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강! 탑플레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강! 탑플레이트`는 SBS에서 기획하고 손오공, 초이락컨텐츠컴퍼니 등이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손태양, 온유하, 한비류, 최담덕, 성공명 등 탑플레이트 배틀을 하는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탑플레이트 시스템, 속성, 주요 탑플레이트, 도구, 스타디움 등의 설정과 함께, 박민우가 부른 오프닝 테마 "Challenge" 등 다양한 주제가와 방영 목록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보키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안녕 자두야
    《안녕 자두야》는 이빈 작가의 만화를 원작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 서울을 배경으로 10살 소녀 최자두와 가족, 친구들의 성장기를 유쾌하고 따뜻하게 그려낸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어 다양한 수상과 해외 방영을 통해 작품성을 인정받고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았다.
  • 브라보키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베리베리 뮤우뮤우
    《베리베리 뮤우뮤우》는 요시다 레이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평범한 여중생 이치고가 고양이 유전자를 얻어 뮤우뮤우로 변신해 지구를 지키는 이야기이며, 애니메이션과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고, 다섯 소녀의 활약과 이치고의 짝사랑 상대와의 관계가 주요 내용이다.
  • 2010년대 유행 - 틱톡
    틱톡은 2016년에 시작된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능과 챌린지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중독성, 유해 콘텐츠,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 2010년대 유행 -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는 1996년 비디오 게임을 시작으로 애니메이션, 카드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전개된 프랜차이즈이며, 곤충 채집 경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개발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내 친구 해치
    《내 친구 해치》는 SBS에서 2010년부터 방영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으로, 자신의 정체를 잊은 해치와 서새봄이네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며 남도형, 우정신 등의 성우가 참여했고, SBS, SBS 콘텐츠허브, 동우애니메이션이 제작, 총 26편의 에피소드와 소녀시대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 서울특별시청과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의 제작 지원을 받았다.
  • 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최강! 탑플레이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최강! 탑플레이트
원제(정보 없음)
장르(정보 없음)
애니메이션 정보
제목(정보 없음)
원작(정보 없음)
기획민인식, 최신규, 김영애
총감독(정보 없음)
감독홍헌표
감수카게야마 야스오 (蔭山康生, Kageyama Yasuo)
시리즈 구성(정보 없음)
프로듀서권영숙, 김재영(책임), 신동식(기획), 김선태(제작총괄), 이종혁(제작)
조감독(정보 없음)
부감독(정보 없음)
감독 보좌(정보 없음)
설정(정보 없음)
구성(정보 없음)
각본조정희, 김형주, 권오현
캐릭터 원안(정보 없음)
캐릭터 디자인유봉현
메카닉 디자인(정보 없음)
총작화 감독유봉현
음향 감독(정보 없음)
음악박정식, 진현덕
미술봉하권
애니메이션 제작초이락컨텐츠컴퍼니
제작사탑플레이트 제작위원회
방송사SBS
그 외 방송사투니버스, 카툰 네트워크, 애니플러스, 브라보키즈, JEI 재능TV, 애니맥스, 애니원, 애니박스, 대교어린이TV 스페이스툰
방영 개시(정보 없음)
방영일2013년 9월 11일 ~ 2014년 11월 13일
화수39화
그 외(정보 없음)
저작권2013~2014 TOPPLATE Production Committee
후편터닝메카드

2. 등장인물

다음은 등장인물 목록이다.

성우배역
양정화손태양
김영은온유하
소정환최담덕
김율성공명, 담임 선생님
최승훈한비류
최석필해모수
박성태소수림, 사회자
한신최진덕, 사쿤, 첸, 빈센트
방연지온유미, 앨리스, 산체스
임윤선유하 엄마, 유니, 전기선, 카르,멘
김채하해모수 아내, 제니퍼, 소피, 에디, 어린 차가온
김명준주안경, 여우남, 에단&에반, 태민
권성혁담덕 아빠, 일권, 장반담, 브루스
김정훈거산, 우사인, 고홍만
여윤미지니, 링
강호철강민호, 제키
안영미진보라
이호산차가온, 찰리
이소은백초은
송준석마진웅, 최강중 팀 감독
최지훈최기철, 프랑소와
신용우전훈, 후딘
여민정조영
이주창지남철
김현심왕비호
김기흥손태산
정혜옥한송이
김영찬명문초 팀 감독, 루터(루이의 아빠)
서윤선하이테크 팀 감독
선호제최강 캡틴
남도형강은천
김보영명인의 딸
이종구명인
안장혁블리츠팀 감독, 불사조팀 감독
김새해줄리
정혜원도진희, 루이
김국진고만도
박리나박손빈


2. 1. 주요 인물

2. 2. 조연

차가온 / 찰리 (이호산)[1]

