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불은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빛과 열을 동반한다. 불은 연소 반응을 통해 이산화 탄소와 물을 생성하며, 화재 사면체의 네 가지 요소(연료, 산화제, 열, 연쇄 반응)가 모두 갖춰졌을 때 발생한다. 불은 난방, 조리, 산업,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인류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불은 통제를 벗어나면 화재로 이어져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화재 예방 및 대응이 중요하다. 한국 문화에서 불은 정화와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전통 신앙과 속담, 관용 표현 등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2. 불의 과학적 특성

불은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인 연소 과정을 통해 빛과 열을 방출하는 현상이다.

양초불꽃


최근에는 "연소에 의해 해방된 에너지 때문에 연소하고 있는 물체(나 기체)가 발광한다"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fire"(불)라는 단어는 Fyr|Fire, a fireang(불, 화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게르만어의 어근 에서 기원한다. 이 어근은 다시 인도유럽어의 에서 왔고, 이는 (불)에서 파생되었다. 현재 철자인 "fire"는 1200년경부터 사용되었지만, 중세 영어 단어 fierenm(이는 여전히 "fiery"(불 같은)라는 단어에 보존되어 있음)을 완전히 대체한 것은 1600년경이었다.[8]

불의 온도는 산소가 많을수록 올라간다.

2. 1. 연소

탄화수소메테인연소에 대한 균형 잡힌 화학 반응식


불은 연료산화제가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을 생성하는 화학 과정이다.[30] 이 과정은 연소 반응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직접 진행되지 않고 반응 중간체를 포함한다.[30] 산화제는 일반적으로 산소이지만, 삼불화염소와 같이 다른 화합물도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31]

불은 가연성 물질 또는 연소성 물질이 충분한 양의 산화제(산소 가스 또는 다른 산소 농축 화합물)와 결합하여 인화점 이상의 열원 또는 주변 온도에 노출되고, 연쇄 반응을 생성하는 빠른 산화 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때 시작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화재 사면체라고 불린다.

일단 점화되면, 연쇄 반응이 일어나야 하며, 여기서 불은 연소 과정에서 열 에너지를 추가로 방출하여 자체 열을 유지하고, 산화제와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제공되면 확산될 수 있다.

불을 끄려면 연료, 산소, 열 중 하나를 제거하면 된다. 예를 들어 천연 가스 불을 끄려면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가스 공급을 중단한다. - 연료를 제거한다.
  • 불꽃을 무언가로 완전히 밀폐한다. -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불꽃 주위에 CO2를 채운다.
  • 물을 대량으로 뿌려 불꽃이 열을 발생시키는 것보다 빠르게 열을 빼앗는다. 냉기를 불어넣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할로메탄과 같은 반응 지연제를 사용한다. 연소의 화학 반응 자체를 지연시켜 연쇄 반응을 불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연소 효율을 높여 불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화학 양론적으로 균형 잡힌 형태로 연료와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불의 온도도 높아지고 연쇄 반응도 강해지지만, 동시에 촉매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2. 2. 불꽃

불꽃은 연소 반응 중인 기체와 고체의 혼합물로, 가시광선, 적외선, 때로는 자외선을 방출한다. 그 주파수 스펙트럼은 연소 물질과 중간 반응 생성물의 화학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88] 나무와 같은 유기물의 연소나 가스의 불완전한 연소와 같은 경우, 그을음이라고 불리는 백열 고체 입자가 적황색 빛을 생성한다. 가스의 완전 연소는 불꽃에서 형성된 들뜬 분자의 전자 전이로 인해 단일 파장 방사선을 방출하여 희미한 파란색을 띈다. 일반적으로 산소가 관여하지만, 염소에서 연소하는 수소도 불꽃을 생성하며 염화 수소(HCl)를 생성한다. 플루오린수소, 히드라진과 사산화 이질소 등도 불꽃을 생성할 수 있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통제된 연소로, 온도에 따른 불꽃 색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땅에 가까운 가장 뜨거운 부분은 황백색으로 보이고, 더 차가운 윗부분은 붉은색으로 보인다.


불꽃의 빛은 흑체 복사, 가스 내 들뜬 원자분자의 탈여기(de-excited)에 의한 광자 방출 등으로 인해 복잡하다. 방사의 대부분은 가시광선 및 적외선 대역에서 방출된다. 색상은 흑체 복사의 경우 온도에 따라, 방출 스펙트럼의 경우 화학적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불은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왼쪽: 지구의 불꽃; 오른쪽: ISS의 불꽃


일반 중력 조건에서 불꽃의 분포는 대류에 의존하며, 그을음은 위로 올라가 노란색을 띈다. 무중력 또는 제로 중력 상태에서는,[34] 대류가 발생하지 않아 불꽃은 구형이 되고, 더 파랗고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NASA의 실험에 따르면 무중력 상태의 확산 불꽃은 지구보다 더 많은 그을음을 생성한 후에 완전히 산화될 수 있다.[36]

불꽃은 불꽃 심, 속불꽃, 바깥불꽃으로 구성되어 있다.[55] 가장 밝은 부분은 탄소(그을음)를 가장 많이 포함한 속불꽃이고, 가장 뜨거운 부분은 산소와 가장 많이 접촉하는 바깥불꽃이다. 속불꽃은 불완전 연소를 일으킨다.

