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노출치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속노출치료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의 한 유형으로, 심상적 노출과 실제적 노출을 핵심 요소로 한다. 심상적 노출은 트라우마 기억을 떠올려 이야기하는 것이고, 실제적 노출은 고통스럽지만 안전한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 치료는 트라우마 기억을 처리하고, PTSD 환자들이 흔히 보이는 회피 반응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치료는 최소 8회기로 진행되며, PTSD 환자 중 10~38%가 치료를 완료하기 전에 중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 요법 - 체계적 둔감화
체계적 둔감화는 공포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점진적 노출을 통해 불안 반응을 감소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이다. - 행동 요법 - 노출 요법
노출 요법은 공포증, 강박장애, PTSD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으로, 환자를 불안 유발 자극에 노출시켜 회피 행동 감소 및 불안 반응 완화를 목표로 하며, 생체 내 노출, 심상적 노출, 가상현실 노출, 체내수용기 노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지만, 심리학자들의 이해 부족 및 부정적 인식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인지 행동 치료 - 노출 요법
노출 요법은 공포증, 강박장애, PTSD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으로, 환자를 불안 유발 자극에 노출시켜 회피 행동 감소 및 불안 반응 완화를 목표로 하며, 생체 내 노출, 심상적 노출, 가상현실 노출, 체내수용기 노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지만, 심리학자들의 이해 부족 및 부정적 인식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인지 행동 치료 - 인지처리치료
인지처리치료는 외상 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상 경험을 이해하고 재개념화하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정신 교육, 외상 처리, 신념 재평가 단계를 거쳐 인지 왜곡을 수정하여 심리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 행동주의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행동주의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지속노출치료 | |
---|---|
개요 | |
이름 | 지속 노출 치료 |
다른 이름 | 장기 노출 요법 PE |
유형 | 인지 행동 치료 |
목적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의 치료 |
역사 | |
개발자 | 에드나 포아 |
개발 시기 | 1980년대 |
방법 | |
핵심 요소 | 심리 교육 체내 노출 생생한 노출 |
효과 | |
효과 | PTSD 증상 감소에 효과적 |
장점 | 약물 치료에 비해 장기적인 효과 |
단점 | 치료 과정에서 일시적인 고통 발생 가능성 |
추가 정보 | |
관련 질환 | 불안 장애 공황 장애 사회 불안 장애 |
주의사항 |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치료자에 의해 실시되어야 함 |
2. 구성 요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하는 것(트라우마 트리거)에 의해 촉발되는 관입기억, 악몽, 플래시백, 강렬한 정서적·심리적 반응을 통해 트라우마적 사건을 재경험하는 것이 특징이다. PTSD 환자는 이러한 관입증상을 막으려고 하며, 트리거가 위험하지 않은 경우에도 피하려고 한다. 트라우마적 기억과 트리거를 다루기 위해, 지속노출치료는 다음과 같은 핵심 구성 요소를 가진다.
- 심상적 노출 (Imaginal exposure): 트라우마적 기억을 다시 떠올려 큰 소리로 말하며 재경험을 처리한다.
- 실제적 노출 (In vivo exposure): 고통을 유발하지만 위험하지 않은 상황과 대상을 반복해서 직면한다.
