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는 발칸 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7세기 초 크로아티아인이 정착하여 크로아티아 공국과 왕국을 세웠으며, 1102년 헝가리와 동군 연합을 이루었다. 1526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았고, 186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편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속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 독립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1990년 동유럽 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했으나 크로아티아 전쟁을 겪었고, 1992년 유럽 연합과 유엔의 외교적 승인을 받았다. 2013년 유럽 연합에 가입했으며, 2023년 유로존과 솅겐 조약에 참여했다. 현재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대통령과 총리가 각각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을 맡고 있다. 주요 산업은 관광, 제조업, 농업 등이며, 넥타이의 기원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 - 보친
크로아티아 비로비티차-포드라비나 주에 있는 보친은 파푸크 산 기슭에 자리 잡은 도시로, 12세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학살을 겪었고, 2021년 기준 크로아티아인이 대다수인 1,911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크로아티아어권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크로아티아어권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중앙유럽에 위치한 연방 의회 공화국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를 거쳐 유럽의 중심 국가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재는 풍부한 문화유산과 발전된 경제를 바탕으로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고 있다. - 유럽 연합 회원국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유럽 연합 회원국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크로아티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제 의원내각제 공화국 |
대통령 | 조란 밀라노비치 |
총리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
국회의장 | 고르단 얀드로코비치 |
입법부 | 사보르 |
역사 | |
건국 역사 | 크로아티아 공국: 7세기 왕국: 925년 크로아티아-헝가리 동군연합: 1102년 합스부르크 군주국 편입: 1527년 1월 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탈퇴: 1918년 10월 29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건국: 1918년 12월 4일 독립 선언: 1991년 6월 25일 NATO 가입: 2009년 4월 1일 유럽 연합 가입: 2013년 7월 1일 |
지리 | |
면적 | 56,594 km² |
면적 순위 | 124위 |
수면 비율 | 1.09% |
인구 | |
인구 (추정) | 3,861,967 명 (2023년) |
인구 (추정) 순위 | 128위 |
인구 (센서스) | 3,871,833 명 (2021년) |
인구 (센서스) 순위 | 128위 |
인구 밀도 | 68.4 명/km² |
인구 밀도 순위 | 152위 |
경제 | |
구매력평가(PPP) GDP | 1,871억 9천만 달러 (2024년) |
구매력평가(PPP) GDP 순위 | 79위 |
1인당 구매력평가(PPP) GDP | 48,811 달러 (2024년) |
1인당 구매력평가(PPP) GDP 순위 | 41위 |
명목 GDP | 896억 7천만 달러 (2024년) |
명목 GDP 순위 | 74위 |
1인당 명목 GDP | 23,380 달러 (2024년) |
1인당 명목 GDP 순위 | 51위 |
지니 계수 | 28.3 (2020년) |
기타 | |
인간 개발 지수 | 0.878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39위 |
2.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8세기에는 흑해, 지중해,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온 고대 그리스인들의 식민 도시가 수립되었으며,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26]
크로아티아인이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온 것은 7세기 초의 일이다. 이들은 크로아티아 공국(626년 ~ 925년경), 판노니아 공국(9세기)을 세웠다. 925년에는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출신의 토미슬라브 공작이 크로아티아의 국왕 칭호를 받았다.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은 200여년 가까이 주권을 지켰으며,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와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국왕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다.[39]
1000년경부터 베네치아 공화국이 아드리아해 연안을 통제하면서 크로아티아는 쇠퇴하게 된다. 1090년대 크로아티아에서는 왕위 계승자가 없었기 때문에 왕국의 존립 자체가 흔들리게 된다. 1102년 크로아티아는 헝가리 왕국과의 동군연합(크로아티아-헝가리 동군연합) 관계를 수립했다.
1526년 크로아티아 의회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선출했다.[41] 크로아티아는 1868년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이 체결된 뒤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362]
동유럽 혁명 이후, 구 동유럽 지역에서 민주화 분위기가 고조되자, 유고슬라비아에서도 1990년에 전후 최초의 다당제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다(Croatian parliamentary election, 1990). 크로아티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내세운 프라뇨 투지만(Franjo Tuđman)이 이끄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승리하여 정권을 장악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와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1991년 3월 31일에는 플리트비체 호수군에서 양측이 충돌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 5월 19일에는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93%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331] 1991년 6월 25일에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선언해 주권 국가가 되었다.[362] 그러나 독립 선언의 완전한 시행은 1991년 10월 8일 결정에 대한 3개월의 유예 기간이 끝난 후에야 이루어졌다.[78][79]
크로아티아 영토 내에 다수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의 독립에 반대했다. 이 지역은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으로서 크로아티아 정부의 통치를 거부했다. 세르비아인 보호를 목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이 크로아티아에 개입했다. 이에 맞서 크로아티아군은 9월 중순 유고슬라비아군과의 전면 충돌인 크로아티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1991년 말까지 광범위한 전선에서 벌어진 고강도 분쟁으로 크로아티아의 통제력은 영토의 약 3분의 2로 줄었다.[81][82] 세르비아 민병대는 점령지에서 크로아티아인들을 살해하고, 테러를 자행하고, 추방하는 작전을 시작하여 수천 명[83]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을 살해하고 40만~50만 명에 달하는 크로아티아인들과 다른 비세르비아인들을 집에서 추방하거나 쫓아냈다.[84][85] 1995년에 전투가 종식될 때까지 많은 사상자와 세르비아인 난민을 발생시켰다. 이는 크로아티아군이 세르비아인 자치구를 공격하여 세르비아인들이 박해를 피해 유고슬라비아 지역으로 피난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데 따른 것이다.
1992년 1월 15일 크로아티아는 유럽 경제 공동체와 유엔으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받았다.[87][88] 이 전쟁은 1995년 8월 크로아티아의 결정적인 승리로 사실상 종식되었다.[89] 크로아티아의 승리 이후 자칭 세르비아 크라지나 공화국 출신 세르비아인 약 20만 명이 그 지역을 떠났고,[220] 군사 작전 이후 주로 고령의 세르비아 민간인 수백 명이 종종 보복 공격으로 살해되었다. 남은 점령 지역은 1995년 11월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에 반환되었고, 1998년 1월 UNTAES 임무가 종료되었다.[92]
전쟁이 끝난 후 크로아티아는 전후 재건, 난민 귀환, 민주주의 확립, 인권 보호, 일반적인 사회 및 경제 개발이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2000년대는 민주화, 경제 성장, 구조 및 사회 개혁, 그리고 실업, 부패, 공공 행정의 비효율성과 같은 문제가 특징이었다.[96]
크로아티아는 2000년 5월 25일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에 가입했고,[99] 2000년 11월 30일 세계무역기구 회원국이 되었다.[100] 2001년 10월 29일 크로아티아는 유럽 연합과 안정 및 연관 협정에 서명했고,[101] 2003년 EU 가입을 위한 공식 신청서를 제출했으며,[102] 2004년 후보국 지위를 부여받았고,[103] 2005년 가입 협상을 시작했다.[104]
2008년, 크로아티아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이 승인되었고[332] (실제 가입은 2009년 4월), 군사적으로 구 서방 국가들의 틀 안에 있다고 인식되게 되었다.
2012년 1월 22일 국민투표에서 3분의 2의 찬성을 얻고, 의회에서 EU 가입 조약 비준을 거쳐 2013년 7월 1일 크로아티아는 공식적으로 EU에 가입했다.[333] 28번째 EU 가입국이었으며,[334]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에서는 슬로베니아에 이어 두 번째였다.
2016년 10월 19일 안드레이 플렌코비치가 크로아티아 총리가 되었다.[115] 2020년 1월 5일 실시된 가장 최근 대통령 선거에서 조란 밀라노비치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16]
2023년 1월 1일에는 유로 통화를 도입했고,[335][336] 솅겐 조약에도 참가했다.[337]
2. 1. 고대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17][18] 중기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네안데르탈인 화석이 크로아티아 북부 크라피나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7] 바덴 문화, 스타르체보 문화, 부체돌 문화등 신석기 시대와 구리시대 문화의 잔재가 크로아티아 전역, 특히 북부 계곡에서 발견되었다.[18][19][20] 철기 시대에는 초기 일리리아 할슈타트 문화와 켈트 라텐 문화가 있었다.[21]

기원전 8세기에는 흑해, 지중해,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온 고대 그리스인들의 식민 도시가 흐바르,[22] 코르출라, 비스 섬에 세워졌다.[23]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이 지역 출신으로, 305년 퇴위 후 스플리트에 대규모 궁전을 건설하고 은퇴했다.[24] 마지막 서로마 황제 (법률상) 율리우스 네포스는 475년 이탈리아를 떠난 후 5세기 동안 이 궁전에서 작은 영토를 통치했다.[25]
2. 2. 중세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8세기에는 흑해, 지중해,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온 고대 그리스인들의 식민 도시가 수립되었으며,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26]크로아티아인이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온 것은 7세기 초의 일이다. 이들은 크로아티아 공국(626년 ~ 925년경), 판노니아 공국(9세기)을 세웠다. 925년에는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출신의 토미슬라브 공작이 크로아티아의 국왕 칭호를 받았다.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은 200여년 가까이 주권을 지켰으며,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와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국왕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다.[39]
크로아티아인의 민족 형성은 불확실하나, 슬라브 이론에 따르면 이주 시대 동안 백색 크로아티아에서 백색 크로아티아인의 이동이 있었다. 반면, 이란 이론은 타나이스 판에 있는 고대 그리스어 명칭을 근거로 이란계 민족 기원을 제안한다.[27] 10세기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가 저술한 ''De Administrando Imperio''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들은 7세기 전반에 아바르족을 물리친 후 달마티아 로마 속주에 정착했다.[28][29] 그러나 최근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슬라브족/크로아티아인의 이동과 정착은 6세기 후반과 7세기 초에 이루어졌다.[32][33][34]

818년부터 기록된 크로아티아 공국은 프랑크 왕국의 봉신국이었다. 북쪽 이웃은 판노니아 공국이었다.[37] 크로아티아인의 기독교화는 7세기 포르가 시대에 시작되었는데, 초기에는 엘리트와 관련된 사람들만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5][36] 하지만 대부분 9세기까지 완료되었다. 프랑크의 지배는 미슬라브의 통치 기간 동안, 또는 그의 후계자 트르피미르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끝났다. 토착 크로아티아 왕조는 9세기 중반 트르피미르 1세에 의해 건설되었다.[37]

브라니미르 공작은 879년 6월 7일 교황 요한 8세로부터 교황의 인정을 받은 최초의 토착 크로아티아 통치자였다.[38] 토미슬라브는 925년 교황 요한 10세의 편지에 기록된 바와 같이 최초의 크로아티아 왕이었다. 토미슬라브는 헝가리와 불가리아의 침입을 물리쳤다.
1000년경부터 베네치아 공화국이 아드리아해 연안을 통제하면서 크로아티아는 쇠퇴하게 된다. 1090년대 크로아티아에서는 왕위 계승자가 없었기 때문에 왕국의 존립 자체가 흔들리게 된다. 슈테판 2세가 1091년 사망하여 트르피미로비치 왕조가 끝나자, 드미타르 즈보니미르의 매형인 헝가리의 콜로만이 크로아티아 왕위를 주장했다. 이는 그보즈드 산 전투와 1102년 헝가리와의 동군연합으로 이어졌다.[40]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526년 크로아티아 의회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선출했다.[41] 16세기 동안 서부와 북부 보스니아, 리카, 크르바바, 우나와 쿠파 강 사이의 지역, 특히 서부 슬라보니아 출신의 크로아티아인들이 오스트리아로 이주하였으며, 오늘날의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이러한 정착민들의 직계 후손이다.[42][43]
크로아티아 의회는 카를 3세 국왕의 실용적 칙령을 지지하고 1712년 자체 실용적 칙령에 서명하였다.[44] 그 후 황제는 크로아티아 왕국의 모든 특권과 정치적 권리를 존중할 것을 약속하였고, 마리아 테레지아 여황제는 의무 교육을 도입하는 것과 같이 크로아티아 문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1848년 3월 혁명 당시 크로아티아인 장교 옐라치치가 헝가리 등에서의 혁명 진압에 활약했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제국이 성립되었지만, 헝가리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 대해 인정했던 자치권도 함께 고려하면 사실상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삼중 제국”이었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크로아티아는 제국 내 다른 지역과 비교해 체제에 협조적인 편이었다.
1868년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이 체결된 뒤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1878년 베를린 조약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한 후, 군사 국경지대는 폐지되었다.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의 조항에 따라 군사 국경지대의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지역은 1881년 크로아티아로 돌아왔다.[49][50] 크로아티아를 연방 단위로 하는 연방화를 포함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개혁의 새로운 노력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51]
한편, 아드리아해 연안의 달마티아는 10세기 말에 베네치아 공화국의 식민지가 된 이후 라구사 공화국으로서 반독립적인 시기를 거치기도 했지만, 나폴레옹 시대의 프랑스 제국령 일리리아 주(1809년 - 1816년)를 거쳐, 이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직할령(합스부르크령 일리리아 왕국, 합스부르크령 달마티아 왕국)이 될 때까지 베네치아의 지배가 계속되었다. 오스트리아 직할령이 된 점 또한, 헝가리 왕국 영토였던 다른 두 지역과 역사적 성격을 달리한다.
2. 4.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자, 1918년 10월 29일 크로아티아 의회는 독립을 선포하고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41] 이 국가는 세르비아 왕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1918년 12월 4일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네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을 형성했다.[52] 그러나 크로아티아 의회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와의 연합을 비준하지 않았다.[41] 1929년에는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하였다.1921년 헌법은 국가를 단일 국가로 규정하고 크로아티아 의회와 역사적 행정 구역을 폐지하여 크로아티아의 자치를 사실상 종식시켰다. 이는 크로아티아 농민당(HSS)의 반대에 직면했다.[53] 스테판 라디치(Stjepan Radić)가 1928년 유고슬라비아 의회에서 암살당하면서 정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54] 결국 1929년 알렉산데르 1세 국왕이 1월 6일 독재를 수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54]
1931년 국왕이 더욱 단일적인 헌법을 부과하면서 독재는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55] 블라드코 마체크(Vladko Maček)가 이끄는 HSS는 연방화를 계속 주장하여 1939년 8월 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과 자치적인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를 낳았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국방, 내부 안보, 외교, 무역 및 교통을 통제하는 반면, 다른 문제는 크로아티아 사보르와 국왕이 임명한 바노비나에게 맡겼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자치주 설립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 크로아티아 세력은 안테 파벨리치(Ante Pavelić)를 중심으로 우스타샤(Ustaše)를 결성했다.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했다. 침공 후, 독일-이탈리아가 세운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이 수립되었다.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과 스름 지역이 이 국가에 편입되었다. 달마티아의 일부는 1941년 로마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합병되었고, 헝가리는 크로아티아 북부 지역인 바라냐(Baranja)와 메짐우리예(Međimurje)를 합병했다.

