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공정물리연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1958년 베이징에 설립되어 핵무기 연구,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는 중국 정부 연구기관이다. 1970년 쓰촨성 몐양시로 이전한 후, 1980년대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핵무기 개발 외에도 레이저 무기 개발, Z머신 건설 계획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200여 차례의 핵실험을 진행했다고 보고했다. 12개의 연구소와 15개의 국가 핵심 실험실을 갖추고 있으며,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이유로 미국으로부터 제재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핵기술 - 816 프로젝트
    816 프로젝트는 중국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쓰촨성 깊숙한 곳에 건설한 비밀 지하 핵시설 건설 계획이었으나, 냉전 종식으로 1990년 취소되었고 현재는 관광지로 개방되었다.
  • 중국의 원자력사 - 816 프로젝트
    816 프로젝트는 중국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쓰촨성 깊숙한 곳에 건설한 비밀 지하 핵시설 건설 계획이었으나, 냉전 종식으로 1990년 취소되었고 현재는 관광지로 개방되었다.
  • 중국의 원자력사 - 북경지하성
    북경지하성은 1960년대 중-소 갈등과 핵전쟁 위협에 대비하여 베이징 시내에 건설된 지하 방공 시설로, 핵, 생화학, 재래식 무기 공격에 대비한 방어 시설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평시에는 상업 시설 및 관광 명소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역사적 유산으로서 보존 및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연구소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연구소 - 중국사회과학원
    중국사회과학원은 1977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 연구 기관으로, 42개의 연구소와 6개의 학부, 대학원 및 대학교를 두고 사회과학 분야 연구를 수행하지만 역사 왜곡 논란과 당 이데올로기 옹호 기관이라는 비판도 있다.
중국공정물리연구원
기본 정보
중국어 간체中国工程物理研究院
중국어 병음Zhōngguó Gōngchéng Wùlǐ Yánjiūyuàn
영문 명칭China Academy of Engineering Physics (CAEP)
설립1958년
위치중국
종류연구소
모토애국, 현실, 단결, 헌신 (爱国、求实、团结、献身)
조직
총재유밍 (于敏)
원장자오웨이 (赵卫)
연구
분야핵무기 연구 및 개발
추가 정보
다른 이름제9연구원 (第九研究院)
제9원 (九院)

2. 역사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1958년 10월 베이징에 설립되어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쳤다. 초기에는 제2기계공업부 산하 제9연구소 또는 제9학원으로 불렸으며, 핵 프로그램 주요 구성 요소가 칭하이성으로 이전되었다. 1964년 중국 첫 핵실험 이후, 연구소와 활동은 외국 세력 감시를 피하기 위해 쓰촨성으로 이전되었다.[9] 1980년대에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3]

SCMP에 따르면,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쓰촨성 핵무기 개발 기지에 "중국판 Z머신"을 수년 내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 Z머신보다 22배나 많은 6000J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2014년 드론을 격추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200여 차례 핵실험을 진행했다.

2. 1. 설립 및 초기 이전

1958년 10월 베이징에 설립되었다. 이후 칭하이성으로 이전되었고, 1970년에는 쓰촨성 몐양시로 다시 이전했다.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이전에는 제2기계공업부 산하의 제9연구소 또는 제9학원이었다. 처음에는 베이징에 위치해 있었으나, 1950년대에 핵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가 칭하이성으로 이전되었다. 1964년 중국의 첫 번째 핵실험 이후, 연구소와 그 활동(핵무기 연구, 개발 및 생산)은 외국 세력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쓰촨성으로 이전되었다.[9] 1980년대에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3]

2. 2. 몐양시 이전 및 발전

1958년 10월, 베이징에서 설립되었다. 이후 칭하이성으로 이전했고, 1970년에는 쓰촨성 몐양시로 이전했다.[9] 1980년대에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3]

