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쩐득르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득르엉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주석을 역임했다. 꽝응아이성 출신으로 하노이 광업지질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지질총국에서 근무했다. 1959년 베트남 노동당에 입당하여 당 간부로 활동했으며, 1987년 부총리에 취임했다. 1997년부터 2006년까지 국가 주석을 지냈으며, 재임 기간 동안 법 질서 유지를 강조했다. 2006년 임기를 1년 남기고 사임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꽝응아이성 출신 - 응우옌반린
    응우옌 반 린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도이 모이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 저항 운동 참여, 베트콩 게릴라 활동 지휘, 사이공 당 서기 역임 등의 경력을 가진 인물로서, 시장경제 도입을 통해 베트남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부작용을 비판하며 말년에는 자본주의 정책 폐기를 주장하고 미국,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 꽝응아이성 출신 - 쯔엉딘
    쯔엉딘은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저항하며 민병대를 이끌었던 베트남의 영웅으로, 1864년 자결하기 전까지 독자적인 항전을 이어갔으며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베트남의 정부부수상 - 보찌꽁
    보찌꽁은 베트남의 공산당원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했으며, 반프랑스 저항 운동 참여, 8월 혁명 참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활동, 부총리 및 국가평의회 주석 역임, 도이모이 개혁 기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베트남의 정부부수상 - 쯔엉찐
    쯔엉찐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출신의 베트남 공산당 지도자로, 반식민주의 운동 참여, 비엣민 창립 주도, 토지 개혁 실시, 도이모이 정책 지지 등 베트남 건국과 정치·경제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공산주의 이념과 베트남 문화에 대한 저서를 남겼다.
  • 베트남의 주석 - 응우옌푸쫑
    응우옌푸쫑은 1944년 하노이에서 태어나 2011년부터 2024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역임하며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다.
  • 베트남의 주석 - 응오딘지엠
    응오딘지엠은 명문 가톨릭 가문 출신으로 반공주의를 펼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독재 통치와 불교 탄압으로 국민적 반발을 사 결국 쿠데타로 암살당한, 베트남 전쟁에 큰 영향을 미친 복합적인 인물이다.
쩐득르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쩐득르엉 (2004년)
쩐득르엉 (2004년)
이름쩐득르엉
로마자 표기Tran Duc Luong
한자 표기陳德良
출생일1937년 5월 5일
출생지꽝응아이성,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현재 베트남)
국적베트남인
배우자응우옌티빈
자녀쩐티민아인
쩐뚜언안
모교호찌민 국립 정치 아카데미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베트남 공산당 (1959–2006)
주요 직위
임기 시작1997년 9월 24일
임기 종료2006년 6월 27일
총리판반카이
부주석응우옌티빈
쯔엉미호아
이전 주석레득아인
다음 주석응우옌민찌엣
임기 시작1997년 9월 24일
임기 종료2006년 6월 27일
이전 의장레득아인
다음 의장응우옌민찌엣
부의장판반카이
총리팜반동
팜훙
도므오이
보반끼엣
판반카이
임기 시작1987년 2월
임기 종료1997년 9월 29일

2. 생애 및 초기 경력

쩐득르엉은 1937년 5월 5일 베트남 중남부 연안 지방의 꽝응아이성 득포현에서 태어났다. 1982년 3월, 베트남 공산당 제5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가 되었고, 같은 해 12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84년에는 위원장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12월, 제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87년 2월 부총리에 취임했다. 1996년 7월, 제8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

2. 1. 학업 및 초기 경력

쩐득르엉은 꽝응아이성 득포현에서 태어나, 1954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하노이로 이주했다. 하노이 광업지질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지도 제작자로 일하며 지질총국에서 근무했다. 1959년 베트남 노동당(이후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했다. 1970년대에 당직원이 되었으며, 1979년 지질 총국장에 임명되었다.

3. 정치 경력

쩐득르엉은 1959년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하여 1970년대에 당 간부가 되었다. 1987년 베트남 부총리를 지냈고, 1996년 6월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1997년 9월 24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주석으로 선출되었으며, 2002년에 재선되었다.[1] 2006년 6월 24일 판 반 카이 총리와 함께 사임을 발표했고, 응우옌 민 찌엣이 후임 주석으로 임명되었다.[1]

은퇴 후에는 정부의 국가 프로그램이나 공산당의 다른 고위 구성원의 국장에만 참여하는 등 조용히 지냈다.

3. 1. 당내 경력

1959년 베트남 노동당(후의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하여 1970년대에 당 간부가 되었다. 1979년 지질 총국장에 임명되었다. 1982년 3월, 베트남 공산당 제5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2월, 국가 과학기술 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고, 1984년 위원장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12월, 제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6년 7월, 제8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 1997년 12월, 제8기 당중앙위원회 제4차 총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승격되었다.

2001년 4월, 제9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폐지되면서 정치국원으로만 재선되었고, 당내 서열 2위가 되었다. 2006년 4월에 개최된 제9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을 퇴임하였다.

3. 2. 정부 요직

1987년 베트남 부총리에 취임했고, 1997년 7월 제10기 국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3. 3. 국가 주석 재임 (1997-2006)

1997년 9월 24일, 쩐득르엉은 국가 주석으로 선출되었다.[1] 2002년 국회의원 선거와 국가 주석 선거에서 재선되었다.[1]

쩐득르엉은 국가 주석 재임 기간 동안 법질서 유지와 범죄 근절에 엄격한 자세를 보였다.[1] 2004년 5월 7일, 베트남 암흑가의 두목 쯔엉반깜(Trương Văn Cam, 장문감)의 사형 판결에 대한 사면 요청을 각하하고, 6월 3일 사형을 집행했다.[1]

2006년 6월, 쩐득르엉은 판반카이 총리와 함께 사임 의사를 밝혔다.[1] 같은 해 6월 27일, 쩐득르엉은 임기를 1년 남기고 국가 주석직에서 물러나 정계를 은퇴했으며, 응우옌민찌엣이 후임 국가 주석으로 선출되었다.[1]

4. 은퇴 이후

은퇴 후 쩐득르엉은 조용한 삶을 살았으며, 정부의 국가 프로그램이나 베트남 공산당 고위 구성원의 국장에만 참여했다.

5. 가족

쩐득르엉의 아들 쩐뚜언아인은 2024년 사임 전까지 베트남 공산당 중앙 경제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2]

쩐득르엉은 그의 가족들이 정치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쩐득르엉의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상업 및 무역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Vietnam Scarecrow Press 2006
[2] 뉴스 Tran Tuan Anh no longer Politburo member https://english.thes[...] 2024-02-01
[3] 웹사이트 越南主席陈德良:学习汉语 让年轻一代了解历史 http://news.sina.com[...] 2005-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