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쥐가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쥐가오리는 가오리목에 속하는 해양 어류로, 최대 5.2m까지 성장하며 머리 지느러미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섭취한다. 1788년 가오리속으로 처음 분류되었으며, 현재는 *Mobula mobular*라는 학명을 사용한다. 인도양, 태평양, 동부 대서양 등 넓은 해역에 분포하며, 주로 수면 가까이에서 생활한다.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개체 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아가미 부위 채취를 위한 남획, 혼획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탬파베이 레이스 팀의 데빌레이는 쥐가오리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가오리과 - 쥐가오리속
    쥐가오리속은 열대 및 온대 기후 바다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을 여과 섭식하는 가오리류의 한 속으로, 2017년 분류 개정으로 대왕쥐가오리속이 통합되어 현재 8종의 현존하는 종과 여러 멸종된 종을 포함한다.
  • 쥐가오리과 - 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는 가장 큰 가오리류로 넓은 가슴지느러미를 가지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고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 등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황다랑어
    황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노란색 지느러미가 특징적인 다랑어의 일종으로, 상업적 어획 및 스포츠 낚시 대상이지만 남획과 혼획 문제로 지속 가능한 어업 노력이 필요하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병어
    맛이 좋아 인도-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귀하게 여겨지는 병어는 한국에서 구이, 중국에서 찜이나 조림으로 요리되며, 쿠웨이트에서는 어획 금지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 대서양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대서양의 물고기 - 청어과
    청어과는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 어류 분류군으로, 머리에 비늘이 없고 긴 아가미 갈퀴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걸러 먹으며,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이 대표적이다.
쥐가오리
지도
기본 정보
학명Mobula mobular
명명자Bonnaterre, 1788
상태멸종 위기
상태_기준IUCN3.1
상태2CITES_A2
상태2_기준CITES
상태2_인용CITES|url=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access-date=2022-01-14|website=cites.org}}
분포 지도Mobula mobular répartition.png
분포 지도 설명쥐가오리의 분포 지도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연골어강
토비에이목
이트마키에이과
이트마키에이속
쥐가오리
이명Aodon cornu Lacepède, 1798
Apterurus fabroni Rafinesque, 1810
Cephaloptera giorna (Lacepède, 1803)
Cephaloptera tatraniana van Hasselt, 1823
Cephalopterus edentula Griffini, 1903
Cephalopterus giornae (Lacepède, 1803)
Cephalopterus massena Risso, 1810
Dicerobatis giornae (Lacepède, 1803)
Manta mobular (Bonnaterre, 1788)
Mobula auriculata Rafinesque, 1810
Mobula diabolus (Shaw, 1804) (모호한 동의어)
Raia fabroniana Lacepède, 1800
Raia mobular Bonnaterre, 1788
Raja cephaloptera Bloch & Schneider, 1801
Raja diabolus Shaw, 1804
Raja giorna Lacepède, 1803
Squalus edentulus Brünnich, 1768
일본어 이름イトマキエイ
일본어 이름 인용본촌 히로유키
영어 이름Giant devil ray
Spinetail devilray
Spinetail devil ray
기타
표준화명 인용『일본산 어류 전종 목록 지금까지 기록된 일본산 어류 전종의 현재 표준화명과 학명』, 가고시마 대학 종합연구박물관, 2020년, 16쪽.
와시톤 조약와시톤 조약 부속서 II

2. 분류

쥐가오리는 1788년 Bonnaterre에 의해 처음으로 가오리속(''Raja'')의 일종으로 분류되어 ''Raja mobular''라는 학명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동물 분류 체계가 개편되면서 가오리속에서 분리되었고, 현재는 ''Mobula mobular''라는 학명을 사용한다.[29]

2017년 6월 24일,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와 동료 연구진들은 공동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까지 ''Mobula mobular''와 다른 종으로 여겨졌던 ''Mobula japanica''가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 ''Mobula mobular''와 동일한 종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Mobula mobular''보다 늦게 명명된 학명인 ''Mobula japanica''는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27]

3. 외형

''Mobula mobular''


