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미연합군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미연합군사령부는 1978년 11월 7일 서울 용산 기지에서 창설된 한미 연합 군사 조직이다. 한국군과 주한 미군의 연합 작전을 수행하며,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연기 및 평택시 이전 등의 변화를 겪었다. 사령관은 미국 육군 대장,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맡으며, 전시 작전통제권이 한국 합참으로 이관되면 해체될 예정이다.

2. 역사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 창설식


1978년 11월 7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 기지에서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창설되었다.[8]

1994년에는 평시 작전 통제권(Operational control:OPCON영어)이 한국군으로 이관되었다.[3]

2010년 6월 27일,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시기를 2015년 12월로 연기하기로 합의하였다.[10]

2014년 9월 18일, 미국 국방부는 210 화력 여단과 한미연합군사령부의 기존 위치 잔류를 요청하였다. 대한민국 국방부전작권 환수 문제 등으로 인해 잔류 요청을 완전히 거부하지 못했다.[11]

2014년 10월 23일, 한미 국방장관이 진행한 한미 안보협의회에서 2015년에 예정되었던 전시 작전 통제권 이관을 다시 연기하고, 2020년대 중반을 목표로 이관하기로 합의했다.[5]

2022년 10월, 한미연합군사령부를 평택시로 이전했다.[6]

전시 작전통제권이 대한민국에 전환되면, 대한민국 국군합동참모본부전시 작전통제권이 귀속되며, 한미연합사령부는 공식 해체될 예정이다. 이후 미군 한국사령부와 같이 2개의 전투 사령부가 전시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8] 해체되는 한미연합사령부를 대신하여 양국간 연락장교 역할을 담당할 동맹군사협조본부(AMCC)가 설치될 예정이며, 이 협조본부는 양국 국방장관의 협의체인 한미안보협의회(SCM)과 양국합참의장이 주관하는 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게 된다.[8] 그리고 한미연합사 해체와 동시에 한미연합작전계획인 작전계획 5027-04는 폐지된다.[9]

2. 1. 작전 통제권 변천

한국전쟁 직후, 이승만 대통령은 유엔군 사령관에게 전시와 평시 작전통제권을 위임하였다. 박정희 정부가 들어선 직후,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유엔사령부는 공동성명으로 유엔 사령관은 "공산침략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서만" 작전통제권을 행사한다는 발표를 했다.[12]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이후부터는 유엔군 사령관은 휴전선 관련 직무만 수행하고, 한미연합사령관이 작전통제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대한민국 국방부대한민국 국군의 "지휘권"은 여전히 대한민국 대통령이 보유하며, "북한에 대한 전시 작전통제권"만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위임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미연합사의 작전통제권에 있는 한국군의 이동도, "지휘권"을 보유한 대한민국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지며, 한미연합사의 사전승인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사전통보 또는 사후통보만 하게 되어있다.[12]

1989년 한국군 내부에서 작전통제권을 이양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일어나자, 워싱턴의 미국 관리들은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기 위해 한미연합사령관을 한국군 장군으로 임명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것을 논의했었다. 한미연합사는 사령관, 부사령관, 부장, 차장이 상명하복의 관계가 아니며, 미국측 사령관, 한국측 사령관, 미국측 참모, 한국측 참모로 불리며, "항상 협의하는 관계"라고 명시되었다.[12] 이에 따라 주한미군의 총사령관인 유엔군 사령관(사성장군)은 휴전선 관련 직무만, 한미연합사령관(사성장군)은 "북한의 군사적 침공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행사하게 된다.

따라서,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위임된 작전통제권은 북한의 군사적 침공에 대한 작전통제권에 해당하며, 북한 이외의 지역에서의 군사작전 (예: 소말리아 해적 소탕이나 PKO 작전, 일본이나 중국의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전시 및 평시 작전통제권과는 무관하다.

1994년 평시 작전 통제권(Operational control:OPCON영어)은 한국군으로 이관되었다.[3]

2015년 12월 1일에 전시 작전 통제권이 한미연합사령부에서 한국군으로 이관될 예정이었으나,[4] 2014년 10월 23일 한미 안보협의회에서 2015년에 예정되었던 전시 작전 통제권 이관을 다시 연기하고, 2020년대 중반을 목표로 이관하기로 합의했다.[5]

3. 구조

대한민국 국군주한 미군의 부대는 소속 군종과 목적에 따라 각각 예하 사령부에 편성되며, 전시에만 활동하는 비정규전 및 심리전 부대도 있다.[7]