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 연구기관인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쓰촨 성의 핵무기 개발 기지에 "중국판 Z머신"을 수년 내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는 Z머신이 있다. 미국의 Z머신보다 22배나 많은 6000J의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2014년 11월 3일,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은 드론을 5초면 격추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만들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신무기의 사거리는 2km이다. 현재까지 시험한 결과 100% 적중률을 보였다. 신무기는 최대 500m 고도에서 초속 50m까지 비행할 수 있는 드론 격추에 효과적이라고 CAEP는 소개했다. CAEP 산하 기업인 '중국 지우위엔 하이테크 장비'의 이진송 부장은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테러범들이 선호하고 있다"며 "드론을 요격하는 것은 저격수나 헬기가 주로 담당하지만 성공률이 그다지 높지 않고 목표물을 놓치면 원치 않는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CAEP는 레이저 무기가 차량에 탑재할 수 있으며 최근 실험에서 100%의 명중률로 30대 이상의 드론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CAEP가 2018년 초 당국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14년 9월부터 2017년 말까지 총 200여 차례의 핵실험을 진행했다. 이는 미국의 핵실험 빈도보다 7배나 많은 것이다.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이전에는 제2기계공업부 산하의 제9연구소 또는 제9학원이었다. 이 연구 그룹은 처음에는 베이징에 있었다. 1950년대에 핵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가 칭하이성으로 이전되었다. 1964년 중국의 첫 번째 핵실험 이후, 연구소와 그 활동(핵무기 연구, 개발 및 생산)은 외국 세력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쓰촨성으로 이전되었다.[9]

2. 3. 최근 동향

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 연구기관인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쓰촨성의 핵무기 개발 기지에 "중국판 Z머신"을 수년 내 건설할 계획이다.[1]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는 Z머신이 있다.[1] 미국의 Z머신보다 22배나 많은 6000J의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1]

2014년 11월 3일,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은 드론을 5초면 격추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만들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2] 신무기의 사거리는 2km이다.[2] 현재까지 시험한 결과 100% 적중률을 보였다.[2] 신무기는 최대 500m 고도에서 초속 50m까지 비행할 수 있는 드론 격추에 효과적이라고 CAEP는 소개했다.[2] CAEP 산하 기업인 '중국 지우위엔 하이테크 장비'의 이진송 부장은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테러범들이 선호하고 있다"며 "드론을 요격하는 것은 저격수나 헬기가 주로 담당하지만 성공률이 그다지 높지 않고 목표물을 놓치면 원치 않는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2] CAEP는 레이저 무기가 차량에 탑재할 수 있으며 최근 실험에서 100%의 명중률로 30대 이상의 드론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2]

CAEP가 2018년 초 당국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14년 9월부터 2017년 말까지 총 200여 차례의 핵실험을 진행했다.[3] 이는 미국의 핵실험 빈도보다 7배나 많은 것이다.[3]

3. 조직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 본부는 1980년대부터 몐양시 839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5km2 부지를 차지한다. '과학 도시'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베이징, 장유, 몐양, 청두, 상하이 등지에 여러 지점이 있다.[8] 2017년 기준 직원 수는 과학자, 엔지니어, 수학자, 기술자 등을 포함하여 23,000명에 달한다.[4]

3. 1. 연구 분야

1990년대 이후,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12개의 연구소와 15개의 국가 핵심 실험실을 갖추게 되었다.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이론 물리학
  • 플라즈마 물리학
  • 공학 및 재료 과학
  • 전자 및 광전자 공학
  • 재료 화학 및 화학 공학
  • 컴퓨터 과학 및 계산 수학


몐양 지역에 위치한 연구 기관들의 이름은 대부분 '서남 연구소'라는 명칭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 서남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3. 2. 연구소 목록

1990년대 이후,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12개의 연구소와 15개의 국가 핵심 실험실을 갖추게 되었다. 연구 분야는 이론 물리학, 플라즈마 물리학, 공학 및 재료 과학, 전자 및 광전자 공학, 재료 화학 및 화학 공학, 컴퓨터 과학 및 계산 수학 등을 포함한다.[8] 몐양 지역에 위치한 연구 기관들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서남 연구소'라는 명칭을 포함하고 있다.

CAEP(중국공정물리연구원)의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7][1][2][9]

연구소명
베이징 대학원[8]
서남 컴퓨터 센터[8]
베이징 응용물리 및 계산수학 연구소[8]
중국 서남 화학 재료 연구소[8]
서남 환경 시험 연구소[8]
서남 전자 공학 연구소[8]
서남 폭발물 및 화학 공학 연구소[8]
중국 서남 유체 물리 연구소[9][8]
쓰촨성 몐양 621900 서남 핵물리 및 화학 연구소[8]
쓰촨성 몐양 621900 서남 구조 역학 연구소[8]
쓰촨성 몐양 6219000 시스템 공학 연구소[8]
쓰촨성 몐양 테라헤르츠 연구 센터[8]
쓰촨성 몐양 레이저 융합 연구 센터[8]