강민호 / 제키 (강호철)[1]

전훈 / 후딘 (신용우)[1]

진보라 (안영미)[1]

백초은 (이소은)[1]

손태산 (김기흥)[1]

루이 (정혜원)[1]

2. 3. 기타 등장인물

성우배역
김율성공명, 담임 선생님
최석필해모수
박성태소수림, 사회자
한신최진덕, 사쿤, 첸, 빈센트
방연지온유미, 앨리스, 산체스
임윤선유하 엄마, 유니, 전기선, 카르,멘
김채하해모수 아내, 제니퍼, 소피, 에디, 어린 차가온
김명준주안경, 여우남, 에단&에반, 태민
권성혁담덕 아빠, 일권, 장반담, 브루스
김정훈거산, 우사인, 고홍만
여윤미지니, 링
안영미진보라
송준석마진웅, 최강중 팀 감독
최지훈최기철, 프랑소와
여민정조영
이주창지남철
김현심왕비호
정혜옥한송이
김영찬명문초 팀 감독, 루터(루이의 아빠)
서윤선하이테크 팀 감독
선호제최강 캡틴
남도형강은천
김보영명인의 딸
이종구명인
안장혁블리츠팀 감독, 불사조팀 감독
김새해줄리
김국진고만도
박리나박손빈


3. 탑플레이트

탑플레이트는 손오공에서 제작한 팽이 완구이자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제목이다. 다양한 종류의 탑플레이트가 있으며, 각각 고유한 속성과 시스템, 이니셜, 스핀코어를 가지고 있다.

탑플레이트는 크게 프로토타입, G, G+ 시스템으로 나뉘며, , , , , 어둠, 바람의 속성을 가진다. 각 탑플레이트는 공격형, 수비형, 연타공격형, 방어회피형, 파워공격형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다음은 몇몇 탑플레이트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


  • 드래드 사이드: 강은찬의 탑플레이트, 어둠 속성.
  • 랩타일 히드라: 전훈의 탑플레이트, 공격형, 어둠 속성, 스핀코어: APEX A-02/APEX AD-02.
  • 포이즌 스콜피온: 진보라의 탑플레이트, 공격형, 속성, 스핀코어: APEX A-02 (진동 APEX).
  • 스틸레토 G: 손태산(손태양의 아빠)의 탑플레이트, 연타공격형, 어둠 속성, 스핀코어: APEX A-01.
  • 벨파고 G: 줄리의 탑플레이트, 불규칙회전형, 속성, 스핀코어: APEX D-04.
  • 스킵잭 G: 최기철의 탑플레이트, 공격형, 속성, 스핀코어: APEX A-02 (진동 APEX).
  • 헬 크로노스 G: 백초은의 탑플레이트, 연타공격형, 속성, 스핀코어: APEX A-01.
  • 아머 리자드 G+: 단테의 탑플레이트, 파워공격형, 속성, 스핀코어: APEX A-03.
  • 베스트 알리콘 G+: 로즈의 탑플레이트, 공격, 수비형, 바람 속성, 스핀코어: APEX D-02(수비형)/APEX AD-04(공격형).
  • 웹 스파이더 G+: 에단의 탑플레이트, 방어회피형, 속성, 스핀코어: APEX D-02.
  • 베놈 스파이더 G+: 에반(에단의 쌍둥이 남동생)의 탑플레이트, 파워공격형, 어둠 속성, 스핀코어: APEX A-02.

3. 1. 시스템

탑플레이트의 시스템은 크게 프로토타입, G, G+ 세 가지로 나뉜다.

  • 프로토타입: 기본적인 형태의 탑플레이트이다.
  • G: 프로토타입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형태이다. 어시스트 윌, 타이푼 바인딩 등 특수 기능이 추가된다.
  • G+: G 시스템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이다. 더욱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시스템설명해당 탑플레이트
프로토타입기본적인 형태블레이즈 라이거, 모탈 샤크, 앤틀러 고트, 로키 골렘, 드래드 드래곤, 썬더 울프, 윙즈 팔콘, 랩타일 히드라, 포이즌 스콜피온
G프로토타입에서 업그레이드, 특수 기능 추가 (어시스트 윌, 타이푼 바인딩 등)블레이즈 라이거 G, 모탈 샤크 G, 앤틀러 고트 G, 로키 골렘 G, 윙즈 팔콘 G, 스틸레토 G, 벨파고 G, 스킵잭 G, 헬 크로노스 G
G+G 시스템에서 더욱 발전, 강력한 성능블레이즈 라이거 G+, 혼 베히모스 G+, 아머 리자드 G+, 베스트 알리콘 G+, 웹 스파이더 G+, 베놈 스파이더 G+


