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의 20세 이하 축구 대표팀이다. 2017년 독일 4부 리그에서 친선 경기를 시작했으나, 티베트 국기 게양 사건으로 인해 모든 경기가 취소되었다. 2018년에는 U-19 옐로우팀이 U-20 대표팀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고, 알렉산다르 얀코비치가 초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FIFA U-20 월드컵에는 5번, AFC U-20 아시안컵에는 19번 참가했으며, AFC U-20 아시안컵에서는 1985년 우승을 차지했다. 최근 2023년 AFC U-20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8강에 진출했고, 2025년 AFC U-20 아시안컵은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중국 축구 국가대표 B팀
중국 축구 국가대표 B팀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보조 팀으로, 선수들의 경험 증진과 주전 선수 대체 등을 위해 구성되었으며, FIFA 가입 전 친선 경기, 1989년 중국 축구 협회 리그 우승, 2017년 재구성 등의 역사를 거쳤다. - 중국의 국가대표팀 - 중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중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아시아 최강으로 군림하며 동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침체기를 겪었고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 세계 선수권 대회와 동계 아시안 게임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 중국의 국가대표팀 - 중국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중국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강호로, 1984년 올림픽 동메달, 아시안 게임 금메달 등을 획득했으며, 중국 핸드볼 협회의 지원과 유럽 리그 선수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 U-20 축구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U-20 축구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U-20 월드컵에서 6회 우승을 차지한 세계적인 강팀으로, 호세 페케르만 감독 시대 3연속 우승 등 황금기를 누렸으나 최근 부진을 겪으며 유소년 시스템 개혁을 통해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 U-20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일본 축구 협회 산하 20세 이하 대표팀으로, FIFA U-20 월드컵에 11회 진출하여 1999년 준우승, AFC U-20 아시안컵에 39회 참가하여 2016년 우승과 6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FIFA 트리그램 | CHN |
협회 | 중국 축구 협회 |
연맹 | AFC (아시아) |
감독 | 데얀 주르제비치 |
FIFA U-20 월드컵 | |
출전 횟수 | 5회 |
첫 출전 | 1983년 |
최고 성적 | 8강 (1985년) |
AFC U-20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19회 |
첫 출전 | 1975년 |
최고 성적 | 우승 (1985년)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색상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색상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2. 역사
2017년,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양국 간 협정의 일환으로 독일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이는 리그 일정에서 누락된 20번째 구단을 채우기 위해 친선 경기를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7] 2017년 11월 17일 TSV 쇼트 마인츠와의 경기 도중 티베트의 기가 게양되자, 중국 U-20 대표팀은 항의하며 경기장을 퇴장했고,[8] 이 사건의 여파로 예정된 모든 친선 경기가 취소되었다.[9]
이후 2018년 9월 28일, 중국 U-19 옐로우(B팀)가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고, 세르비아 출신 알렉산다르 얀코비치가 팀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0]
2. 1. 초기 역사 및 발전
2017년,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양국 간 협정의 일환으로 독일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이는 리그 일정에서 누락된 20번째 구단을 채우기 위해 친선 경기를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7]2017년 11월 17일 TSV 쇼트 마인츠와의 경기 도중 티베트의 기가 게양되자, 중국 U-20 대표팀은 항의하며 경기장을 퇴장했다.[8] 이 사건의 여파로 예정된 모든 친선 경기가 취소되었다.[9]
이후 2018년 9월 28일, 중국 U-19 옐로우(B팀)가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고, 세르비아 출신 알렉산다르 얀코비치가 팀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0]
2. 2. 티베트 국기 게양 사건 (2017)
2017년 U-20 팀은 양국 간 협정의 일환으로 독일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에서 경기를 시작했는데, 리그 일정에서 누락된 20번째 구단을 채우기 위해 친선 경기를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7]11월 17일 경기 도중 티베트의 기가 게양되자 팀은 항의하며 퇴장했고,[8] 이 여파로 예정된 모든 친선 경기가 취소되었다.[9]
2. 3. 최근 동향
2017년 U-20 팀은 양국 간 협정의 일환으로 독일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에서 경기를 시작했는데, 리그 일정에서 누락된 20번째 구단을 채우기 위해 친선 경기를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7]11월 17일 경기 도중 티베트의 기가 게양되자 팀은 항의하며 퇴장했고,[8] 이 일의 여파로 예정된 모든 친선 경기가 취소되었다.[9]
이듬해인 2018년 9월 28일, 중국 U-19 옐로우(B팀)가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고, 세르비아 출신 알렉산다르 얀코비치가 팀의 초대 사령탑으로 선임되었다.[10]
3. 국제 대회 경력
wikitext
대회 | 결과 |
---|---|
AFC U-19 챔피언십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축구 |
```
변경 사항:
- `동아시아 경기 대회`를 `동아시아 경기 대회 축구`로 변경하여 링크를 더 명확하게 했습니다.
