되며,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와 함께 연합특수작전구성사령부(Combined Special Operations Component Command Korea|CSOCC-K영어)를 구성하여 한미 연합 특수작전을 개시하게 된다.[11]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을 맡고, 미국 SOCKOR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는다.[11]

휴전, 위기 및 분쟁 상황에서 SOCKOR는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작전 부대(SOF) 자산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위한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며,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ROK SWC) 및 유엔군(U.N.) SOF와 협력하여 유엔군 사령부(UNC)/한미연합군사령부(CFC)/주한 미군(USFK) 사령관을 지원한다. 명령에 따라, SOCKOR는 ROK SWC와 통합하여 연합 비정규전 태스크 포스(CUWTF)를 구성하며, SOCKOR 사령관은 또한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군(UNCSOC) 사령관이 되어 특수 작전을 수행한다.

SOCKOR과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SWC)는 정기적으로 연합 작전 임무를 훈련하며, SOCKOR의 제39특전분견대는 대한민국 특수전 부대와 미국 특수 작전 부대 간의 전담 연락 임무를 수행한다.

휴전 상황에서 SOCKOR 사령관은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 작전 부대 활동의 계획, 훈련 및 실행을 책임진다. SOCKOR 사령관은 또한 모든 미국 특수 작전 부대 문제와 관련하여 주한 미군 사령관(COMUSFK)의 선임 고문 역할을 수행한다. 휴전이 실패할 경우, SOCKOR과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는 한미연합군사령부(CFC) 산하의 연합 비정규전 임무 부대를 창설하기 위해 통합될 것이다. SOCKOR는 또한 유엔군사령부(UNC) 산하의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로 지정되며, SOCKOR 사령관은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 사령관을 겸임한다.

3. 2. 전시 임무

분쟁이나 전시에는 오키나와와 미국 본토로부터 특전부대 인원이 증원되며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와 함께 연합특수작전구성사령부(Combined Special Operations Component Command Korea|코리아영어)를 구성하여 한미 연합 특수작전을 개시하게 된다.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을 맡고 미국의 SOCKOR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게 된다. 그리고 그린베레 제1특전단이 여기에 배속된다.[11]

휴전, 위기 및 분쟁 상황에서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SOCKOR)는 한국 내 모든 미국 특수작전 부대(SOF) 자산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위한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며,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ROK SWC) 및 유엔군(U.N.) SOF와 협력하여 유엔군 사령부(UNC)/ 한미연합군사령부(CFC)/ 주한 미군(USFK) 사령관을 지원하여 역내 침략을 억제하고 안정을 증진한다. 명령에 따라, SOCKOR는 ROK SWC와 통합하여 연합 비정규전 태스크 포스(CUWTF)를 구성하며, SOCKOR 사령관은 또한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군(UNCSOC) 사령관이 되어 UNC/CFC/USFK 사령관의 대외 위협 격퇴 및 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특수 작전을 수행한다.

휴전이 실패할 경우, SOCKOR과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는 연합군사령부(CFC) 산하의 연합 비정규전 임무 부대를 창설하기 위해 통합될 것이다. SOCKOR는 또한 유엔군사령부(UNC) 산하의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로 지정되며, SOCKOR 사령관은 유엔군 특수 작전 구성 부대 사령관을 겸임한다.

4. 부대 구조

SOCKOR은 평시에는 미 육군 그린베레 제1특전단의 한국 파견대인 ''제39특전분견대''(39th Special Forces Detachment영어)를 비롯하여,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미국 특수부대 요원들에 대한 집행, 훈련, 확보, 계획을 총괄한다.[11] 분쟁이나 전시에는 오키나와와 미국 본토로부터 특전부대 인원이 증원되며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와 함께 연합특수작전구성사령부(Combined Special Operations Component Command Korea영어)를 구성하여 한미 연합 특수작전을 개시하게 된다.[11]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을 맡고 미국의 SOCKOR 사령관이 연합특수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게 된다.[11] 그리고 그린베레 제1특전단이 여기에 배속된다.[11]

5. 역대 지휘관

대수이름계급임기
12리처드 하디드준장2008년 10월 ~ 2010년 10월
13닐 H. 톨리준장2010년 10월 ~ 2012년 10월
14에릭 P. 웬트준장2012년 10월 ~ 2014년 4월
15E. 존 디드릭준장2014년 4월 ~ 2016년 4월
16토니 D. 바우어페인드소장2016년 4월 ~ 2019년 6월
17오토 K. 릴러준장2019년 7월 ~ 2021년 6월
18마이클 E. 마틴소장2021년 6월 ~ 2023년 6월
19데릭 N. 립슨준장2023년 6월 ~ 현재


6. 부대 표창

표창수여일비고
--1999년 9월 1일 – 2002년 5월 1일[8]
--2004년 5월 1일 – 2008년 3월 31일[9]
--2012년 3월 10일 – 2015년 2월 20일[10]


참조

[1] 웹사이트 U.s. Special Forces Operations Command Factbook 2013 https://web.archive.[...] 2013-02-14
[2] 웹사이트 http://8tharmy.korea[...] 2024-08-00
[3] 웹사이트 E. John Deedrick https://www.gomo.arm[...] gomo.army.mil 2021-05-02
[4] 웹사이트 Tony D. Bauernfeind https://www.af.mil/A[...] af.mil 2021-05-02
[5] 웹사이트 Otto K. Liller https://www.gomo.arm[...] gomo.army.mil 2021-05-02
[6] 웹사이트 SOCKOR Welcomes New Commander https://www.dvidshub[...] 2021-06-24
[7] 웹사이트 S. Korean, US special operations generals stage 'friendship' parachute jump https://www.koreaher[...] Yonhap News Agency 2023-06-11
[8] 웹사이트 Army Publishing Directorate http://armypubs.army[...]
[9] 웹사이트 Army Publishing Directorate http://armypubs.army[...]
[10] 문서 order number J-1SO-0023-15
[11] 뉴스인용 美 특수전 인력, 최근 韓美군사훈련 최대규모 참가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2-02-01
[12] 웹인용 39th Special Forces Detachment (Airborne), 1st Special Forces Regiment http://www.globalsec[...] 글로벌시큐리티 2012-05-16
[13] 뉴스인용 주한미군 특전사가 낙하산 타고 북한 침투? http://news.khan.co.[...] 2012-06-26
[14] 뉴스인용 General Says He Was 'Accurately Quoted' But Misspoke On North Korea http://www.npr.org/b[...] NPR 2012-06-25
[15] 뉴스인용 주한미군 특전사령관 교체…북한 침투 '실언' 이유 http://mbn.mk.co.kr/[...] MBN 뉴스 2012-06-25
[16] 뉴스인용 (단독) 숨겨진 미군부대 터, 위례새도시 도로를 가로막았다 http://www.hani.co.k[...] 한겨례 2018-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