NDH 정권은 전쟁 전 크로아티아의 소수파 운동이었던 극우 민족주의자 우스타샤와 안테 파벨리치가 이끌었다. 독일과 이탈리아의 군사 및 정치적 지원을 받아, 이 정권은 나치 인종 이론을 도입하고 독립국 크로아티아에서의 세르비아인 학살을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독립국 크로아티아의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가장 큰 곳은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 단지였다.[56]
1941년 6월 22일,[60] 시삭 근처에서 제1시삭 파르티잔 부대가 결성되었는데, 이는 점령된 유럽에서 저항 운동이 최초로 결성한 군사 부대였다.[61] 이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Josip Broz Tito)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62] 1943년 12월 테헤란 회담에서 파르티잔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으로부터 인정을 받았다.[65]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파르티잔들은 1945년 5월까지 유고슬라비아와 트리에스테#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와 카린티아#1920년 현재까지 오스트리아의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항복한 후, 많은 사람들이 유고슬라비아 나치 협력자 처형에서 사망했다.[6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지만, 연방 내에서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가졌다. 1967년 크로아티아 작가와 언어학자들은 크로아티아 표준어의 지위와 명칭에 관한 선언을 발표했다.[70] 이 선언은 1971년 크로아티아 봄으로 이어졌으나 유고슬라비아 지도부에 의해 진압되었다.[71]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연방 단위에 대한 자치권을 강화하여 크로아티아 봄의 목표를 기본적으로 달성하고 연방 구성원의 독립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72]

1980년 티토 사망 후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상황은 악화되었다. 1986년 SANU 메모란덤과 1989년 보이보디나, 코소보, 몬테네그로 쿠데타는 민족적 긴장을 부추겼다.[73] 1990년 1월, 공산당은 민족적 차이로 분열되었고, 크로아티아 파벌은 느슨한 연방을 요구했다.[74] 같은 해 크로아티아에서 1990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가 열렸고, 프라뇨 투지만(Franjo Tuđman)의 승리는 민족주의적 긴장을 악화시켰다.[75]
1991년 6월 25일에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선언했다.[362]
2. 5. 독립과 크로아티아 전쟁
1990년 동유럽 혁명의 영향으로 유고슬라비아에서 다당제 자유 선거가 실시되자, 크로아티아에서는 프라뇨 투지만이 이끄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승리하여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했다.[331] 1991년 3월 2일 슬라보니아의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세르비아계와 크로아티아 경찰군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고, 3월 31일에는 플리트비체 호수군에서 양측이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31]1991년 5월 19일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93%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고, 6월 25일 슬로베니아와 함께 독립을 선언했다.[362][331] 그러나 결정에 대한 3개월의 유예 기간이 끝난 후인 1991년 10월 8일에야 독립 선언의 완전한 시행이 이루어졌다.[78][79]
독립 과정에서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의 독립에 반발하여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을 세웠고, 세르비아가 장악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여러 세르비아 민병대가 크로아티아를 공격하면서 공개적인 전쟁으로 확대되었다.[80] 1991년 말까지 광범위한 전선에서 벌어진 고강도 분쟁으로 크로아티아의 통제력은 영토의 약 3분의 2로 줄었다.[81][82] 세르비아 민병대는 점령지에서 크로아티아인들을 살해하고, 테러를 자행하고, 추방하여 수천 명[83]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을 살해하고 40만~50만 명에 달하는 크로아티아인들과 다른 비세르비아인들을 집에서 추방하거나 쫓아냈다.[84][85]
크로아티아 정부는 최전선 근처에 있는 크로아티아 도시에 사는 세르비아인들이 여러 형태의 차별을 받는 행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이를 중단시키려고 노력했으며, 이러한 행위가 정부 정책의 일부가 아니라고 밝혔다. 동부와 서부 슬라보니아, 크라지나 일부 지역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제한적인 규모로, 그리고 적은 수로 도망치거나 추방당했다.[86]
1992년 1월 15일 크로아티아는 유럽 경제 공동체와 유엔으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받았다.[87][88] 전쟁은 1995년 8월 크로아티아의 결정적인 승리로 사실상 종식되었으며,[89] 이 사건은 매년 8월 5일 승리와 조국 감사의 날, 크로아티아 수호자의 날로 기념된다.[90] 크로아티아의 승리 이후 세르비아 크라지나 공화국 출신 세르비아인 약 20만 명이 그 지역을 떠났고,[220] 군사 작전 이후 주로 고령의 세르비아 민간인 수백 명이 종종 보복 공격으로 살해되었다. 그들의 재산이 약탈되거나 압수되거나 불타는 사건도 있었다. 그 이후로 약 절반이 귀환했다.[85] 그들의 집은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 크로아티아 난민들이 정착했다.[91] 남은 점령 지역은 1995년 11월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에 반환되었고, 1998년 1월 UNTAES 임무가 종료되었다.[92] 대부분의 자료에 따르면 전쟁 사망자는 약 2만 명이다.[93][94][95]
크로아티아 정부는 1992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에도 개입하여 세르비아계 세력 및 보스니아계 세력과 함께 전투를 벌이고 민족 청소를 자행했다.
2. 6. 현대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362] 크로아티아인이 현재의 크로아티아에 온 것은 7세기 초의 일이다. 1526년 크로아티아 의회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선출했다. 크로아티아는 1868년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이 체결된 뒤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362]
동유럽 혁명 이후, 구 동유럽 지역에서 민주화 분위기가 고조되자, 유고슬라비아에서도 1990년에 전후 최초의 다당제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다(Croatian parliamentary election, 1990). 크로아티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내세운 프라뇨 투지만(Franjo Tuđman)이 이끄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승리하여 정권을 장악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와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1991년 3월 31일에는 플리트비체 호수군에서 양측이 충돌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 5월 19일에는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93%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331] 1991년 6월 25일에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선언해 주권 국가가 되었다.[362] 그러나 독립 선언의 완전한 시행은 1991년 10월 8일 결정에 대한 3개월의 유예 기간이 끝난 후에야 이루어졌다.[78][79]
크로아티아 영토 내에 다수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의 독립에 반대했다. 이 지역은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로서 크로아티아 정부의 통치를 거부했다. 세르비아인 보호를 목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이 크로아티아에 개입했다. 이에 맞서 크로아티아군은 9월 중순 유고슬라비아군과의 전면 충돌인 크로아티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1991년 말까지 광범위한 전선에서 벌어진 고강도 분쟁으로 크로아티아의 통제력은 영토의 약 3분의 2로 줄었다.[81][82] 세르비아 민병대는 점령지에서 크로아티아인들을 살해하고, 테러를 자행하고, 추방하는 작전을 시작하여 수천 명[83]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을 살해하고 40만~50만 명에 달하는 크로아티아인들과 다른 비세르비아인들을 집에서 추방하거나 쫓아냈다.[84][85] 1995년에 전투가 종식될 때까지 많은 사상자와 세르비아인 난민을 발생시켰다. 이는 크로아티아군이 세르비아인 자치구를 공격하여 세르비아인들이 박해를 피해 유고슬라비아 지역으로 피난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데 따른 것이다.
1992년 1월 15일 크로아티아는 유럽 경제 공동체와 유엔으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받았다.[87][88] 이 전쟁은 1995년 8월 크로아티아의 결정적인 승리로 사실상 종식되었다.[89] 크로아티아의 승리 이후 자칭 세르비아 크라지나 공화국 출신 세르비아인 약 20만 명이 그 지역을 떠났고,[220] 군사 작전 이후 주로 고령의 세르비아 민간인 수백 명이 종종 보복 공격으로 살해되었다. 남은 점령 지역은 1995년 11월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에 반환되었고, 1998년 1월 UNTAES 임무가 종료되었다.[92]
전쟁이 끝난 후 크로아티아는 전후 재건, 난민 귀환, 민주주의 확립, 인권 보호, 일반적인 사회 및 경제 개발이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2000년대는 민주화, 경제 성장, 구조 및 사회 개혁, 그리고 실업, 부패, 공공 행정의 비효율성과 같은 문제가 특징이었다.[96]
크로아티아는 2000년 5월 25일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에 가입했고,[99] 2000년 11월 30일 세계무역기구 회원국이 되었다.[100] 2001년 10월 29일 크로아티아는 유럽 연합과 안정 및 연관 협정에 서명했고,[101] 2003년 EU 가입을 위한 공식 신청서를 제출했으며,[102] 2004년 후보국 지위를 부여받았고,[103] 2005년 가입 협상을 시작했다.[104]
2008년, 크로아티아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이 승인되었고[332] (실제 가입은 2009년 4월), 군사적으로 구 서방 국가들의 틀 안에 있다고 인식되게 되었다.
2012년 1월 22일 국민투표에서 3분의 2의 찬성을 얻고, 의회에서 EU 가입 조약 비준을 거쳐 2013년 7월 1일 크로아티아는 공식적으로 EU에 가입했다.[333] 28번째 EU 가입국이었으며,[334]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에서는 슬로베니아에 이어 두 번째였다.
2016년 10월 19일 안드레이 플렌코비치가 크로아티아 총리가 되었다.[115] 2020년 1월 5일 실시된 가장 최근 대통령 선거에서 조란 밀라노비치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16]
2023년 1월 1일에는 유로 통화를 도입했고,[335][336] 솅겐 조약에도 참가했다.[337]
3. 정치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크로아티아 의회는 151석의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주요 정당은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사회진보당, 크로아티아 농민연합 등이다. 1994년 3월 미국의 중재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국가 연합을 형성하기로 합의했다. 1992년 8월 독립 후 첫 대통령 선거와 하원 의원 선거를 실시,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2002년 스체판 메시치 대통령이 취임했으며, 2015년 2월 19일에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가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으나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2020년 2월 19일에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소속의 조란 밀라노비치가 대통령에 당선자가 되었고 현재 총리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소속의 안드레이 플렌코비치가 총리로 2016년 10월 19일부터 현재까지 총리으로 재직 중이다.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단일 입헌 국가이다.[133] 크로아티아 정부의 권력은 입법, 행정, 사법의 세 가지 권력으로 나뉜다.[133]
대통령(Predsjednik Republikehr)은 국가원수이며, 5년 임기의 직선제로 선출되며 헌법에 따라 최대 두 번까지 연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은 무장 세력의 최고 사령관 역할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의회와 협의하여 총리를 임명하는 절차적 의무를 갖고 있으며, 외교 정책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133]
정부는 총리를 수장으로 하며, 4명의 부총리와 16명의 각 부문 장관으로 구성된다.[134] 행정부로서 입법 및 예산 제안, 법률 집행, 내외 정책 지도의 책임을 진다. 정부 청사는 자그레브의 반스키 드보리에 위치한다.[133]
단원제 의회인 ''Saborhr''가 입법권을 갖는다. 사보르 의원 수는 100명에서 160명까지 다양하며, 4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입법 회기는 매년 1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그리고 9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열린다.[135] 크로아티아의 두 가장 큰 정당은 크로아티아 민주연합과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이다.[136]
크로아티아는 법이 주로 성문법에서 비롯되고 판사는 법의 제정자가 아닌 집행자 역할을 하는 민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 발전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법 체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크로아티아 법은 사법과 공법의 두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뉜다. EU 가입 협상이 완료되기 전에 크로아티아 법률은 공동체 성과와 완전히 조화를 이루었다.[137]
주요 국가 법원으로는 헌법 위반을 감독하는 헌법재판소와 최고 항소 법원인 대법원이 있다. 행정, 상업, 주, 경범죄, 지방 법원은 각 영역의 사건을 처리한다.[138] 사법 관할권에 속하는 사건은 첫 번째 심리에서 단독 전문 판사가 결정하고, 항소는 전문 판사의 혼합 재판소에서 심의한다. 평의원도 재판에 참여한다.[139] 검찰청은 범죄자의 기소를 시작할 권한을 가진 검사로 구성된 사법 기관이다.[140]
법 집행 기관은 주로 국가 경찰로 구성된 내무부의 권한 아래 조직된다. 크로아티아의 보안 기관은 안보정보국(SOA)이다.[141][142]
크로아티아군(CAF)은 공군, 육군, 해군 외에도 교육훈련사령부와 지원사령부로 구성된다. 크로아티아군은 참모총장이 이끌며, 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하고, 국방부 장관은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군 최고사령관이다. 전시 긴급 상황 시 대통령은 참모총장에게 직접 명령을 내린다.[154]
1991년~1995년 전쟁 이후 국방비 지출과 크로아티아군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9년 기준으로 국방비 지출은 국내총생산(GDP)의 1.68%로 추산되며, 세계 67위였다.[155] 2005년 예산은 1994년 최고치인 11.1%에서 감소하여 NATO가 요구하는 GDP의 2% 미만으로 떨어졌다.[156] 전통적으로 징병 제도에 의존했던 크로아티아군은 2009년 4월 NATO 가입 이전 몇 년 동안 규모 축소, 구조조정 및 전문화에 중점을 둔 개혁을 거쳤다. 2006년 대통령령에 따라 크로아티아군은 평시 약 18,100명의 현역 군인, 3,000명의 민간인, 18세에서 30세 사이의 2,000명의 자원 징집병을 고용했다.[154]
2008년까지 병역은 18세 남성에게 의무적이었으며, 징집병은 6개월 동안 복무했는데, 이는 이전 9개월 복무 제도에서 2001년 단축된 것이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는 8개월 동안 민간 봉사를 선택할 수 있었다.[157] 의무 징병은 2008년 1월 폐지되었지만,[12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과 지역의 긴장 고조에 따라 2025년 1월 2개월의 현역 복무를 포함하여 재도입될 예정이다.[158][159]
2019년 5월 기준으로 크로아티아군은 유엔 주도의 국제 평화유지군의 일원으로 해외에 72명의 군인을 파병했다.[160] 2019년 기준으로 323명의 병력이 아프가니스탄의 NATO 주도 ISAF에, 156명이 코소보의 KFOR에 복무했다.[161][162]
크로아티아는 2020년에 약 4억 9,300만 쿠나(€6,517만 6천) 상당의 군사 장비를 수출한 군수 부문을 가지고 있다.[163] 크로아티아산 무기와 차량은 크로아티아군이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HS Produkt가 제조한 표준 권총 HS2000과 주로 즈자코비치 공장이 설계한 M-84D 전투 전차가 포함된다. 크로아티아군 병사들이 착용하는 군복과 헬멧은 국내에서 생산되어 다른 국가에 판매된다.[164]
2024년 세계 평화 지수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세계에서 15번째로 평화로운 국가이다.[165]
1990년 헌법 제정 이후 크로아티아는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1990년부터 2000년까지는 준대통령제를, 그 이후부터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국가원수인 크로아티아 대통령(共和国大統領)은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으로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군 최고사령관이며, 의회의 동의를 얻어 총리를 임명하고, 국가원수로서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로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한다.[338] 자그레브 대통령궁 외에도 휴양지인 브리우니 섬(ブリユニ島)과 후바르 섬(フヴァル島)에 관저를 소유하고 있다.
국회(사볼(サボル (クロアチア議会)))는 2001년까지 양원제를 채택했으나, 상원(주의원)이 폐지되어 현재는 단원제이다. 사볼 의원 정수는 100~160명으로 변동 가능하며, 비례대표제에 의해 선출된다. 임기는 4년이다. 본회의는 1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그리고 9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열린다.