3. 1. FIFA U-20 월드컵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까지 5번의 FIFA U-20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1983년 대회에 첫 출전하였고, 1985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1985년 FIFA U-17 월드컵 8강 진출에 이어 2회 연속 FIFA 주관 남자 대회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다.[5]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7년~1981년 | 불참 | – | – | – | – | – | – | – |
1983년 | 조별 리그 | 12 | 3 | 1 | 0 | 2 | 5 | 8 |
1985년 | 8강 | 7 | 4 | 2 | 0 | 2 | 5 | 5 |
1987년~1995년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1997년 | 조별 리그 | 18 | 3 | 0 | 2 | 1 | 2 | 3 |
1999년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2001년 | 16강 | 15 | 4 | 1 | 1 | 2 | 2 | 3 |
2003년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2005년 | 16강 | 10 | 4 | 3 | 0 | 1 | 11 | 7 |
2007년~2023년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2025년 | 미정 | – | – | – | – | – | – | – |
합계 | - | - | 18 | 7 | 3 | 8 | 25 | 26 |
3. 2. AFC U-20 아시안컵
1975년 대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9번의 U-20 아시안컵 본선에 참가하여 이 중 1985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82년, 1996년, 200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이후에는 4강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59년 ~ 1974년 | 불참[5] | |||||||
1975년 | 8강 | 5 | 2 | 2 | 1 | 6 | 3 | |
1976년 | 8강 | 4 | 1 | 2 | 1 | 7 | 8 | |
1977년 | 불참 | |||||||
1978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3 | 4 | |
1980년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1982년 | 준우승 | 3 | 1 | 2 | 0 | 4 | 3 | |
1985년 | 우승 | 3 | 2 | 1 | 0 | 5 | 3 | |
1986년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1988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3 | 9 | |
1990년 ~ 1994년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1996년 | 준우승 | 6 | 5 | 0 | 1 | 16 | 9 | |
1998년 | 조별 리그 | 4 | 1 | 1 | 2 | 7 | 8 | |
2000년 | 3위 | 6 | 3 | 2 | 1 | 7 | 5 | |
2002년 | 8강 | 4 | 1 | 1 | 2 | 7 | 10 | |
2004년 | 준우승 | 6 | 4 | 1 | 1 | 10 | 3 | |
2006년 | 8강 | 4 | 3 | 0 | 1 | 5 | 3 | |
2008년 | 8강 | 4 | 2 | 2 | 0 | 9 | 1 | |
2010년 | 8강 | 4 | 2 | 1 | 1 | 6 | 4 | |
2012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2 | 5 | |
2014년 | 8강 | 4 | 1 | 2 | 1 | 5 | 6 | |
2016년 | 조별 리그 | 3 | 0 | 1 | 2 | 0 | 3 | |
2018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2 | 2 | |
예선 탈락 및 취소 | – | – | – | – | – | – | ||
2023년 | 8강 | 4 | 1 | 1 | 2 | 5 | 6 | |
2025년 |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 |||||||
합계 | 76 | 31 | 19 | 26 | 109 | 95 |
3. 3. 기타 국제 대회
대회 | 결과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이 결과물은 이미 지시사항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변경할 내용이 없습니다.
