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민찌엣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민찌엣은 1942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 태어나, 베트남 전쟁 중 베트남 공산당에 가입하여 남부 지역 지도자로 활동했다. 1990년대 초 송베 성 당 서기를 역임하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고, 1997년 정치국원에 진출하여 호치민시 당 서기를 거치며 부패 척결 캠페인을 주도했다. 2006년 국가 주석에 선출되어 APEC 정상 회의를 주최했으며, 2007년 일본 국빈 방문을 수행했다. 2011년 국가 주석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즈엉성 출신 - 크리스틴 사
    크리스틴 사는 베트남 출신으로 캐나다에서 활동하는 가수로, 여러 앨범을 발표하고 애니메이션 주제가 리믹스 앨범을 발매했으며, 토크쇼 진행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빈즈엉성 출신 - 조니 찌 응우옌
    조니 찌 응우옌은 2004년 영화 《사오 랑》으로 주목받고 2014년 《엽문: 종극일전》에서 엽문 역으로 호평을 받은 베트남 배우로, 《상하이》,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했다.
  • 중국계 베트남인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중국계 베트남인 - 호아족
    호아족은 2세기부터 베트남에 이주하여 상업과 무역에 기여하며,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하고 씨족 협회를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며 베트남 사회에 영향을 미친 중국계 민족이다.
  • 베트남의 주석 - 응우옌푸쫑
    응우옌푸쫑은 1944년 하노이에서 태어나 2011년부터 2024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역임하며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다.
  • 베트남의 주석 - 응오딘지엠
    응오딘지엠은 명문 가톨릭 가문 출신으로 반공주의를 펼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독재 통치와 불교 탄압으로 국민적 반발을 사 결국 쿠데타로 암살당한, 베트남 전쟁에 큰 영향을 미친 복합적인 인물이다.
응우옌민찌엣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의 응우옌민찌엣
존칭각하
로마자 표기Nguyễn Minh Triết (응우옌민찌엣)
한자 표기阮明哲 (눿밍쩟)
직책
임기 시작2006년 6월 27일
임기 종료2011년 7월 25일
총리응우옌떤중
부통령쯔엉미호아, 응우옌티도안
이전 대통령쩐득르엉
다음 대통령쯔엉떤상
의장 임기 시작2006년 6월 27일
의장 임기 종료2011년 7월 25일
의장 이전쩐득르엉
의장 다음쯔엉떤상
서기 임기 시작2000년 1월
서기 임기 종료2006년 6월 27일
서기 이전쯔엉떤상
서기 다음레탄하이
위원장 임기 시작1997년 12월
위원장 임기 종료2000년 1월
위원장 이전판 민 탄
위원장 다음쯔엉 꽝 드억
개인 정보
출생일1942년 10월 8일
출생지벤깟군, 빈즈엉성, 베트남
배우자쩐티킴치
모교호찌민시 과학대학교
정치 성향
정당베트남 공산당 (1965년–2011년)

2. 생애

1942년 10월 8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의 빈즈엉성 벤깟현에서 중산층 농가의 아들로 태어났다.[2] 1957년 사이공으로 이주하여 당시 남부 최고의 고등학교였던 페트루스 키 고등학교에서 수학했다.[2] 1960년 사이공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을 전공했으며,[9][2] 이 시기 응오딘지엠의 남베트남 정부에 반대하는 학생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2]

1965년 3월 30일, 베트남 전쟁 중 'Trần Phongvie' 또는 'Sáu Phongvie'이라는 가명으로 베트남 공산당(당시 베트남 노동당) 남부 조직에 입당했다.[3][2] 그는 1954년 베트남 분단 이후 북부로 이동하지 않고 남부에서 활동을 계속한 소수의 베트남 지도자 중 한 명이다.[2] 이후 당과 정부에서 여러 주요 직책을 거치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2. 1. 정치 활동

사이공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던 중 1960년, 반 남베트남 정부 학생 운동에 참여하며 혁명 활동을 시작했다.[9] 그는 사이공을 중심으로 활동하다 1965년 3월 30일, '쩐퐁' 또는 '사우퐁'이라는 가명으로 베트남 노동당 남부 조직에 입당했다.[3] 이후 남중앙위원회 인민 혁명 연맹 청년 연맹 서기로 활동하며 미토 전선 등에서 활약했다.[3] 1974년부터 1976년까지는 응우옌 아이 꾸옥 당 고급학교에서 연수를 받았으며,[9]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다시 응우옌 아이 꾸옥 당 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3]

베트남 통일 이후, 그는 남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승진하여 1981년부터 호치민 공산 청년 연맹 중앙위원회 서기, 베트남 청년 연맹 부회장 등 여러 청년 조직의 주요 직책을 맡았다.[3] 1988년에는 송베 성 당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고,[4] 1991년 6월 제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며 중앙 정치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이때부터 공식적으로 응우옌 민 찌엣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 같은 해 12월, 그는 송베 성 당위원회 서기로 임명되어 1996년까지 재임하며 농업 중심의 성에 외국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2][4] 1992년부터는 국회 의원으로도 활동했다 (4선).[4]

