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가오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가오리과는 가오리목에 속하는 연골어류 과이다. 2014년 연구를 통해 리놉테라류와 쥐가오리류, 얼룩매가오리속이 각각 리놉테라과, 쥐가오리과, 얼룩매가오리과로 분리되면서, 현재는 매가오리속과 금색줄매가오리속 2속 19종이 속해 있다. 이들은 주로 얕은 해안가에 서식하며, 꼬리에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가오리과 - 황금소코가오리
황금소코가오리는 콜롬비아 등 동태평양 주변 국가의 연안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환경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난태생으로 5-7월에 출산하며,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취약근접종으로 평가받는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매가오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yliobatidae |
명명자 | 보나파르트, 1838 |
분류 | 가오리목 |
형태 및 생태 | |
크기 | 0.48 ~ 5.1m |
분포 및 서식지 | |
서식지 |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온대 해역 |
진화 | |
화석 기록 | 백악기 후기 ~ 현세 |
하위 분류 | |
속 | Aetomylaeus Myliobatis |
2. 분류
2006년 조셉 넬슨 (Joseph S. Nelson)은 매가오리과를 세 개의 아과, 즉 '''매가오리아과'''(Mylobatinae), '''리놉테라아과'''(Rhinopterinae), '''쥐가오리아과'''(Mobulinae)로 분류했다.[12] 당시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매가오리아과 (Myliobatinae)
- 얼룩매가오리속 (''Aetobatus'')
- 금색줄매가오리속 (''Aetomylaeus'')
- 매가오리속 (''Myliobatis'')
- 프테로밀라이우스속 (''Pteromylaeus'')
- 리놉테라아과 (Rhinopterinae)
- 리놉테라속 (''Rhinoptera'')
- 쥐가오리아과 (Mobulinae)
- 쥐가오리속 (''Mobula'')
- 대왕쥐가오리속 (''Manta'')
그러나 2014년 이후 윌리엄 토비 화이트 (William T. White)와 동료 연구진들의 연구에 따라 매가오리과의 계통 분류가 변경되었다. 2014년 연구에서는 리놉테라류와 쥐가오리류를 각각 리놉테라과(Rhinopteridae)와 쥐가오리과(Mobulidae)로 재분류하여 매가오리과와 별개의 분류군으로 독립시켰다. 또한 프테로밀라이우스속 (''Pteromylaeus'')은 금색줄매가오리속 (''Aetomylaeus'')의 후행이명으로 처리되었다.[13] 2016년에는 얼룩매가오리속 (''Aetobatus'')이 독립된 얼룩매가오리과(Aetobatidae)로 재분류되었다.[14][3][9]
이러한 분류 변경으로 현재 매가오리과에는 '''매가오리속'''(''Myliobatis'')과 '''금색줄매가오리속'''(''Aetomylaeus'') 두 속만이 속하게 되었다.
넬슨의 저서 『세계의 물고기』(Fishes of the World)는 매가오리, 만타가오리, 악마가오리 등을 매가오리과 내의 아과로 취급했지만, 윌리엄 토비 화이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리놉테라과(Rhinopteridae)와 쥐가오리과(Mobulidae)를 매가오리과와 별개의 과로 분류하는 것을 선호한다.[2] 화이트(2014)는 초기에 세 속(''Aetobatus'', ''Aetomylaeus'', ''Myliobatis'')을 매가오리과에 유지했으나[2], 이후 2016년 연구에서 ''Aetobatus''를 별도의 과(Aetobatidae)로 분리했다.[3] 과거에는 황소상어과와 가오리과가 매가오리과에 포함되기도 했다.[8]
2023년 기준으로 매가오리과에는 2속 19종이 포함된다.[6]
이미지 | 속 | 종 | 설명 |
---|---|---|---|
![]() | Aetomylaeus (Garman, 1908) | 이 속은 동부 대서양, 인도양, 서부 태평양에 분포한다. 꼬리에 가시가 없는 특징이 있다.[2] | |
-- | Myliobatis (Cuvier, 1816) | 일반 매가오리( M. aquila)는 지중해와 북해를 포함한 동부 대서양 전역에 분포한다. 태평양에 서식하는 박쥐 매가오리( M. californica)도 주요 종이다. 이 속의 가오리들은 꼬리 포함 최대 1.8m까지 자랄 수 있다. 꼬리는 채찍 모양이며 몸통 길이만큼 길고 가시가 있다. 주로 해안 가까이 1m에서 30m 깊이에 서식하며, 드물게 300m 깊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매우 얕은 물에서 모래 해변을 따라 헤엄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는데, 이때 양쪽 날개가 수면 위로 나와 마치 상어 두 마리가 함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
