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도 (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도는 대한민국 공군과 주한 미군이 전투기 사격 훈련을 위해 사용해 온 섬이다. 1980년부터 직도 사격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5년 매향리 사격장 폐쇄 이후 대체 훈련장으로 주목받았다. 직도 사격장 사용을 둘러싸고 군산 시민과 어민들의 반발이 있었으며, 국방부는 2007년 사격장 사용을 허가했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를 잇는 고군산로가 건설되었다.
대한민국 공군과 제7공군에서 전투기와 폭격기 등의 전투용 군용기의 공대지 사격 훈련을 위해 1980년부터 직도 사격장(Chik-do Range영어)이라 이름붙였다.[1] 25년 뒤, 2005년 8월 13일에 이용 중단을 선언한 경기도 화성시의 매향리 사격장(Koon-ri Range영어)[3]을 대체할 곳을 찾고 있던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방부는 직도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곧 이미 옛날부터 제멋대로 쓰고 있던 것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1986년 10월에 행정 구역 명칭 변경으로 직도의 소유권을 갖고 있던 산림청에 의해 발각되었다.[1] 이 소식을 전해들은 안보 논리 때문에 참고 있던 어민들은 반발하였다.[4]
2. 직도 사격장
2006년 9일 21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포럼에서 제7공군사령관 게리 R. 트랙슬러(Garry R. Trexler영어[5]) 중장은 사격 훈련시설의 부재로 일본 오키나와현과 알래스카주에서 사격훈련을 하고 있고, 훈련을 위해 한미 안보협의회의가 열리는 10월 1일 전에 해결하지 않으면 주한 미국 공군의 전력을 한반도 밖으로 빼야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6][7]
2007년 9월 25일, 국방부는 군산시청에서 양측 공군의 훈련량을 채우기 위해 직도 사격장의 사용 및 자동채점장비(WISS)의 설치 공사를 허가하였음을 발표하였다.[8] 직도 사격장의 정부차원에서의 공식적인 허가의 영향으로 군산시민들은 반대집회를 열였고, 전라북도 도청에서 보상차원에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를 잇는 왕복 2차선 도로인 고군산로를 건설하였다. 차질이 생겨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걸렸다.[9]
2. 1. 역사
대한민국 공군과 제7공군에서 전투기와 폭격기 등의 전투용 군용기의 공대지 사격 훈련을 위해 1980년부터 직도 사격장(Chik-do Range영어)이라 이름붙였다.[1] 2005년 8월 13일, 매향리 사격장(Koon-ri Range영어)[3]이 폐쇄되면서,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방부는 대체지로 직도를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방부와 산림청이 직도 사격장 사용 사실을 인지하면서 어민들의 반발이 시작되었다.[4]
2006년 9월 21일, 제7공군사령관 게리 R. 트랙슬러(Garry R. Trexler영어[5]) 중장은 사격 훈련 시설 부족 문제를 제기하며 한미 안보협의회의가 열리는 10월 1일 이전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주한 미국 공군의 전력을 한반도 밖으로 이동시켜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6][7]
2007년 9월 25일, 국방부는 직도 사격장 사용 및 자동채점장비() 설치 공사를 허가하였다.[8] 이로 인해 군산시민들의 반대 집회가 열렸고, 전라북도 도청은 보상 차원에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를 잇는 고군산로를 건설하였다. 고군산로 건설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되었다.[9]
2. 2. 갈등 및 문제점
대한민국 공군과 제7공군은 1980년부터 직도에 전투기 및 폭격기 등의 전투용 군용기 공대지 사격 훈련을 위한 직도 사격장(Chik-do Range영어)을 운영해왔다.[1] 2005년 8월 13일, 매향리 사격장(Koon-ri Range영어)[3]의 이용 중단 선언 이후,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방부는 직도를 대체지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1986년 10월 행정 구역 명칭 변경으로 직도의 소유권을 갖게 된 산림청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무단으로 직도를 사용해 온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1] 이 소식에 어민들은 안보 논리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반발하였다.[4]
2006년 9월 21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포럼에서 제7공군사령관 게리 R. 트랙슬러(Garry R. Trexler영어[5]) 중장은 사격 훈련 시설 부재로 인해 일본 오키나와현과 알래스카주에서 사격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미 안보협의회의가 열리는 10월 1일 이전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주한 미국 공군의 전력을 한반도 밖으로 이동시켜야 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6][7]
2007년 9월 25일, 국방부는 군산시청에서 양측 공군의 훈련량 충족을 위해 직도 사격장 사용 및 자동채점장비() 설치 공사 허가를 발표하였다.[8] 정부의 공식적인 직도 사격장 허가에 따라 군산시민들은 반대 집회를 열었고, 전라북도 도청은 보상 차원에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를 잇는 왕복 2차선 도로인 고군산로를 건설하였다. 이 도로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건설되었다.[9]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의 소통 부족 및 일방적인 결정으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였고, 사격 훈련으로 인한 소음, 환경 오염, 어업권 침해 등 지역 주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보상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2. 3. 자동채점장비 (WISS)
2. 4. 고군산로 건설
대한민국 공군과 제7공군의 전투기 및 폭격기 훈련을 위한 직도 사격장 사용 허가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를 잇는 왕복 2차선 도로인 고군산로가 건설되었다.[9] 2007년 9월 25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산시청에서 양측 공군의 훈련량 충족을 위해 직도 사격장 사용 및 자동채점장비(WISS) 설치 공사를 허가했음을 발표하였다.[8] 고군산로는 당초 계획과 달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건설되었으며,[9]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뉴스
25년 불법 사격장 직도 ‘분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05-21
[2]
뉴스
공군-해군, 군산 직도사격장 바다속 불발탄 12발 처리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5-21
[3]
뉴스
Pacific briefs: USFK stops using Koon-ni range
https://www.stripes.[...]
2019-05-21
[4]
뉴스
군산어민들 `직도 미군사격장 폐쇄해야`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9-05-21
[5]
웹인용
Lieutenant General Garry R. Trexler
https://www.af.mil/A[...]
United States Air Force Public Affairs
2019-05-21
[6]
뉴스
주한美공군 사격장 문제 “30일내 해결안되면 전력 빼겠다”
http://news.donga.co[...]
dongA.com
2019-05-21
[7]
뉴스
한국내 훈련장 시설 안돼 주한미군 타지서 사격훈련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
2019-05-21
[8]
뉴스
군산시 “직도사격장 허가” 공식발표
http://www.hani.co.k[...]
한계레
2019-05-21
[9]
뉴스
군산 고군산 4개 섬 육지 됐다…8.77km 연결도로 전면개통
https://www.yna.co.k[...]
201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