1996년 7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재선되었고, 1997년 1월 호치민시 당위원회 부서기를 거쳐 같은 해 12월 정치국원으로 선출(당시 서열 19위)되어 당 중앙 대중 동원 위원장을 맡았다.[4] 2000년 1월 6일에는 호치민시 당위원회 서기로 취임하여[10] 조직 범죄와 정치 부패 척결 캠페인을 강력하게 추진했으며, 이 과정에서 '암흑가의 거물'로 불리던 남깜을 체포하고 처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0] 2001년 4월 제9차 당대회에서는 정치국원으로 재선되며 당내 서열 4위로 부상했다. 당시 판 반 카이 총리의 후임으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남부 출신 정치 원로들의 반대로 실현되지는 못했다.[11]

2006년 4월 제10차 당대회에서도 정치국원(서열 4위)으로 재선되었다. 당시 농 득 마인 서기장의 재임에 대한 당내 비판이 있었고, 찌엣이 대항마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입후보를 사퇴하고 국가 주석직을 맡기로 결정되었다.[12] 같은 해 6월 27일, 국회에서 정식으로 국가 주석으로 선출되었다. 취임 후 그는 부정부패 척결 의지를 강조하고 미국,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외교 목표로 제시했다.[13] 11월에는 하노이에서 열린 APEC 정상 회의를 성공적으로 주최했다. 2007년 7월 국가 주석으로 재선되었으며, 당시 농 득 마인 서기장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찌엣 주석, 응우옌 떤 중 총리, 쯔엉 떤 상 당 서기국 상임 서기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다는 분석도 있었다.[14] 2007년 11월에는 일본을 국빈 방문하여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했다.[15]

2011년 1월 제11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을 퇴임했으며, 같은 해 7월 25일 국가 주석직에서도 물러나며 정계에서 은퇴했다.

2. 2. 베트남 노동당 활동

1960년 사이공 대학교 재학 중 반 남베트남 정부 학생 운동에 참여하며 혁명 활동에 발을 들였다. 이후 사이공을 중심으로 활동하다 1965년 3월 30일, '쩐퐁'(Trần Phongvi) 또는 '사우퐁'(Sáu Phongvi)이라는 가명으로 당시 베트남 노동당(현 베트남 공산당) 남부 조직에 입당했다.[3]

입당 전인 1963년부터 사이공-자딘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베트남 전쟁 중에는 인민혁명청년연맹 중앙위원회에서 회계 및 연구원으로 일했다. 입당 후에는 남부 중앙위원회 인민혁명청년연맹 서기로 임명되어 1973년까지 활동했다.[3] 1974년부터 1976년까지, 그리고 1979년부터 1981년 7월까지 응우옌 아이 꾸옥 당 고급학교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정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3]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 남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당 간부로 승진했다. 1991년 6월 제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12월 송베성(Sông Bé) 당위원회 서기로 임명되어 농업 중심이던 성에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2년부터는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1996년 7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재선되었으며, 1997년 1월에는 호치민시 당위원회 부서기를 거쳐 같은 해 12월 제8기 당 중앙위원회 제4차 총회에서 정치국원으로 선출(당시 서열 19위)되어 중앙 대중 동원 위원장을 맡았다.

2000년 1월 6일에는 호치민 시 당위원회 서기에 취임[10]하여, 조직 범죄와 부패 척결 캠페인을 주도하며 암흑가 거물로 알려진 남깜(Năm Cam) 등을 체포하는 데 기여했다.

2001년 4월 제9차 당대회에서는 정치국원으로 재선되며 당내 서열 4위로 부상했다. 이 대회에서 판반카이 당시 총리의 교체가 논의되면서 그가 유력한 후임으로 거론되었으나, 보반키엣 전 총리 등 남부 출신 인사들의 반대로 판반카이가 유임되면서 총리직에는 오르지 못했다.[11]

2006년 4월 제10차 당대회에서도 정치국원 및 서열 4위를 유지했다. 당시 농득마인 총비서의 부패 문제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자, 반대파는 응우옌민찌엣을 총비서 후보로 내세웠다. 중앙위원회 비밀 투표에서 그가 더 많은 표를 얻었다는 소문도 있었으나[12], 선거 직전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농득마인이 총비서에 재선되었다. 대신 그는 국가주석직에 오르기로 결정되었다.

2011년 1월 제11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에서 물러나면서 당 활동 일선에서 은퇴했다.