치료 목적은 트라우마 기억 처리를 촉진하고 트리거에 의해 촉발되는 고통과 회피반응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정서 둔마와 우울증을 겪는 환자에게는 공포나 불안을 유발하진 않지만 흥미를 잃어 중단했던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장려한다.[25]
두 구성 요소는 정서 처리를 통해 트라우마적 기억과 회피반응이 익숙해지고(둔감화) 더 잘 견디게 한다.[26]
2. 1. 심상적 노출 (Imaginal exposure)
심상적 노출법은 치료 회기 동안 항상 실시하며, 치료사에게 트라우마에 대하여 재구성하여 이야기하는 것이다. 트라우마적 기억을 다시 떠올려 보고 이것을 큰 목소리로 말해보며 다시 떠오르는 경험을 처리한다.[25]이는 정서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동하게 되어, 트라우마적 기억과 회피 반응이 익숙해지고(둔감화) 더욱 더 잘 견디게 된다.[26]
2. 2. 실제적 노출 (In vivo exposure)
PTSD 환자 대부분은 관입 증상을 막으려고 하며, 트리거가 위험하지 않은 경우에도 트리거를 피하려고 한다. 실제적 노출법은 고통을 유발하지만 자체로는 위험하지 않은 상황과 대상을 반복해서 직면하도록 하는 것이다.[25]임상가는 내담자와 함께 공포와 회피 위계를 수립해 보고, 노출을 목록 아이템에 과제로 꾸준히 할당한다. 치료사는 회기를 기록하고 기록을 참조하여 틈이 날 때마다 실제적 노출법을 계속 완수할 것을 요구한다.[20]
이러한 실제적 노출법은 정서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동하게 되어, 트라우마적 기억들과 회피 반응들이 익숙해지고(둔감화) 더욱 더 잘 견디게 된다.[26]
2. 3. 기타 요소
지속노출치료의 핵심 구성요소는 심상적 노출법과 실제적 노출법이다. 심상적 노출법은 치료 회기 동안 항상 실시하며, 치료사에게 트라우마에 대하여 재구성하여 이야기하는 것이다. 실제적 노출법의 경우, 임상가는 내담자와 함께 공포와 회피 위계(fear and avoidance hierarchy)를 수립해보고, 노출을 목록 아이템에 과제로 꾸준히 할당한다. 치료사는 회기를 기록하고 기록을 참조하여 틈이 날 때마다 실제적 노출법을 계속 완수할 것을 요구한다.[20]두 구성요소는 정서 처리(emotional processing)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동하며, 트라우마적 기억들과 회피반응들이 익숙해지고(둔감화, desensitize) 더욱 더 잘 견디게 된다.[26]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지속노출치료에 참여한 PTSD 환자 중 단 10-38%만이 프로그램 완결 전에 치료를 끝낸다고 하는데, 보통은 최소 8회기를 마치고 나서 중지한다.[20]
3. 치료 효과 및 연구
- -|]]|섬네일|에드나 B. 포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불안 치료 및 연구 센터의 소장인 에드나 B. 포아가 개발한 지속노출치료는 이론에 기반하며,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 불안, 분노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다.[19] 이 치료법은 노출기반치료의 범주에 속하며,[20] 환자 증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가 뒷받침하고 있다.[21]
노출기반치료는 불안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무해한 수준에서 트라우마나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직면하도록 돕는다.[20] 지속노출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필요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며, 트라우마 사건의 심리적 처리와 심리적 혼란 감소를 돕도록 설계되었다. 실제 만성 PTSD 환자의 약 80%가 치료를 통해 유의미한 증상 개선을 경험했다.
지속노출치료는 다년간의 실험과 개발을 거쳐 다양한 트라우마 피해자에게 적용 가능한 개입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22] PTSD 증상 완화 외에도 자신감 및 숙달감 증진, 일상 기능 향상, 스트레스 상황 대처 능력 강화, 안전/위험 상황 구별 능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23]
2001년,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약물남용및정신보건청(SAMHSA)은 PTSD 환자용 지속노출치료를 모범적인 약물남용방지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약물남용방지센터(CSAP)를 통해 미국 전역에 보급되는 모범 프로그램으로 지정했다.[24]
현재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치료사들은 강간, 폭행, 아동 학대, 전투, 자동차 사고, 재난 등 다양한 트라우마 경험자를 치료하기 위해 지속노출치료를 활용하고 있다. 이 치료법은 PTSD와 약물남용을 동시에 겪는 환자에게 약물남용치료와 병행 시 효과적이며,[22] PTSD와 경계선성격장애를 함께 가진 환자에게는 변증법적 행동치료와 병행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1]
일각에서는 환자를 의도적으로 트라우마 유발 요인에 노출시키는 것이 약물남용장애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지만, 무작위 대조군 실험 결과 지속노출치료가 약물남용장애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7] 지속노출치료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는데,[28] 네덜란드에서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보다 지속노출치료에 환자들이 더 잘 반응했으며, 치료 6개월 후에는 심각한 정신병과 조현증 완화 효과도 나타났다.[28] 이스라엘에서는 메타돈 복용 여성 환자 소규모 그룹에서 지속노출치료 후 증상 감소가 확인되었고,[28] PTSD를 앓는 여성 퇴역 군인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는 지속노출치료가 지지치료보다 월등한 효과를 보였다.[29]
4. 한국 사회에서의 적용 및 과제
한국 사회에서 지속노출치료는 군 복무, 산업 재해 및 재난 등 다양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최근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지속노출치료를 강간, 폭행, 아동 학대, 전투, 자동차 사고, 재난 등을 겪은 트라우마 환자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PTSD를 앓는 여성 퇴역 군인에게 지속노출치료가 효과적이며,[29] PTSD와 약물 남용을 동시에 앓는 환자들에게도 약물 남용 치료와 병행하여 효과를 보였다.[22]
4. 1. 군 복무 관련 PTSD
