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군사령부는 6.25 전쟁 당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1950년 7월 24일 도쿄에 창설되어, 16개 참전국의 군대를 통솔했다. 전쟁 휴전 후에는 한반도의 안보와 안정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재건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군사정전위원회 운영,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운영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2024년 8월 기준 18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일본 요코타 비행장에 후방사령부를 두고 있다. 유엔군사령부는 법적 지위 및 정당성 문제, 미국의 주도적인 역할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 전쟁의 유엔군 -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는 1952년 창설되어 공동경비구역 내 유엔사령부 구역 경비, 침입자 방어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사건을 겪고 1991년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6.25 전쟁의 유엔군 - 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
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 또는 의료 지원단을 파견한 국가들을 의미하며,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등 16개국이 전투 병력을, 룩셈부르크,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등 여러 국가가 의료 지원 등을 제공했다. - 다국적 사령부 -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미국과 캐나다가 1957년 소련의 공격에 대비하여 공동 설립한 군사 기구로, 현재는 북미 지역의 영공 및 우주 감시, 공격 경보, 위협 평가, 방공 작전 통제를 주요 임무로 수행하며 크리스마스 이브에 산타클로스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행사로도 알려져 있다. - 다국적 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는 1978년 창설된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의 연합 사령부로, 평시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구성사령부를, 전시에는 특수전, 심리전 사령부 등을 두며, 사령관은 미군 대장, 부사령관은 한국군 대장이 맡고, 현재 북한 침공에 대한 전시 작전통제권을 행사한다. - 유엔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유엔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로서 뉴욕 맨해튼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출신 건축가들의 협업으로 설계되어 사무국 건물, 총회 건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치외법권을 가진 국제 사회의 중심지이다.
유엔군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명칭 | 유엔군사령부 |
영어 명칭 | United Nations Command |
약칭 | UNC |
설립일 | 1950년 7월 24일 |
존속 여부 | 현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병력 규모 | |
2019년 | 50여 명 |
지휘부 | |
사령관 | 제이비어 브런슨 (미국 육군) |
사령관 직책 | 연합사령관/한미연합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 |
부사령관 | 데릭 A. 맥컬리 (캐나다 육군) |
참모장 | 존 웨이드너 소장 (미국 육군) |
부참모장 | 강인규 |
주요 지휘관 | 더글러스 맥아더 (미국 육군) 매튜 리지웨이 (미국 육군) |
위치 | |
위치 |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
역사 | |
주요 전투 | 한국 전쟁 (1950년-1953년) |
관련 | |
관련 기구 |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
2. 역사
6.25 전쟁 당시 자유 진영 참전 16개국 등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1950년 7월 24일 도쿄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유엔사령부 총본부가 설립되었다.[28]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될 당시 유엔사령부의 전력은 총 932,964명으로 가장 많았다.[28][52] 1957년에 유엔사령부는 미국 제8군과 함께 용산기지로 이전하였다. 당시 사령부가 옮겨갈 때, 일부 소규모 부대가 일본에 남아 후방사령부가 되었고 캠프 자마에 주둔하다가, 2007년 11월 2일 요코타 비행장으로 옮겨갔다. 2018년 한미연합군사령부와 함께 평택 이전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에 완전하게 이전하였다.
2. 1. 창설 배경 (1950년)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6.25 전쟁이 발발하였다.[41]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소련이 기권하고 있었기 때문에,[41] 미국 주도로 6월 25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를 채택하여 북한의 무력 공격을 비난하고, 한국에 대한 원조를 요청했다.[14] 이틀 후, 유엔 안보리는 결의안 83을 채택하여 유엔 회원국들이 대한민국에 "무력 공격을 격퇴하고 이 지역의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도록 권고했다.[15]미국은 한국 정부의 요청을 받아 6월 27일에 군사 개입을 결정했으며, 안보리도 6월 27일의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3호에서 군사 원조를 인정했다. 7월 7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4호는 한국에 군사력 및 기타 지원을 제공하는 회원국들이 "미국 지휘 하의 통합 사령부에 그러한 군사력 및 기타 지원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17]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은 1950년 7월 15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유엔군 사령관(CINCUNC)으로 임명하여 대한민국 육해공군의 작전 지휘권을 부여했다.[18] 7월 30일, 유엔 안보리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5호를 가결하여 맥아더를 사령관으로 하는 유엔군을 승인했다.
유엔군에는 영국, 터키, 프랑스, 벨기에, 캐나다 등 16개국이 참가했고,[41][42] 유엔 비가맹국이었던 대한민국은 1950년 7월 15일 대전 협정에 의해 작전 지휘권(operational command)을 유엔군에 위임했다.[42] 1950년 8월 29일, 영국 연방의 제27보병여단이 부산에 도착하여 당시 대한민국과 미국 군대로만 구성된 유엔군 지상군에 합류했다. 제27여단은 대구 서쪽의 낙동강 방어선으로 이동했다. 유엔의 다른 국가 부대들이 뒤따랐다: 벨기에 유엔군 사령부, 제25캐나다보병여단, 콜롬비아 대대,[19] 에티오피아 카그뉴 대대, 프랑스 대대, 그리스 제15보병연대, 뉴질랜드의 제16야전포병연대 및 로열 뉴질랜드 포병, 필리핀 한국 파병 부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2비행대 SAAF, 터키 여단, 룩셈부르크 및 네덜란드 군대. 또한 덴마크, 인도, 이란, 노르웨이 및 스웨덴은 의료 부대를 제공했으며, 이탈리아는 당시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제공했다.
