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관은 크게 상업차관과 엔 차관으로 나뉜다. 상업차관은 개인이나 민간 기업이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자금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재정경제부 장관의 인가만으로 도입할 수 있었으나, 국제수지 악화로 인해 1986년 이후 허용되지 않고 있다. 엔 차관은 일본 정부가 국제협력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제공하는 장기 저금리 자금 대출이다.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DA)의 일환으로, 1966년부터 2006년까지 아시아 국가에 대한 지원이 주를 이루었으며, 중국에는 1979년부터 2007년까지 엔 차관이 제공되었으나, 일중 관계 악화와 중국 경제 발전으로 인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국제 무역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국제 무역 - 태평양 동맹
    태평양 동맹은 2011년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대통령들이 결성한 지역 경제 협력체로, 아시아를 지향하며 자유 무역 증진을 목표로 라틴 아메리카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경제 블록이다.
차관
차관
정의경제 개발을 위해 외국 정부나 국제기구로부터 빌리는 자금
제공 주체외국 정부
국제 기구
국제 개발 기구
민간 금융 기관
목적특정 사업 자금 조달
사회 기반 시설 확충
경제 개발
성격
상환 의무있음
이자 발생있음 (대부분)
조건상환 기간, 이자율 등 다양한 조건이 따름
형태현금, 물자, 기술 지원 등
종류
공공 차관정부 간 또는 국제기구로부터 제공되는 차관
민간 차관민간 금융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차관
양허성 차관장기 저리 또는 무상으로 제공되는 차관 (개발도상국 지원 목적)
비양허성 차관일반 상업 조건으로 제공되는 차관
차관의 영향
긍정적 영향경제 성장 촉진
사회 개발 투자 확대
기술 이전
고용 창출
부정적 영향국가 부채 증가
종속성 심화
경제 위기 초래 가능성
사업 실패 위험
차관 관련 용어
차입국차관을 빌리는 국가
공여국차관을 제공하는 국가
채권자차관을 빌려주는 기관
채무자차관을 빌린 기관
상환빌린 돈을 갚는 것
거치 기간상환을 유예하는 기간
관련 국제기구
주요 국제기구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아시아 개발 은행
유럽 투자 은행
미주 개발 은행
차관 사례
대한민국과거 경제 개발 과정에서 미국 및 일본 등으로부터 차관 도입
현재는 개발도상국에 차관 제공
개발도상국주로 선진국이나 국제기구로부터 차관을 통해 경제 개발 추진

2. 상업차관 (대한민국)

상업차관은 개인이나 민간기업이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자금이다. 공공차관과는 다르게 국가나 정부가 보증을 하지 않으며 법인이 아닌 개인도 들여올수 있다. 상업차관은 재정경제부 장관의 인가만으로 도입할 수 있다.[6] 일반적으로 차관은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는 것이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수지 악화를 이유로 1986년 이후 상업차관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6]

2. 1. 공공차관과의 차이점

공공차관은 국가나 정부가 보증하고 법인이 도입하며 국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6] 반면, 상업차관은 재정경제부 장관의 인가만으로 도입할 수 있다.[6]

2. 2. 현황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수지 악화를 이유로 1986년 이후 상업차관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6]

3. 엔 차관 (일본)

엔 차관은 일본 정부가 국제협력기구(JICA)를 통해 개발도상국 정부에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제공하는 장기 저금리 자금 대출이다.

자카르타 도시고속철도 공사는 일본의 엔 차관 사업으로 많은 일본 기업이 참여했지만, MRT 측의 불합리한 지불 지연으로 각 기업은 모두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1단계 공사는 예정된 시기에 본체 공사를 완료하여 개통할 수 있었지만, 2단계 공사는 위험성 때문에 입찰을 보류하는 기업도 있어 개통 시기 등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5]

3. 1. 특징

국제협력기구를 통해 일본 정부에서 개발도상국 정부에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기 저금리의 자금 대출이다.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DA)는 전통적으로 수혜국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해 상환이 필요 없는 무상 원조가 아닌, 유상 원조 중 특히 엔 차관을 중시해 왔다.[1] 2006년에 이루어진 엔 차관의 평균 금리는 1.03%, 평균 상환 기한은 33년 8개월이다. 1966년부터 2006년까지 실행된 대출의 82%는 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2]

중국에는 1979년부터 약 3.3165조의 대출이 이루어졌다.[3] 2000년대에 들어서 일중 관계 악화와 중국 경제 발전에 따라 중국에 대한 엔 차관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면서 2007년을 끝으로 종료되었다. 무상 원조(2011년 당시, 누계 1544억) 및 기술협력(2011년 당시, 누계 1704억), 정부 대출(엔 차관 이외)에 대해서는 대중 ODA가 계속되었다. 이들을 포함한 대중 ODA는 모두 2021년도 말에 종료되었다.[4]

자카르타 도시고속철도 공사는 일본의 엔 차관 사업이며 많은 일본 기업이 참여했지만, MRT 측의 불합리한 지불 지연으로 각 기업은 모두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1단계 공사는 예정된 시기에 본체 공사를 완료하여 개통할 수 있었지만, 2단계 공사는 위험성 때문에 입찰을 보류하는 기업도 있어 개통 시기 등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5]

3. 2. 주요 지원 대상

엔 차관은 국제협력기구를 통해 일본 정부에서 개발도상국 정부에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기 저금리 자금 대출이다. 1966년부터 2006년까지 실행된 대출의 82%는 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2] 중화인민공화국에는 1979년부터 약 3조 3165억 엔의 대출이 이루어졌으나, 2000년대 들어 일중 관계 악화와 중국 경제 발전으로 인해 2007년을 끝으로 종료되었다.[3]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도시 고속철도 공사는 일본의 엔 차관 사업으로 많은 일본 기업이 참여했지만, MRT 측의 불합리한 지불 지연으로 각 기업은 모두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1단계 공사는 예정된 시기에 완료되어 개통되었지만, 2단계 공사는 위험성 때문에 입찰을 보류하는 기업도 있어 개통 시기 등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5]

3. 2. 1.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엔 차관

1979년부터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약 3조의 차관을 제공했다.[3] 2000년대에 들어 일중 관계 악화와 중국 경제 발전으로 인해 중국에 대한 엔 차관 제공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다. 그 결과, 2007년을 끝으로 엔 차관 제공은 종료되었다. 그러나 무상 원조(2011년 기준 누계 1544억), 기술협력(2011년 기준 누계 1704억), 정부 대출(엔 차관 이외) 등 다른 형태의 대중 ODA는 계속되었다. 이러한 대중 ODA는 2021년 말에 모두 종료되었다.[4]

참조

[1] PDF 日本国外務省 ODA報告書 2011年版 参考資料集 第7節 有償資金協力 https://www.mofa.go.[...]
[2] PDF 国際協力銀行 円借款業務における連携のご案内 円借款Q&A http://www.jica.go.j[...]
[3] 웹사이트 外務省: {ODA} 国別地域別政策・情報 国別プロジェクト概要 中華人民共和国 https://www.mofa.go.[...]
[4] 웹사이트 日本のODAプロジェクト 中国 対中ODA概要 https://www.mofa.go.[...] 2020-10-10
[5] 뉴스 日本企業に不満も=「支払い滞り赤字」-インドネシア地下鉄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9-03-24
[6] 글로벌2 상업차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