2024년 4월 17일 총선거가 실시되어 여당인 크로아티아 민주동맹(クロアチア民主同盟)이 65석을 획득하여 제1당의 자리를 유지했다. 친러시아 성향으로 여겨지는 조란 밀라노비치(ゾラン・ミラノヴィッチ) 대통령 계열의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クロアチア社会民主党)을 중심으로 한 중도좌파 연합은 42석에 그쳤다.[339]
정부(ヴラダ)는 부총리와 14명의 각료를 거느리는 총리를 수반으로 한다. 행정 기관은 예산안, 법안의 작성에 책임을 지며, 공화국의 외교, 내정을 실행한다. 정부 청사는 자그레브의 반(称号)의 궁전(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는 대통령궁)이다.
3. 1. 국가 원수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크로아티아 의회는 151석의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338] 1990년 헌법 제정 이후 크로아티아는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1990년부터 2000년까지는 준대통령제를, 그 이후부터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338] 국가원수인 크로아티아 대통령(共和国大統領)은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으로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338]대통령은 군 최고사령관이며, 의회의 동의를 얻어 총리를 임명하고, 국가원수로서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로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한다.[338] 2002년 스체판 메시치 대통령이 취임했으며, 2015년 2월 19일에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가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으나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2020년 2월 19일에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소속의 조란 밀라노비치가 대통령에 당선자가 되었다.[338]
3. 2. 행정부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다.[338] 1990년 헌법 제정 이후 크로아티아는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1990년부터 2000년까지는 준대통령제를, 그 이후부터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338] 국가원수인 크로아티아 대통령(共和国大統領)은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으로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338] 대통령은 군 최고사령관이며, 의회의 동의를 얻어 총리를 임명하고, 국가원수로서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로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한다.[338]정부(ヴラダ)는 부총리와 14명의 각료를 거느리는 총리를 수반으로 한다. 행정 기관은 예산안, 법안의 작성에 책임을 지며, 공화국의 외교, 내정을 실행한다. 정부 청사는 자그레브의 반(称号)의 궁전이다.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조란 밀라노비치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2016년 10월 19일부터 안드레이 플렌코비치가 총리로 재직 중이다.
3. 3. 입법부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사보르(Sabor)는 입법권을 갖는 단원제 의회이다.[135] 사보르 의원 수는 100명에서 160명 사이에서 변동 가능하며, 4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135] 입법 회기는 매년 1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그리고 9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열린다.[135] 크로아티아의 양대 정당은 크로아티아 민주연합과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이다.[136] 2024년 4월 17일 총선거에서 여당인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65석을 획득하여 제1당을 유지했으며, 조란 밀라노비치 대통령 계열의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중심 중도좌파 연합은 42석을 얻었다.[339]3. 4. 주요 정당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크로아티아 의회는 151석의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주요 정당으로는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사회진보당, 크로아티아 농민연합 등이 있다. 2024년 4월 17일 총선에서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65석을 획득하여 제1당을 유지했으며,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중심의 중도좌파 연합은 42석을 얻었다.4. 지리
크로아티아는 발칸반도에 있는 나라로, 서쪽에는 지중해의 일부인 아드리아해가, 북서쪽에는 이스트라반도가 있다. 크로아티아는 크게 중앙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이스트라반도 4개 지방으로 나뉜다.
판노니아 평원, 디나르알프스산맥이 크로아티아 지형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크로아티아 전체 국토의 53.42%는 해발 200m 이하의 저지대이다. 저지대의 대부분은 크로아티아 북부 지방, 특히 슬라보니아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판노니아 평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평지에는 지질학적으로 지루, 지구가 모여 있는데 판노니아 해에 있던 섬들로 추정된다. 해발 고도가 비교적 높은 토양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리카, 고르스키코타르에 분포하고 있지만 고지대는 크로아티아 전체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디나르알프스산맥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높은 산인 디나라산(높이 1,831m)을 비롯한 높이 1,5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위치한다.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아드리아해의 해안선은 길이가 1,777.3km에 달한다. 1,246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섬들은 길이가 4,058km에 달하는 해안선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지중해에서 가장 복잡한 해안선이다. 카르스트 지형은 크로아티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디나르알프스산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해안과 도서 지방에도 카르스트 지형이 분포하고 있다.
크로아티아 전체 국토의 62%는 흑해로 흘러가는 하천의 유역이다. 크로아티아를 흐르는 큰 강으로는 도나우강, 사바강, 드라바강, 무어강, 쿠파강이 있다. 아드리아해 방향으로 흐르는 강 중에서 가장 큰 강으로는 네레트바강이 있다.
두브로브니크 지방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네움에 의해 분리되어 엑스크레이브가 되어 있다. 따라서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 후에는 본토와 두브로브니크 사이의 이동 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검문소를 통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2022년에 양 지역 사이에 긴 다리인 「펠리예샤츠 교」가 개통됨으로써 이들 지역을 직접 왕래할 수 있게 되었다.
4. 1. 지형
크로아티아는 발칸반도에 있는 나라로, 서쪽에는 지중해의 일부인 아드리아해가, 북서쪽에는 이스트라반도가 있다. 크로아티아는 크게 중앙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이스트라반도 4개 지방으로 나뉜다.판노니아 평원, 디나르알프스산맥이 크로아티아 지형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크로아티아 전체 국토의 53.42%는 해발 200m 이하의 저지대이다. 저지대의 대부분은 크로아티아 북부 지방, 특히 슬라보니아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판노니아 평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평지에는 지질학적으로 지루, 지구가 모여 있는데 판노니아 해에 있던 섬들로 추정된다. 해발 고도가 비교적 높은 토양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리카, 고르스키코타르에 분포하고 있지만 고지대는 크로아티아 전체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디나르알프스산맥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높은 산인 디나라산(높이 1,831m)을 비롯한 높이 1,5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위치한다.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아드리아해의 해안선은 길이가 1,777.3km에 달한다. 1,246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섬들은 길이가 4,058km에 달하는 해안선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지중해에서 가장 복잡한 해안선이다. 카르스트 지형은 크로아티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디나르알프스산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해안과 도서 지방에도 카르스트 지형이 분포하고 있다.
크로아티아 전체 국토의 62%는 흑해로 흘러가는 하천의 유역이다. 크로아티아를 흐르는 큰 강으로는 도나우강, 사바강, 드라바강, 무어강, 쿠파강이 있다. 아드리아해 방향으로 흐르는 강 중에서 가장 큰 강으로는 네레트바강이 있다. 크로아티아의 기후는 쾌적한 온도와 습도를 띠고 있는데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대륙성 기후로 분류된다. 크로아티아의 연안 지방은 지중해성 기후를, 내륙 지방은 서안 해양성 기후를 띤다.
크로아티아에는 유럽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생물 다양성 생태지역을 갖고 있다. 크로아티아는 생물지리학적으로 지중해 지대, 디나르알프스산맥 지대, 드라바강-도나우강 지대, 대륙성 지대로 나뉜다. 크로아티아는 444개의 생태지역을 갖고 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 전체 면적의 8.5%에 달한다. 크로아티아에는 37,000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생물까지 포함한다면 최소 50,000종, 최대 100,000종의 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브로브니크 지방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네움에 의해 분리되어 엑스크레이브가 되어 있다. 따라서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 후에는 본토와 두브로브니크 사이의 이동 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검문소를 통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2022년에 양 지역 사이에 긴 다리인 「펠리예샤츠 교」가 개통됨으로써 이들 지역을 직접 왕래할 수 있게 되었다.
4. 2. 기후
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라 온화하고 비가 많이 오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월평균 기온은 1월 -3°C에서 7월 18°C까지 다양하다.[126] 국내에서 가장 추운 지역은 리카와 고르스키 코타르로, 1200m가 넘는 고도에서 눈이 많이 오고 숲이 우거진 기후를 보인다. 가장 따뜻한 지역은 아드리아해 해안, 특히 해안 바로 뒤편으로, 바다가 고온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지중해성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126] 따라서 기온의 최고치는 대륙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진다.최저 기온은 -35.5°C로 1919년 2월 3일 차코베츠에서 기록되었고,[126] 최고 기온은 42.8°C로 1981년 8월 4일 플로체에서 기록되었다.[126]
연평균 강수량은 지리적 지역과 기후 유형에 따라 600mm에서 3500mm까지 다양하다. 가장 적은 강수량은 외딴섬들(비셰보, 라스토보, 스베타츠, 비스)과 슬라보니아 동부에서 기록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비는 주로 생장기에 내린다. 최대 강수량은 디나르알프스산맥, 고르스키 코타르의 리스냐크와 스네즈니크 봉우리에서 관측된다.[126]
내륙의 우세한 바람은 약한 북동풍이나 남서풍이며, 해안 지역에서는 우세한 바람이 지역적 특징에 따라 결정된다. 해안을 따라 더 높은 풍속은 일반적으로 시원한 북동풍인 부라 또는 덜 흔하게 따뜻한 남풍인 유고로 더 차가운 달에 더 자주 기록된다. 가장 일조량이 많은 곳은 외딴섬인 흐바르와 코르출라로, 연간 2700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기록하며, 그 뒤를 중부 및 남부 아드리아해 지역과 북부 아드리아 해안이 연간 2000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기록한다.[126]
4. 3. 생태
크로아티아는 유럽에서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이다.[127][128] 크로아티아는 발칸반도에 있는 나라로, 서쪽에는 지중해의 일부인 아드리아해가, 북서쪽에는 이스트라반도가 있다. 크로아티아는 크게 중앙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이스트라반도 4개 지방으로 나뉜다.크로아티아에는 해안과 그 직후방 지역의 지중해 지역, 리카와 고르스키코타르 대부분 지역의 알프스 지역, 드라바강과 도나우강을 따라 위치한 판노니아 지역, 그리고 나머지 지역의 대륙 지역 등 네 가지 유형의 생물지리학적 지역이 있다.[129] 가장 중요한 것은 카르스트 서식지이며, 여기에는 즈르만야와 크르카 협곡 및 석회암 퇴적층과 같은 수중 카르스트뿐 아니라 지하 서식지도 포함된다. 크로아티아에는 디나르 알프스 혼합림, 판노니아 혼합림, 일리리아 활엽수림의 세 가지 생태지역이 있다.[129] 카르스트 지질에는 약 7,000개의 동굴과 구멍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유일하게 알려진 수생 동굴 척추동물인 올름의 서식지이다.
]



숲은 풍부하며, 크로아티아 국토 면적의 44%인 2,490,000 헥타르를 차지한다. 다른 서식지 유형으로는 습지, 초원, 늪, 습원, 관목 서식지, 해안 및 해양 서식지가 있다.[130] 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크로아티아는 북극권의 일부이며, 순환 북극권의 일리리아와 중앙 유럽 지방과 지중해 지역의 아드리아 지방의 일부이다. 세계자연기금은 크로아티아를 판노니아 혼합림, 디나르 알프스 혼합림, 일리리아 활엽수림의 세 가지 생태지역으로 구분한다.[131]
크로아티아에는 3만 7천 종의 알려진 동식물이 서식하지만, 실제 종 수는 5만~10만 종으로 추산된다.[130] 특히 벨레비트산맥과 비오코보산맥, 아드리아 해 섬과 카르스트 강에는 1,000종 이상의 고유종이 있다. 법률에 따라 1,131종이 보호되고 있다.[130] 가장 심각한 위협은 서식지 손실과 훼손이다. 특히 ''잘피'' 조류와 같은 침입 외래종도 또 다른 문제이다. 크로아티아의 2018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4.92점으로 172개국 중 113위를 기록했다.[132]
침입성 조류는 저서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제거된다. 재배되는 토착 식물 품종과 사육되는 동물 품종이 많다. 여기에는 5종의 말, 5종의 소, 8종의 양, 2종의 돼지, 1종의 가금류가 포함된다. 토착 품종 중에는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9종이 있다.[130] 크로아티아에는 국토의 9%를 차지하는 444개의 보호지역이 있다. 여기에는 8개의 국립공원, 2개의 엄격 보호구역, 10개의 자연공원이 포함된다. 가장 유명한 보호지역이자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공원은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벨레비트 자연공원은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의 일부이다. 엄격 보호구역과 특별 보호구역, 그리고 국립공원과 자연공원은 중앙 정부에서 관리하고 보호하며, 다른 보호지역은 주에서 관리한다. 2005년에는 EU 가입 준비 및 나투라 2000 네트워크 가입의 첫 단계로 국가 생태 네트워크가 설립되었다.[130]
5. 경제
달마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아드리아해 연안에 관광 명소가 많아 대표적 외화가득원은 관광이었으나, 내전으로 관광수입이 격감하다가 괄목할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363] 최근에는 100여만명이 넘는 유럽인 휴양객들이 아드리아해 연안을 찾고 있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소기업들이 많은 실업자를 흡수했고, 제약회사 플리바는 크로아티아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런던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인플레이션은 유럽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외환 보유고도 늘었다. 주요 지하자원은 원유와 천연가스로 이들 지하자원과 스플리트 수력발전소(22만kW)의 동력을 기초로 제강·정유·조선·철도차량·기계설비·정유·화학 등의 중화학공업이 발달해 있고 식품가공·제지·섬유·목재·전기·전자·의약품 공업 등의 경공업도 발달하고 있다. 토지이용에 있어서 농경지는 27.6%로 주로 옥수수·밀·보리 등 과수를 재배하고 있다. 산림은 전국토 35.6%로 젖소 등 목축을 한다.
주요 무역상대국은 독일·이탈리아·러시아 등이며 주요 수출품은 의류·자동차·수송기계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전기기계 등이다. 리예카와 스플리트는 이 나라 굴지의 무역항이고 자그레브로 연결되는 철도가 있다.[363]
경제적 이점으로는 안정된 경제성장, IMF보호하의 정부지출 축소, 구제 프로그램 시작을 들 수 있고, 약점으로는 2001년부터 시작한 노동조합의 설립과 저항, 전쟁으로 인한 피해 약 500억 달러, 높은 실업률(20%)을 꼽을 수 있다.