1950년 9월 1일, 유엔군 사령부 창설 불과 두 달 전, 이 연합군의 병력은 180,000명으로, 그 중 92,000명이 한국인이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미국인이었으며, 그 뒤를 1,600명 규모의 영국 제27보병여단이 따랐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7월 8일에 더글러스 맥아더를 유엔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43]
2. 2. 한국전쟁 시기 (1950년 ~ 1953년)
6.25 전쟁에 자유 진영이 참전하면서 이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1950년 7월 24일 도쿄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유엔사령부 총본부가 설립되었다.[28] 유엔군사령부는 더글러스 맥아더, 매슈 리지웨이, 마크 웨인 클라크가 지휘했다.[29]한국 전쟁 3년 동안 16개국이 전투 부대를 파병하였고(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뉴질랜드, 필리핀, 터키, 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리스, 벨기에,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5개국이 의료를 지원하였다.(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28]
1953년 7월 27일, 마크 웨인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이 서명하여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29] 휴전 당시 유엔군 총 병력은 932,964명이었다.[28][52] 그중 대한민국 국군이 590,911명, 미국이 302,483명, 영국이 14,198명, 캐나다 6,146명, 터키 5,453명, 호주 2,282명, 필리핀 1,468명, 뉴질랜드 1,385명, 에티오피아 1,271명, 그리스 1,263명, 프랑스 1,119명, 콜롬비아 1,068명, 벨기에 900명, 남아프리카 공화국 826명, 네덜란드 819명, 태국 6,326명, 룩셈부르크 44명이었다. 정전 협정 체결 후 존 E. 헐이 휴전을 수행하기 위해 유엔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9]
2. 3. 정전 이후 (1953년 ~ 현재)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된 이후, 유엔군사령부는 한반도의 안보와 안정을 유지하고, 전쟁으로 폐허가 된 대한민국의 재건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954년, 일본과 유엔군 지위 협정이 체결되어 일본 내 유엔군 시설 설치 근거를 마련하였다.[53][54][55][56][57][58] 1957년에는 유엔군사령부 본부가 도쿄에서 대한민국 용산기지로 이전되었다. 다만, 유엔군사령부 후방은 일본 캠프 자마에 유지되었고, 2007년 요코타 비행장으로 이전하였다.
1960년대는 한반도에서 불안정한 시기였으며,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적대 행위 기간으로 비무장지대에서 충돌이 증가했다. 1978년 11월 7일, 한미연합군사령부(CFC)가 창설되어, 최전선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군 부대는 유엔군사령부에서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작전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91년, 유엔군사령부는 공동경비구역(JSA)을 제외한 비무장지대(DMZ) 관할권을 대한민국 국군에 이양했다. 1994년에는 북한이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하고, 중국 인민지원군의 판문점 임무를 해임했다.
2018년 남북 군사합의 추진 과정에서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가 논의되었으나,[35] 북한군이 공동경비구역 내 자국 군인들에게 권총을 지급하면서 합의가 불발되었다.[37]
2018년 이후, 캐나다, 호주, 영국 등 비(非) 미국인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 임명이 시작되었다.[30][31][32][33] 역대 유엔군 부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부사령관 | 임기 | 소속 군 | ||||
---|---|---|---|---|---|---|
초상화 | 이름 | 취임 | 퇴임 | 임기 기간 | ||
1 | 존 B. 콜터 | 1950년 7월 7일 | 1952년 | – | 미 육군 | |
2 |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 | 1952년 | 1954년 | – | 미 육군 | |
3 | 브루스 C. 클라크 | 1954년 | 1954년 | – | 미 육군 | |
4 | 클로드 비르켓 페렌바우 | 1954년 12월 10일 | 1955년 6월 27일 | – | 미 육군 | |
5 | 존 하웰 콜리어 | 1955년 6월 27일 | 1955년 9월 | – | 미 육군 | |
6 | 찰스 D. 팔머 | 1955년 9월 | 1958년 | – | 미 육군 | |
7 | 에머슨 르로이 커밍스 | 1958년 12월 | 1961년 1월 | – | 미 육군 | |
8 | 앤드루 T. 맥나마라 | 1961년 1월 | 1961년 10월 1일 | – | 미 육군 | |
9 | 새뮤얼 L. 마이어스 | 1961년 10월 1일 | 1963년 3월 31일 | – | 미 육군 | |
10 | 찰스 W. G. 리치 | 1964년 | 1966년 | – | 미 육군 | |
11 | 버논 P. 모크 | 1966년 | 1969년 2월 | – | 미 육군 | |
12 | 존 H. 마이클리스 | 1969년 2월 | 1969년 10월 1일 | – | 미 육군 | |
13 | 존 A. 하인티스 | 1969년 | 1970년 5월 22일 | – | 미 육군 | |
14 | 패트릭 F. 캐시디 | 1970년 6월 | 1971년 9월 14일 | – | 미 육군 | |
15 | 윌리엄 R. 피어스 | 1971년 9월 14일 | 1973년 | – | 미 육군 | |
16 | 리처드 T. 놀스 | 1973년 | 1974년 7월 | – | 미 육군 | |
