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가오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쥐가오리과는 날개처럼 생긴 가슴지느러미와 머리 양옆에 달린 머리지느러미를 특징으로 하는 가오리류이다. 2017년 분자생물학 연구에 따라 매가오리과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과가 되었으며, 이전에는 대왕쥐가오리속이 쥐가오리속과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학적 차이가 없어 쥐가오리속으로 통합되었다. 화석 기록은 드물지만 백악기 후기에 최초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쥐가오리속과 아르키아오만타, 번햄, 에오모불라, 파라모불라 등의 화석종이 존재한다. 현생종으로는 쥐가오리속에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 8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가오리과 - 쥐가오리속
쥐가오리속은 열대 및 온대 기후 바다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을 여과 섭식하는 가오리류의 한 속으로, 2017년 분류 개정으로 대왕쥐가오리속이 통합되어 현재 8종의 현존하는 종과 여러 멸종된 종을 포함한다. - 쥐가오리과 - 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는 가장 큰 가오리류로 넓은 가슴지느러미를 가지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고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 등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매너티
매너티는 바다소목에 속하는 대형 해양 포유류로, 노 모양 꼬리와 6개의 경추를 가지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쥐가오리과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obulidae |
명명자 | Gill, 1893 |
분류 계급 | 과 |
상위 분류 | 매가오리목 |
하위 분류 | Mobula Manta (때로는 Mobula의 동의어로 간주됨) |
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연골어강 |
아강 | 판새아강 |
상목 | 가오리상목 |
목 | 매가오리목 |
아목 | 매가오리아목 |
시간 범위 | |
화석 범위 | 백악기 후기부터 현재 (100.5–0 Ma) |
2. 특징
쥐가오리과의 가장 큰 특징은 날개처럼 생긴 가슴지느러미와 입가의 양옆에 달린 한 쌍의 머리지느러미이며, 머리지느러미는 가오리류 중에서 쥐가오리과에서만 관찰할 수 있다. 근연 집단인 매가오리과, 리놉테라과와 달리 이빨이 매우 작아 큰 먹이를 씹어 먹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이 때문에 모든 종류의 쥐가오리류는 입을 크게 벌린 채로 미세 먹이를 사냥하는 여과 섭식자이다.[1][2]
쥐가오리과는 2017년 이전에는 매가오리과의 쥐가오리아과(Mobulinae)로 취급되었으나,[2][3]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 등의 분자생물학 연구에 따라 독립된 과로 분리되었다.[1]
3. 분류 및 진화사
이전에는 현존하는 종들을 쥐가오리속(''Mobula'')과 대왕쥐가오리속(''Manta'')으로 나누었지만, 화이트의 연구에 따르면 대왕쥐가오리속은 쥐가오리속과 유전학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별개의 속으로 분류될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따라서 대왕쥐가오리속은 쥐가오리속의 후행이명이 되었다.[1]
3. 1. 화석 기록
쥐가오리류는 연골어류이기 때문에 화석이 잘 보존되지 않아 화석 기록이 드물다.[4] 주로 치아 화석이 발견된다.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최초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아르카이오만타'''(''Archaeomanta'')가 제일 오래된 종인 것으로 추정된다.[5] 중생대부터 신생대까지 다양한 속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쥐가오리속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몇몇 속의 화석 쥐가오리과가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는 ''아르키아오만타'', ''번햄'', ''에오모불라'', 그리고 ''파라모불라''가 포함된다.
3. 2. 종류
현생종 및 화석종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6]
속 | 종 |
---|---|
쥐가오리속 (Mobula) | 암초대왕쥐가오리 (Mobula alfredi) |
대왕쥐가오리 (Mobula birostris) | |
난쟁이쥐가오리 (Mobula kuhlii) | |
대서양쥐가오리 (Mobula hypostoma) | |
쥐가오리 (Mobula mobular) | |
멍크쥐가오리 (Mobula munkiana) | |
칠레쥐가오리 (Mobula tarapacana) | |
굽은지느러미쥐가오리 (Mobula thurstoni) | |
†Archaeomanta | †Archaeomanta melenhorsti |
†Archaeomanta priemi | |
†Burnhamia | †Burnhamia daviesi |
†Burnhamia fetahi | |
†Eomobula | †Eomobula stehmanni |
†Paramobula | †Paramobula fragilis |
3. 2. 1. 현생종
- '''쥐가오리속''' (''Mobula'')[1][6]
- * 암초대왕쥐가오리 (''Mobula alfredi'') - 구 대왕쥐가오리속 (''Manta'')
- * 대왕쥐가오리 (''Mobula birostris'') - 구 대왕쥐가오리속 (''Manta'')
- * 난쟁이쥐가오리 (''Mobula kuhlii'') - 동종이명: ''M. eregoodootenkee''
- * 대서양쥐가오리 (''Mobula hypostoma'') - 동종이명: ''M. rochebrunei''
- * 쥐가오리 (''Mobula mobular'') - 동종이명: ''M. japanica''
- * 멍크쥐가오리 (''Mobula munkiana'')
- * 칠레쥐가오리 (''Mobula tarapacana'')
- * 굽은지느러미쥐가오리 (''Mobula thurstoni'')
3. 2. 2. 화석종
Archaeomanta영어, Burnhamia영어, Eomobula영어, Paramobula영어를 포함한 몇몇 속의 화석 쥐가오리과가 알려져 있다.속 | 종 |
---|---|
†Archaeomanta영어 | |
†Burnhamia영어 | |
†Eomobula영어 | |
†Paramobula영어 |
참조
[1]
저널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2017-06-24
[2]
웹인용
FAMILY details for Mylobatidae - Eagle and manta rays
http://www.fishbase.[...]
2017-08-07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네 번째 개정판)
2006-00-00 #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00으로 설정
[4]
웹인용
MANTA RAY EVOLUTION
http://www.mantaray-[...]
2017-08-07
[5]
웹인용
North Carolina Fossil Club - Fossil Identification Galleries
https://web.archive.[...]
2016-12-20
[6]
웹인용
Fossilworks: Mobulinae
http://fossilworks.o[...]
201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