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력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력계는 순음, 언어 등 녹음된 소리를 다양한 주파수와 강도로 피검자에게 전달하고 반응을 기록하여 청력도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PC로 제어되는 하드웨어 장치이며, 순음 청력계, 어음 청력계, 베케시 청력계 등이 있다. 청력계는 IEC 60645, ISO 8253, ANSI S3.6 등의 표준에 따라 성능, 안전성, 검사 방법 등이 규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각학 - 칵테일 파티 효과
    칵테일 파티 효과는 여러 소리 속에서 특정 소리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현상으로, 콜린 체리가 처음 보고했으며,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자극에 더 쉽게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을 보이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 청각학 - 음치
    음치란 뇌 병변이나 청력 상실 없이도 나타나는 음악적 장애로, 음높이 식별에 어려움을 느껴 노래를 정확히 부르지 못하거나 멜로디 속 불협화음을 감지하지 못하며, 운동성 음치와 감수성 음치로 나뉘고 음악적 능력 부족을 넘어 둔감함을 비유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 청각 - 초음파
    초음파는 가청 주파수 범위를 넘는 20kHz 이상의 음파로, 초기 음향 연구와 박쥐의 반향 위치 확인에서 시작하여 잠수함 탐지 기술 개발을 거쳐 의료, 산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거리 측정, 비파괴 검사, 의료 영상, 생체음파탐지 시스템 등에 응용된다.
  • 청각 - 귀마개
    귀마개는 소음으로부터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귀에 삽입하는 장치이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산업 현장, 음악 공연 등 여러 환경에서 사용되고, 소음 감소 등급을 통해 성능을 나타내며, 위생적인 관리와 올바른 사용법이 중요하다.
청력계
기본 정보
청력계의 종류
다양한 형태의 청력계
목적청력 예민도 평가
검사 대상청각
사용
용도청력 검사
청각 장애 진단
작동 원리다양한 주파수와 강도의 소리를 들려주어 피검사자의 반응을 측정
종류순음 청력계
자동 청력계
임피던스 청력계
휴대용 청력계
컴퓨터 청력계
기타
관련 분야청각학
발명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추정)

2. 기능

휴대용 청력계 ''Maico'', 1960년대


청력계는 일반적으로 순음이나 어음(단어, 문장)과 같은 녹음된 소리를 다양한 주파수와 강도로 조절하여 피검사자의 헤드폰으로 들려준다. 피검사자는 소리가 들리는지 여부, 들리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 등에 대해 반응하며, 청력계는 이 반응을 기록한다. 이렇게 기록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청력도를 생성하여 청력 손실의 정도와 유형을 파악하고, 청력 역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3. 종류

청력계는 측정하는 방식이나 기능, 구현된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측정 방식에 따라서는 특정 주파수의 순음을 이용하거나 어음(음성)을 들려주어 청력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검사를 받는 사람이 소리가 들리는지 여부에 따라 버튼을 조작하여 스스로 청력 역치를 찾아가도록 하는 베케시 청력계 방식도 있다.

기능 및 형태에 따라서는 전통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가 일반적이며, 이는 주로 PC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PC에서 직접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청력계도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블루투스와이파이 등 무선 기술을 활용하여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는 휴대용 청력계도 등장하고 있다.

3. 1. 측정 방식에 따른 분류

청력계는 측정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은 특정 주파수의 순음을 이용하거나, 어음(음성)을 들려주어 청력 역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각각 순음 청력계와 어음 청력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베케시 청력계가 있는데, 이는 검사를 받는 사람이 직접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며 자신의 청력 역치를 찾아가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구현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청력계는 PC에서 제어되는 내장 하드웨어 장치 형태를 띤다. 반면, P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청력계도 상업적으로 판매되지만, 이는 보정 표준이 없어 청력 손실 평가에 대한 정확성과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3. 1. 1. 순음 청력계 (Pure-tone Audiometer)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청력계로, 특정 주파수의 순음을 생성하여 청력 역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의료용 청력계는 일반적으로 PC에서 제어되는 내장 하드웨어 장치 형태를 띤다.