  • 사령부 본부
  • 상시
  • * 연합육군구성사령부(Combined Ground Component Command (CGCC)영어)
  • * 연합해군구성사령부(Combined Naval Component Command (CNCC)영어)
  • * 연합공군구성사령부(Combined Air Component Command (CACC)영어)
  • * 연합해병구성사령부(Combined Marine Component Command (CMFC)영어)
  • 전시
  • * 연합특수전사령부(Combined Unconventional Warfare Task Force (CUWTF)영어)
  • * 연합심리전사령부(Combined Psychological Operations Task Force (CPOTF)영어)


한미연합군사령부의 평시 및 전시 구성, 그리고 지휘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구성군사령부와 지휘부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구성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는 평시와 전시에 따라 구성이 달라진다.[7]

구분구성
평시육군 구성군사령부, 해군 구성군사령부, 공군 구성군사령부, 연합해병대
전시육군 구성군사령부, 해군 구성군사령부, 연합공군구성군사령부, 연합해병대


3. 1. 1. 연합공군구성군사령부 (CACC)

연합공군구성군사령부의 마크


제7공군공군작전사령부가 주둔하고 있는 오산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두 사령부가 전시에 연합 작전을 위해 편성되었다. CACC 사령관은 제7공군 사령관이, CACC 부사령관은 공군작전사령관이 맡는다.[15][16]

2009년 2월 4일, 주한 미군은 연합공군사령부(Combined Airforce Command|컴바인드 에어포스 커맨드영어 (CAC))를 창설하는 계획을 세웠었다. 같은 해 6월 24일, 이후 전시 작전통제권이 반환되면 CACC를 연합공군사령부로 재편성하고, 대한민국 공군이 지휘를 주도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제7공군 사령관인 제프리 레밍턴 중장은 한국 공군에 대해 C4I, CAS, 상호 운용능력, JTAC 요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15][16]

3. 2. 지휘부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지휘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3][14]

직책계급성명비고
한미연합군사령관육군 대장제이비어 브런슨주한 미군 사령관 겸임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육군 대장강신철(육사 46기)
한미연합군사령부 참모장육군 중장윌라드 벌레슨미국 육군 제8군 사령관 겸임[13]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육군 소장강인규(육사 47기)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겸임[14]
CGCC (지상구성군사령관)육군 대장강호필(육사 47기)육군지상작전사령관 겸임
CNCC (해군구성군사령관)(평시) 해군 중장 황선우(해사 45기)
(전시) 해군 중장 칼 토마스
(평시) 해군작전사령관 겸임
(전시) 제7함대사령관 겸임
CACC (제7공군 사령관)공군 중장스콧 플레우스제7공군 사령관 겸임
CMCC (해병구성군사령관)해병대 중장주일석(해사 46기)해병대사령관 겸임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방부 장관을 통해 대한민국 군 통수권을 행사한다. 국방부 장관은 각 군 총장을 통해 군정권을,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통해 작전 지휘권을 행사한다. 미·한 참모본부는 미·한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받아 전략 지침과 작전 지침을 미·한 연합사령관에게 지시하며, 미·한 연합사령관은 이를 받아 작전을 수행한다. 미·한 연합사령부는 미군이 사령관, 한국군이 부사령관을 맡는다. 육·해군 사령관은 한국군이, 부사령관은 미군이 맡고, 공군 사령관은 미군이, 부사령관은 한국군이 맡는 방위 체제이다. 하부의 참모 조직도 미·한 혼성이다.[2]

4.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전시 작전통제권이 대한민국에 전환되면, 대한민국 국군 합동참모본부전시 작전통제권이 귀속되며, 한미연합사령부는 공식 해체될 예정이다. 이후 미군 한국사령부와 같이 2개의 전투 사령부가 전시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해체되는 한미연합사령부를 대신하여 양국간 연락장교 역할을 담당할 동맹군사협조본부(AMCC)가 설치될 예정이며, 이 협조본부는 양국 국방장관의 협의체인 한미안보협의회(SCM)과 양국 합참의장이 주관하는 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게 된다.[8] 한미연합사 해체와 동시에 한미연합작전계획인 작전계획 5027-04는 폐지된다.[9]

5. 역대 지휘관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역대 지휘관은 사령관과 부사령관으로 나뉜다. 사령관은 미국 육군 대장이,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맡는다.

한미연합군사령부 역대 지휘관
번호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소속 군
사령관
1--존 W. 베시 Jr.1978년 11월 7일1979년 7월 10일

