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게제비갈매기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게제비갈매기류는 부리가 독특하게 발달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조류로, 아랫부리가 윗부리보다 길어 수면 위를 스치듯 날아다니며 먹이를 잡는다. 칼 린네가 1758년 처음 명명한 속(Rynchops)에 속하며, 검은집게제비갈매기,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 인도집게제비갈매기 3종으로 분류된다. 인도집게제비갈매기는 국제자연보전연맹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매기과 -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갈매기과의 새로서, 여름에는 초콜릿 갈색 머리를, 겨울에는 흰색 머리에 검은 반점을 가지며, 해안, 호수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잡식성을 띠고,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 갈매기과 - 용암갈매기
    용암갈매기는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갈매기과의 고유종으로, 회갈색 몸통, 검은 부리, 붉은 눈꺼풀을 가지며, 서식지 침입과 외래종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는 희귀한 종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집게제비갈매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이름해오라기사촌속
학명Rynchops
명명자Linnaeus, 1758
속의 종검은집게제비갈매기 (R. niger)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 (R. flavirostris)
인도집게제비갈매기 (R. albicollis)
특징
검은집게제비갈매기 비행 모습
검은집게제비갈매기(R. niger) 물 위를 스키밍하는 모습
영어 이름Skimmer
일본어 이름ハサミアジサシ (Hasami-ajisashi)

2. 특징

집게제비갈매기류는 아랫부리가 윗부리보다 긴 독특한 부리를 가진 유일한 조류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강 위를 낮고 빠르게 날면서 아랫부리로 수면 위를 스치듯 베어가며 작은 물고기를 잡는 독특한 사냥 방식을 갖는다.[2] 집게제비갈매기류는 때때로 갈매기과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다른 분류에서는 제비갈매기의 자매 그룹으로 간주하여 분리하기도 한다.[3]

검은집게제비갈매기는 틈새 모양의 동공을 가진 유일한 조류 종으로 알려져 있다.[4] 이마, 둘째 날개의 끝, 꼬리 깃털, 그리고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나머지 깃털은 검은색이고 부리의 기저부 절반은 진홍색이다.[5] 이들의 부리는 양안 시야 내에 위치하여 부리를 신중하게 위치시키고 먹이를 잡을 수 있게 한다.[6]

집게제비갈매기류는 비행에 민첩하며 강과 해안의 모래톱을 따라 큰 무리를 지어 모인다.[7] 제비갈매기와 비슷하게 아래 부리가 위 부리보다 길며, 수면 바로 위를 비행하면서 아래 부리만 물속에 넣어 물고기 등 수생 동물을 잡아먹는다.

3. 분류

집게제비갈매기속(''Rynchops'')은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 기술하였다.[9] 속명 ''Rynchops''는 "부리"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ῥυνχος/''rhunkhos''와 "자르다"를 뜻하는 κοπτω/''koptō''에서 유래되었다.[11] 모식종은 검은집게제비갈매기 (''Rynchops niger'')이다.[12]

과거에는 집게제비갈매기과(Rynchopidae)의 유일한 속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분자 계통학적 연구 결과 갈매기속 등과 함께 갈매기과에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16][17]

4. 하위 종

집게제비갈매기속에는 다음 3종이 속한다.[14]

이름학명분포 지역이미지
검은집게제비갈매기R. niger북미 대서양 연안,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페루 태평양 연안, 아마존 분지, 아르헨티나 중부까지의 남아메리카 대서양 연안
검은집게제비갈매기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R. flavirostris세네갈에서 콩고강 북부 및 나일강 남부 계곡, 탄자니아 남부에서 잠베지 계곡, 콰줄루나탈 주(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앙골라까지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
인도집게제비갈매기R. albicollis파키스탄 인더스강 유역의 카슈미르와 인도 북부 및 중부, 갠지스강, 방글라데시 및 버마, 과거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에서도 서식
인도집게제비갈매기


4. 1. 검은집게제비갈매기 (''Rynchops niger'')

검은집게제비갈매기는 모래 해변에 3~6개의 알을 낳으며, 암컷이 알을 품는다.[8] 틈새 모양의 동공을 가진 유일한 조류 종으로 알려져 있다.[4] 이마, 둘째 날개의 끝, 꼬리 깃털, 그리고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나머지 깃털은 검은색이고 부리의 기저부 절반은 진홍색이다.[5] 부리는 양안 시야 내에 위치하여 먹이를 잡을때 부리를 신중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6] 비행에 민첩하며 강과 해안의 모래톱을 따라 큰 무리를 지어 모인다.[7]

4. 2.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 (''Rynchops flavirostris'')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Rynchops flavirostris'')는 세네갈에서 콩고강 북부 및 나일강 남부 계곡, 탄자니아 남부에서 잠베지 계곡, 콰줄루나탈 주(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앙골라까지 분포한다.[17] 집게제비갈매기류는 아랫부리가 윗부리보다 더 긴 독특한 부리를 가진 유일한 새이며, 이러한 특징은 물고기를 잡는 독특한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2] 강 위를 낮고 빠르게 날면서 아랫부리로 물 표면을 스치듯이 베어가며 작은 물고기를 잡아챈다.[2]

4. 3. 인도집게제비갈매기 (''Rynchops albicollis'')

인도집게제비갈매기(''Rynchops albicollis'')는 아랫부리가 윗부리보다 긴 독특한 부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물 위를 낮게 날면서 아랫부리로 수면을 스치듯이 베어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2]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모래 해변에 3~6개의 알을 낳으며, 암컷이 알을 품는다. 둥지를 트는 서식지가 제한적이어서 방해받기 쉽다.[8]

인도집게제비갈매기는 먹이를 얻는 호수와 강이 파괴되고 황폐화되면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8]

5. 보존

집게제비갈매기류는 제한적인 둥지 서식지로 인해 인간의 활동에 취약하다. 세 종 모두 둥지에서 방해를 받기 쉽다. 인도집게제비갈매기는 먹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호수와 강의 파괴 및 황폐화로 인해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8]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 논문 Fish Prey of the Black Skimmer Rynchops Niger at Mar Chiquita, Buenos Aires Province, Argentina http://www.marineorn[...] 2003-02
[3] 논문 Multilocus perspectives on the monophyly and phylogeny of the order Charadriiformes (Aves)
[4] 논문 On the Slit Pupil of the Black Skimmer (Rynchops niger) http://sora.unm.edu/[...]
[5] 웹사이트 THE BIRD BOOK https://www.gutenber[...]
[6] 논문 Vision and the foraging technique of Skimmers (Rynchopidae)
[7] 간행물 Connecticut Wildlife http://www.ct.gov/de[...] Connecticut Department of Environment Protection Bureau of Natural Resources – Wildlife Division 2006-05
[8] 웹사이트 Large dams and barrages are an increasing threat to wetland-dependent bird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4-02-21
[9]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10] 논문 Contributions to a list of first reviser actions: ornithology https://www.research[...] 2009
[11]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12]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Comment on the gender of names ending in -ops https://archive.org/[...]
[14] 웹사이트 Noddies, gulls, terns, skimmers, skuas, auk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15] 웹사이트 Noddies, gulls, terns, auk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times of Charadriiformes genera: multigene evidence for the Cretaceous origin of at least 14 clades of shorebirds http://www.ncbi.nlm.[...]
[17]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2.4: Shorebirds http://www.worldbird[...] 국제조류학회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