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크슬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크슬램은 프로레슬링 기술의 하나로, 상대의 목을 잡아 들어 올린 후 매트에 내리꽂는 기술이다. 기원은 불분명하나, 폴 헤이먼, 와지마 히로시, 시드 비셔스 등이 고안했다는 설이 있다. 빅 R 시미즈의 포환던지기 슬램, 타가미 아키라의 노와 오토시, 언더테이커의 원 핸드 초크슬램 등 다양한 변형 기술이 존재한다. 기술 종류에는 기본형, 변형, 일본에서 파생된 기술이 있으며, 반격 기술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레슬링 기술 - 필살기
필살기는 대중문화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상대를 제압하는 강력한 기술을 의미하며, 작품의 흥미와 캐릭터의 개성을 부각하고 희망, 역경 극복, 승리 등의 긍정적인 가치를 내포한다. - 프로레슬링 기술 - DDT (프로레슬링)
DDT는 프로레슬링에서 정면으로 선 상대의 머리를 잡고 뒤로 넘어지며 바닥에 꽂는 기술로, 제이크 "더 스네이크" 로버츠가 개발했으며 강력한 피니시 홀드로 사용되고 다양한 변형 기술이 존재한다.
초크슬램 | |
---|---|
기술적 세부 사항 | |
유형 | 바디 슬램 |
설정 | 프론트 페이스락 초크 홀드 |
데미지 유형 | 타격 |
설명 | |
설명 | 초크슬램은 프로 레슬링에서 사용되는 바디 슬램의 일종이다. |
특징 | 한 손으로 상대방의 목을 잡고 들어 올려 바닥에 내리꽂는 기술이다. |
위험성 | 시전 시 상대방의 머리나 목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부상 위험이 높다. 토미 드리머는 다시는 초크슬램을 당하고 싶지 않다고 언급했다. |
역사 | |
초기 사용자 | 시드 저스티스가 1991년에 데뷔하면서 사용했다. |
대중화 | 디젤, 언더테이커, 빅 쇼, 케인 등의 거구 레슬러들이 사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
변형 기술 | 점핑 초크슬램 파이어맨즈 캐리 초크슬램 스파인버스터 초크슬램 싯아웃 초크슬램 |
기타 | |
유래 | 초크 (Choke): 목을 조른다는 의미 슬램 (Slam): 내리꽂는다는 의미 |
유명한 사용자 | 언더테이커 케인 빅 쇼 시드 비셔스 디젤 |
2. 역사
초크슬램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몇 가지 설이 있다. 폴 헤이먼이 ECW에서 911과 같은 거구 레슬러를 상대하기 위해 고안했다는 설,[6] 와지마 타이시의 '암 봄버'(래리어트 낙하)라는 기술을 타가미 아키라가 래리어트 부분을 초크 홀드로 변형한 것이라는 설,[6] 시드 비셔스의 '비셔스 버스터'가 기원이라는 설 등이 있다.[6] 타가미 아키라는 암 봄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인정했으며, 적어도 일본 프로레슬링계에서는 와지마의 기술을 개량한 타가미를 원조로 보고 있다.[6]
2. 1. 기원
초크슬램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몇 가지 설이 있다. 폴 헤이먼이 ECW에서 911과 같은 거구 레슬러를 상대하기 위해 고안했다는 설이 있다.[6] 와지마 타이시의 '암 봄버'(래리어트 낙하)라는 기술을 타가미 아키라가 래리어트 부분을 초크 홀드로 변형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6] 타가미 아키라는 암 봄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인정했으며, 적어도 일본 프로레슬링계에서는 와지마의 기술을 개량한 타가미를 원조로 보고 있다.[6] 시드 비셔스의 '비셔스 버스터'가 기원이라는 설도 있었다.2. 2. 주요 사용자
다음은 초크슬램의 주요 사용자 목록이다.- 타가미 아키라 - '''노와 오토시(喉輪落とし)'''라는 명칭으로 사용.[6]
- 타이치
- 히클레오
- 시드 비셔스 - '''비셔스 버스터(Vicious Buster)'''라는 명칭으로 사용.
- 언더테이커
- 스콧 홀
- 빅 반 베이더
- 릭 플레어
- 더 허리케인 - '''허리 초크슬램(Hurry Chokeslam)'''이라는 명칭으로 사용.
- 빅 쇼
- 어비스
- 조디악
- 기가테스
- 랜스 아처
- 비어시티 브루저 - '''싯아웃 초크슬램(Sitout Chokeslam)'''이라는 명칭으로 사용.
- 맷 모건
- 스트롱맨
- 바비 래쉴리
- 루크 개럴스
- 잭스 데인
- 제이크 다든 - '''큐어(Cure)'''라는 명칭으로 사용.
- 코디 홀
- 시베르네티코 - '''아포칼립티카(Apocaliptica)'''라는 명칭으로 사용.