4. 논란 및 제재

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 연구기관인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쓰촨성의 핵무기 개발 기지에 "중국판 Z머신"을 수년 내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는 Z머신이 있다. 미국의 Z머신보다 22배나 많은 6000J의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5][6]

2014년 11월 3일,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은 드론을 5초면 격추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만들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신무기의 사거리는 2km이다. 현재까지 시험한 결과 100% 적중률을 보였다. 신무기는 최대 500m 고도에서 초속 50m까지 비행할 수 있는 드론 격추에 효과적이라고 CAEP는 소개했다. CAEP 산하 기업인 '중국 지우위엔 하이테크 장비'의 이진송 부장은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테러범들이 선호하고 있다"며 "드론을 요격하는 것은 저격수나 헬기가 주로 담당하지만 성공률이 그다지 높지 않고 목표물을 놓치면 원치 않는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CAEP는 레이저 무기가 차량에 탑재할 수 있으며 최근 실험에서 100%의 명중률로 30대 이상의 드론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5][6]

CAEP가 2018년 초 당국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14년 9월부터 2017년 말까지 총 200여 차례의 핵실험을 진행했다. 이는 미국의 핵실험 빈도보다 7배나 많은 것이다.[5][6]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과 일부 관련 연구소 및 회사는 1997년부터 미국 상무부의 거래 제한 명단(Entity List)에 등재되어 있다.[5][6]

5. 주요 인물


  • 왕간창(王淦昌, 1907~1998): 제9연구원 부원장
  • 주광야(朱光亞, 1924~2011): 1994년 CAEP 초대 원장
  • 저우광자오(周光召, 1929~2024): 핵무기 연구소 소장
  • 펑환우(彭桓武, 1915~2007): 최초의 핵분열 및 열핵무기 개발 주도
  • 덩자셴(鄧稼先, 1924~1986): 중국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여겨짐.
    덩자셴(1950년 퍼듀 대학교 졸업 사진)
  • 청카이지아(程開甲, 1918~2019): 핵무기 설계자이자 로프누르 시험장 소장
  • 위민(于敏, 1926~2019): 핵무기 설계자
  • 천넝쿠안(陳能寬, 1923~2016):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의 핵심 기여자
  • 궈융화이(郭永懷, 1909~1968): 1960년 제9연구소 부원장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은 중국과학원(CAS)의 학자 14명, 중국공정원(CAE)의 학자 15명, 그리고 많은 다른 뛰어난 중국 과학자 및 엔지니어를 포함하고 있다.[1]

6. 쓰촨성 지진

2008년 5월 12일 오후 2시 28분(현지시간)에 2008년 쓰촨 대지진이 발생했다. 진도 8.0의 대지진으로, 사망자 약 69,000명, 부상자 약 374,000명, 행방불명자 약 18,000명, 재산피해자 누계 약 4,616만 명, 붕괴된 가옥 약 216,000동의 피해를 야기했다.[1]

2019년 6월 17일, 쓰촨성 이빈시 창닝현에서 규모 6.0 지진이 발생해 11명이 숨지고 122명이 다쳤다.[1] 쓰촨성은 중국공정물리연구원이 있는 지역이며, 진도 6.0은 핵실험 진도로 잘 알려져 있다.[1]

참조

[1] 서적 China Builds the Bomb (Studies in Intl Security and Arm Control) 1988-08-01
[2] 서적 The China Threat: How the People's Republic Targets America Simon and Schuster 2013-02-05
[3] 웹사이트 中国工程物理研究院 (China Academy of Engineering Physics website http://www.caep.cn/z[...] 2018-01-12
[4] 웹사이트 Home https://www.caep.cn/
[5] 웹사이트 China's Top Nuclear-Weapons Lab Used American Computer Chips Decades After Ban https://www.wsj.com/[...] 2023-01-29
[6] 웹사이트 Addition of Entities to the Entity List, Revision of Certain Entries on the Entity List https://www.federalr[...] 2020-06-05
[7] 문서 selected publications
[8] 웹사이트 Chinese Academy of Engineering Physics https://fas.org/nuke[...] 2019-06-24
[9] 웹사이트 Chinese Academy of Engineering Physics https://www.nti.org/[...] 2019-06-24
[10] 웹사이트 第9学会 {{!}} ダライ・ラマ法王日本代表部事務所 https://www.tibethou[...] 2022-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