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군산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군산군도는 섬들이 모여 산처럼 보이는 지형으로, 고려 시대에는 송나라 무역로의 기항지이자 최무선이 왜구와 전투에서 승리한 진포해전의 기지였다. 조선 시대에는 수군 기지가 육지로 이전하면서 '고'자가 붙었다. 19세기까지는 전라도 만경군에 속했으며, 1896년 지도군에 편입, 전주부 지도군 고군산면이 되었다가 전라남도 지도군을 거쳐 1914년 전라북도 옥구군에 편입되었다. 지질학적으로는 중생대 백악기 화산암인 선유도 화산암체가 발달하며, 야미도 유문암과 선유도 유문각력암이 주요 암석이다. 특히 경관이 뛰어난 8곳을 고군산 8경이라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군산군도 - 선유도 (군산시)
    선유도는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아름다운 경치와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2017년 육지와 연결되어 선유팔경으로 불리는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 고군산군도 - 말도항 (군산시)
    말도항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에 위치하며, 1998년 서방파제와 동방파제 완공으로 개발되었고, 말도 등대를 기준으로 수역이 3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대한민국의 군도 - 서해 5도
    서해 5도는 대한민국 서해 황해도 연안에 위치한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의 다섯 섬으로,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관할이 되었으며 북방한계선을 둘러싸고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는, 과거 황해도에 속했으나 현재는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된 군사적 요충지이다.
  • 대한민국의 군도 - 조도면
    조도면은 전라남도 진도군에 속하며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1899년 진도면에서 분리되어 면 행정이 시작되었으며, 상조도, 하조도, 가사도 등을 포함하여 현재 23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새만금 - 동진강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발원하여 부안군까지 흐르는 동진강은 총 연장 44.7km의 하천으로, 원평천, 고부천, 정읍천 등의 주요 지류와 함께 다수의 지류가 합류하며, 일부 구간은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으로 지정 관리된다.
  • 새만금 - 새만금 방조제
    대한민국 군산시와 부안군을 연결하는 총 길이 33km의 새만금 방조제는 농경지 및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수질 오염 논란을 겪으며 습지 복원과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고군산군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글고군산군도
한자古群山群島
로마자 표기Gogunsangundo
섬 정보
주요 섬신시도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2. 역사

섬이 많이 모여 처럼 보인다 하여 '''군산도'''(群山島)라고 불렀다. 고려 시대에는 고려-송나라 무역로의 기항지였을 뿐만 아니라, 최무선이 왜구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진포해전(鎭浦海戰)의 기지였다. 고려 때에 수군(水軍) 기지를 두고 군산진(群山鎭)이라 하였는데, 조선 세종 때에 수군 기지가 육지로 이전하면서 '군산'이라는 원래의 이름은 기지가 옮긴 육지로 가고, 이 지역에는 이름 앞에 '고'(古)자가 붙었다.

19세기까지는 대부분의 섬이 전라도 만경군(현 김제시)에 속하였고, 군도 남단의 비안도와 두리도는 부안군에 속했다.[2] 1896년 2월 3일에 새로 설치된 지도군에 고군산군도의 섬들이 모두 편입되어 전주부 지도군 고군산면이 되었다. 같은 해 8월 4일에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전라남도 지도군의 관할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 지도군이 폐지되면서 고군산면이 전라북도 옥구군(현 군산시)에 편입되었다.

3. 지질

고군산군도는 중생대 백악기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암석이 주로 분포하며, 이 암석들은 '선유도 화산암체'라고 불린다.[3]

3. 1. 암석

고군산군도 지역에는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암이 발달한다. 이는 '''선유도 화산암체'''라 불린다.[3]

  • '''무녀도 조면암'''(Kmtr; munyeo island trachyte)은 무녀도 남부와 신시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유문암과는 점이적인 관계로 생각되나 명확히 정의되진 못하였다. 무녀도 지역에서 유상 구조가 발달되기도 하나 대개는 덩어리 모양이며 야외 노두에서 담색 또는 약간 붉은 빛을 띠는 정도를 보여준다.[1]
  • '''야미도 유문암'''(Kyrh; yami island rhyolite)은 야미도를 비롯하여 동에서 서로, 신시도, 무녀도, 선유도, 곶리도, 그리고 조그마한 섬인 계도, 시투섬, 살막섬, 박섬, 백포섬 등에 분포한다. 야미도 유문암은 유동 구조가 현저히 잘 발달되기도 하나 덩어리 모양인 경우도 적지 않다. 야미도 유문암은 신선한 노두에서 회색을 띠나 대개 백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야미도 지역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르콘을 SHRIMP 분석한 결과 야미도 유문암의 암석 연령이 93.6±2.1Ma (9300만 년 전)로 나타났으며 부안 화산암체의 암석 연령이 8~9천만년 전인 것을 감안할 때 선유도 일대 화산체의 형성이 부안 화산체보다 약간 이른 시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
  • '''선유도 유문각력암'''(Ksrb; seonyu island rhyolite breccia)은 선유도를 비롯하여 대장도, 장자도, 솔섬, 닭섬 등지에 분포하며 이 지역의 유문암은 파쇄되어 다른 유문암과는 구별된다. 이 암석은 선유도 일대 화산체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화산체 분출과 이에 따른 화도의 붕락 과정에서 형성되었거나 중첩되는 분출 과정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면 이 유문각력암의 존재는 '''이 분포지가 화산체의 중심부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1] 무녀도 무녀항 동쪽에 두 개의 무인도가 있으며 이 지역에서도 유문각력암이 발달하며 중첩된 유문암 관입/분출로 각력을 이루기도 한다. 대장도 서부 일부 노두에서는 각력이 늘어나 있는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비교적 고온의 용암 상태로 있던 당시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1]

4. 고군산 8경

고군산군도에서 특히 경관이 뛰어난 곳을 고군산 8경이라 부른다.


  • '''명사십리'''(明沙十里): 선유도의 10리 길이 모래사장이다.
  • '''선유낙조'''(仙遊落照): 석양이 지는 바다가 붉게 물드는 장관이다.
  • '''평사낙안'''(平沙落雁): 모래사장의 팽나무기러기가 내려앉은 모습과 같다.
  • '''망주폭포'''(望主瀑布): 귀양 간 선비임금을 그리며 흘리는 눈물과 같다.
  • '''장자어화'''(壯子漁火): 장자도 앞바다에서 에 조업하는 어선들의 불빛이다.
  • '''월영단풍'''(月影丹楓): 신시도단풍빛 그림자와 함께 바다에 비치는 모습이다.
  • '''삼도귀범'''(三島歸帆): 선유도 앞 3개 섬이 돛단배가 섬으로 들어오는 모습과 같다.
  • '''무산십이봉'''(無山十二峯): 방축도, 명도, 말도 3개 섬의 12개 봉우리가 여러 무사들이 서있는 모습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위치/기후/특성 http://www.gunsan.go[...] 2015-07-18
[2] 웹사이트 옥도면 연혁 http://www.gunsan.go[...] 2015-07-18
[3] 웹인용 군산·부안·방축도·장자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3-00-00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를 입력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