17 | 에드워드 M. 플래너건 주니어 | 1974년 7월 | 1975년 5월 | – | 미 육군 | |
18 | 존 J. 번스 | 1975년 8월 | 1977년 6월 | – | 미 공군 | |
19 | 찰스 A. 가브리엘 | 1977년 6월 | 1979년 4월 1일 | – | 미 공군 | |
20 | 에번 W. 로젠크란스 | 1979년 4월 1일 | 1981년 5월 1일 | – | 미 공군 | |
21 | 윈필드 W. 스콧 주니어 | 1981년 5월 1일 | 1983년 5월 | – | 미 공군 | |
22 | 존 L. 피키트 | 1983년 5월 | 1985년 4월 20일 | – | 미 공군 | |
23 | 잭 I. 그레고리 | 1985년 4월 20일 | 1986년 12월 9일 | – | 미 공군 | |
24 | 크레이븐 C. 로저스 주니어 | 1986년 12월 9일 | 1988년 10월 31일 | – | 미 공군 | |
25 | 토머스 A. 베이커 | 1988년 10월 31일 | 1990년 7월 7일 | – | 미 공군 | |
26 | 로널드 포글먼 | 1990년 7월 7일 | 1992년 8월 17일 | – | 미 공군 | |
27 | 하웰 M. 에스테스 3세 | 1992년 8월 17일 | 1994년 9월 30일 | – | 미 공군 | |
28 | 로널드 W. 아이버슨 | 1994년 9월 30일 | 1997년 4월 7일 | – | 미 공군 | |
29 | 조셉 E. 허드 | 1997년 4월 7일 | 1999년 9월 14일 | – | 미 공군 | |
30 | 찰스 R. 헤플보워 | 1999년 9월 14일 | 2001년 11월 19일 | – | 미 공군 | |
31 | 랜스 L. 스미스 | 2001년 11월 19일 | 2003년 11월 19일 | – | 미 공군 | |
32 | 개리 R. 트렉슬러 | 2003년 11월 19일 | 2006년 11월 6일 | – | 미 공군 | |
33 | 스티븐 G. 우드 | 2006년 11월 6일 | 2008년 11월 24일 | – | 미 공군 | |
34 | 제프리 A. 레밍턴 | 2008년 11월 24일 | 2012년 1월 6일 | – | 미 공군 | |
35 | 얀-마르크 조아스 | 2012년 1월 6일 | 2014년 12월 19일 | – | 미 공군 | |
36 | 테런스 J. 오쇼너시 | 2014년 12월 19일 | 2016년 7월 8일 | – | 미 공군 | |
37 | 토머스 W. 버제슨 | 2016년 7월 8일 | 2018년 7월 30일 | – | 미 공군 | |
38 | 웨인 아이어 | 2018년 7월 30일 | 2019년 7월 26일 | – | 캐나다 육군 | |
39 | 스튜어트 마이어 | 2019년 7월 26일 | 2021년 12월 15일 | – | 호주 왕립 해군 | |
40 | 앤드루 해리슨 | 2021년 12월 15일[22] | 2023년 12월 14일 | – | 영국 육군 | |
41 | 데릭 A. 매컬리 | 2023년 12월 14일[23] | 캐나다 육군 |
유엔군사령부는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설립되면서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에 대한 지휘권을 넘겼다.[74] 현재는 군사정전위원회 운영, 중립국 감독위원회 운영,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파견 및 운영, 비무장 지대 경계초소 운영, 북한과의 장성급 회담 등 정전협정과 관련한 임무를 맡고 있다.[74]
조선 전쟁 휴전 후, 본부 조직은 대폭 변경되었으며, 군사 지휘 기구 및 실동 전력으로는 한미 연합군사령부·한국군·주한 미군이 담당하고 있다. 유엔군의 책무는 휴전 협정의 유지이며, 2024년 시점의 사령부는 다국적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할 조직은 다음과 같다.[51]
3. 임무
4. 조직
4. 1. 지휘부
유엔군사령부의 지휘부는 사령관, 부사령관, 참모장, 부참모장, 주임원사 등으로 구성된다. 사령관은 대장 제이비어 브런슨[22]이며, 부사령관은 중장 데릭 A. 매컬리[23]이다. 참모장은 소장 존 웨이드너, 부참모장은 소장 강인규이며, 주임원사는 잭 러브이다.
역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소속 군 |
---|---|---|---|---|---|
1 | 더글러스 맥아더 | 1950년 7월 7일 | 1951년 4월 11일 | 미 육군 | |
2 | 매슈 리지웨이 | 1951년 4월 11일 | 1952년 5월 12일 | 미 육군 | |
3 | 마크 W. 클라크 | 1952년 5월 12일 | 1953년 10월 7일 | 미 육군 | |
4 | 존 E. 헐 | 1953년 10월 7일 | 1955년 4월 1일 | 미 육군 | |
5 | 맥스웰 D. 테일러 | 1955년 4월 1일 | 1955년 6월 5일 | 미 육군 | |
6 | 라일먼 레미처 | 1955년 6월 5일 | 1957년 7월 1일 | 미 육군 | |
7 | 조지 데커 | 1957년 7월 1일 | 1959년 6월 30일 | 미 육군 | |
8 | 카터 B. 매그루더 | 1959년 7월 1일 | 1961년 6월 30일 | 미 육군 | |
9 | 가이 S. 멜로이 | 1961년 7월 1일 | 1963년 7월 31일 | 미 육군 | |
10 | 해밀턴 H. 하우즈 | 1963년 8월 1일 | 1965년 6월 15일 | 미 육군 | |
11 | 드와이트 E. 비치 | 1965년 6월 16일 | 1966년 8월 31일 | 미 육군 | |
12 | 찰스 H. 보네스틸 3세 | 1966년 9월 1일 | 1969년 9월 30일 | 미 육군 | |
13 | 존 H. 마이클리스 | 1969년 10월 1일 | 1972년 8월 31일 | 미 육군 | |
14 | 도널드 V. 베넷 | 1972년 9월 1일 | 1973년 7월 31일 | 미 육군 | |
15 | 리처드 G. 스틸웰 | 1973년 8월 1일 | 1976년 10월 8일 | 미 육군 | |
16 | 존 W. 베시 주니어 | 1976년 10월 8일 | 1979년 7월 10일 | 미 육군 | |
17 | 존 A. 위컴 주니어 | 1979년 7월 10일 | 1982년 6월 4일 | 미 육군 | |
18 | 로버트 W. 세네월드 | 1982년 6월 4일 | 1984년 6월 1일 | 미 육군 | |
19 | 윌리엄 J. 리브시 | 1984년 6월 1일 | 1987년 6월 25일 | 미 육군 | |
20 | 루이스 C. 메네트리 주니어 | 1987년 6월 25일 | 1990년 6월 26일 | 미 육군 | |
21 | 로버트 W. 리스카시 | 1990년 6월 26일 | 1993년 6월 15일 | 미 육군 | |