4.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부터 2019년까지 툴롱 토너먼트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특히 1983년 대회는 톈진에서 개최되었다.
최근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상대 | 결과 | 대회 | 경기장 | 비고 |
---|---|---|---|---|---|
3월 3일 | 일본 | 1 - 2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1] |
3월 6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밀리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 |
3월 9일 | 키르기스스탄 | 1 - 1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3] |
3월 12일 | 대한민국 | 1 - 3 (연장) | AFC U-20 아시안컵 8강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4] |
6월 1일 | 크로아티아 | 1 - 1 | 친선 경기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5] |
6월 3일 | 크로아티아 | 1 - 4 | 친선 경기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6] |
4. 1. 2023년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3년에 2023 AFC U-20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조별 리그에서는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키르기스스탄을 상대로 1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을 만나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3으로 패배하였다.경기 | 날짜 | 시간 | 라운드 | 상대팀 | 결과 | 경기장 | 비고 |
---|---|---|---|---|---|---|---|
1 | 3월 3일 | 15:00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일본 | 2–1[1]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패 |
2 | 3월 6일 | 17:00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사우디아라비아 | 2–0[2] | 밀리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승 |
3 | 3월 9일 | 17:00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키르기스스탄 | 1–1[3]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무 |
4 | 3월 12일 | 15:00 | AFC U-20 아시안컵 8강 | 대한민국 | 1-3 (연장)[4]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패 |
5 | 6월 1일 | 친선 경기 | 크로아티아 | 1-1[5]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무 | |
6 | 6월 3일 | 17:30 | 친선 경기 | 크로아티아 | 1-4[6]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패 |
2023 AFC U-20 아시안컵 상세 경기 결과
- 일본전 (1:2 패): 일본을 상대로 선전했지만, 구마타 나오키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패배했다.[1]
- 사우디아라비아전 (2:0 승): 무텔리푸 이미나카리와 쉬빈의 연속골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대회 첫 승을 기록했다.[2]
- 키르기스스탄전 (1:1 무): 미를란 베크베르디노프의 자책골로 앞서갔지만, 경기 막판 제니쉬베코프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무승부를 기록했다.[3]
- 대한민국전 (1:3 패, 8강): 무텔리푸 이미나카리의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김용학, 성진영, 최석현에게 연속 실점하며 8강에서 탈락했다.[4]
기타 친선 경기
4. 2. 2024년
2023년,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3 AFC U-20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조별 리그에서는 일본에 1-2로 패배[1]하였으나, 사우디아라비아를 2-0으로 꺾고[2], 키르기스스탄과 1-1 무승부[3]를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대한민국을 만나 연장전 끝에 1-3으로 패배[4]하며 대회를 마무리했다.같은 해 6월에는 크로아티아에서 두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다. 첫 경기에서는 1-1 무승부[5]를 기록했으나, 두 번째 경기에서는 1-4로 패배[6]했다.
날짜 | 상대 | 결과 | 대회 | 경기장 | 비고 |
---|---|---|---|---|---|
3월 3일 | 일본 | 1 - 2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1] |
3월 6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밀리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 |
3월 9일 | 키르기스스탄 | 1 - 1 | AFC U-20 아시안컵 조별 리그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3] |
3월 12일 | 대한민국 | 1 - 3 (연장) | AFC U-20 아시안컵 8강 | 자르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4] |
6월 1일 | 크로아티아 | 1 - 1 | 친선 경기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5] |
6월 3일 | 크로아티아 | 1 - 4 | 친선 경기 | 라드니크 스타디움 (크로아티아 벨리카 고리차) | [6] |
5. 선수단
데얀 쥬르제비치 감독이 이끌고, 런쯔쳰이 팀 매니저를 맡고 있는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단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