날개 너비(양쪽 가슴지느러미의 총 너비)는 보통 3.5m 정도이다.[4] 최대 5.2m까지 자란 기록도 있으나,[5][22] 이는 대양성민둥가오리를 잘못 본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6][7][23] 가슴지느러미를 마치 날개처럼 퍼덕이며 헤엄친다.[29]

한 쌍의 머리지느러미가 있으며, 원통형으로 뚫린 입에는 미세한 이빨이 있다.[29] 비슷한 종인 만타가오리와 비교하면 몸집과 머리지느러미가 작고, 몸통과 꼬리가 더 가늘다.[21]

꼬리는 상당히 길며,[21] 기저부에는 가오리류 특유의 가시가 달려 있다.[4][29] 이 가시는 가시가오리류나 다른 쥐가오리류의 가시만큼 크지는 않고 독성도 강하지 않은 편이다.[21] 일부 자료에서는 쥐가오리과(Mobulidae) 중에서 유일하게 꼬리 가시를 가진 종으로 보기도 한다.[6][7][23]

쥐가오리는 가까운 친척인 작은가오리보다는 크며, 대양성민둥가오리와 산호초민둥가오리 다음으로 쥐가오리과 내에서 세 번째로 큰 종이다.[4] 지중해에 서식하는 유일한 쥐가오리과 종이기도 하다.[5]

4. 분포 및 서식지

쥐가오리는 인도-태평양과 동부 대서양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원양 어류이다.[29][21] 특정한 서식지 없이 넓은 바다를 이동하며, 햇빛이 잘 드는 수면 가까이에서 주로 활동한다.[29] 특히 지중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4] 분지 전체에 걸쳐 서식하지만[8] 동부 지중해와 아드리아해에서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9][24] 레반트해에서 관찰된 대규모 무리는 이곳이 중요한 번식 지역일 가능성을 시사한다.[2][18] 이 외에도 아일랜드 남서부 해안, 포르투갈 남부, 태평양 중서부에서도 서식한다.[4][21] 일본에서는 치바현 이남의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21]

쥐가오리는 연안에서부터 수심 수천 미터에 이르는 심해까지 다양한 깊이에서 발견되지만,[1][17] 주로 수심 0m에서 50m 사이의 표층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5][22] 이탈리아 국립 환경 보호 연구소(ISPRA)의 바이오로깅 조사에 따르면, 쥐가오리는 때때로 최대 600m에서 700m 깊이까지 잠수하기도 한다.[5][22] 이는 다른 종들과 달리 특정 시간대가 아닌, 하루 중 무작위적인 시간에 이루어진다.[5] 쥐가오리는 20°C에서 29°C 사이의 따뜻한 수온을 선호하며,[5][22] 계절에 따라 더 따뜻하고 먹이가 풍부한 해역을 찾아 지중해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10][25]

일반적으로 혼자 또는 소규모 무리로 발견되지만, 때때로 최대 18마리에 이르는 더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1][17][10][25] 이빨이 작기 때문에 주로 수면 가까이에서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 생물을 걸러 먹으며, 가끔 작은 물고기를 섭취하기도 한다.[29]

5. 생태

인도-태평양과 동부 대서양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29] 특정한 서식지를 정하지 않고 넓은 바다를 이동하며 살아가는 원양어류로, 주로 햇빛이 잘 드는 수면 가까이에서 활동한다.[29] 외양의 표층에서 단독으로 또는 무리를 지어 헤엄쳐 다닌다.[22] 때로는 암초산호초 근처로 이동하여, 작은 물고기들이 몸 표면에 붙은 기생충이나 이물질을 먹게 하기도 한다.[22]

평균 수명은 약 20년으로 알려져 있다.[11][17] 하지만 번식력이 매우 낮고 여러 위협 요인에 직면해 있어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향후 60년 안에 개체 수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11][17]