최근 미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 치료사들이 지속노출을 이용하여 강간, 폭행, 아동학대, 전투, 자동차 사고, 재난 등을 겪은 트라우마 환자들을 치료하려고 한다.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은 여성 퇴역 군인들에게 지속노출치료는 지지치료보다 월등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29]4. 2. 산업 재해 및 재난
최근 미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 치료사들이 지속노출을 이용하여 강간, 폭행, 아동학대, 전투, 자동차 사고, 재난 등을 겪은 트라우마 환자들을 치료하려고 한다. 지속노출치료는 PTSD와 약물 남용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약물 남용 치료와 병행할 때 효과가 있었다.[22]참조
[1]
논문
Treating PTSD: A Review of Evidence-Based Psychotherapy Interventions
2018
[2]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verview of Evidence-Based Assessment and Treatment
2016-11
[3]
논문
The Use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and Prolonged Exposure to Treat Comorbid Dissociation and Self-Harm: The Case of a Cli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15-08
[4]
논문
Intensive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chronic PTSD patients following multiple trauma and multiple treatment attempts
2018-01
[5]
논문
Changes in reported physical health symptoms and social function with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09-08
[6]
논문
Prolonged exposure in patients with chronic PTSD: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and dropout
2002-04
[7]
논문
Prolonged exposure therapy: past, present, and future
2011-12
[8]
웹사이트
Treatment of PTSD at the CTSA
http://www.med.upenn[...]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Center for Substance Abuse Prevention (SAMHS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9]
서적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0
[10]
논문
Prolonged exposur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the 9/11 attack with a person who escaped from the twin towers.
2008-04
[11]
논문
Expos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08
[12]
논문
Emotional Processing in Individuals with Substance Us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17
[13]
논문
Tre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Diverse Settings: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2016-12
[14]
논문
Prolonged exposure vs supportive counseling for sexual abuse-related PTSD in adolescent girl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13-12
[15]
웹사이트
持続エクスポージャー療法(PE)とは何でしょうか
http://pe-jp.org/pts[...]
PE Japan
2024-06-30
[16]
서적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0
[17]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verview of Evidence-Based Assessment and Treatment
2016-11
[18]
논문
Prolonged exposur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the 9/11 attack with a person who escaped from the twin towers.
2008-04
[19]
논문
Treating PTSD: A Review of Evidence-Based Psychotherapy Interventions
2018
[20]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verview of Evidence-Based Assessment and Treatment
2016-11
[21]
논문
The Use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and Prolonged Exposure to Treat Comorbid Dissociation and Self-Harm: The Case of a Cli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15-08
[22]
논문
Expos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08
[23]
논문
Do You Need To Talk About It? Prolonged Exposur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TSD
2006
[24]
웹사이트
http://www.med.upenn[...]
[25]
서적
Psycho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0
[26]
논문
Prolonged Exposur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the 9/11 attack with a person who escaped from the Twin Towers
2008
[27]
논문
Emotional Processing in Individuals with Substance Us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17
[28]
논문
Tre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Diverse Settings: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2016-12
[29]
논문
Prolonged exposure vs supportive counseling for sexual abuse-related PTSD in adolescent girl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1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