- 빅 타이톤
- 쿠르간
- 네이선 존스
- 제임스 라이딘
- 케인 - '''초크슬램 프롬 헬(Chokeslam From Hell)'''이라는 명칭으로 사용.
- 에스이
- 이시카와 타카시
- 오하라 미치요시
- 후쿠다 마사카즈
- 돈 후지이
- 빅 R 시미즈 - '''포환던지기 슬램'''이라는 명칭으로 사용.
- 맘모스 사사키
- 다이오 퀄트
- 이시카와 슈지
- 코노 마사유키
- 나가오 히로시
- 아케보노
- 마이바흐 타니구치
- 마스크드 미스터리
- 제우스
- 킹
- 하마 료타
- 빅 THE 료칸
- 팡 스즈키
- 반비
- 유키 아야
- 코토부키 유리
- 아카하나
- 람 회장
3. 기술의 종류
초크슬램은 다양한 변형 기술을 가지고 있다.
- '''기본형'''
원 핸드 초크슬램은 한 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고 들어 올려 던지는 기술이다. 주로 체격이 큰 선수가 작은 선수에게 사용한다. 시드 비셔스가 이 기술을 대중화시켰으며,[5] 빅 쇼, 케인, 언더테이커 등이 자주 사용한다. 빅 쇼는 WCW에서 '더 자이언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니클링 초크슬램을 개발하기도 했다.
투 핸드 초크슬램은 양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고 들어 올려 던지는 기술이다. 더 그레이트 칼리, 오모스 등이 잭나이프 초크밤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상대의 목(목젖)을 한 손으로 정면에서 잡고 다른 팔을 덧대어 그대로 상대를 위로 들어올려 등부터 매트나 지면에 떨어뜨리는 기술을 노도와라고 칭한다.
- '''변형'''
타우에 아키라가 고안한 '''백 수플렉스 초크슬램'''은 상대 뒤에서 머리를 팔 아래에 넣고 어깨 위로 들어 올린 후 180° 돌려 목을 잡고 던진다.[5] '''파이어맨스 캐리 초크슬램'''은 파이어맨스 캐리(Fireman's Carry) 자세로 상대를 잡은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셰인 헤이스트/셰인 손은 이 기술을 "밤 밸리 데스"(Bomb Valley Death)라고 불렀다.
'''싯아웃 초크슬램'''은 데미안 프리스트가 '사우스 오브 헤븐'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는 기술로, 앉은 자세로 떨어지며 상대를 던진다. '''초크밤'''(싯다운 투 핸드 초크슬램)은 양손으로 상대 목을 잡고 들어 올린 후 앉는 자세로 떨어지며 던지는 기술로, 더 그레이트 칼리, 오모스 등이 주로 사용한다. 타우에 아키라가 고안한 '''버티컬 수플렉스 초크슬램'''은 상대를 버티컬 수플렉스처럼 들어 올린 후 목을 잡아 던진다.
베이더가 고안한 '''스카이 하이 초크슬램'''은 한 팔을 상대 가랑이 사이로 넣고 목을 잡고, 상대 한쪽 다리 허벅지를 어깨에 올린 후 던진다. '''리버스 초크슬램'''은 상대 옆에 서서 양손으로 목을 잡고 들어 올린 후, 앞쪽 목을 잡았던 손을 놓고 얼굴부터 떨어뜨리는 기술이다. '''아이언 클로 슬램'''은 에릭 로완, 라르스 설리번 등이 사용하는 기술로, 클로 홀드로 상대를 잡고 초크슬램처럼 던진다.
- '''일본에서 파생된 기술'''
아토믹 드롭 자세로 상대를 높이 들어 올린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오레가타가미(俺が田上)''',[1] 브레인 버스터 자세로 들어 올린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치치부 시멘트(秩父セメント)''',[1] 캐네디언 백브레이커 자세로 상대를 오른쪽 어깨에 짊어진 후, 뒤통수부터 매트에 내리꽂는 히구치 카즈사다의 기술인 '''고우텐(轟天)'''[1] 등이 있다. 고우텐의 기술명은 특수 촬영 영화 "해저군함"에 등장하는 轟天号(고텐고)에서 유래되었다.
3. 1. 기본형

원 핸드 초크슬램은 한 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고 들어 올려 던지는 기술이다. 주로 체격이 큰 선수가 작은 선수에게 사용한다. 시드 비셔스가 1990년대 초반에 이 기술을 대중화시켰으며,[5] 빅 쇼, 케인, 언더테이커 등이 자주 사용한다. 빅 쇼는 WCW에서 '더 자이언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니클링 초크슬램을 개발하기도 했다.
투 핸드 초크슬램은 양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고 들어 올려 던지는 기술이다. 더 그레이트 칼리, 오모스 등이 잭나이프 초크밤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상대의 목(목젖)을 한 손으로 정면에서 잡고 다른 팔을 덧대어 그대로 상대를 위로 들어올려 등부터 매트나 지면에 떨어뜨리는 기술을 노도와라고 칭한다.