5. 1. 먹이

쥐가오리는 이빨이 작기 때문에 주로 수면 가까이에서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 생물을 걸러 먹는다.[29] 머리에 달린 지느러미를 이용해 플랑크톤갑각류나 작은 물고기 떼를 입으로 유인하여 먹기도 한다.[1] 입을 크게 벌려 바닷물과 함께 먹이를 삼킨 후, 입 안의 아가미를 이용해 먹이만 걸러낸다.[22] 주요 먹이로는 북극 크릴(''Meganyctiphanes norvegica'')과 같은 플랑크톤, 그리고 작은 중층성 물고기청어물고기 등이 있다.[5][22] 때로는 작은 물고기를 직접 잡아먹기도 한다.[29] 쥐가오리는 햇빛이 잘 드는 바다 표면 가까이에서 주로 활동하며 먹이를 찾는다.[29]

5. 2. 번식

쥐가오리는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만을 낳아 번식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9][11][17] 어미의 뱃속에 있는 새끼 쥐가오리는 처음에 몸에 달려 있는 노른자를 흡수하여 성장하고, 노른자를 모두 소모하면 어미의 자궁에서 분비되는 지방과 단백질 등이 풍부한 영양성 점액질을 섭취하며 자란다.[29] 새끼는 어미 몸속에서 알에서 부화한 뒤 충분히 성장한 후에 태어난다.[1] 태아 상태일 때 날개 너비는 최대 166cm, 몸무게는 최대 35kg까지 이를 수 있다.[29][30] 일본 오사카 수족관에서 태어난 큰귀쥐가오리(''Mobula mobular'') 새끼의 경우, 출생 시 원반 너비가 1.03m였다.[12]

쥐가오리의 평균 수명은 약 20년이다.[11][17] 낮은 번식력 때문에 개체 수 회복이 더뎌, 현재의 감소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60년 안에 개체 수가 최소 5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11][17]

6. 인간과의 관계

쥐가오리는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낮아 일부러 잡는 경우는 드물지만, 가다랑어와 같은 다른 물고기를 잡을 때 함께 혼획되는 경우가 많다.[30]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쥐가오리의 아가미 부위를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30][17] 또는 식용이나 가죽으로 활용하기 위해[17] 잡기도 한다. 이러한 어업 활동과 낮은 번식률, 환경 변화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쥐가오리의 개체 수는 감소하고 있어 보호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보존 상태 참고)

한편, 쥐가오리는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기도 했는데, 미국 프로야구 MLB의 탬파베이 레이스 팀은 과거 '데빌레이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쥐가오리를 상징으로 삼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적 상징 참고)

6. 1. 보존 상태

쥐가오리는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낮아 어부들이 일부러 잡지는 않지만, 가다랑어와 같은 다른 어류를 잡을 때 함께 잡히는 혼획이 자주 발생한다.[30] 그러나 쥐가오리의 아가미 부위를 약재로 판매하기 위해 남획하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한다.[30][17] 또한, 쥐가오리는 번식률이 낮기 때문에[30][13][10] 개체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쥐가오리는 서식 범위가 제한적이고 번식률이 낮아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13][10]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어업 활동 중 발생하는 혼획이다. 대형 쥐가오리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어획 과정에서 함께 잡힌(혼획된) 개체들을 통해 수집되었는데, 이는 혼획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칼새치 어망에서의 혼획으로 인한 폐사가 많이 보고되며, 드물게는 긴낚시줄, 정치망, 트롤 어업, 자망, 다랑어 통발 등 다양한 어구에서도 혼획된다.[5] 이 외에도 산업 폐기물과 고형 폐기물로 인한 해양 오염[11], 지중해의 오염[10][13], 레크리에이션 및 상업적 어업[14], 연안 개발로 인한 치어 서식지 파괴, 원유 유출, 선박과의 충돌,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17] 가자 지구이집트에서는 현지 소비를 위해 쥐가오리를 잡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4], 식용이나 가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아가미판이 한약재가 된다는 믿음 때문에 거래되는 경우도 있다.[17]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적색 목록에서 쥐가오리를 위급(EN, Endangered)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30] IUCN은 2004년 쥐가오리를 취약종(VU, Vulnerable)으로 분류했으나, 낮은 개체군 회복력과 지속적인 높은 혼획 사망률 때문에 2006년에는 멸종위기종(EN, Endangered)으로 등급을 상향 조정했다.[1] 다만, 쥐가오리의 동종이명으로 여겨지는 ''Mobula japanica''는 두 단계 낮은 준위협(NT, Near Threatened)으로 분류되고 있어, 해당 종의 적색 목록 등급을 재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30]