미 육군
2--존 A. 위컴 Jr.1979년 7월 10일1982년 6월 4일--
미 육군
3--로버트 W. 세뉴월드1982년 6월 4일1984년 6월 1일--
미 육군
4--윌리엄 J. 리브시1984년 6월 1일1987년 6월 25일--
미 육군
5--루이스 C. 메네트리 Jr.1987년 6월 25일1990년 6월 26일--
미 육군
6--로버트 W. 리스카시1990년 6월 26일1993년 6월 15일--
미 육군
7--게리 E. 럭1993년 6월 15일1996년 7월 9일--
미 육군
8--존 H. 틸렐리 Jr.1996년 7월 9일1999년 12월 9일--
미 육군
9--토마스 A. 슈워츠1999년 12월 9일2002년 5월 1일--
미 육군
10--레온 J. 라포르트2002년 5월 1일2006년 2월 3일--
미 육군
11--B.B. 벨2006년 2월 3일2008년 6월 3일--
미 육군
12--월터 L. 샤프2008년 6월 3일2011년 7월 14일--
미 육군
13--제임스 D. 서먼2011년 7월 14일2013년 10월 12일--
미 육군
14--커티스 M. 스카파로티2013년 10월 2일2016년 4월 30일--
미 육군
15--빈센트 K. 브룩스2016년 4월 30일2018년 11월 8일--
미 육군
16--로버트 B. 에이브람스2018년 11월 8일2021년 7월 2일--
미 육군
17--폴 라카메라2021년 7월 2일2024년 12월 20일--
미 육군
18--자비에르 브룬슨2024년 12월 20일--
미 육군
부사령관
1--류병현1978년 11월 7일1979년 12월 18일--
육군
2--백석주1979년 12월 21일1981년 8월 28일--
육군
3--박노영1981년 9월 8일1983년 8월 30일--
육군
4--이상훈1983년 8월 30일1985년 9월 1일--
육군
5--한철수1985년 9월 1일1987년 8월 30일--
육군
6--정진태1987년 8월 30일1989년 4월 6일--
육군
7--나중배1989년 4월 6일1990년 12월 27일--
육군
8--김진영1990년 12월 27일1991년 12월 3일--
육군
9--김동진1991년 12월 3일1993년 3월 9일--
육군
10--김재창1993년 3월 31일1994년 4월 19일--
육군
11--장성1994년 4월 19일1996년 10월 21일--
육군
12--김동신1996년 10월 21일1998년 3월 28일--
육군
13--정영무1998년 3월 28일2000년 4월 28일--
육군
14--이종옥2000년 4월 28일2002년 4월 10일--
육군
15--남재준2002년 4월 10일2003년 4월 4일--
육군
16--신일순2003년 4월 4일2004년 6월 2일--
육군
17--김장수2004년 6월 2일2005년 3월 31일--
육군
18--이희원2005년 3월 31일2006년 11월 21일--
육군
19--김병관2006년 11월 21일2008년 3월 28일--
육군
20--이성출2008년 3월 28일2009년 9월 21일--
육군
21--황의돈2009년 9월 21일2010년 6월 24일--
육군
22--정승조2010년 6월 24일2011년 10월 24일--
육군
23--권오성2011년 10월 24일2013년 9월 27일--
육군
24--박선우2013년 9월 27일2015년 9월 17일--
육군
25--김현집2015년 9월 17일2016년 9월 22일--
육군
26--임호영2016년 9월 22일2017년 8월 11일--
육군
27--김병주2017년 8월 11일2019년 4월 17일--
육군
28--최병혁2019년 4월 17일2020년 9월 23일--
육군
29--김승겸2020년 9월 23일2022년 5월 27일--
육군
30--안병석2022년 5월 27일2023년 10월 31일--
육군
31--강신철2023년 10월 31일--
육군


5. 1. 사령관 (미국 육군 대장)

번호사진이름취임퇴임임기소속 군
1--존 W. 베시 Jr.1978년 11월 7일1979년 7월 10일
미 육군
2--존 A. 위컴 Jr.1979년 7월 10일1982년 6월 4일--
미 육군
3--로버트 W. 세뉴월드1982년 6월 4일1984년 6월 1일--
미 육군
4--윌리엄 J. 리브시1984년 6월 1일1987년 6월 25일--
미 육군
5--루이스 C. 메네트리 Jr.1987년 6월 25일1990년 6월 26일--
미 육군
6--로버트 W. 리스카시1990년 6월 26일1993년 6월 15일--
미 육군
7--게리 E. 럭1993년 6월 15일1996년 7월 9일--
미 육군
8--존 H. 틸렐리 Jr.1996년 7월 9일1999년 12월 9일--
미 육군
9--토마스 A. 슈워츠1999년 12월 9일2002년 5월 1일--
미 육군
10--레온 J. 라포르트2002년 5월 1일2006년 2월 3일--
미 육군
11--B.B. 벨2006년 2월 3일2008년 6월 3일--
미 육군
12--월터 L. 샤프2008년 6월 3일2011년 7월 14일--
미 육군
13--제임스 D. 서먼2011년 7월 14일2013년 10월 12일--
미 육군
14--커티스 M. 스카파로티2013년 10월 2일2016년 4월 30일--
미 육군
15--빈센트 K. 브룩스2016년 4월 30일2018년 11월 8일--
미 육군
16--로버트 B. 에이브람스2018년 11월 8일2021년 7월 2일--
미 육군
17--폴 라카메라2021년 7월 2일2024년 12월 20일--
미 육군
18--자비에르 브룬슨2024년 12월 20일--
미 육군