3. 2. 속성

속성탑플레이트
블레이즈 라이거, 포이즌 스콜피온, 헬 크로노스 G, 아머 리자드 G+, 웹 스파이더 G+
모탈 샤크, 벨파고 G, 스킵잭 G, 혼 베히모스 G+
앤틀러 고트, 썬더 울프
로키 골렘
어둠드래드 드래곤, 랩타일 히드라, 스틸레토 G, 베놈 스파이더 G+
바람윙즈 팔콘, 베스트 알리콘 G+


3. 3. 주요 탑플레이트

탑플레이트소유자설명속성시스템각주
블레이즈 라이거손태양공격, 수비 밸런스형프로토타입 → G → G+[1]
모탈 샤크한비류연타 공격형프로토타입 → G
앤틀러 고트온유하방어, 회피형프로토타입 → G
로키 골렘최담덕파워 공격형프로토타입 → G
드래드 드래곤차가온공격, 수비 밸런스형어둠프로토타입
썬더 울프강민호공격, 수비 밸런스형프로토타입
윙즈 팔콘성공명방어, 회피형바람프로토타입 → G
혼 베히모스 G+루이연타 공격형G+


4. 도구


  • 와인더: 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도구이다.
  • 트위져: 탑플레이트를 조립하고 정비하는 도구이다.
  • 어택 디쉬: 탑플레이트 배틀 경기장이다.
  • 보우 스트라이커: 활 형태의 와인더이다.

5. 스타디움

종류설명
스트라이커 배틀필드기본적인 형태의 스타디움이다.
블루홀 스타디움중앙에 큰 구멍이 있는 스타디움이다.
사커 스타디움축구 경기장 형태의 스타디움이다.
포켓 스타디움휴대용 스타디움이다.


6. 제작진

역할이름
기획SBS
제작탑플레이트 제작위원회 (SONOKONG, 초이락컨텐츠컴퍼니, CJ ENM(주), Tooniverse)
감독홍헌표
감수카게야마 야스오(蔭山康生)
기획 프로듀서민인식, 최신규, 김영애, 신동식
책임 프로듀서권영숙, 김재영
제작 총괄 프로듀서김선태
제작 프로듀서이종혁
시나리오조정희, 김형주, 권오현
콘티홍헌표
연출한영훈
작화 감독임서영, 유봉현
캐릭터 디자인·총 작화 감독유봉현
미술 감독봉하권
3D 감독윤남석
음향CIC 미디어
음악박정식, 진현덕
L/O한영훈, 최진호, 이종경, 김종용, 류동균, 유봉현
원화조은주, 최진호, 류동균, 유봉현, 박순옥, 정미영, 오두형, 김진원, 김명희, 이현대, 김해숙
동화 체크송진섭
동화임형숙, 김세경, 장희정, 최은영, 강채연, 임지혜, 임은숙, 유희진, 오혜미, 원태연, 문현숙, 김혜진, 윤병옥, 권명숙, 이지연, 이아름, 심은주, 김정희, 김민정, 지미진, 김지숙, 조미정
색채 설계김선희
스캔정창택
채색 체크김경숙
채색황성경, 박진희, 이경진, 김순희, 박세윤, 정윤희, 양인숙
촬영문샛별, 윤혜진, 윤명지, 강희진, 최학선, 현지훈
3D 제작Boxfish, 박정준, 김민경, 이재준
배경송기동, 정혜진, 최혜민, 선병수, 이은지, 임혁수, 김응경
제작 데스크이춘무
제작 진행김학기, 고희성, 윤종윤, 김창우
코디네이터김충오, 김영미, 정혜원
포스트 프로덕션 총괄조일오, 신동식
녹음이성주
믹싱김세광
편집고재식
녹음 연출신동식, 김이경
종편 CG김은영
종편 감독원진희


7. 주제가

; 오프닝 테마

: '''"Challenge"'''

:: 작사: 박정식, 신동식

:: 작곡: 박정식

:: 편곡: 마르코

:: 노래: 박민우

; 엔딩 테마

: '''"Battle"'''

:: 작사: 신동식

:: 작곡: 박정식

:: 편곡: 박정식, 마르코

:: 노래: 정재호

; 삽입곡

: '''"오로라걸스 노래"'''