크로아티아의 경제는 고소득 국가이자 선진국으로 분류됩니다.[170] 국제통화기금 자료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의 명목 GDP는 2024년 880억 8천만 달러 또는 1인당 2만 2966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171] 구매력 평가(PPP) GDP는 1억 7526만 9천 달러 또는 1인당 4만 5702달러로 증가할 것입니다.[171]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2023년 크로아티아의 1인당 GDP(PPS 기준)는 EU 평균의 76%였으며, 같은 해 실질 GDP 성장률은 2.8%였습니다.[172][173] 2024년 4월 크로아티아 근로자의 평균 순소득은 월 1,326유로였고, 평균 총소득은 월 약 1,834유로였습니다.[174] 같은 달 실업률은 5.6%로 떨어졌는데, 이는 2019년 7월 7.2%와 2018년 12월 9.6%에서 감소한 수치입니다.[174] 1996년부터 2018년까지의 실업률은 평균 17.38%였으며, 2002년 1월 23.60%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2018년 9월 8.40%로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175] 2017년 경제 생산은 서비스업이 GDP의 70.1%를 차지하며 주도했고, 그 뒤를 제조업이 26.2%, 농업이 3.7%를 차지했습니다.[176]
2017년 자료에 따르면, 노동력의 1.9%가 농업에, 27.3%가 산업에, 70.8%가 서비스업에 종사했습니다.[176] 조선업, 식품 가공업, 제약업, 정보 기술업, 생화학 산업, 목재 산업이 제조업 부문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18년 크로아티아의 수출액은 1080억 쿠나(146억 1천만 유로), 수입액은 1760억 쿠나(238억 2천만 유로)였습니다. 크로아티아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는 독일, 이탈리아, 슬로베니아를 비롯한 유럽 연합이었습니다.[177]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EU에서 1인당 수자원량이 가장 많은 국가입니다(30,000m3).[178]
전쟁의 결과로 경제 기반 시설, 특히 관광 산업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GDP는 40.5% 감소했습니다. 크로아티아 국가는 여전히 상당한 경제 부문을 통제하고 있으며, 정부 지출이 GDP의 40%를 차지합니다.[179] 특히, 비효율적인 공공행정과 부패로 인한 토지 소유권 문제와 처리되지 않은 사법 시스템이 우려됩니다. 국제 투명성 기구가 발표한 2022년 부패 인식 지수에서 크로아티아는 57위를 차지했습니다.[180] 2020년 6월 말 국가 부채는 GDP의 85.3%였습니다.[181]
IMF에 따르면, 2024년의 명목 GDP는 약 880억 달러이다.[340] 1인당 명목 GDP는 13,401달러로,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 중에서는 슬로베니아(Slovenia)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5. 1. 주요 산업
크로아티아의 주요 산업은 관광업, 중화학공업, 경공업 등이 있다. 달마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아드리아해 연안에는 관광 명소가 많아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대표적인 외화 수입원이었다.[363] 내전으로 관광 수입이 크게 줄었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2019년에는 관광 수입이 105억 유로로 추산되었다.[182] 관광 산업의 긍정적인 효과는 소매업 증가와 계절적 고용 증가를 통해 경제 전반에 나타나며, 해외 방문객의 소비는 국가의 무역 불균형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183]

19세기 중반 오파티야(Opatija)는 최초의 휴양지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1890년대에는 유럽 최대의 건강 휴양지 중 하나가 되었다.[185] 해안과 섬을 따라 휴양지가 생겨나면서 해양 관광, 문화 관광 등 다양한 틈새 시장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86] 내륙 지역은 농촌 관광, 산악 휴양지, 스파를 제공하며, 자그레브(Zagreb)는 주요 해안 도시와 경쟁하는 중요한 관광지이다.[186] 크로아티아는 자연 보호 구역과 116개의 블루 플래그 해변을 갖춘 오염되지 않은 해양 지역을 보유하고 있으며,[187] 2022년 유럽환경청(European Environmental Agency)에 의해 유럽에서 수영 수질이 1위로 평가되었다.[188]
제조업 부문에서는 제강·정유·조선·철도차량·기계설비·정유·화학 등의 중화학공업과 식품가공·제지·섬유·목재·전기·전자·의약품 공업 등의 경공업이 발달해 있다.[363] 제약회사 플리바는 크로아티아 기업 중 처음으로 런던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기도 했다. 농경지에서는 옥수수·밀·보리 등을 재배하고, 전국토의 35.6%를 차지하는 산림에서는 젖소 등 목축업이 이루어진다.[363]
주요 지하자원은 원유와 천연가스이며, 스플리트 수력발전소(22만kW)의 동력을 기초로 중화학공업이 발달했다.[363] 크로아티아의 광업은 국가 경제에서 보조적인 역할만 수행하고 있으며, 원유와 천연가스는 국가 에너지 소비량의 일부만을 충당한다. 금속 광물 자원은 생산되지 않으며, 소금 등이 소량 생산된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등이며, 주요 수출품은 의류, 자동차, 수송기계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 전기기계 등이다.[363] 리예카와 스플리트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무역항이며, 자그레브로 연결되는 철도가 있다.[363]
경제적 이점으로는 안정된 경제 성장, IMF 보호 하의 정부 지출 축소, 구제 프로그램 시작 등이 있으며, 약점으로는 2001년부터 시작된 노동조합의 설립과 저항, 전쟁으로 인한 약 500억 달러의 피해, 높은 실업률(20%) 등이 있다.[363]
5. 2. 주요 교역국
크로아티아는 달마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아드리아해 연안에 관광 명소가 많아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으나, 내전으로 관광 수입이 감소하였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100만 명이 넘는 유럽인 휴양객들이 아드리아 해 연안을 찾고 있다.[363]폭발적으로 늘어난 소기업들이 실업자를 흡수하고 있으며, 제약회사 플리바는 크로아티아 기업 최초로 런던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인플레이션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환 보유고도 증가했다.[363]
주요 지하자원은 원유와 천연가스이며, 스플리트 수력발전소의 동력을 기반으로 제강·정유·조선·철도차량·기계설비·정유·화학 등의 중화학공업과 식품가공·제지·섬유·목재·전기·전자·의약품 공업 등의 경공업이 발달해 있다. 농경지에서는 옥수수·밀·보리 등을 재배하고, 전국토의 35.6%를 차지하는 산림에서는 젖소 등 목축업을 한다.[363]
주요 무역 상대국은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등이며, 주요 수출품은 의류·자동차·수송기계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전기기계 등이다. 리예카와 스플리트는 주요 무역항이며 자그레브로 연결되는 철도가 있다.[363]
경제적 이점으로 안정된 경제성장, IMF 보호 하의 정부 지출 축소, 구제 프로그램 시작을 들 수 있다. 약점으로는 2001년부터 시작한 노동조합의 설립과 저항, 전쟁 피해, 높은 실업률(20%) 등이 있다.[363]
5. 3. 통화
크로아티아는 달마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아드리아해 연안에 관광 명소가 많아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으나, 내전으로 관광 수입이 크게 줄었다가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100만 명이 넘는 유럽인 휴양객들이 아드리아 해 연안을 찾고 있다.[363]폭발적으로 늘어난 소기업들이 많은 실업자를 흡수했고, 제약회사 플리바는 크로아티아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런던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인플레이션은 유럽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환 보유고도 늘었다. 주요 지하자원은 원유와 천연가스이며, 스플리트 수력발전소(22만kW)의 동력을 기반으로 제강·정유·조선·철도차량·기계설비·정유·화학 등의 중화학공업과 식품가공·제지·섬유·목재·전기·전자·의약품 공업 등의 경공업이 발달해 있다. 농경지에서는 옥수수·밀·보리 등 과수를 재배하고, 전국토의 35.6%를 차지하는 산림에서는 젖소 등 목축을 한다.[363]
주요 무역상대국은 독일·이탈리아·러시아 등이며, 주요 수출품은 의류·자동차·수송기계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전기기계 등이다. 리예카와 스플리트는 이 나라 굴지의 무역항이고 자그레브로 연결되는 철도가 있다.[363]
경제적 이점으로 안정된 경제성장, IMF 보호 하의 정부 지출 축소, 구제 프로그램 시작을 들 수 있다. 그러나 2001년부터 시작된 노동조합의 설립과 저항, 전쟁으로 인한 약 500억 달러의 피해, 높은 실업률(20%) 등은 경제적 약점으로 꼽힌다.[363]
6. 사회
## 인구
2021년 크로아티아의 추산 인구는 387만 명으로, 세계 인구 순위에서 127위를 차지한다.[211] 2018년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72.9명으로 유럽에서 낮은 편에 속하며,[212] 같은 해 출생 시 기대 수명은 평균 76.3세였다.[176]
크로아티아의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1.41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이며,[176] 1998년 이후 사망률이 출산율을 꾸준히 웃돌고 있다. 평균 연령은 43.3세로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 중 하나이다.[214] 인구는 1857년 210만 명에서 1991년 47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에 있으며,[215] 1970년대에 인구 이동이 완료되면서 자연 증가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123] 최근 크로아티아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 허가 할당량을 늘리고 있으며,[216] 이민자들의 귀국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217]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1991~1995)은 인구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1년 점령 지역에서 40만 명이 넘는 크로아티아인들이 세르비아계 세력에 의해 쫓겨나거나 도망쳤으며,[219] 전쟁 마지막 날에는 약 15만~20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크로아티아군을 피해 도망쳤다.[220][221]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은 91.6%이며, 세르비아인(3.2%), 보스니아인(0.62%), 로마인(0.46%), 알바니아인(0.36%), 이탈리아인(0.36%) 등이 그 뒤를 잇는다.[3] 약 400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226]
## 주민
크로아티아인은 크로아티아의 다수 민족으로, 전체 인구의 90.4%를 차지한다. 그 외 소수 민족으로는 세르비아인(4.4%), 보스니아인(0.7%) 등이 있다.
크로아티아 내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은 크로아티아 전쟁과 보스니아 전쟁을 거치면서 높아졌다. 전쟁의 영향으로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던 많은 세르비아인이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이주했고, 반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인들이 난민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민족 | 비율 |
---|---|
크로아티아인 | 90.4% |
세르비아인 | 4.4% |
보스니아인 | 0.7% |
기타 | 4.5% |
## 언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의 공용어이며 95.6%의 시민이 모국어로 사용한다.[234] 1.2%는 세르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그 외 보스니아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러시아어, 영어 등도 일부 사용된다. 크로아티아어는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슈토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만들어졌다.[235] 차카비아 방언과 카이카비아 방언은 어휘, 음운론, 구문론에서 슈토카비아어와 구별된다.[235]
크로아티아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의 78%가 최소 한 가지 외국어를 구사한다고 밝혔으며,[236] 2005년 EC 조사에서는 영어(49%), 독일어(34%), 이탈리아어(14%), 프랑스어(10%), 러시아어(4%), 스페인어(2%) 순으로 나타났다.[237]
크로아티아어는 19세기에 라틴어를 대체하여 크로아티아 정부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260] 1850년 비엔나 문학 협정 이후 "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 즉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표준어가 만들어져 유고슬라비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26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1972년부터 1989년까지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와 "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로 헌법에 명시되었다.[262] 1990년대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헌법에 "크로아티아어"를 명시하고 언어 규정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263]
크로아티아는 소수 언어를 인정하며,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소수 민족으로 구성되거나 지역 조례가 적용되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 체코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등이 공식적으로 사용된다.[232][233]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 독일어, 히브리어, 마케도니아어, 몬테네그로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이스트로루마니아어, 로마니어, 러시아어, 루신어, 슬로베니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등도 소수 언어로 인정된다.[233]
2021년, 크로아티아는 부뉴예바츠 방언(크로아티아어의 슈토카비아 방언의 이카비아 방언)의 새로운 언어 범주화 모델을 도입했다.[264][265] 크로아티아어 언어학 연구소는 2021년 10월 8일 부뉴예바츠 방언을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보호받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266][267]
## 종교
크로아티아는 공식 종교가 없으며, 종교의 자유는 헌법적 권리로 보장된다.[228] 모든 종교 단체는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법 앞에 평등하며 국가와 분리되어 있다.[228]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인구의 91.36%가 기독교인이며, 그중 가톨릭이 86.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228] 그 뒤를 동방 정교회(4.44%), 프로테스탄티즘(0.34%), 기타 기독교(0.30%)가 따르며, 기독교 다음으로 큰 종교는 이슬람교(1.47%)이다.[228] 인구의 4.57%는 비종교인이다.[228]
2010년 유로스타트 유로바로미터 여론조사에서 인구의 69%가 "신이 있다고 믿는다"고 응답했고,[229] 2009년 갤럽 여론조사에서는 70%가 종교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하다고 답했다.[230] 그러나 인구의 24%만이 정기적으로 종교 의식에 참석한다.[231] 종교는 대부분 로마 가톨릭(86.3%)이며, 중심은 자그레브 대성당이다. 그 외 세르비아 정교회가 4.4%, 이슬람교가 1.3%, 프로테스탄트가 0.3% 등이다.
6. 1. 인구
2021년 크로아티아의 추산 인구는 387만 명으로, 세계 인구 순위에서 127위를 차지한다.[211] 2018년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72.9명으로 유럽에서 낮은 편에 속하며,[212] 같은 해 출생 시 기대 수명은 평균 76.3세였다.[176]크로아티아의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1.41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이며,[176] 1998년 이후 사망률이 출산율을 꾸준히 웃돌고 있다. 평균 연령은 43.3세로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 중 하나이다.[214] 인구는 1857년 210만 명에서 1991년 47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에 있으며,[215] 1970년대에 인구 이동이 완료되면서 자연 증가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123] 최근 크로아티아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 허가 할당량을 늘리고 있으며,[216] 이민자들의 귀국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217]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1991~1995)은 인구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1년 점령 지역에서 40만 명이 넘는 크로아티아인들이 세르비아계 세력에 의해 쫓겨나거나 도망쳤으며,[219] 전쟁 마지막 날에는 약 15만~20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크로아티아군을 피해 도망쳤다.[220][221]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은 91.6%이며, 세르비아인(3.2%), 보스니아인(0.62%), 로마인(0.46%), 알바니아인(0.36%), 이탈리아인(0.36%) 등이 그 뒤를 잇는다.[3] 약 400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226]
6. 2. 주민
크로아티아인은 크로아티아의 다수 민족으로, 전체 인구의 90.4%를 차지한다. 그 외 소수 민족으로는 세르비아인(4.4%), 보스니아인(0.7%) 등이 있다.크로아티아 내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은 크로아티아 전쟁과 보스니아 전쟁을 거치면서 높아졌다. 전쟁의 영향으로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던 많은 세르비아인이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이주했고, 반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인들이 난민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민족 | 비율 |
---|---|
크로아티아인 | 90.4% |
세르비아인 | 4.4% |
보스니아인 | 0.7% |
기타 | 4.5% |
6. 3. 언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의 공용어이며 95.6%의 시민이 모국어로 사용한다.[234] 1.2%는 세르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그 외 보스니아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러시아어, 영어 등도 일부 사용된다. 크로아티아어는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슈토카비아어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만들어졌다.[235] 차카비아어와 카이카비아어 방언은 어휘, 음운론, 구문론에서 슈토카비아어와 구별된다.[235]크로아티아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의 78%가 최소 한 가지 외국어를 구사한다고 밝혔으며,[236] 2005년 EC 조사에서는 영어(49%), 독일어(34%), 이탈리아어(14%), 프랑스어(10%), 러시아어(4%), 스페인어(2%) 순으로 나타났다.[237]
크로아티아어는 19세기에 라틴어를 대체하여 크로아티아 정부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260] 1850년 비엔나 문학 협정 이후 "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 즉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표준어가 만들어져 유고슬라비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26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1972년부터 1989년까지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와 "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로 헌법에 명시되었다.[262] 1990년대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헌법에 "크로아티아어"를 명시하고 언어 규정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263]
크로아티아는 소수 언어를 인정하며,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소수 민족으로 구성되거나 지역 조례가 적용되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 체코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등이 공식적으로 사용된다.[232][233]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 독일어, 히브리어, 마케도니아어, 몬테네그로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이스트로루마니아어, 로마니어, 러시아어, 루신어, 슬로베니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등도 소수 언어로 인정된다.[233]
2021년, 크로아티아는 부뉴예바츠 방언(크로아티아어의 슈토카비아 방언의 이카비아 방언)의 새로운 언어 범주화 모델을 도입했다.[264][265] 크로아티아어 언어학 연구소는 2021년 10월 8일 부뉴예바츠 방언을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보호받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266][267]
6. 4. 종교
크로아티아는 공식 종교가 없으며, 종교의 자유는 헌법적 권리로 보장된다.[228] 모든 종교 단체는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법 앞에 평등하며 국가와 분리되어 있다.[228]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인구의 91.36%가 기독교인이며, 그중 가톨릭이 86.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228] 그 뒤를 동방 정교회(4.44%), 프로테스탄티즘(0.34%), 기타 기독교(0.30%)가 따르며, 기독교 다음으로 큰 종교는 이슬람교(1.47%)이다.[228] 인구의 4.57%는 비종교인이다.[228]2010년 유로스타트 유로바로미터 여론조사에서 인구의 69%가 "신이 있다고 믿는다"고 응답했고,[229] 2009년 갤럽 여론조사에서는 70%가 종교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하다고 답했다.[230] 그러나 인구의 24%만이 정기적으로 종교 의식에 참석한다.[231] 종교는 대부분 로마 가톨릭(86.3%)이며, 중심은 자그레브 대성당이다. 그 외 세르비아 정교회가 4.4%, 이슬람교가 1.3%, 프로테스탄트가 0.3% 등이다.