국제적인 보호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2017년에는 쥐가오리가 속한 쥐가오리속(Mobula) 전체가 워싱턴 조약(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16] 또한 베른 협약과 바르셀로나 협약에 따라서도 보호받고 있다.[8] 일부 국가에서는 자체적인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아드리아 해 연안의 이탈리아크로아티아에서는 대형 쥐가오리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알바니아에서는 대형 쥐가오리의 어획, 운송, 상륙 및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8] 뉴질랜드에서는 2018년 6월 뉴질랜드 보존부가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쥐가오리를 "자료 부족(Data Deficient)"으로 분류하고 "해외 안전(Secure Overseas)"이라는 조건을 추가했다.[15]

6. 2. 문화적 상징

MLB의 탬파베이 레이스는 과거 '탬파베이 데빌레이스'라는 팀명을 사용했는데, 이때 '데빌레이'(Devil Ray)는 쥐가오리를 의미했다. 이는 팀의 연고지인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스버그가 접한 플로리다 만에 쥐가오리가 많이 서식하는 것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2008년 시즌부터 팀 이름은 '탬파베이 레이스'로 변경되었고, '레이스'(Rays)는 쥐가오리가 아닌 '광선'(Ray)을 의미하게 되었다.

참조

[1] IUCN Mobula mobular 2021-03-09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WoRMS Mobula mobular (Bonnaterre, 1788) 2021-03-18
[4] FishBase
[5] 저널 Diving behavior of the giant devil fish in the Mediterranean Sea 2011-08-11
[6] 저널 The giant devil ray Mobula mobular (Bonnaterre, 1788) is not giant, but it is the only spinetail devil ray
[7] 저널 The giant devil ray Mobula mobular (Bonnaterre, 1788) is not giant, but it is the only spinetail devil ray
[8] 저널 Rare or just unknown? The occurrence of the giant devil ray (Mobula mobular) in the Adriatic Sea 2013
[9] 간행물 Guide of Mediterranean Skates and Rays (Mobula mobular) http://www.ciesm.org[...] 2022-10
[10] 저널 The Devil We Don't Know: Investigating Habitat and Abundance of Endangered Giant Devil Rays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Sea 2015-11-18
[11]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04-09
[12] 웹사이트 イトマキエイの出産と赤ちゃん死亡のお知らせ https://www.kaiyukan[...]
[13] 저널 Mobulid ray by-catch in longline fisheries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2015-09-15
[14] 저널 Vulnerabilities and fisheries impacts: the uncertain future of manta and devil rays https://pure.rug.nl/[...] 2016
[15]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16] 웹사이트 Mobula mobular https://www.speciesp[...] 2021-01-10
[17] IUCN Mobula mobular 2024-01-25
[18]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9] 서적 日本産魚類全種目録 これまでに記録された日本産魚類全種の現在の標準和名と学名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 사전 大辞林 4.0 三省堂
[21] FishBase
[22] 저널 Diving behavior of the giant devil fish in the Mediterranean Sea 2011-08-11
[23] 저널 The giant devil ray Mobula mobular (Bonnaterre, 1788) is not giant, but it is the only spinetail devil ray
[24] 간행물 Guide of Mediterranean Skates and Rays (Mobula mobular) http://www.ciesm.org[...] 2022-10
[25] 저널 The Devil We Don't Know: Investigating Habitat and Abundance of Endangered Giant Devil Rays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Sea 2015-11-18
[26] 저널 Mobulid ray by-catch in longline fisheries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2015-09-15
[27] 저널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2017-06-24
[28] 웹인용 Common Names List - Mobula mobular http://www.fishbase.[...] 2017-08-02
[29] FishBase
[30] 웹인용 Mobula mobular (Giant devil ray) http://www.iucnredli[...] 2017-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