''Aetomylaeus'' 속은 동부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에 분포한다.[2]
Myliobatis 속의 매가오리류는 꼬리를 포함하여 최대 1.8m까지 매우 크게 자랄 수 있다. 꼬리는 채찍처럼 생겼으며 몸통만큼 길 수 있고 가시가 달려 있다. 매가오리는 주로 해안 가까이 1m에서 30m 사이 깊이에 서식하며, 예외적으로 300m 깊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매우 얕은 물에서 모래 해변을 따라 헤엄치는 모습이 흔히 관찰되는데, 이때 두 개의 날개가 수면 위로 나와 마치 두 마리의 상어가 함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반 매가오리( ''M. aquila'')는 지중해와 북해를 포함한 동부 대서양 전체에 분포하며, 박쥐 매가오리( ''M. californica'')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주요 종이다.
[1]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Myliobatidae - Eagle and manta rays
http://www.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2005-08-15
3. 서식지 및 분포
''Myliobatis'' 속의 경우, 일반 매가오리(`M. aquila`)는 지중해와 북해를 포함한 동부 대서양 전체에 분포하며, 박쥐 매가오리(`M. californica`)는 태평양에 서식한다. 이 매가오리류는 주로 해안 가까이 1m 에서 30m 깊이에서 생활하지만, 예외적으로 300m 깊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매우 얕은 물에서 모래 해변을 따라 헤엄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는데, 이때 양쪽 날개가 수면 위로 나와 마치 두 마리의 상어가 함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4. 형태 및 생태
Aetomylaeus 속은 동부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에 분포한다. 이들은 꼬리에 가시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2]이미지 속 종 설명 Aetomylaeus (가먼, 1908) 동부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분포. 꼬리에 가시 없음.[2] Myliobatis (퀴비에, 1816) 대서양, 태평양 등 분포. 꼬리에 가시 있음. 최대 1.8m. 얕은 연안 서식.
참조
[2]
논문
A revised generic arrangement for the eagle ray family Myliobatidae, with definitions for the valid genera
2014
[3]
논문
Resurrection of the family Aetobatidae (Myliobatiformes) for the pelagic eagle rays, genus ''Aetobatus''
2016
[4]
논문
Redescription of the eagle rays ''Myliobatis hamlyni'' Ogilby, 1911 and ''M. tobijei'' Bleeker, 1854 (Myliobatiformes: Myliobatidae) from the East Indo-West Pacific
[5]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Myliobatidae Bonaparte, 1835
https://www.marinesp[...]
2023-03-17
[6]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Myliobatidae - Eagle and manta rays
https://www.fishbase[...]
2023-03-17
[7]
웹사이트
MYLIOBATIDAE
https://fishesofaust[...]
2023-03-17
[8]
논문
A revised generic arrangement for the eagle ray family Myliobatidae, with definitions for the valid genera
2014
[9]
논문
Resurrection of the family Aetobatidae (Myliobatiformes) for the pelagic eagle rays, genus ''Aetobatus''
2016
[10]
논문
トビエイ科トビエイ属Myliobatis hamlyniスミレトビエイ(新称)の日本における分布記録とトビエイとの形態比較に基づく新たな識別法
https://www.jstage.j[...]
2021
[11]
간행물
[12]
서적
Fishes of the World (네 번째 개정판)
[13]
논문
A revised generic arrangement for the eagle ray family Myliobatidae, with definitions for the valid genera
2014
[14]
논문
Resurrection of the family Aetobatidae (Myliobatiformes) for the pelagic eagle rays, genus Aetobatu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