7. 문화
17세기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크로아티아인 용병들이 착용하던 츠라바트(Cravat)는 넥타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273][274] 넥타이는 원래 크로아티아인의 풍습이었던 것에서 유래하여, 넥타이를 가리키는 단어가 여러 언어에서 "크로아티아"를 어근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cravate프랑스어나 corbataes 등).
아드리아해와 접한 두브로브니크 구 시가지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271]
크로아티아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네 가지 서로 다른 문화권이 혼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서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의 분열 이후로 서구 문화와 동부 문화의 교차로였으며, 중앙유럽과 지중해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269] 일리리아 운동은 크로아티아 국민 문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으며, 19세기는 크로아티아인의 해방에 결정적인 시기였고 예술과 문화의 모든 분야에서 전례 없는 발전을 가져와 많은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다.[46]
문화부는 국가의 문화 및 자연 유산을 보존하고 개발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270]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는 크로아티아의 10개 유적지와 크로아티아 무형 문화유산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271] 크로아티아는 풍부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산 목록에 15개의 유산이 등재되어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272]
2019년 크로아티아에는 95개의 전문 극장, 30개의 전문 어린이 극장, 51개의 아마추어 극장이 있었으며, 연간 227만 명 이상의 관객이 방문했다. 전문 극장에는 1,195명의 예술가가 근무하고 있다. 42개의 전문 오케스트라, 앙상블 및 합창단이 있으며, 연간 29만 7천 명의 관객을 유치하고 있다. 75개의 영화관이 있으며 166개의 스크린이 있고 502만 6천 명의 관객이 있다.
크로아티아에는 222개의 박물관이 있으며, 2016년에는 271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방문했다. 또한 1,768개의 도서관이 있으며, 2,68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19개의 국가 기록 보관소가 있다. 출판 시장은 몇몇 주요 출판사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 업계의 중심 행사는 자그레브 박람회에서 매년 개최되는 인터리버 전시회이다.[275]
크로아티아의 건축은 인접 국가의 영향을 반영한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영향은 북부와 중부 지역의 공공 공간과 건물에서 볼 수 있으며, 달마티아와 이스트라 해안을 따라 발견되는 건축은 베네치아의 영향을 보여준다.[276] 문화 영웅의 이름을 딴 광장, 공원, 보행자 전용 구역은 특히 오시예크(트르디아), 바라즈딘, 카를로바츠와 같이 대규모 바로크 도시 계획이 이루어진 크로아티아의 도시, 특히 도시 지역의 특징이다.[277][278] 그 후 아르누보의 영향은 현대 건축에 반영되었다.[279] 건축은 주요 해안 도시 지역에서 조르조 다 세베니코와 플로렌스의 니콜라스의 작품인 시베니크의 성 야고보 대성당에서 보여지는 베네치아와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은 지중해 양식이다. 크로아티아 건축의 가장 오래된 보존된 예는 9세기 교회이며, 그중 가장 크고 대표적인 것은 자다르의 성 도나투스 교회이다.[280][281]
가장 오래된 예술 작품을 포함하는 건축 외에도 중세 시대에 이르는 크로아티아의 예술가 역사가 있다. 그 시대에 트로기르 대성당의 석조 문은 라도반이 만들었으며, 중세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한 로마네스크 조각 기념물을 나타냅니다. 르네상스는 나머지 지역이 100년 전쟁인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에 휘말린 이후 아드리아해 연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바로크와 로코코 시대에 예술이 번창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주교 요십 유라이 스트로스마이어와 같은 여러 예술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수많은 크로아티아 장인들의 인정이 이루어졌다.[282] 그 시대에 명성을 얻은 크로아티아 예술가로는 블라호 부코바츠, 이반 메스트로비치, 이반 게네랄리치가 있다.[280][283]
크르크 섬에서 발견된 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글라골 문자가 새겨진 석판인 바슈카 비문은 크로아티아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존 산문으로 여겨진다.[284] 크로아티아 문학의 더욱 활발한 발전의 시작은 르네상스와 마르코 마룰리치에 의해 시작된다. 마룰리치 외에도 르네상스 극작가 마린 드르지치, 바로크 시인 이반 군둘리치, 크로아티아 민족 부흥 시인 이반 마주라니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자 시인인 아우구스트 세노아, 아동 작가 이바나 브를리치-마주라니치, 작가이자 언론인인 마리야 유리치 자고르카, 시인이자 작가인 안툰 구스타브 마토시, 시인 안툰 브란코 시미치, 표현주의와 사실주의 작가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시인 틴 우예비치, 소설가이자 단편 소설 작가 이보 안드리치는 종종 크로아티아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로 언급된다.[285][286]
크로아티아 음악은 클래식 오페라부터 현대 록까지 다양하다. 바트로슬라브 리신스키는 1846년에 국가 최초의 오페라인 "사랑과 악의"를 작곡했다. 이반 자이츠는 미사와 오라토리오를 포함하여 1,000곡이 넘는 음악을 작곡했다.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는 전 세계에서 공연했다.[283]
크로아티아 전통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달마티아와 이스트리아는 다양한 해산물, 삶은 채소, 파스타, 올리브 오일과 마늘과 같은 양념을 주로 사용하는 이탈리아 및 기타 지중해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튀르키예, 그리고 발칸 요리 스타일은 대륙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에서는 고기, 민물고기 및 채소 요리가 주를 이룬다.[314]
크로아티아에는 두 개의 독립된 와인 생산 지역이 있다. 특히 슬라보니아를 포함한 북동부 대륙 지역에서는 고급 와인, 특히 백포도주가 생산된다. 북쪽 해안을 따라 이스트리아와 크르크 와인은 이탈리아 인근 지역의 와인과 유사하며, 더 남쪽인 달마티아에서는 지중해 스타일의 레드 와인이 일반적이다.[314] 2017년 기준 연간 와인 생산량은 7200만 리터를 초과했다. 크로아티아는 18세기 후반 대규모 맥주 생산 및 소비가 시작될 때까지 거의 전적으로 와인 소비 국가였다.[315] 2020년 연간 맥주 소비량은 인당 78.7리터로, 크로아티아를 세계 15위에 올려놓았다.[316]
크로아티아에는 미슐랭 스타를 받은 레스토랑이 11곳, 미슐랭 마크를 받은 레스토랑이 89곳 있다.[317]
축구는 크로아티아에서 단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부터 수많은 세계적인 명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1992년에는 축구 리그인 프르바 HNL이 창설되었다. NK 디나모 자그레브(NK Dinamo Zagreb)와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HNK Hajduk Split)의 더비 매치인 '비예치니 데르비(Vječni derbi)'는 지역주의에 뿌리내린 라이벌 의식이 강하며, 서포터들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한다.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1998년 대회에서 처음 출전하여 3위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결승전에 올라서 프랑스에게 4대 2로 패배하면서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는 크로아티아의 최고 기록으로 기록되었다.[319] 주장인 '''루카 모드리치(Luka Modrić)'''는 이 대회에서 골든볼(최우수 선수)을 수상했으며[349], 같은 해에는 FIFA 올해의 선수상과 발롱도르도 수상했다.[350] 2022년 대회에서는 일본을 승부차기로 꺾고 브라질을 꺾고 3위에 입상했다.
크로아티아 농구 대표팀은 독립 후인 1992년 올림픽에서 마이클 조던과 매직 존슨 등을 보유한 최초의 드림팀을 상대로 결승에서 패했지만, 첫 출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유로바스켓에서는 1993년 대회와 1995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7위에 그친 후 오랫동안 부진을 거듭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애틀랜타 대회 이후 처음으로 올림픽 출전을 이뤄내며 다시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크로아티아는 테니스도 강국이며, 세계 랭킹 2위를 기록한 고란 이바니셰비치(Goran Ivanišević)부터 이반 류비치치(Ivan Ljubičić), 이보 카를로비치(Ivo Karlović), 마리오 안치치(Mario Ančić), 마린 칠리치(Marin Čilić) 등 늘 장신의 강서브를 구사하는 선수들을 배출하는 나라이다. 2005년에는 이반 류비치치와 마리오 안치치를 중심으로 국가 대항전인 데이비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국제 대회에 출전한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올림픽 메달 44개(금메달 15개)를 획득했다.[321] 또한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육상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개를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6개를 획득했다. 크로아티아는 2003년 남자 핸드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메이저 트로피를 획득했다. 테니스에서는 2005년과 2018년에 데이비스컵을 우승했다.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남성 선수인 고란 이바니셰비치와 마린 칠리치는 모두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고 ATP 랭킹에서 톱 3에 들었다. 오그넨 크비탄은 1981년 세계 주니어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수구에서는 세 개의 세계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이바 마욜리는 1997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하며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여성 선수가 되었다.
크로아티아는 2009년 남자 핸드볼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00년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9년 지중해 게임을 포함한 여러 주요 스포츠 대회와 2000년과 2018년 유럽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여러 유럽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스포츠의 최고 기관은 1991년 9월 10일에 설립되었고 1992년 1월 17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인정되어 크로아티아 선수들이 1992년 동계 올림픽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새롭게 독립한 국가를 대표하여 올림픽에 처음 출전할 수 있도록 한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이다.[322]
7. 1. 넥타이
17세기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크로아티아인 용병들이 착용하던 츠라바트(Cravat)는 넥타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2018년 FIFA 월드컵에서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결승전에 올라 프랑스에게 4대 2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는 크로아티아의 월드컵 최고 기록이다.
7. 2. 세계유산
아드리아해와 접한 두브로브니크 구 시가지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4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이 있는 스플리트의 역사적 중심지는 1979년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으며,[276] 초기 비잔틴 건축의 예시인 포레치의 유프라시우스 바실리카는 1997년부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276]
크로아티아에는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 6건과 자연유산 1건이 있다.
7. 3. 스포츠
크로아티아에는 40만 명 이상의 활동 선수가 있다.[318]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11만 8천 명 이상의 등록 선수를 보유한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는 가장 큰 스포츠 협회이다.[319]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8년과 2022년에 3위,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319] 프르바 HNL 축구 리그는 모든 프로 스포츠 리그 중 가장 높은 평균 관중 수를 기록하고 있다.[320]축구는 크로아티아에서 단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부터 수많은 세계적인 명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1992년에는 축구 리그인 프르바 HNL이 창설되었다. NK 디나모 자그레브(NK Dinamo Zagreb)와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HNK Hajduk Split)의 더비 매치인 '비예치니 데르비(Vječni derbi)'는 지역주의에 뿌리내린 라이벌 의식이 강하며, 서포터들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한다.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1998년 대회에서 처음 출전하여 3위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8년 대회에서는 결승전에 올라서 프랑스에게 4대 2로 패배하면서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는 크로아티아의 최고 기록으로 기록되었다.[319] 주장인 '''루카 모드리치(Luka Modrić)'''는 이 대회에서 골든볼(최우수 선수)을 수상했으며[349], 같은 해에는 FIFA 올해의 선수상과 발롱도르도 수상했다.[350] 2022년 대회에서는 일본을 승부차기로 꺾고 브라질을 꺾고 3위에 입상했다.
크로아티아 농구 대표팀은 독립 후인 1992년 올림픽에서 마이클 조던과 매직 존슨 등을 보유한 최초의 드림팀을 상대로 결승에서 패했지만, 첫 출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유로바스켓에서는 1993년 대회와 1995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7위에 그친 후 오랫동안 부진을 거듭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애틀랜타 대회 이후 처음으로 올림픽 출전을 이뤄내며 다시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크로아티아는 테니스도 강국이며, 세계 랭킹 2위를 기록한 고란 이바니셰비치(Goran Ivanišević)부터 이반 류비치치(Ivan Ljubičić), 이보 카를로비치(Ivo Karlović), 마리오 안치치(Mario Ančić), 마린 칠리치(Marin Čilić) 등 늘 장신의 강서브를 구사하는 선수들을 배출하는 나라이다. 2005년에는 이반 류비치치와 마리오 안치치를 중심으로 국가 대항전인 데이비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국제 대회에 출전한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올림픽 메달 44개(금메달 15개)를 획득했다.[321] 또한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육상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개를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6개를 획득했다. 크로아티아는 2003년 남자 핸드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메이저 트로피를 획득했다. 테니스에서는 2005년과 2018년에 데이비스컵을 우승했다.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남성 선수인 고란 이바니셰비치와 마린 칠리치는 모두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고 ATP 랭킹에서 톱 3에 들었다. 오그넨 크비탄은 1981년 세계 주니어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수구에서는 세 개의 세계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이바 마욜리는 1997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하며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여성 선수가 되었다.
크로아티아는 2009년 남자 핸드볼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00년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9년 지중해 게임을 포함한 여러 주요 스포츠 대회와 2000년과 2018년 유럽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여러 유럽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스포츠의 최고 기관은 1991년 9월 10일에 설립되었고 1992년 1월 17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인정되어 크로아티아 선수들이 1992년 동계 올림픽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새롭게 독립한 국가를 대표하여 올림픽에 처음 출전할 수 있도록 한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이다.[322]
8. 대외 관계
대한민국과 수교국이다. 한인들이 소수 민족의 일부로 거주하고는 있지만 한국과 크로아티아 간의 직항 항공편은 없다. 국내항공사 중 대한항공이 인천발 자그레브행 전세편을 운항하고 있다. 주로 한국 관광객들이 두브로브니크를 많이 방문하는 편이다.
1920년에 세르비아를 포함하여 건국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당했으며, 나치에 협력한 크로아티아인에 의해 세르비아인에 대한 학살이 이루어졌다.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에서 서로 민간인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하여 서로 사이가 우호적이지는 않다.
1102년에 크로아티아는 슬로베니아, 달마티아와 함께 헝가리의 왕을 자신들의 군주로 받아들였다. 헝가리는 1683년부터 1791년까지 크로아티아를 재장악하며 합스부르크 제국 내 슬라브족을 영접하기 위한 항구를 경계지역에 건립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같이 복속된 경험이 있으며,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붕괴 이후 두 나라는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두 나라는 모두 나토 회원국이다.
러시아와는 소련 해체 이후에 수교를 맺었고 약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서방과의 관계가 러시아와의 관계보다는 강하다.
크로아티아는 194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57개의 대사관, 30개의 영사관, 8개의 상주 외교 사절단을 운영하고 있다.[143] 반대로 56개국의 대사관과 67개의 영사관이 크로아티아에 있으며,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국제이주기구(IOM),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세계은행, 세계보건기구(WHO), 전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 유니세프(UNICEF) 등 국제기구 사무소도 있다.[144]
2019년 기준으로 크로아티아 외교 및 유럽 통합부는 1,381명의 직원을 고용했고 7억 6,529만5천 쿠나(€1억 117만)를 지출했다. 크로아티아 외교 정책의 목표는 이웃 국가와의 관계 개선, 국제 협력 개발, 크로아티아 경제 및 크로아티아 자체의 홍보를 포함한다.