현대적인 청력계의 예시. 무선 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3. 1. 2. 어음 청력계 (Speech Audiometer)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청력계는 순음을 생성하거나 어음(음성 부분)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어음을 사용하는 경우, 단어나 문장 등을 통해 청력 역치 및 어음 이해도를 측정할 수 있다.

3. 1. 3. 베케시 청력계 (Békésy Audiometer)

베케시 청력계는 청력 검사의 한 종류로, 피검자가 직접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자신의 청력 역치(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피검자는 소리가 들릴 때 버튼을 누르고,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는 버튼에서 손을 뗀다. 이 조작에 따라 특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소리의 진폭(크기)이 자동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피검자의 청력 역치를 따라가며 측정하게 된다. 베케시 청력 검사는 자동화된 청력 검사 방법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순음 청력 검사와 비교했을 때 더 낮은 청력 역치 값과 더 작은 표준 편차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3. 2. 기능 및 형태에 따른 분류

청력계는 그 기능과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순음을 생성하거나 음성 일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피험자의 반응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며 청력 역치를 측정하는 베케시(Békésy) 방식의 청력계도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전통적인 하드웨어 기반 장치 외에도 P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나 무선 연결을 이용하는 휴대용 청력계 등이 있다.

3. 2. 1. 하드웨어 청력계

의료용 청력계는 일반적으로 PC에서 제어되는 내장 하드웨어 장치이다. 이와 달리 P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청력계도 상업적으로 판매되지만, 보정 표준이 없어 청력 손실 평가에 대한 정확성과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청력계는 순음을 생성하거나 음성 일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 다른 종류의 청력계는 베케시 청력계이다. 이 방식은 피험자가 소리가 들릴 때 버튼을 누르고 들리지 않을 때 버튼을 놓아 주파수 범위를 따라 음의 진폭이 증가 및 감소하도록 하면서 청력 역치를 오가며 따라가는 방식이다. 베케시 청력 검사는 일반적으로 순음 청력 검사보다 낮은 역치와 표준 편차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3. 2. 2. 소프트웨어 청력계

일반적인 의료용 청력계는 PC에서 제어하는 내장 하드웨어 장치인 경우가 많다. 이와 달리, PC에서 직접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청력계도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프트웨어 청력계는 아직 표준화된 보정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청력 손실 평가에서의 정확성과 실제적인 유용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3. 2. 3. 휴대용 청력계



최근에는 블루투스와이파이 같은 무선 연결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 작동하는 형태의 청력계도 사용된다.

3. 2. 4. 무선 청력계



무선 청력계는 블루투스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모바일 장치에서 작동하는 청력계를 말한다.

4. 표준

청력계의 요구 사항 및 검사 절차는 IEC (특히 IEC 60645), ISO (특히 ISO 8253), ANSI (특히 ANSI S3.6) 등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에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들은 청력계의 성능, 안전성, 검사 방법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검사 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관련 표준은 다음과 같다.

표준 번호제정일표준 제목 (원문)
IEC 60645-12001년 11월 19일Audiometers. Pure-tone audiometers
BS EN ISO 3891997년Acoustics. Standard reference zero for the calibration of pure tone air conduction audiometers
BS EN 60318-62008년Electroacoustics. Simulators of human head and ear. Mechanical coupler for the measurement of bone vibrators



이 외에도 ISO 8253, ANSI S3.6 등 다양한 표준들이 청력계 관련 규정을 다루고 있다.

5. 참고 문헌


  • IEC 60645-1. (November 19, 2001) "Audiometers. Pure-tone audiometers".
  • BS EN ISO 389 (1997) "Acoustics. Standard reference zero for the calibration of pure tone air conduction audiometers"
  • BS EN 60318-6 (2008) "Electroacoustics. Simulators of human head and ear. Mechanical coupler for the measurement of bone vibrato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