22 | 게리 E. 럭 | 1993년 6월 15일 | 1996년 7월 9일 | 미 육군 | |
23 | 존 H. 타일리 주니어 | 1996년 7월 9일 | 1999년 12월 9일 | 미 육군 | |
24 | 토머스 A. 슈워츠 | 1999년 12월 9일 | 2002년 5월 1일 | 미 육군 | |
25 | 레온 J. 라포르테 | 2002년 5월 1일 | 2006년 2월 3일 | 미 육군 | |
26 | B.B. 벨 | 2006년 2월 3일 | 2008년 6월 3일 | 미 육군 | |
27 | 월터 L. 샤프 | 2008년 6월 3일 | 2011년 7월 14일 | 미 육군 | |
28 | 제임스 D. 서먼 | 2011년 7월 14일 | 2013년 10월 2일 | 미 육군 | |
29 | 커티스 M. 스카파로티 | 2013년 10월 2일 | 2016년 4월 30일 | 미 육군 | |
30 | 빈센트 K. 브룩스 | 2016년 4월 30일 | 2018년 11월 8일 | 미 육군 | |
31 | 로버트 B. 에이브럼스 | 2018년 11월 8일 | 2021년 7월 2일 | 미 육군 | |
32 | 폴 라카메라 | 2021년 7월 2일 | 2024년 12월 20일 | 미 육군 | |
33 | 제이비어 브런슨 | 2024년 12월 20일 | 미 육군 |
역대 부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소속 군 |
---|---|---|---|---|---|
1 | 존 B. 콜터 | 1950년 7월 7일 | 1952년 | 미 육군 | |
2 |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 | 1952년 | 1954년 | 미 육군 | |
3 | 브루스 C. 클라크 | 1954년 | 1954년 | 미 육군 | |
4 | 클로드 비르켓 페렌바우 | 1954년 12월 10일 | 1955년 6월 27일 | 미 육군 | |
5 | 존 하웰 콜리어 | 1955년 6월 27일 | 1955년 9월 | 미 육군 | |
6 | 찰스 D. 팔머 | 1955년 9월 | 1958년 | 미 육군 | |
7 | 에머슨 르로이 커밍스 | 1958년 12월 | 1961년 1월 | 미 육군 | |
8 | 앤드루 T. 맥나마라 | 1961년 1월 | 1961년 10월 1일 | 미 육군 | |
9 | 새뮤얼 L. 마이어스 | 1961년 10월 1일 | 1963년 3월 31일 | 미 육군 | |
10 | 찰스 W. G. 리치 | 1964년 | 1966년 | 미 육군 | |
11 | 버논 P. 모크 | 1966년 | 1969년 2월 | 미 육군 | |
12 | 존 H. 마이클리스 | 1969년 2월 | 1969년 10월 1일 | 미 육군 | |
13 | 존 A. 하인티스 | 1969년 | 1970년 5월 22일 | 미 육군 | |
14 | 패트릭 F. 캐시디 | 1970년 6월 | 1971년 9월 14일 | 미 육군 | |
15 | 윌리엄 R. 피어스 | 1971년 9월 14일 | 1973년 | 미 육군 | |
16 | 리처드 T. 놀스 | 1973년 | 1974년 7월 | 미 육군 | |
17 | 에드워드 M. 플래너건 주니어 | 1974년 7월 | 1975년 5월 | 미 육군 | |
18 | 존 J. 번스 | 1975년 8월 | 1977년 6월 | 미 공군 | |
19 | 찰스 A. 가브리엘 | 1977년 6월 | 1979년 4월 1일 | 미 공군 | |
20 | 에번 W. 로젠크란스 | 1979년 4월 1일 | 1981년 5월 1일 | 미 공군 | |
21 | 윈필드 W. 스콧 주니어 | 1981년 5월 1일 | 1983년 5월 | 미 공군 | |
22 | 존 L. 피키트 | 1983년 5월 | 1985년 4월 20일 | 미 공군 | |
23 | 잭 I. 그레고리 | 1985년 4월 20일 | 1986년 12월 9일 | 미 공군 | |
24 | 크레이븐 C. 로저스 주니어 | 1986년 12월 9일 | 1988년 10월 31일 | 미 공군 | |
25 | 토머스 A. 베이커 | 1988년 10월 31일 | 1990년 7월 7일 | 미 공군 | |
26 | 로널드 포글먼 | 1990년 7월 7일 | 1992년 8월 17일 | 미 공군 | |
27 | 하웰 M. 에스테스 3세 | 1992년 8월 17일 | 1994년 9월 30일 | 미 공군 | |
28 | 로널드 W. 아이버슨 | 1994년 9월 30일 | 1997년 4월 7일 | 미 공군 | |
29 | 조셉 E. 허드 | 1997년 4월 7일 | 1999년 9월 14일 | 미 공군 | |
30 | 찰스 R. 헤플보워 | 1999년 9월 14일 | 2001년 11월 19일 | 미 공군 | |
31 | 랜스 L. 스미스 | 2001년 11월 19일 | 2003년 11월 19일 | 미 공군 | |
32 | 개리 R. 트렉슬러 | 2003년 11월 19일 | 2006년 11월 6일 | 미 공군 | |
33 | 스티븐 G. 우드 | 2006년 11월 6일 | 2008년 11월 24일 | 미 공군 | |
34 | 제프리 A. 레밍턴 | 2008년 11월 24일 | 2012년 1월 6일 | 미 공군 | |
35 | 얀-마르크 조아스 | 2012년 1월 6일 | 2014년 12월 19일 | 미 공군 | |
36 | 테런스 J. 오쇼너시 | 2014년 12월 19일 | 2016년 7월 8일 | 미 공군 | |
37 | 토머스 W. 버제슨 | 2016년 7월 8일 | 2018년 7월 30일 | 미 공군 | |
38 | 웨인 아이어 | 2018년 7월 30일 | 2019년 7월 26일 | 캐나다 육군 | |
39 | 스튜어트 마이어 | 2019년 7월 26일 | 2021년 12월 15일 | 호주 왕립 해군 | |
40 | 앤드루 해리슨 | 2021년 12월 15일[22] | 2023년 12월 14일 | 영국 육군 | |
41 | 데릭 A. 매컬리 | 2023년 12월 14일[23] | 캐나다 육군 |
4. 2. 구성 부대
유엔군사령부의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51]- 유엔군 후방사령부 (요코타 비행장): 일본에 위치하며, 주둔군 지위 협정을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한다.[34] 1957년 7월, 캠프 자마에 "후방 사령부 (United Nations Command-Rear, '''UNC(R)'''영어)"가 설치되었으며, 2007년 11월 1일, 요코타 비행장으로 이전했다.[62][63][64] 2023년 현재, 후방 사령부의 구성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이탈리아, 캐나다, 터키의 10개 국가이다.[63][66][67][68]
- JSA 경비대대 (캠프 보니파스): 공동경비구역의 경비를 담당하는 한미 연합 부대이다.