크로아티아는 유럽 연합 회원국이다. 2021년 기준으로 크로아티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와 미해결 국경 문제를 가지고 있다. 크로아티아는 NATO 회원국이기도 하다. 2023년 1월 1일, 크로아티아는 2020년 7월 10일 ERM II에 가입한 이후 솅겐 지역과 유로존에 동시 가입했다.
8. 1. 대 한국 관계
대한민국과 수교국이다. 한인들이 소수 민족의 일부로 거주하고는 있지만 한국과 크로아티아 간의 직항 항공편은 없다. 국내항공사 중 대한항공이 인천발 자그레브행 전세편을 운항하고 있다. 주로 한국 관광객들이 두브로브니크를 많이 방문하는 편이다.8. 2. 대 세르비아 관계
1920년에 세르비아를 포함하여 건국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당했으며, 나치에 협력한 크로아티아인에 의해 세르비아인에 대한 학살이 이루어졌다.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에서 서로 민간인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하여 서로 사이가 우호적이지는 않다.8. 3. 대 헝가리 관계
1102년에 크로아티아는 슬로베니아, 달마티아와 함께 헝가리의 왕을 자신들의 군주로 받아들였다. 헝가리는 1683년부터 1791년까지 크로아티아를 재장악하며 합스부르크 제국 내 슬라브족을 영접하기 위한 항구를 경계지역에 건립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같이 복속된 경험이 있으며,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붕괴 이후 두 나라는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두 나라는 모두 나토 회원국이다.8. 4. 대 러시아 관계
러시아와는 소련 해체 이후에 수교를 맺었고 약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서방과의 관계가 러시아와의 관계보다는 강하다.8. 5. 대 유럽연합 관계
크로아티아는 국민투표에서 66.3% 찬성으로 유럽 연합의 28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게 되었다.[364][365] 슬로베니아 이후 처음으로 유럽연합에 가입한 동유럽 국가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크로아티아의 유럽 연합(EU) 가입 협상은 2005년에 일정이 짜여졌고, 2008년 1월에 출범한 사나데르(Sanader) 내각은 2010년 EU 가입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가입 협상 시작에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유고슬라비아 전범 국제 형사 재판소에서 기소된 크로아티아군 예비역 장군 안테 고토비나(Ante Gotovina)의 재판소 송환이 조건이었다. 이에 대해 크로아티아 내 민족주의자들의 저항이 컸고, 당초 2005년 3월에 예정되었던 가입 협상 시작은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을 이유로 연기되었다. 같은 해 10월 3일부터 열린 EU 긴급 외무장관 회의에서 터키와 크로아티아에 대한 가입 협상 시작을 둘러싼 논의가 이루어졌고, 다음 날 10월 4일 크로아티아에 대한 가입 협상 시작이 결정되었다. 초기 협상의 장애물이었던 안테 고토비나는 같은 해 12월 초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에서 체포되어 헤이그의 유고슬라비아 전범 국제 형사 재판소로 이송되었다.
2008년, 크로아티아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이 승인되었고[332] (실제 가입은 2009년 4월), 군사적으로 구 서방 국가들의 틀 안에 있다고 인식되게 되었다. 이후 유럽 집행위원회는 크로아티아와의 가입 협상을 종료하고, 동국의 EU 가입을 가입 27개국에 제안할 방침을 2011년 6월에 확정했다.
2012년 1월 22일 국민투표에서 3분의 2의 찬성을 얻고, 의회에서 EU 가입 조약 비준을 거쳐 2013년 7월 1일 크로아티아는 공식적으로 EU에 가입했다.[333] 28번째 EU 가입국이었으며,[334]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에서는 슬로베니아에 이어 두 번째였다. 2023년 1월 1일에 유로 통화를 도입했고,[335][336] 솅겐 조약에도 참가했다.[337]
참조
[1]
웹사이트
Share of Croats in Croatia increases as census results published
https://www.croatiaw[...]
2022-09-22
[2]
웹사이트
POPULATION ESTIMATE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23
https://podaci.dzs.h[...]
2024-07-01
[3]
문서
Croatian Census 2021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Croati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22
[5]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2021-08-09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9
[7]
웹사이트
Hrvatski sabor – Povijest
http://www.sabor.hr/[...]
2018-03-10
[8]
뉴스
IMF World Economic Outlook
https://www.imf.org/[...]
2023-04-14
[9]
웹사이트
Croatia tourist arrivals 2022
https://www.statista[...]
2023-11-05
[10]
뉴스
International tourism, The World Bank
https://data.worldba[...]
2023-04-14
[11]
뉴스
Condé Nast Traveler, Top Countries in the World
https://www.cntravel[...]
2023-04-14
[12]
뉴스
U.S. Department of State factsheet
https://www.state.go[...]
2023-04-24
[13]
서적
Hrvatski etimološki rječnik
August Cesarec
[14]
간행물
Ime Hrvata
https://hrcak.srce.h[...]
[15]
간행물
Najstariji hrvatski glagoljski natpisi
http://hrcak.srce.hr[...]
Old Church Slavonic Institute
2011-10-14
[16]
간행물
Kulturna kronika: Dvanaest hrvatskih stoljeća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19-06-10
[17]
간행물
Krapina Neanderthal Museum as a Well of Medical Information
http://hrcak.srce.hr[...]
Hrvatsko znanstveno društvo za povijest zdravstvene kulture
2011-10-15
[18]
간행물
Study of the Neolithic and Eneolithic as reflected in articles published over the 50 years of the journal Opuscula archaeologic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hilosophy, Archaeological Department
2011-10-15
[19]
간행물
The Kostolac horizon at Vučedol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hilosophy, Archaeological Department
2011-10-15
[20]
간행물
Prilog poznavanju neolitičkih obrednih predmeta u neolitiku sjeverne Hrvatske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hilosophy, Archaeological Department
2011-10-15
[21]
간행물
Prilog poznavanju naseljenosti Vinkovaca i okolice u starijem željeznom dobu
http://hrcak.srce.hr[...]
Institut za arheologiju
2011-10-15
[22]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10-15
[23]
서적
The Illyrians
https://www.scribd.c[...]
Wiley-Blackwell
2012-04-03
[2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Modern Library
2011-10-27
[25]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https://archive.org/[...]
Macmillan Publishers
2011-10-15
[26]
서적
Researches on the Danube and the Adriatic
https://archive.org/[...]
Trübner
2011-10-15
[27]
간행물
Hrvatska etnogeneza: pregled komponentnih etapa i interpretacija (s naglaskom na euroazijske/nomadske sadržaje)
http://hrcak.srce.hr[...]
Institute for Migration and Ethnic Studies
2007-09-01
[28]
간행물
Ivan Mužić o podrijetlu Hrvata
https://hrcak.srce.h[...]
1989
[29]
간행물
Pregled političke povijesti Hrvata u ranome srednjem vijeku
https://www.academia[...]
2015-01-01
[30]
서적
Migration,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on the Southeastern Frontier of the Carolingian Empire
Brill
2018
[31]
서적
Becoming Slav, Becoming Croat: Identity Transformations in Post-Roman and Early Medieval Dalmatia
https://books.google[...]
BRILL
[32]
간행물
Razvoj i osnovne značajke starohrvatskih grobalja horizonta 7.-9. stoljeća na povijesnim prostorima Hrvata
https://morepress.un[...]
2000
[33]
서적
The early Slavic settlement of Central Europe in the light of new dating evidence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logy of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13
[34]
서적
Rani srednji vijek između Panonije i Jadrana: ranoslavenski keramički i ostali arheološki nalazi od 6. do 8. stoljeća
https://www.research[...]
Arheološki muzej Istre
2016
[35]
간행물
Pokrštenje Hrvata prema najnovijim znanstvenim rezultatim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Catholic Faculty of Theology
1968-04-01
[36]
논문
On the Baptism of the Serbs and Croats in the Time of Basil I (867–886)
http://slavica-petro[...]
[37]
논문
Diplomatička analiza papinskih pisama druge polovice IX. stoljeća destinatarima u Hrvatskoj
https://hrcak.srce.h[...]
HAZU
2001
[38]
논문
Povijesni zemljovidi i granice Hrvatske u Tomislavovo doba
http://hrcak.srce.hr[...]
2011-10-16
[39]
논문
Regnum Croatiae et Dalmatiae u doba Stjepana II.
http://hrcak.srce.hr[...]
2011-10-16
[40]
논문
Hrvatsko-ugarski odnosi od sredinjega vijeka do nagodbe iz 1868. s posebnim osvrtom na pitanja Slavonije
http://hrcak.srce.hr[...]
Hrvatski institut za povijest – Podružnica za povijest Slavonije, Srijema i Baranje
2011-10-16
[41]
웹사이트
Povijest saborovanja
http://www.sabor.hr/[...]
Sabor
2010-10-18
[42]
웹사이트
Povijest Gradišćanskih Hrvatov
http://www.hkd.at/in[...]
Croatian Cultural Association in Burgenland
2011-10-17
[43]
논문
TURSKI RATOVI i HRVATSKA DIJASPORA u XVI. STOLJEĆU
https://hrcak.srce.h[...]
1990-10-30
[44]
웹사이트
Povijest saborovanja
http://www.sabor.hr/[...]
2020-05-30
[45]
서적
The Congress of Vienna: A Study in Allied Unity: 1812–1822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1-10-17
[46]
논문
Hrvatski narodni preporod – ciljevi i ostvarenja
http://hrcak.srce.hr[...]
2011-10-07
[47]
논문
Josip Jelačić – Ban of Croatia
http://hrcak.srce.hr[...]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1-10-17
[4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H-net.org
2010-05-16
[49]
논문
Hrvatsko-ugarska nagodba u zrcalu tisk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2012-04-10
[50]
논문
Političko-teritorijalna podjela i opseg civilne Hrvatske u godinama sjedinjenja s vojnom Hrvatskom 1871–1886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s
2012-06-20
[51]
서적
Franz Ferdinand: Europas verlorene Hoffnung
https://books.google[...]
Amalthea
2011-10-17
[52]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53]
논문
Parlamentarni izbori u Brodskom kotaru 1923. godine
http://hrcak.srce.hr[...]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 Slavonia, Syrmium and Baranya history branch
2011-10-17
[54]
논문
Ivan Pernar o hrvatsko-srpskim odnosima nakon atentata u Beogradu 1928. godine
http://hrcak.srce.hr[...]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1-10-17
[55]
서적
Yugoslavia's ruin: the bloody lessons of nationalism, a patriot's warn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10-27
[56]
웹사이트
koncentracijski logori
http://www.enciklope[...]
2021-02-16
[57]
논문
Genocide in the former Yugoslavia: a critique of left revisionism's denial (full version)
2003-12-01
[58]
서적
Krvava Cetina
Hrvatski centar za ratne žrtve
[59]
서적
"Operacija Braunschweig", Klepsidra
Udruga studenata povijesti "Malleus"
[60]
서적
Povijest Hrvatske
Naklada Pavičić
[61]
서적
Povijest Hrvatske
Naklada Pavičić
[62]
뉴스
Josipović: Antifašizam je duhovni otac Domovinskog rata
http://www.vecernji.[...]
2011-10-14
[63]
논문
Whose is the partisan movement? Serbs, Croats and the legacy of a shared resistance
Informa UK Limited
[64]
서적
Serbia and the Serbs in World War Two
Palgrave Macmillan
[65]
논문
Saveznički zračni napadi na Split i okolicu i djelovanje Narodne zaštite u Splitu tijekom Drugog svjetskog rata
http://hrcak.srce.hr[...]
Društvo za hrvatsku povjesnicu
2011-10-17
[66]
웹사이트
Croatia – World War II
https://www.britanni[...]
2022-11-05
[67]
논문
Josip protiv Josifa
http://hrcak.srce.hr[...]
Klub studenata povijesti ISHA
2011-10-17
[68]
웹사이트
Predsjednik Sabora Luka Bebić na obilježavanju 64. obljetnice pobjede nad fašizmom i 65. obljetnice trećeg zasjedanja ZAVNOH-a u Topuskom
http://www.sabor.hr/[...]
Sabor
2011-10-17
[69]
논문
Demografski i ratni gubici Hrvatske u Drugom svjetskom ratu i poraću
https://hrcak.srce.h[...]
1995
[70]
논문
Deklaracija o nazivu i položaju hrvatskog književnog jezika – Građa za povijest Deklaracije
http://hrcak.srce.hr[...]
1999-04-00
[71]
뉴스
Heroina Hrvatskog proljeća
http://www.jutarnji.[...]
2009-08-06
[72]
저널
Recognition of States: The Collapse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http://www.ejil.org/[...]
[73]
뉴스
Leaders of a Republic in Yugoslavia Resign
https://www.nytimes.[...]
1989-01-12
[74]
저널
Posljednji kongres Saveza komunista Jugoslavije: uzroci, tijek i posljedice raspada
http://hrcak.srce.hr[...]
Centar za politološka istraživanja
2008-06-01
[75]
뉴스
Obituary: Franjo Tudjman
https://www.independ[...]
1999-12-13
[76]
뉴스
Croatia's Serbs Declare Their Autonomy
https://www.nytimes.[...]
1990-10-02
[77]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8]
뉴스
2 Yugoslav States Vote Independence To Press Demands
https://www.nytimes.[...]
1991-06-26
[79]
웹사이트
Ceremonial session of the Croatian Parliament on the occasion of the Day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www.sabor.hr/[...]
Sabor
2004-10-07
[80]
뉴스
Army Rushes to Take a Croatian Town
https://www.nytimes.[...]
1991-11-04
[81]
뉴스
Croatia Clashes Rise; Mediators Pessimistic
https://www.nytimes.[...]
1991-12-19
[82]
뉴스
Serbian Forces Press Fight for Major Chunk of Croatia
https://www.latimes.[...]
1991-08-01
[83]
웹사이트
Utjecaj srbijanske agresije na stanovništvo Hrvatske
https://www.index.hr[...]
2003-12-11
[84]
웹사이트
SUMMARY OF JUDGEMENT FOR MILAN MARTIĆ
http://www.un.org/ic[...]
[85]
웹사이트
Croatia marks 25 years since war with tolerance message
https://www.aljazeer[...]
2020-08-05
[86]
서적
The Law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Transnational Publishers
1996
[87]
뉴스
Slovenia and Croatia Get Bonn's Nod
https://www.nytimes.[...]
1991-12-24
[88]
뉴스
3 Ex-Yugoslav Republics Are Accepted into U.N.
https://www.nytimes.[...]
1992-05-23
[89]
뉴스
Croats Declare Victory, End Blitz
https://www.latimes.[...]
1995-08-08
[90]
웹사이트
Officials Issue Messages for Victory and Homeland Thanksgiving Day
https://www.total-cr[...]
2019-08-04
[91]
서적
International Trials and Reconciliation: Assessing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92]
뉴스
An Ethnic Morass Is Returned to Croatia
https://www.nytimes.[...]
1998-01-16
[93]
뉴스
Presidents apologise over Croatian war
http://news.bbc.co.u[...]