2. 3. 국가 주석 선출

2006년 4월 제10차 당대회에서 농 득 마인 서기장의 연임이 결정된 후, 응우옌민찌엣은 국가 주석 후보로 내정되었다.[12] 같은 해 6월 27일, 제11기 국회 제9차 회의에서 총 464표(득표율 94.12%)를 얻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새로운 국가 주석으로 공식 선출되었다.[16]

취임 직후 기자 회견에서 그는 당과 정부 내 부패 척결 의지를 강조하고, 외교적으로는 "미국, 중국과의 우호 및 경제 관계를 강화하고 싶다"고 밝혔다.[13] 2006년 11월 하노이에서 열린 제18회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는 주최국 정상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17]

2007년 7월, 제12기 국회 제1차 회의에서 국가 주석으로 재선되었다. 베트남의 정치 체제상 국가 주석은 의전적인 국가 원수이며, 실질적인 최고 지도자는 공산당 서기장, 정부 운영은 총리가 담당한다. 그러나 당시 농 득 마인 서기장의 정치적 위상이 약화되면서, 응우옌민찌엣 주석, 응우옌 떤 중 총리, 쯔엉 떤 상 당 중앙 상임 서기 3인이 정치적 결정권을 분점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14]

2007년 6월에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공식 방문했다. 방문 중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에서 약 800명의 베트남계 사업가들을 만나 국가 통합 등을 주제로 연설했다.[5] 하지만 일부 베트남계 미국인들은 인권 문제를 이유로 그의 방문에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6] 이 방문에서 그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등 미국 정치인들과의 대화에서 현명한 답변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7]

같은 해 11월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베트남 국가 원수로는 처음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국빈 대우를 받았다.[15]

2011년 1월 제11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에서 물러났으며, 같은 해 7월 25일 국가 주석직에서 퇴임하며 정계를 은퇴했다.

3. 정치적 성향 및 평가

2006년 6월 27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제11대 국회 9차 회의에서 총 464표(득표율 94.12%)를 얻어 국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주석 재임 중이던 2007년 6월에는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공식 방문하였다. 이 방문에서 그는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에서 대부분 베트남계인 약 800명의 사업가들을 만나 베트남 국민과 국가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베트남 정부가 다른 견해를 가진 이들을 편견 없이 대한다는 점을 설명했다.[5] 그러나 방문지에서는 베트남 정부의 인권 침해를 주장하는 약 2천 명의 베트남계 미국인들의 반대 시위에 직면하기도 했다.[6]

한편, 이 미국 방문에서 응우옌민찌엣은 침착하고 현명한 답변으로 복잡한 현안들을 풀어내고, 미국 국회의원들이 오랫동안 가져왔던 고정관념을 바꾸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의장의 연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하며 베트남의 입장을 설명했다.[7]

우리는 독립과 통일을 위한 처절한 전쟁에서 사회주의를 위해 치열하게 싸웠습니다. 풍요롭고 번영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우리는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의 길을 선택했습니다. 강력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우리 사회의 연대감은 잃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8]

참조

[1] 간행물 Vietnamese Government Communist state - General Secretary Nông Ðức Mạnh - President Nguyễn Minh Triết - Prime Minister Nguyễn Tấn Dũng Vietnam: Foreign Policy and Government Guid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USA 2007
[2] 뉴스 Nguyễn Minh Triết elected new State President http://www.nhandan.c[...] Nhan Dan 2006-06-27
[3] 웹사이트 VN cảnh giác với 'cách mạng màu' http://www.bbc.com/v[...] 2009-06-18
[4] 웹사이트 Tiểu sử Chủ tịch nước CHXHCN Việt Nam Nguyễn Minh Triết http://www.mofahcm.g[...] Banbientap
[5] 뉴스 Warm on the inside https://www.ocregist[...] 2007-07-02
[6] 웹사이트 BBCVietnamese.com http://www.bbc.com/v[...]
[7] 뉴스 Cùng trao đổi để giải quyết những khác biệt, bất đồng https://tuoitre.vn/c[...] 2007-07-06
[8] 뉴스 TOP 12 QUOTES BY NGUYEN MINH TRIET {{!}} A-Z Quotes http://www.azquotes.[...]
[9] 서적 アジア・マーケットレビュー 重化学工業通信社 2006-07-15
[10] 서적 牛山 2004
[11] 서적 坪井 2002
[12] 서적 坪井 2008
[13] 서적 アジア・マーケットレビュー 2006-07-15
[14] 서적 坪井 2008
[15] 서적 坪井 2008
[16] 웹인용 Ông Nguyễn Minh Triết được tín nhiệm bầu giữ chức Chủ tịch nước https://baochinhphu.[...] 2006-06-27
[17] 웹인용 Chủ tịch nước Nguyễn Minh Triết và Phu nhân mở dạ tiệc chiêu đãi quan khách dự Hội nghị các nhà Lãnh đạo kinh tế APEC 2006 https://baochinhphu.[...] 2006-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