- UNC 본부 (캠프 험프리스)
- UNC 의장대대 (캠프 험프리스)
- 유엔군 군사 휴전 위원회 (사무국): 휴전 협정의 유지에 필요한 각종 활동 및 사무를 담당한다.
조선 전쟁 휴전 이후, 본부 조직은 대폭 변경되었으며, 군사 지휘 기구 및 실동 전력으로는 한미 연합군사령부·한국군·주한 미군이 담당하고 있다. 유엔군의 책무는 휴전 협정의 유지이다.[51]
4. 3. 관련 기구
-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커미션 포 더 유엔엠씨케이/Commission for the UNMCK영어); 1974년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 중립국 감독위원회 (|엔엔에스씨}}); 1953년 7월 27일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 유엔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1953년 7월 27일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4. 4. 회원국 (2024년 8월 기준, 18개국)
2024년 8월 현재, 유엔군사령부의 회원국은 18개국이다.[76][77][78][24][25][26]6.25 전쟁 당시 전투부대를 파병한 16개국 중 에티오피아와 룩셈부르크를 제외한 14개국과,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5개국 중 스웨덴과 인도를 제외한 3개국 및 추가로 전투부대를 파견한 독일이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투부대 파병국 (14개국):
의료지원단 파견 국가 (4개국):
- 덴마크
- 노르웨이
- 이탈리아
- 독일[27]
대한민국은 유엔군사령부 회원국이 아니며, 2023년에 회원국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79]
5. 시설
5. 1. 전방사령부 (한반도 이남)
캠프 보니파스와 캠프 험프리스가 있다.5. 2. 후방사령부 (일본)
유엔군사령부 후방은 일본 요코타 비행장에 위치하며,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대령이 사령관을, 캐나다군 소령이 부사령관을 맡고 있다.[34] 주둔군 지위 협정을 유지하여 UNC가 일본 영토 내에서 후방 및 대기 기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임무이다.[34]1957년 7월, 미국 태평양군 제8군 사령부 예하의 재일 미 육군·유엔군·제8군 후방 사령부로서 캠프 자마에 "후방 사령부 (United Nations Command-Rear, '''UNC(R)'''영어)"가 설치되었다.[34] 1959년 3월, 제8군 후방 사령부의 역할을 해제하고 "재일 미 육군·유엔군 후방 사령부"가 되었으며, 2007년 11월 1일, 요코타 비행장으로 이전했다.
후방 사령부에는 4명이 상주하며, 각국 대사관에 주재 무관 겸무를 포함하여 23명의 연락 장교단이 상주하며 3~4개월에 한 번 정도 정보 교환을 위한 비공식 회합을 한다.[65] 역대 사령관은 미국군 이외의 군에서 파견되는 것이 관례이다.
지위 협정 제24조에 따르면, 유엔군 후방 사령부는 한반도에서 유엔군이 철수할 때까지 유효하며, 유엔군 철수가 완료된 후 90일 이내에 일본에서 철수해야 한다. 2023년 현재, 후방 사령부의 구성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이탈리아, 캐나다, 터키의 10개 국가이다.[63][66][67][68]
2019년 7월 유엔군 합동 회의에서 유엔군과 일본 정부 간에 "일본에 있어서 유엔군에 관한 사건·사고 발생 시 통보 절차"가 합의되었다.[40]
주일 미군 기지 중 캠프 자마, 요코스카 해군 시설, 사세보 해군 기지, 요코타 비행장, 가데나 비행장, 후텐마 비행장, 화이트 비치 지구 7곳이 협정에 근거한 유엔군 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도 필요에 따라 유엔군 참가 각국이 유엔군 기지를 사용하고 있다.
- (1997-1999년) 함선 7척, 항공기 23기가 기항·비행[65]
- (2000-2002년) 함선 기항 21회, 항공기 착륙 10회를 기록[69]
- (2006년, 2009년) 북한의 핵실험에 즈음하여 대기 관측을 수행하는 영국군 VC10기가 유엔군 지위 협정을 활용하여 보급 등을 위해 가데나 비행장을 사용[70]
- (2007년) 가데나 비행장에서 미·호주 연합 훈련을 실시[71]
- 2018년 ~ 유엔 안보리 결의 제2375호에 의거한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와 관련하여, 해상에서의 북한 선박 간 물자 환적(세토 리) 감시 임무를 위해 미국, 호주 및 캐나다 군의 초계기가 가데나 비행장을 거점으로 활동[72]
- 2014년 프랑스 해군의 프리깃함인 「프레리얼(Prairial)」이 오키나와의 미국 해군 기지를 비롯하여 일본 각지에 기항.[73]
6. 일본과의 관계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 발효에 따라 1954년 2월 19일 일본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남아프리카 연방, 호주, 필리핀 7개국은 "일본국에서의 국제 연합의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유엔군 지위 협정)"을 체결했다.[53][54][55][56][57][58] 이 협정은 요시다-애치슨 교환 공문에 의해 점령기부터 강화 이후에도 일본에 출입했던 유엔군 사령부의 지위를 규정한 것이다. 협정 교섭 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영연방 4개국(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과 주일본 미군과 마찬가지로 재판권을 포기하는 밀약을 맺었다.[59][60]
1954년 4월 12일에는 프랑스와, 같은 해 5월 19일에는 이탈리아와 추가 서명을 교환했고,[53] 동 협정은 같은 해 6월 11일에 발효되었다. 이후 태국과 터키가 협정에 가입하여 11개국이 되었다.[61] 협정에 관한 협의 및 합의는 협정 제20조에 따라 설치되는 양측 대표자로 조직되는 도쿄의 "합동 회의"에서 이루어진다.