BBC
2003-09-10
[94]
웹사이트
Serbia to respond to Croatian genocide charges with countersuit at ICJ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8-11-20
[95]
뉴스
UN to hear Croatia genocide claim against Serbia
http://www.tehrantim[...]
2008-11-19
[96]
서적
Socijalna politika Hrvatske
https://books.google[...]
Pravni fakultet u Zagrebu
[97]
웹사이트
22 December – Christmas Constitution – the first Constitution of the independent Republic of Croatia
https://www.sabor.hr[...]
[98]
웹사이트
History and Development of Croatian Constitutional Judicature –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www.usud.hr/[...]
[99]
웹사이트
Partnerstvo za mir – Hrvatska enciklopedija
http://www.enciklope[...]
[100]
웹사이트
MVEP • Svjetska trgovinska organizacija (WTO)
http://www.mvep.hr/h[...]
[101]
웹사이트
Kronologija: Težak put od priznanja do kucanja na vrata EU – Jutarnji List
https://www.jutarnji[...]
2006-10-02
[102]
웹사이트
Kada je i kome Republika Hrvatska podnijela zahtjev za članstvo u Europskoj uniji?
https://uprava.gov.h[...]
[103]
웹사이트
Kako je izgledao put Republike Hrvatske ka punopravnom članstvu u Europskoj uniji?
https://uprava.gov.h[...]
[104]
웹사이트
Evo kako je izgledao hrvatski put prema EU!
https://dnevnik.hr/v[...]
[105]
서적
Povijest Hrvatske 1945–2011
EPH Media d.o.o.
[106]
웹사이트
Membership of the Republic of Croatia in the UN Security Council 2008–2009
http://www.mvpei.h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European Integration (Croatia)
2011-09-24
[107]
웹사이트
Hrvatska postala članica NATO saveza
https://dnevnik.hr/v[...]
2020-05-30
[108]
뉴스
Et tu, Zagreb?
https://www.economis[...]
2011-03-06
[109]
웹사이트
Pogledajte sve snimke sa suđenja Sanaderu
http://dnevnik.hr/vi[...]
Dnevnik.hr
2011-10-28
[110]
웹사이트
Predsjednik Josipović raspisao izbore!
http://odluka2011.dn[...]
Odluka2011.dnevnik.hr
2011-10-31
[111]
웹사이트
EU closes accession negotiations with Croatia
http://europa.eu/rap[...]
European Commission
2011-06-30
[112]
웹사이트
Croatia signs EU accession treaty
http://europa.eu/new[...]
European Union
2011-12-09
[113]
뉴스
Croatia voters back EU membership
https://www.bbc.com/[...]
2018-06-01
[114]
웹사이트
Šenada Šelo Šabić, Croatia's response to the refugee crisis, European Expression, Issue 100, 2016
https://bib.irb.hr/d[...]
[115]
웹사이트
Andrej Plenković – O meni
https://www.andrejpl[...]
[116]
웹사이트
Održana svečanost prisege predsjednika Republike Hrvatske Zorana Milanovića
https://www.predsjed[...]
[117]
웹사이트
The OECD and South East Europe
https://www.oecd.org[...]
[118]
웹사이트
OECD membership means benefits for citizens, higher living standard
https://mvep.gov.hr/[...]
[119]
웹사이트
Croatia's accession to the OECD is progressing faster than expected
https://mvep.gov.hr/[...]
[120]
웹사이트
OECD još jedan instrument za unaprjeđenje reformskih procesa, članstvo će nas učiniti još boljom i kvalitetnijom zemljom
https://vlada.gov.hr[...]
[121]
웹사이트
Euro and Schengen: Croatia joins the Euro and Schengen areas
https://ec.europa.eu[...]
[122]
웹사이트
Croatia opens long-awaited bridge bypassing Bosnia
https://www.aljazeer[...]
[123]
백과사전
2011-09-09
[124]
웹사이트
Raširenost krša u Hrvatskoj
http://www.geografij[...]
Croatian Geographic Society
2006-12-18
[125]
웹사이트
The best national parks of Europe
http://www.bbc.com/t[...]
2011-06-28
[126]
웹사이트
Najviša izmjerena temperatura zraka u Hrvatskoj za razdoblje od kada postoje meteorološka motrenja
http://klima.hr/razn[...]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7-07-21
[127]
뉴스
Biodiversity-rich Croatia becomes 33rd full EEA member country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www.eea.euro[...]
[128]
웹사이트
EU 2020 HR
https://eu2020.hr/Ho[...]
[129]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30]
서적
Biodiversity of Croatia
http://www.dzzp.hr/d[...]
State Institute for Nature Protection, Ministry of Culture (Croatia)
[131]
웹사이트
Venue
http://www.dubrovnik[...]
6th Dubrovnik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ergy, Water and Environment Systems
[132]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33]
웹사이트
Political Structure
http://www.vlada.hr/[...]
Government of Croatia
2007-05-06
[134]
웹사이트
Members of the Government
http://www.vlada.hr/[...]
Government of Croatia
[135]
웹사이트
About the Parliament
http://www.sabor.hr/[...]
Sabor
[136]
웹사이트
Members of the 6th Parliament
http://www.sabor.hr/[...]
Sabor
[137]
웹사이트
Overview of EU–Croatia relations
http://www.delhrv.ec[...]
Delega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public of Croatia
[138]
웹사이트
Ustavne odredbe
http://www.vsrh.hr/E[...]
Croatian Supreme Court
2010-05-21
[139]
웹사이트
Zakon o sudovima
https://narodne-novi[...]
[140]
웹사이트
Državno odvjetništvo Republike Hrvatske
http://www.dorh.hr/D[...]
[141]
웹사이트
SOA – Security-intelligence system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www.soa.hr/e[...]
2021-01-23
[142]
서적
Handbook of European Intelligence Cultur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8-02
[143]
웹사이트
MVEP • Date of Recognition and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http://www.mvep.hr/e[...]
2021-01-23
[144]
웹사이트
MVEP • Diplomatski protokol
http://www.mvep.hr/h[...]
2021-01-23
[145]
웹사이트
MVEP • Godišnje financijsko izvješće za 2019. godinu
http://www.mvep.hr/h[...]
2021-01-23
[146]
웹사이트
Foreign Policy Aim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European Integration (Croatia)
2011-09-24
[147]
뉴스
Overview of Croatia's Border Disputes with BiH, Montenegro, Serbia, Slovenia, Liberland
https://www.total-cr[...]
total-croatia-news.com
2017-01-22
[148]
뉴스
Bush Champions Expansive Mission for NATO
https://www.nytimes.[...]
2008-04-05
[149]
뉴스
Nato welcomes Albania and Croatia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01
[150]
뉴스
Croatia begins new euro and Schengen zone era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1-01
[151]
웹사이트
Hrvatska manjina u Republici Srbiji
https://hrvatiizvanr[...]
Središnji državni ured za Hrvate izvan Republike Hrvatske (Central State Office for Croats Outside the Republic of Croatia)
[152]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Presidency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regarding the Bunjevci Croats
https://www.info.haz[...]
Glasnik HAZU
2014
[153]
웹사이트
Hrvatska manjina u inozemstvu
https://hrvatiizvanr[...]
[154]
웹사이트
Chain of Command in the CAF
http://www.osrh.hr/p[...]
Croatian Ministry of Defence
2012-07-02
[155]
CIA World Factbook
2021-01-23
[156]
웹사이트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https://web.archiv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1-09-09
[157]
뉴스
Vojni rok u Hrvatskoj kraći, nego drugdje u Europi i NATO-u
https://web.archive.[...]
2001-01-23
[158]
웹사이트
Croatia: the Minister of Defense announces that compulsory conscription will return into force from 2025
https://www.agenzian[...]
2024-08-16
[159]
웹사이트
Another European country to reintroduce compulsory military draft as tensions soar
https://www.independ[...]
2024-08-19
[160]
웹사이트
Hrvatska u najviše misija UN-a
https://www.nacional[...]
2019-06-28
[161]
웹사이트
GODIŠNJE IZVJEŠĆE O OBRANI za 2019. – podnositeljica: Vlada Republike Hrvatske
http://sabor.hr/hr/g[...]
2020-09-03
[162]
웹사이트
Godišnje izvješće o obrani za 2019.
https://vlada.gov.hr[...]
Government of Croatia
2020-09-03
[163]
웹사이트
Izvješće obavijeno tajnom: Prošla je godina za hrvatsku vojnu industriju bila najlošija u proteklih pet, pa i više
https://www.poslovni[...]
2021-01-23
[164]
뉴스
Hrvatski izvoz oružja i opreme lani narastao na 650 milijuna kuna
https://web.archive.[...]
2011-03-06
[165]
웹사이트
2024 Global Peace Index
https://www.economic[...]
[166]
학술지
O nekim pitanjima društvenog uređenja Hrvatske u srednjem vijeku
https://web.archive.[...]
Školska knjiga
[167]
뉴스
Zakon o područjima županija, gradova i općina u Republici Hrvatskoj
https://web.archive.[...]
1992-12-30
[168]
뉴스
Zakon o područjima županija, gradova i općina u Republici Hrvatskoj
http://narodne-novin[...]
2006-07-28
[169]
웹사이트
Nacionalno izviješće Hrvatsk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1
[170]
웹사이트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web.archive.[...]
World Bank
[171]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4-06-02
[172]
웹사이트
Eurostat - EU Countries by GDP per capita (PPS) to EU Average (%)
https://ec.europa.eu[...]
2024-06-02
[173]
웹사이트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roatia - PM Plenković: Croatia's GDP growth of 2.8 percent is among highest in the EU
https://vlada.gov.hr[...]
2024-06-02
[174]
웹사이트
Web
https://podaci.dzs.h[...]
2024-06-02
[175]
웹사이트
Croatia Unemployment Rate
https://www.thegloba[...]
The Global Economy.com
2019-02-03
[176]
CIA World Factbook
2021-09-22
[177]
웹사이트
ROBNA RAZMJENA REPUBLIKE HRVATSKE S INOZEMSTVOM u 2018.KONAČNI PODACI/FOREIGN TRADE IN GOODS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18 FINAL DATA
https://web.dzs.hr/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178]
웹사이트
Croatia ranks No.1 in EU for water resources per capita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4-03-25
[179]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Croatia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8-12-04
[180]
웹사이트
CPI 2022
https://www.transpar[...]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23-01-31
[181]
웹사이트
Novac – Javni dug dosegnuo rekord: njegov udjel u BDP-u narastao na 85,3 posto
https://novac.jutarn[...]
2020-10-14
[182]
웹사이트
Hrvatsku posjetilo 6,8 milijuna gostiju, otkrivamo kolika će biti zarada od turizma
https://www.vecernji[...]
[183]
뉴스
Iako čini gotovo petinu BDP-a, i dalje niskoprofitabilna grana domaće privrede
https://web.archive.[...]
2011-10-01
[184]
웹사이트
DOLASCI i NOĆENJA TURISTA u 2019.
https://web.dzs.hr/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20-02-28
[185]
웹사이트
History of Opatija
https://web.archive.[...]
Opatija Tourist Board
[186]
웹사이트
Activities and attractions
http://croatia.hr/en[...]
Croatian National Tourist Board
[187]
웹사이트
Croatia
https://web.archiv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88]
웹사이트
Croatia again top in Europe for swimming water quality
https://www.croatiaw[...]
2023-06-10
[189]
논문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and Statistical Annex, May 2019
2019-05-22
[190]
웹사이트
Croatian highlights, Croatia
https://web.archive.[...]
Euro-poi.com
[191]
웹사이트
The 2023 solo travel index
https://usebounce.co[...]
Bounce
2023-05-24
[192]
웹사이트
The Pinterest x Zola 2023 Wedding Trends Report
https://newsroom.pin[...]
Pinterest Newsroom
2023-04-25
[193]
논문
The integra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 into the Pan-European transport corridor network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Faculty of Maritime Studies
2006-04-11
[194]
뉴스
Odluka o izmjenama i dopunama odluke o razvrstavanju javnih cesta u autoceste
http://narodne-novin[...]
2009-01-30
[195]
웹사이트
Mreža autocesta – HUKA
http://www.huka.hr/m[...]
[196]
웹사이트
Traffic counting on the roadways of Croatia in 2009 – digest
https://web.archive.[...]
Hrvatske ceste
[197]
웹사이트
EuroTest
https://web.archive.[...]
Eurotestmobility.com
[198]
웹사이트
Brinje Tunnel Best European Tunnel
https://web.archive.[...]
Javno.com
[199]
뉴스
Skuplje korištenje pruga uništava HŽ
https://archive.toda[...]
2011-05-10
[200]
웹사이트
Croatia opens long-awaited bridge bypassing Bosnia
https://www.aljazeer[...]
[201]
웹사이트
Air transport
https://web.archive.[...]
Ministry of the Sea,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Croatia)
[202]
논문
Utjecaj izgradnje novog terminala na poslovanje Zračne luke Franjo Tuđman
https://www.bib.irb.[...]
2018
[203]
웹사이트
FAA Raises Safety Rating for Croatia
https://web.archiv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1-01-26
[204]
웹사이트
Riječka luka –jadranski "prolaz" prema Europi
http://webarchive.lo[...]
World Bank
2006-03-03
[205]
웹사이트
Luk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the Sea,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Croatia)
[206]
웹사이트
Plovidbeni red za 2011. godinu
https://web.archive.[...]
Agencija za obalni linijski pomorski promet
[207]
웹사이트
Plovni putovi
https://web.archive.[...]
Ministry of the Sea,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Croatia)
[208]
웹사이트
The JANAF system
http://www.janaf.hr/[...]
Jadranski naftovod
[209]
웹사이트
Transportni sustav
http://www.plinacro.[...]
Plinacro
[210]
웹사이트
Croatia, Slovenia's nuclear plant safe: Croatian president
http://www.eubusines[...]
EU Business
2011-03-28
[211]
Census
Croatian Census 2021
[212]
웹사이트
Croatia in Figures
https://web.dzs.hr/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9-09-09
[213]
웹사이트
Total Fertility Rate around the world over the last two centuries
https://web.archive.[...]
2014-05-06
[214]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roatia
https://www.cia.gov/[...]
2018-07-12
[215]
논문
The demographic situation in Croatia
https://hrcak.srce.h[...]
Hrvatsko geografsko društvo – Zadar
1998-06-01
[216]
웹사이트
Vlada uslišila molbe: Povećane kvote dozvola za strane radnike
https://www.vecernji[...]
[217]
논문
The Policy of Immigration in Croati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2010-10-15
[218]
웹사이트
Croatia's population has dropped 10% in a decade, reveals census
https://www.euronews[...]
2022-01-14
[219]
웹사이트
Summary of judgement for Milan Martić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2007-06-12
[220]
뉴스
Evicted Serbs remember Storm
http://news.bbc.co.u[...]
2005-08-05
[221]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Submitt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009 (1995)
https://www.un.org/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95-08-23
[222]
웹사이트
Domovinski rat – Hrvatska enciklopedija
http://www.enciklope[...]
2018-12-24
[223]
웹사이트
Savez udruga Hrvata iz BiH izabrao novo čelništvo
http://www.index.hr/[...]
Index.hr
2003-06-28
[224]
웹사이트
29 06 2010 – Benkovac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President of Croatia
2010-06-29
[225]
웹사이트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https://web.archive.[...]