3. 2. 변형
- '''백 수플렉스 초크슬램'''
타우에 아키라가 고안한 기술이다. 상대 뒤에서 머리를 팔 아래에 넣고 어깨 위로 들어 올린 후 180° 돌려 목을 잡고 던진다.[5]
- '''파이어맨'스 캐리 초크슬램'''
파이어맨'스 캐리(Fireman's Carry) 자세로 상대를 잡은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셰인 헤이스트/셰인 손은 NOAH와 NJPW에서 활동하는 동안 이 기술을 피니셔로 사용했으며, "밤 밸리 데스"(Bomb Valley Death)라고 불렀다.
- '''싯아웃 초크슬램'''
일반 초크슬램과 유사하나, 레슬러가 앉은 자세로 떨어지며 상대를 던지는 기술이다. 데미안 프리스트는 이 기술을 자신의 주특기이자 피니시 기술로 사용하며, '사우스 오브 헤븐'이라고 부른다.
- '''초크밤 (싯다운 투 핸드 초크슬램)'''
양손으로 상대 목을 잡고 들어 올린 후 앉는 자세로 떨어지며 던지는 기술이다. 더 그레이트 칼리, 오모스 등이 주로 사용한다.
- '''버티컬 수플렉스 초크슬램'''
타우에 아키라가 고안한 기술이다. 상대를 버티컬 수플렉스처럼 들어 올린 후 목을 잡아 던진다.
- '''스카이 하이 초크슬램'''
베이더가 고안한 기술이다. 한 팔을 상대 가랑이 사이로 넣고 목을 잡고, 상대 한쪽 다리 허벅지를 어깨에 올린 후 던진다.
- '''리버스 초크슬램'''
상대 옆에 서서 양손으로 목을 잡고 들어 올린 후, 앞쪽 목을 잡았던 손을 놓고 얼굴부터 떨어뜨리는 기술이다.
- '''아이언 클로 슬램'''
에릭 로완, 라르스 설리번 등이 사용하는 기술이다. 클로 홀드로 상대를 잡고 초크슬램처럼 던진다.
3. 3. 일본에서 파생된 기술
아토믹 드롭 자세로 상대를 높이 들어 올린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중력과의 효과가 합쳐져 강력한 데미지를 준다.
브레인 버스터 자세로 들어 올린 후 초크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히구치 카즈사다의 기술이다. 캐네디언 백브레이커 자세로 상대를 오른쪽 어깨에 짊어진 후, 뒤통수부터 매트에 내리꽂는 변형 초크슬램이다. 기술명은 특수 촬영 영화 "해저군함"에 등장하는 轟天号(고텐고)에서 유래되었다.
4. 반격 기술
힘으로 초크를 풀거나, 상대의 복부(또는 규칙상 허용된다면 하복부)를 걷어차 탈출할 수 있다. 사밍을 사용하여 탈출하는 경우도 있다.[1] 반대로 상대에게 초크슬램을 시도하거나, 던져지기 직전 엘보 연타, 암바, DDT, 에이스 크러셔, 다이아몬드 커터, 스터너로 반격할 수도 있다.[1] 던져지는 순간을 이용해 스쿨 보이, 스몰 패키지 홀드 등으로 폴을 얻거나, 공중 회전, 암 드래그 등으로 탈출하는 방법도 있다.[1]
5. 기타
일본에서는 노도와오토시(喉輪落とし)와 초크슬램을 구분하기도 한다. 떨어뜨릴 때까지 목을 잡고 있으면 노도와오토시, 놓으면 초크슬램으로 본다.[1] 초크는 '목을 조르다'라는 뜻이지만, 실제 프로레슬링 경기에서는 초크슬램을 사용할 때 목을 조르지 않는다.[1]
응용 기술로는 링에 등을 돌린 자세로 상대를 코너 최상단에 앉혀서 거는 설붕식, 달려오는 상대에게 거는 카운터식, 목 뒤를 잡고 안면부터 떨어뜨리는 리버스식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ommy Dreamer Explains Why He Will Never Take Another Chokeslam
https://web.archive.[...]
2015-08-09
[2]
Youtube
Sid Justice: In Ring TV Debut (WWF 1991)
https://www.youtube.[...]
2021-07-31
[3]
웹사이트
All Japan Pro-Wrestling - "SUPER POWER SERIES 1992"
http://www.purolove.[...]
[4]
웹사이트
Abraham Lincoln: Amazing Wrestler
http://mentalfloss.c[...]
mental_floss
2021-09-12
[5]
Youtube
Sid Justice: In Ring TV Debut (WWF 1991)
https://www.youtube.[...]
2021-07-31
[6]
서적
四天王プロレスFILE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