1957년 7월, 동 협정에 의거하여 미국 태평양군 제8군 사령부 예하의 재일 미 육군·유엔군·제8군 후방 사령부로서 캠프 자마에 "후방 사령부 ()"가 설치되었다. 1959년 3월, 제8군 후방 사령부의 역할을 해제하고 "재일 미 육군·유엔군 후방 사령부"가 되었으며, 2007년 11월 1일, 요코타 비행장으로 이전했다.
후방 사령부의 설치는, 1957년 유엔군 사령부의 한국 이전에 따른 것이다. 1954년 유엔군 지위 협정에서는, 사령부가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이들 군대(한국 유엔군)가 일본의 영역에서 철수할 때까지"로 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령부 이전 후에도 지위 협정을 유지하고, 일본의 영역에서 유엔군이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일본에 주둔하는 후방 사령부가 설립되었다.[62][63][64]
유엔군사령부 후방은 일본 요코타 비행장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대령이 사령관을 맡고, 캐나다군 소령이 부사령관을 맡고 있다.[34] 사령부에는 4명이 상주하고 있으며, 각국 대사관에 주재 무관의 겸무를 포함하여 23명의 연락 장교단이 상주하며 3~4개월에 한 번 정도의 빈도로 정보 교환을 위한 비공식 회합을 한다.[65] UNC가 일본 영토 내에서 후방 및 대기 기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주둔군 지위 협정을 유지하는 것이 임무이다.[34] 후방 사령부는 지위 협정에 의거하여 "다국적군"일 필요가 있으며,[64] 역대 사령관은 미국군 이외의 군에서 파견되는 것이 관례가 되어 있다. 지위 협정 제24조에 따르면, 유엔군 후방 사령부는 한반도에서 유엔군이 철수할 때까지 유효하며, 유엔군 철수가 완료된 후 90일 이내에 일본에서 철수해야 한다.
2023년 현재, 후방 사령부의 구성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이탈리아, 캐나다, 터키의 10개 국가이다.[63][66][67][68]
2016년 1월 26일
주일 미군 기지 중, 캠프 좌마(Camp Zama)와 요코타 비행장을 포함한 다음 7곳이 협정에 근거한 유엔군 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 캠프 좌마(가나가와현자마시, 사가미하라시미나미구)
# 요코스카 해군 시설(가나가와현요코스카시)
# 사세보 해군 시설(나가사키현사세보시)
# 요코타 비행장(도쿄도후추시, 미즈호정, 무사시무라야마시, 하무라시, 다치카와시, 아키시마시)
# 가데나 비행장(오키나와현나카가미군가데나정, 나카가미군기타나카구스쿠촌, 오키나와시)
# 후텐마 비행장(오키나와현기노완시)
# 화이트 비치 지구(오키나와현우루마시)
현재도 필요에 따라 유엔군 참가 각국이 유엔군 기지를 사용하고 있다. 국회 답변 등으로 알 수 있는 사용 실적은 다음과 같다.
- (1997-1999년) 함선 7척, 항공기 23기가 기항·비행[65]
- (2000-2002년) 함선 기항 21회, 항공기 착륙 10회를 기록[69]
- (2006년, 2009년) 북한의 핵실험에 즈음하여 대기 관측을 수행하는 영국군 VC10기가 유엔군 지위 협정을 활용하여 보급 등을 위해 가데나 비행장을 사용[70]
- (2007년) 가데나 비행장에서 미·호주 연합 훈련을 실시[71]
- 2018년 ~ 유엔 안보리 결의 제2375호에 의거한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와 관련하여, 해상에서의 북한 선박 간 물자 환적(세토 리) 감시 임무를 위해 미국, 호주 및 캐나다 군의 초계기가 가데나 비행장을 거점으로 활동[72]
그 외, 2014년에는 프랑스 해군의 프리깃함(frigate)인 「프레리얼(Prairial)」이 오키나와의 미국 해군 기지를 비롯하여 일본 각지에 기항하고 있다.[73]
2019년 7월 유엔군 합동 회의에서, 유엔군과 일본 정부 간에 "일본에 있어서 유엔군에 관한 사건·사고 발생 시 통보 절차"가 합의되었다.[40]
한편, 2019년 5월 9일 발행된 《2019년 전략 다이제스트》 57쪽에 실린 "유엔사는 위기시 필요한 일본과의 지원 및 전력 협력을 지속할 것입니다."라는 문장에 대해, 대한민국 언론은 2019년 7월 11일 한국 전쟁 재발 시 자위대가 한반도에 투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논쟁이 일었다.[82] 그러나 유엔군 사령부 공보부는 이러한 보도가 잘못되었으며, 일본을 전력 제공 국가로 제안하지 않았고, 일본 정부도 바란 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83] 또한 유엔군 사령부는 작전 능력을 가진 사령부가 아닌 대한민국 국군 측의 4성 장군이 이끄는 연합사령부로 전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83]
7. 논란 및 과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결의안 82, 83, 84, 85에 따라 운영되는 유엔군사령부는 법적 지위 및 정당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2] 유엔 헌장 제7장에 근거하여 군사적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냉전의 긴장으로 인해 실질적인 군대 소집 능력이 부족하여, 미국을 통합 사령부의 집행 기관으로 지정하였다.[2]
1953년 7월 27일 한국 휴전 협정 체결 이후, 유엔 총회는 휴전 협정을 "승인하며 주목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 그러나 1994년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은 통합 사령부 해체가 유엔 기구의 책임이 아닌 미국 정부의 관할 사항임을 명시하였다.[12] 이러한 미국의 주도적인 역할은 유엔 시스템 하에서 집단 안보를 시도한 최초의 사례였지만, 그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
2013년 북한의 휴전 협정 일방적 파기 발표에 대해, 유엔 대변인 마틴 네시르키는 총회에서 채택된 휴전 협정은 일방적으로 해산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유엔군사령부가 휴전 협정의 서명자이자 당사자로서 계속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2]
JENNINGS v. MARKLEY, WARDEN 사건에서 미국 제7연방 항소 법원은 유엔군사령부 소속 미국 군인들이 유엔의 푸른 깃발 아래에서 싸웠음에도 불구하고 통일 군사 법전에 여전히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결정했다.[13]
2018년 9월 남북 군사합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유엔군사령부, 대한민국 국군, 그리고 북한 조선인민군 관계자들은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를 논의하기 위해 협상을 가졌고,[35] 2018년 11월 6일, 유엔군은 군사분계선 양측이 모두 인원에게 개방될 공동경비구역을 규정하는 "상호 작용 규칙"에 대해 대한민국 군 및 조선인민군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북한 측은 합의를 거부했다.[37]
8. 향후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 History > 1950–1953: Korean War (Active Conflict)
https://www.unc.mil/[...]