[226]
웹사이트
U Hrvatskoj je loše i preporučam svakom mladom čovjeku da ode u Njemačku
https://dnevnik.hr/v[...]
[227]
Census
Population in major towns and municipalities, 2018 census
http://www.dzs.hr/En[...]
[228]
Census
Croatian Census 2011
[229]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341, "Biotechnology"
https://ec.europa.eu[...]
[230]
웹사이트
Gallup Global Reports
http://www.gallup.co[...]
Gallup
[231]
웹사이트
Final Topline
http://assets.pewres[...]
Pew
[232]
웹사이트
Izviješće o provođenju ustavnog zakona o pravima nacionalnih manjina i utrošku sredstava osiguranih u državnom proračunu Republike Hrvatske za 2007. godinu za potrebe nacionalnih manjina
https://web.archive.[...]
Sabor
2008-11-28
[233]
서적
Manual of Language Acquisi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234]
Census
Croatian Census 2011
[235]
웹사이트
Organska podloga hrvatskog jezika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Croatian Language and Linguistics
[236]
웹사이트
Istraživanje: Tri posto visokoobrazovanih ne zna niti jedan strani jezik, Hrvati uglavnom znaju engleski
http://www.index.hr/[...]
Index.hr
2011-04-05
[237]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 European commission special barometer FEB2006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06-02-01
[238]
웹사이트
Croatia
https://europa.eu/eu[...]
European Commission
2016-07-05
[239]
Census
Population aged 10 and over by sex and illiterates by age
http://web.dzs.hr/En[...]
[240]
웹사이트
Statističke informacije 2020
https://web.dzs.hr/H[...]
[241]
웹사이트
Državna matur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Science, Education and Sports (Croatia)
[242]
웹사이트
Institut za razvoj obrazovanja – Pregled institucija
https://web.archive.[...]
Iro.hr
[243]
웹사이트
O nama
http://www.unizd.hr/[...]
University of Zadar
[244]
웹사이트
University of Zagreb 1699–2005
http://www.unizg.hr/[...]
University of Zagreb
[245]
뉴스
60. rođendan Instituta Ruđer Bošković: Svijetu je dao ciklotron, spojeve i novi katalizator
https://web.archive.[...]
2010-06-09
[246]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the Academy
http://info.hazu.hr/[...]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1-10-12
[247]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24-10-06
[248]
웹사이트
Infrastructure for an era of crisis
https://www.eib.org/[...]
2021-06-07
[249]
웹사이트
E-Schools in Croatia
https://jaspers.eib.[...]
[250]
학술지
Socijalna politika u kontekstu korjenite društvene transformacije postkomunističkih zemalja
http://hrcak.srce.hr[...]
2003-02-01
[251]
뉴스
Ulaskom u EU Hrvatska će imati najveću potrošnju za zdravstvo
http://www.vjesnik.h[...]
2011-09-27
[252]
웹사이트
Puni džepovi: europski smo rekorderi potrošnje, imamo najskuplju vlast u cijeloj Europskoj uniji!
https://www.slobodna[...]
2017-03-19
[253]
웹사이트
Croatia Demographics 2020 (Population, Age, Sex, Trends)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2021-01-24
[254]
학술지
Smoking
https://ourworldinda[...]
2013-05-23
[255]
학술지
Obesity
https://ourworldinda[...]
2017-08-11
[256]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3
[257]
웹사이트
Croatia
https://www.cia.gov/[...]
Cia.gov
2010-12-21
[258]
뉴스
Ustav Republike Hrvatske
http://narodne-novin[...]
2010-07-09
[259]
뉴스
Hrvatski postaje 24. službeni jezik Europske unije
http://www.vecernji.[...]
2011-11-05
[260]
학술지
Značenje narodnoga preporoda za hrvatski jezik
http://hrcak.srce.hr[...]
2007-02-01
[261]
서적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2]
학술지
Položaj hrvatskoga jezika u svijetu danas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63]
학술지
Jezični purizam
https://hrcak.srce.h[...]
1996-01-01
[264]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https://registar.kul[...]
2022-08-07
[265]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https://registar.kul[...]
[266]
웹사이트
Prijedlog za proglašenje bunjevačkoga govora nematerijalnom kulturnom baštinom
http://ihjj.hr/clana[...]
2022-03-03
[267]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upisani u Registar kulturnih dobara Republike Hrvatske kao nematerijalno kulturno dobro
https://min-kulture.[...]
2021-10-08
[268]
웹사이트
Historic City of Trogir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5-08-01
[269]
웹사이트
Culture and History
http://croatia.hr/en[...]
Croatian National Tourist Board
2011-10-07
[270]
웹사이트
Djelokrug
http://www.min-kultu[...]
Ministry of Culture (Croatia)
2011-10-07
[271]
웹사이트
Croatia - intangible heritage - Culture Sector
https://ich.unesco.o[...]
2024-04-26
[272]
웹사이트
Browse the Lis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ister of good safeguarding practices – intangible heritage
https://ich.unesco.o[...]
UNESCO – Culture Sector
[273]
뉴스
STYLE; Dressed to Kill
https://www.nytimes.[...]
1995-07-30
[274]
학술지
Pokušaj otkrivanja nastanka i razvoja kravate kao riječi i odjevnoga predmeta
http://hrcak.srce.hr[...]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08-07-01
[275]
뉴스
Interliber: Nobelovci se prodaju za 20, bestseleri za 50, remek-djela za 100 kuna
http://www.jutarnji.[...]
2010-11-10
[276]
서적
A short history of Yugoslavia from early times to 1966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77]
웹사이트
Varaždin: Croatia's 'little Vienna'
https://www.telegrap[...]
2013-06-17
[278]
뉴스
Najljepši gradovi Sjeverne Hrvatske – Karlovac, Ozalj, Ogulin
http://www.jutarnji.[...]
2010-08-14
[279]
학술지
Sekvenca secesije – arhitekt Lav Kalda
http://www.hart.hr/u[...]
Institute of Art History (Croatia)
[280]
웹사이트
Croatian Art History – Overview of Prehistory
http://www.mfa.hr/M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European Integration (Croatia)
2011-10-10
[281]
웹사이트
Church of Saint Donat
https://web.archive.[...]
Zadar Tourist Board
2011-10-10
[282]
학술지
Josip Juraj Strossmayer – Rođeni Osječanin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Osijek – Faculty of Philosophy
2011-10-10
[283]
서적
Croatia: Enchantment of the World
Scholastic Corporation
[284]
웹사이트
The Baška tablet
https://web.archive.[...]
Island of Krk Tourist Board
2011-10-13
[285]
웹사이트
Hrvatska književnost u 270.000 redaka
https://web.archiv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1-10-13
[286]
뉴스
A Reader's Guide to the Balkans
https://www.nytimes.[...]
1993-04-18
[287]
백과사전
Croatia
http://www.pressrefe[...]
Gale
2011-09-13
[288]
웹사이트
Press Freedom Index 2019
https://rsf.org/en/r[...]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9-09-10
[289]
웹사이트
Croatia
https://web.archive.[...]
2019-09-10
[290]
웹사이트
About Hina
https://web.archive.[...]
HINA
2011-10-13
[291]
학술지
Marina Mučalo: Radio in Croatia, book review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s
2002-07-01
[292]
웹사이트
Popis programa DTV {{!}} OIV digitalni signali i mreže
https://oiv.hr/hr/us[...]
2021-01-23
[293]
웹사이트
Popis programa digitalne televizije
https://web.archive.[...]
Odašiljači i veze
2018-12-23
[294]
웹사이트
HRT broadcasting via satellite
https://web.archive.[...]
Croatian Radiotelevision
2011-10-13
[295]
웹사이트
Radio stanice u Zagrebu i Zagrebačkoj županiji
https://www.zgportal[...]
2021-01-23
[296]
웹사이트
Prva Internet televizija u Hrvatskoj
https://web.archive.[...]
Lider
2011-10-13
[297]
뉴스
Već je 450 tisuća Hrvata prešlo na kabelsku i gleda 200 TV programa
https://web.archive.[...]
2011-10-13
[298]
웹사이트
Print Products
https://web.archive.[...]
Europapress Holding
2011-10-13
[299]
웹사이트
Daily papers
https://web.archive.[...]
Styria Media Group
2011-10-13
[300]
학술지
Tisak u krizi: analiza trendova u Hrvatskoj od 2008. do 2013.
http://hrcak.srce.hr[...]
2015-12-26
[301]
웹사이트
AZTN: Prodaja dnevnih i tjednih novina nastavlja padati
https://www.tportal.[...]
2021-01-23
[302]
웹사이트
Croatia
https://eurovision.t[...]
2024-05-19
[303]
뉴스
Ministarstvo financira rekordan broj filmova
https://web.archive.[...]
2011-10-13
[304]
웹사이트
Potpora hrvatskim filmovima i koprodukcijama
https://web.archive.[...]
Croatian Radiotelevision
2011-10-13
[305]
서적
International Film Guide 2012
International Film Guide
[306]
뉴스
Trierova trijumfalna apokalipsa
https://web.archive.[...]
2011-10-13
[307]
뉴스
"Surogat" napunio pola stoljeća
https://web.archive.[...]
2011-10-13
[308]
웹사이트
Film Producer Branko Lustig Becomes Honorary Citizen of Zagreb
https://web.archive.[...]
Total Croatia News
2019-09-10
[309]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s in Croatia
https://www.imdb.com[...]
2024-10-12
[310]
웹사이트
Movies and TV Shows filmed in Croatia
https://saltymiles.c[...]
2024-10-12
[311]
웹사이트
Why Croatia is a Filming and Production Paradise
https://lbbonline.co[...]
2024-10-12
[312]
웹사이트
Filming in Croatia
https://filmingincro[...]
2024-10-12
[313]
웹사이트
How Croatia has become a hub for filmmakers
https://www.croatiaw[...]
2024-10-12
[314]
웹사이트
Gastronomy and enology
http://croatia.hr/en[...]
Croatian National Tourist Board
2011-10-13
[315]
뉴스
Kako je pivo došlo u Hrvatsku
http://www.matica.hr[...]
2011-09-10
[316]
웹사이트
Beer Consumption by Country 2020
https://worldpopulat[...]
2021-01-24
[317]
웹사이트
Michelin guide: Croatia
https://guide.michel[...]
2023-06-15
[318]
학술지
Is sports system fair?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2011-05
[319]
웹사이트
About Croatian Football Federation
http://www.hns-cff.h[...]
Croatian Football Federation
2011-10-08
[320]
웹사이트
Evo vam Lige 16: Na utakmicama HNL-a prosječno 1911
http://www.index.hr/[...]
Index.hr
2011-05-24
[321]
웹사이트
Olympic medalists
http://www.hoo.hr/en[...]
Croatian Olympic Committee
[322]
웹사이트
Croatian Olympic Committee
http://www.hoo.hr/en[...]
Croatian Olympic Committee
[323]
웹사이트
Today is the 25th anniversary of the Internet in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www.carnet.h[...]
2017-11-17
[324]
웹사이트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roatia - 25th years of Internet in Croatia marked
https://vlada.gov.hr[...]
[325]
웹사이트
Croatia - Smart Technologies | Privacy Shield
https://www.privacys[...]
[32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連
2021-11-06
[32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3-01-02
[328]
웹사이트
映画『灼熱』 公式サイト
http://www.magichour[...]
2022-03-08
[329]
웹사이트
クロアチ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2-10-02
[330]
웹사이트
旧ユーゴスラヴィア諸国と第二次世界大戦をめぐる歴史認識
http://www.jcas.jp/1[...]
지역연구컨소시엄
2020-03-23
[331]
문서
세르비아계 주민의 대부분은 투표를 보이콧했다.
[332]
뉴스
NATO首脳会議が開幕、アルバニアとクロアチアの加盟を承認
https://www.afpbb.co[...]
AFP
2008-04-03
[333]
뉴스
크로아티아가 EU 가입, 28개국 체제로 발칸 반도 안정에 진전
https://web.archive.[...]
2013-07-01
[334]
문서
당시에는 영국도 가입했기 때문이다. 2020년 1월 브렉시트로 참가국 수는 27개국이 되었다.
[335]
뉴스
크로아티아가 유로 도입 20번째 국가, 경제 효과 기대|교도통신
https://web.archive.[...]
교도통신
2023-01-02
[336]
웹사이트
비즈니스 단신: 크로아티아, 2023년 1월부터 유로 도입이 공식 결정, 솅겐 협정에도 참가 전망
https://www.jetro.go[...]
일본무역진흥기구
2022-07-14
[337]
웹사이트
비즈니스 단신: EU 이사회, 2023년 1월부터 크로아티아의 솅겐 협정 참가를 공식 결정
https://www.jetro.go[...]
일본무역진흥기구
2022-12-12
[338]
뉴스
크로아티아, 다음 달 22일에 대통령 선거 실시 예정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9-11-14
[339]
웹사이트
친유럽 여당이 제1당 대통령파 야당에 승리―크로아티아 총선거:시사닷컴
https://www.jiji.com[...]
2024-04-18
[340]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4-06-10
[341]
서적
地球の歩き方、クロアチア スロベニア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1
[342]
서적
Auto Karte Trsat, Hrvatska
Trsat Polo d.o.o.
2012
[343]
간행물
Obiteljski zakon (Family Law)
https://www.zakon.hr[...]
CROATIAN PARLIAMENT
2015
[344]
웹사이트
크로아티아 주재 일본대사관 공식 사이트의 대사 인사말, 2014년 12월 22일 확인.
http://www.hr.emb-ja[...]
[345]
웹사이트
Croatia
https://www.who.int/[...]
2015-05-10
[346]
웹사이트
크로아티아 안전 대책 기초 데이터「범죄 발생 상황, 방범 대책」
https://www.anzen.mo[...]
외무성
[347]
서적
Lonely Planet, Croatia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1
[348]
웹사이트
ARC MUSIC
http://www.arcmusic.[...]
[349]
뉴스
크로아티아 모드리치 최우수 선수상 케인 득점왕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8-07-16
[350]
뉴스
모드리치가 발롱도르 첫 수상으로 개인 3관왕!…메시는 12년 연속 톱3 탈출
https://www.soccer-k[...]
축구킹
2018-12-04
[351]
문서
[352]
문서
[353]
문서
[354]
문서
[355]
문서
[356]
문서
[357]
웹사이트
POPULATION ESTIMATE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23
https://podaci.dzs.h[...]
2023-09-08
[358]
문서
[359]
문서
[360]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Croatia)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4-10-22
[361]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4
[362]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3]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4]
뉴스
크로아티아 EU 28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찬성 66%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2-01-23
[365]
뉴스
바호주 'EU 가입을 축하합니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7-01
[366]
문서
[367]
문서
[368]
문서
[369]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크로아티아 올드타운 속 ‘라구사 공화국’
불가리아, 내년부터 유로화 사용…유로존 21개국으로 확대
항공사들 '단독 노선' 경쟁…유명 관광지 대신 '희소성' 노려
‘자그레브 취항 1주년’ 티웨이항공, 운영 성과 살펴보니 - 매일경제
김상욱 2골…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 중국 격파하고 2연승
'2부 복귀 도전' 한국 아이스하키, 세계선수권 첫판 역전승
여자핸드볼팀 러시아 33시간 입성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