5. 2. 부사령관 (대한민국 육군 대장)

번호사진이름취임퇴임임기소속 군
1--류병현1978년 11월 7일1979년 12월 18일1y--
육군
2--백석주1979년 12월 21일1981년 8월 28일1y--
육군
3--박노영1981년 9월 8일1983년 8월 30일1y--
육군
4--이상훈1983년 8월 30일1985년 9월 1일2y--
육군
5--한철수1985년 9월 1일1987년 8월 30일1y--
육군
6--정진태1987년 8월 30일1989년 4월 6일1y--
육군
7--나중배1989년 4월 6일1990년 12월 27일1y--
육군
8--김진영1990년 12월 27일1991년 12월 3일1y--
육군
9--김동진1991년 12월 3일1993년 3월 9일1y--
육군
10--김재창1993년 3월 31일1994년 4월 19일1y--
육군
11--장성1994년 4월 19일1996년 10월 21일2y--
육군
12--김동신1996년 10월 21일1998년 3월 28일1y--
육군
13--정영무1998년 3월 28일2000년 4월 28일2y--
육군
14--이종옥2000년 4월 28일2002년 4월 10일1y--
육군
15--남재준2002년 4월 10일2003년 4월 4일1y--
육군
16--신일순2003년 4월 4일2004년 6월 2일1y--
육군
17--김장수2004년 6월 2일2005년 3월 31일292d--
육군
18--이희원2005년 3월 31일2006년 11월 21일1y--
육군
19--김병관2006년 11월 21일2008년 3월 28일1y--
육군
20--이성출2008년 3월 28일2009년 9월 21일1y--
육군
21--황의돈2009년 9월 21일2010년 6월 24일276d--
육군
22--정승조2010년 6월 24일2011년 10월 24일1y--
육군
23--권오성2011년 10월 24일2013년 9월 27일1y--
육군
24--박선우2013년 9월 27일2015년 9월 17일1y--
육군
25--김현집2015년 9월 17일2016년 9월 22일1y--
육군
26--임호영2016년 9월 22일2017년 8월 11일323d--
육군
27--김병주2017년 8월 11일2019년 4월 17일1y--
육군
28--최병혁2019년 4월 17일2020년 9월 23일1y--
육군
29--김승겸2020년 9월 23일2022년 5월 27일1y--
육군
30--안병석2022년 5월 27일2023년 10월 31일1y--
육군
31--강신철2023년 10월 31일--
육군


참조

[1] 웹사이트 USFK Combined Forces Command https://www.usfk.mil[...] 2020-04-08
[2] 뉴스 【時論】戦時作戦統制権と軍事主権=韓国(1) https://japanese.joi[...] 2014-11-07
[3] 웹사이트 戦時作戦統制権移管の米韓合意 https://kotobank.jp/[...]
[4] 뉴스 戦時作戦統制権の委譲延期 米韓首脳合意 北を牽制、協調アピール https://web.archive.[...] 2010-06-27
[5] 뉴스 米韓、戦時作戦統制権移譲を再延期 韓国国防相「20年代半ば」 https://web.archive.[...] 2014-10-24
[6] 웹사이트 米韓連合司令部がソウルから80キロ南に移転 https://newsdig.tbs.[...] 2022-11-15
[7] 간행물 日本列島と朝鮮半島3 求められる将来を見通す「目」 ジャパンミリタリレビュー 2013-07
[8] 웹인용 한미연합사의 평택 시대 개막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https://www.koreaff.[...] 2023-07-25
[9] 간행물 2009년 6월호 한미연합사, 이대로 해체되나 월간조선 2009-06
[10] 뉴스 전작권 전환 ‘2015년 12월’로 연기 합의 http://news.kbs.co.k[...] KBS@News 2011-06-05
[11] 뉴스 미, 화력여단·연합사 잔류 요청…미군기지 이전 ‘빨간불’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4-10-15
[12] 뉴스 1989-02-22
[13] 일반
[14] 일반
[15] 뉴스 한미연합공군사령부 창설은 공군 작전권 포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6-12-19
[16] 뉴스 "韓준비되면 공군지휘권도 넘겨"(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2-19
[17] 뉴스 美 특수전 인력, 최근 韓美군사훈련 최대규모 참가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2-02-01
[18] 뉴스 오늘 제 20차 한.군사위원회(대체) http://news.kbs.co.k[...] SBS 2014-11-06
[19] 뉴스 한.미 한반도 유사시 심리전사령부 가동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4-11-06
[20] 뉴스 한미, 연합심리전·특전사령부 창설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4-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