2020-11-05
[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 History
https://www.britanni[...]
2024-10-29
[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 History > 1950–1953: Korean War (Active Conflict)
https://www.unc.mil/[...]
2020-11-05
[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 Resources > FAQs
https://www.unc.mil/[...]
2020-11-06
[5]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in Korea {{!}} Harry S. Truman
https://www.trumanli[...]
2020-11-06
[6]
문서
The North Korean-Chinese MAC was replaced by the "Panmunjom Mission" under exclusive North Korean administration.
[7]
웹사이트
State Department message to DPRK
http://www.fas.org/n[...]
2006-11-29
[8]
간행물
Question of Korea
https://digitallibra[...]
2021-02-27
[9]
뉴스
In South Korea, a UN Command that isn't
https://asiatimes.co[...]
2021-04-10
[10]
웹사이트
Let the UN Command Remain a Tool for Korean Peace
https://www.cfr.org/[...]
2020-11-06
[11]
웹사이트
Joint Security Area / Panmunjom
http://www.globalsec[...]
2006-04-09
[12]
웹사이트
Replacement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Prerequisite to a last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oldsite.nauti[...]
Nautilus Institute
2013-05-02
[13]
간행물
Jennings ''v'' . Markley, Warden
1966
[1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2
https://undocs.org/S[...]
2016-03-04
[1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3
https://undocs.org/S[...]
2016-03-04
[16]
문서
''Korean Scholarships'' – ''Navy Today'', Defence Public Relations Unit, Issue 133, 8 June, Page 14-15
[1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4
https://undocs.org/S[...]
2016-03-04
[18]
학위논문
Analysis of ROK-US Military Command Relationship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https://apps.dtic.mi[...]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19]
간행물
The Colombian Army in Korea, 1950–1954
http://muse.jhu.edu/[...]
Project Muse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2005-10
[20]
서적
Drastic Measures
1984
[21]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2013
[22]
간행물
2021-01-04
[23]
웹사이트
Canadian 3-star general takes office as new deputy UNC chief
https://www.koreatim[...]
2024-01-01
[24]
Youtube
"[단독] 文정부, '6·25지원국' 덴마크에 '유엔사 제외' 일방통보"
https://www.youtube.[...]
2024-10-29
[25]
뉴스
국방부 "6·25 기여 형태와 무관하게 회원국의 유엔사 참여 가능"
https://n.news.naver[...]
[26]
웹사이트
'[ 단독 ] 美, 유엔사 재활성화 ''동아시아판 나토'' 만든다'
https://n.news.naver[...]
2024-10-29
[27]
뉴스
Germany joins US-led UN Command in South Korea policing armistice border
https://timesofindia[...]
2024-10-29
[2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http://www.usfk.mil/[...]
2011-06-27
[29]
뉴스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6-10
[30]
뉴스
UN Command names Canadian to key post in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9-07-18
[31]
웹사이트
Canadians at centre of 'potentially historic turning point' in Korea – iPolitics
https://ipolitics.ca[...]
Ipolitics.ca
2019-07-18
[32]
웹사이트
Deputy Commander UNC > United States Forces Korea > Article View
http://www.usfk.mil/[...]
Usfk.mil
2019-07-18
[33]
웹사이트
Can United Nations Command become catalyst for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s://nationalinte[...]
National Interest
2019-07-18
[34]
웹사이트
Fact Sheet
http://www.yokota.af[...]
2015-12-22
[35]
웹사이트
UNC, ROK, DPRK Conduct Historic Trilateral Meeting 유엔사 및 남북한은 역사적인 3자회의 개최
https://www.usfk.mil[...]
2024-03-26
[36]
웹사이트
Two Koreas, UNC hold first trilateral talks to disarm JSA
https://www.koreaher[...]
2018-10-16
[37]
웹사이트
(LEAD) N. Korean soldiers in truce village armed with pistols: sources
https://en.yna.co.kr[...]
2023-11-28
[38]
웹사이트
朝鮮国連軍
https://kotobank.jp/[...]
2019-01-14
[39]
뉴스
国連軍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40]
웹사이트
朝鮮国連軍と我が国の関係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5-21
[41]
웹사이트
多国籍軍の「指揮権」規定とその実態(調査と情報 第453号)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42]
간행물
日本列島と朝鮮半島3 求められる将来を見通す「目」
ジャパンミリタリレビュー
2013-07
[43]
간행물
「敗走」破竹の進撃の北朝鮮軍 さらに南へ、国連軍の戦術的後退は続く
学習研究社
[44]
웹사이트
米韓同盟と「戦時」作戦統制権返還問題
http://www2.jiia.or.[...]
財団法人日本国際問題研究所
2011-03
[45]
웹사이트
The Role and Command Relationship of the USFK in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http://oai.dtic.mil/[...]
ARMY WAR COLLEGE
2001-04
[46]
웹사이트
朝鮮国連軍地位協定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6-07-27
[47]
웹사이트
北朝鮮のミサイル発射に関するティラーソン国務長官の声明
https://jp.usembassy[...]