:: 작사: 홍지수

:: 작곡: 박정식, 진현덕, 홍지수

:: 편곡: 진현덕

:: 노래: 박지민, 김민서, 홍지수

8. 방영 목록

9월 11일블레이즈 라이거
앤틀러 고트
로키 골렘
머드 골렘 (완구 미출시)제2화최강 파워, 최담덕9월 25일제3화컴퓨터 요새 성공명10월 2일윙즈 팔콘제4화천하팀 최종멤버10월 16일모탈 샤크
스파이더 (완구 미출시)제5화최강 명문팀에 맞서라!10월 17일헬게이트 틱틱 (완구 미출시)
스네이크 블랙맘바 (완구 미출시)제6화운명의 승부10월 23일썬더 울프
포이즌 스콜피온
아이언 몽키 (완구 미출시)제7화천하팀 감독은?10월 24일제8화탑플레이트 랜드의 대결10월 30일블러드 맨티스 (완구 미출시)
바이올런트 고블린 (완구 미출시)
골드 라이노 (완구 미출시)제9화위기일발! 전국대회 1차전!10월 31일아이스 레인디어 (완구 미출시)
레비아탄 (완구 미출시)제10화의문의 팀 고스트 레인저!11월 6일고스트 피닉스 (완구 미출시)
벨파고제11화2등을 노려라!11월 7일제12화최강 파워를 넘어라11월 13일버디 퍼팔로 (완구 미출시)
그레이트 버팔로 (완구 미출시)
그레이트 라이노 (완구 미출시)
그레이트 맘모스 (완구 미출시)
그레이트 엘리펀트 (완구 미출시)제13화날아오른 흑룡11월 20일드래드 드래곤
헬 크로노스제14화특별훈련 시작이다!11월 21일스틸레토 G제15화마그나소울을 향해!11월 27일블레이즈 라이거 G
모탈 샤크 G
앤틀러 고트 G
로키 골렘 G
윙즈 팔콘 G제16화전국대회 본선 시작!11월 28일블랙 퓨마 (완구 미출시)제17화장애물을 넘어라12월 4일블랙 재규어 (완구 미출시)
블랙 유니콘 (완구 미출시)
블랙 판다 (완구 미출시)
캐라티노스 터틀 (완구 미출시)제18화위기의 중간고사12월 5일스마트 로보 (완구 미출시)
익스트림 타키온 (완구 미출시)
트릭키 자이로 (완구 미출시)제19화흔들리는 마그나소울!12월 11일스네어 스파이더 (완구 미출시)
프리클 헤지혹 (완구 미출시)제20화깨어나는 아픔12월 12일랩타일 히드라
스킵잭 G
하보크 (완구 미출시)제21화운명의 준결승전12월 18일레오팔트 (완구 미출시)
인트루더 (완구 미출시)제22화다시 하나가 되어!12월 19일제23화사라진 마그나소울12월 26일앰버쉬 카멜레온 (완구 미출시)제24화대망의 결승전12월 26일블레이즈 라이거 G+제25화반격의 실마리12월 26일제26화가자, 세계를 향해!12월 26일제27화대망의 세계대회!2014년
8월 21일혼 베히모스 G+제28화불사조팀의 등장8월 28일임모탈 치타 (완구 미출시)
임모탈 라이온 (완구 미출시)
임모탈 카프라 (완구 미출시)
임모탈 엘리펀트 (완구 미출시)
임모탈 이글 (완구 미출시)제29화세계 최강 파워를 넘어라9월 4일썬더 토마호크 (완구 미출시)
다크 애로우 (완구 미출시)
아이스 대거 (완구 미출시)
솔라 쟈벨린 (완구 미출시)
제트 부메랑 (완구 미출시)제30화어린 황제9월 11일아머 리자드 G+
베스트 알리콘 G+
웹 스파이더 G+
베놈 스파이더 G+
헤르모드 (완구 미출시)
아에기르 (완구 미출시)
발두르 (완구 미출시)
울레르 (완구 미출시)
프레윌 (완구 미출시)제31화우린 바보가 아냐9월 18일타이푼 아이 (완구 미출시)
메스 보라존 (완구 미출시)
솔라 윈드 (완구 미출시)
제로 포인트 (완구 미출시)제32화숨막히는 8강전!9월 25일하이퍼 타키온 (완구 미출시)제33화최기철의 희생10월 2일세르카 (완구 미출시)
마르팁탄폰 (완구 미출시)
블록 벨로타 (완구 미출시)
에스쿠도 (완구 미출시)
카밀리오 (완구 미출시)제34화듀얼 마그나 소울10월 2일익스트림 에이스 (완구 미출시)
익스트림 아이스 (완구 미출시)
익스트림 파워 (완구 미출시)
익스트림 쉐도우 (완구 미출시)
익스트림 스피드 (완구 미출시)제35화불꽃 튀는 4강전10월 16일스파르타 (완구 미출시)
트릭 매지카 (완구 미출시)
실리 기간트 (완구 미출시)
클로버 미제트 (완구 미출시)
해피 클라운 (완구 미출시)
타쿠로스 (완구 미출시)제36화불사조팀 대 황제팀10월 23일제37화오버 마그나 소울!10월 30일제38화세계대회 결승전!11월 6일제39화최후의 승자는?11월 13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