2017-11-28
[48]
웹사이트
国連軍派遣国会合、年内見送り=対北朝鮮、日本が難色
https://web.archive.[...]
2017-12-05
[49]
웹사이트
国連軍参加国外相「軍事面の連携」重要性確認 河野太郎外相も出席「対話のための対話意味ない」強調
https://www.sankei.c[...]
2018-01-16
[50]
웹사이트
北朝鮮への圧力継続、20か国一致…外相会合
https://web.archive.[...]
2018-01-17
[5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Headquarters
https://www.unc.mil/[...]
United Nations Command
[5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アーカイブ)
http://www.usfk.mil/[...]
[53]
웹사이트
Agreement regarding the Status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in Japan
http://foto.archival[...]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57-03
[54]
URL
https://www.mofa.go.[...]
[55]
URL
https://www.mofa.go.[...]
[56]
URL
https://www.mofa.go.[...]
[57]
URL
https://www.mofa.go.[...]
[58]
URL
https://www.mofa.go.[...]
[59]
웹사이트
日本、国連軍にも裁判権放棄密約 53年英公文書で判明
https://www.nishinip[...]
[60]
웹사이트
裁判権放棄 米以外とも密約 53年に政府、英・豪などに適用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19-03-11
[61]
웹사이트
朝鮮国連軍と我が国の関係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5-21
[62]
간행물
United Nations Forces in Northeast Asia United Nations Command and United Nations Command (Rear) Their Missions, Command Structures and Roles in Regional Security
http://www.defence.g[...]
Government of Australia
[6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 Organization > UNC Rear
https://www.unc.mil/[...]
[6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Rear Fact Sheet
https://www.yokota.a[...]
UNITED NATIONS COMMAND / United States Air Force
[65]
문서
第145回国会参議院日米防衛協力のための指針に関する特別委委員会会議録-5号, 1999年5月12日, p41
[66]
URL
http://www.yokota.af[...]
[67]
URL
http://www.yokota.af[...]
[68]
웹사이트
Air Power in Disaster Relief: The Role of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in Australia’s Response to the 2011 Japanese Earthquake and Tsunami
http://airpower.airf[...]
Air and space power for Australia’s security
[69]
문서
第156回国会衆議院沖縄及び北方領土問題に関する特別委員会会議録-2号, 2003年2月25日, p24
[70]
문서
第171回国会参議院外交防衛委員会-16号, 2009年6月4日, p9
[71]
뉴스
Base Hosts 1st RAAF training in Japan
http://www.kadena.af[...]
Kadena Air Base
2007-10-11
[72]
웹사이트
「瀬取り」を含む違法な海上活動に対する関係国による警戒監視活動
https://www.mofa.go.[...]
2023-07-18
[73]
웹사이트
http://www.ambafranc[...]
[74]
웹인용
주한 유엔군사령부
http://terms.naver.c[...]
시사상식사전
2019-05-12
[75]
웹인용
국제연합
https://encykorea.ak[...]
2023-08-14
[76]
Youtube
문정부, '6·25지원국' 덴마크에 '유엔사 제외' 일방통보
https://www.youtube.[...]
[77]
뉴스
국방부 "6·25 기여 형태와 무관하게 회원국의 유엔사 참여 가능"
https://n.news.naver[...]
[78]
뉴스
美, 유엔사 재활성화 ‘동아시아판 나토’ 만든다
https://n.news.naver[...]
[79]
뉴스
정부, 올해 '유엔사 회원국' 가입 추진
https://n.news.naver[...]
[80]
저널
2019 Strategic Digest
https://www.globalse[...]
J5 Communications Strategy Division
2019-11-11
[81]
저널
2019 전략 다이제스트
https://www.usfk.mil[...]
주한미군 사령부 기획참모부 전략커뮤니케이션처
2019-11-11
[82]
뉴스
유엔사, 한반도 유사시 日 전력제공 추진…자위대 투입 길 열리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7-11
[83]
보도자료
UNC Update
https://www.usfk.mil[...]
2019-07-11
[84]
뉴스
브룩스 전 주한 미군 사령관 “유엔사 해체, 일본과 조율해야” 발언 논란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9-10-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미사일 발사…존재감 부각 나선 북한
유엔사 "북한군 30여 명, 군사분계선 넘었다가 복귀"
유엔사 “작업하던 북한군, 군사분계선 넘어…한국군 경고 사격”
북한, “도발 중지” 요구와 지대공 미사일 발사…한·미정상회담 앞두고 존재감 과시?
유엔사 "19일 북한군 30여명 MDL 월선…남측 경고사격에 복귀"
“북에 돌아가겠다” 비전향 장기수 안학섭, 통일대교 진입 시도···군 제지로 무산
시민단체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20일 판문점 통해 북한 가겠다"
[단독]내란특검, 유엔사 군사정전위 수석대표 소환···‘무인기 작전’ 조사
“숫자보다 역량” 주한미군 사령관의 말···병력 감축 염두에 뒀나
한미 연합연습 18~28일…폭염 탓 야외훈련 20건 9월로 연기
한·미 군사연습 UFS 18일부터…일부 기동훈련 9월 실시
한미, UFS 연습 18∼28일 실시…야외기동훈련 일부 연기
[Column] After tariff typhoon, is a security storm in store for Korea next?
뉴질랜드 육군, 한반도 첫 파병…한미연합훈련 참여
통일부, "북한 주민 추정 시신 안치 중…남북 통신선으로 입장 알려달라"
권오을 보훈부 장관, 미국에서 열린 정전협정 기념식 “한·미동맹 굳건”
정동영 통일장관, 취임 첫 일정으로 ‘판문점’ 방문…“연락 채널 복원 급선무”
정동영 통일장관, 판문점 찾아 “남북 연락채널 복원 급선무”
국정원 심리전 방송 중단에, 북한도 방해 주파수 껐다…50년만에 대북·대남 방송 중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