불꽃의 온도는 빛깔에 따라 다르다:[88]

{| class="wikitable"

|-

! 빛깔 !! 온도

|-

| 빨간 빛깔

|

눈에 보임525 °C
Dull700 °C
Cherry, dull800 °C
Cherry, full900 °C
Cherry, clear1000 °C



|-

| 주황 빛깔

|

Deep1100 °C
Clear1200 °C



|-

| 흰 빛깔

|

Whitish1300 °C
Bright1400 °C
Dazzling1500 °C



|}

2. 3. 불의 온도

불의 온도는 연료와 산소의 종류,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산소가 많을수록 온도가 올라간다.

  • 양초불꽃: 1400°C[88]
  • 용접 토치의 불꽃: 2200°C[88]
  • 분젠버너의 불꽃: 1300°C ~ 1600°C[88]
  • 소형발염기(blow torch)의 불꽃: 1000°C[88]
  • 담배[88]
  • * 흡입시: 800°C
  • * 흡입하지 않는 평상시: 400°C ~ 585°C


1/400초에서 찍은 불의 모습


불꽃의 온도는 빛깔에 따라 다르다.[88]

빛깔온도
빨간 빛깔
주황 빛깔
흰 빛깔



다양한 불과 불꽃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 수소-산소 불꽃: 2000°C 이상[58]
  • 분젠 버너의 불꽃: 1300°C ~ 1600°C[58]
  • 브로 토치의 불꽃: 1300°C[59]
  • 양초의 불꽃: 1000°C[58]
  • 담배[58]:
  • * 빨아들이지 않을 때: 바깥쪽 400°C, 안쪽 585°C
  • * 빨아들일 때: 안쪽 700°C
  • * 항상 안쪽이 더 뜨겁다.

3. 불의 역사

인류가 언제부터 불을 사용하기 시작했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인류는 낙뢰산불로 타오르는 나뭇가지 등을 주거지나 동굴로 가져가 불씨로 보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불의 사용 흔적은 150만 년 전 남아프리카의 스와르트크란스 동굴이나 140만 년 전 동아프리카 케냐의 체소완자 유적 등이다.

인류는 불을 다양하게 이해해 왔다. 불의 기원 신화는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며, 그리스 신화프로메테우스 신화가 대표적이다.[48][49][50]

고대 세계에서 불은 신앙의 대상이자 경외의 대상이었으며,[51] 인도 신화아그니조로아스터교가 그 예시이다. 불교 또한 인도의 배화 신앙과 습합하여 화장 문화를 전파했다. 일본에서는 오본송화(교토시의 고잔 오쿠리비)를 비롯해 코쇼가츠에 행해지는 사기초 (돈도야키) 등 특징적인 불 축제가 전국적으로 존재한다.[52] 캠프파이어 등 현대에도 불은 여러 행사나 상징적인 장소에서 사용된다.

기원전 6세기, 헤라클레이토스는 유전하는 세계의 근원에 불을 위치시키고[53][54], 영혼을 신적인 불로 간주했다. 기원전 5세기 엠페도클레스는 불을 사원소 중 하나로 여겼다. 데모크리토스는 영혼과 불을 동일시하며 "구형의 것이 불이며, 영혼이다"라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서 불은 사원소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을 계승한 이슬람 과학에서도 불은 원소 중 하나였다. 18세기경까지 유럽에서도 아리스토텔레스의 불 이해 방식을 계승했다. 다만, 연금술에서는 불을 물질과 정신의 통합, 순화를 촉진하는 힘으로 보았다.[51]

18세기, 많은 사상가들은 열과 에서 불의 본질을 찾으려 했다.[51] 칸트는 온도 상승을 불 원소의 이동과 관련지었다.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은 불이 가연성 원질인 "플로지스톤"에 의해 일어난다고 주장하며 1697년 『화학의 기초』에서 플로지스톤설을 표명했다. 플로지스톤설은 널리 지지받았으나, 18세기 말 라부아지에가 연소를 산소와의 결합 현상으로 보는 이론을 제시하면서 주류 학설이 바뀌었다.

불은 역사 속 전쟁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고대 수렵 채집 사회부터 불은 전쟁에 이용되었고, 동로마 제국은 그리스 화약을 사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화염 방사기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소이탄 폭격이 사용되었다. 일본은 목조 가옥이 많아 소이탄 피해가 컸다. 베트남 전쟁에서 네이팜탄이 널리 알려졌으며, 화염병도 사용되었다.

3. 1. 초기 인류와 불

인류가 언제부터 불을 사용하기 시작했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인류는 낙뢰산불로 타오르는 나뭇가지 등을 주거지나 동굴로 가져가 불씨로 보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0]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불의 사용 흔적은 다음과 같다.

유적지국가시기비고
스와르트크란스 동굴남아프리카 공화국150만 년 전
체소완자 유적케냐140만 년 전동아프리카
미들 아와시에티오피아화덕 유적
게셰르 베노트 야코브이스라엘화덕 유적



이 시대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에서는 호모 하빌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1] 베이징 원인 발견 장소에서는 매우 두꺼운 재 층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불을 끄지 않고 계속 태웠기 때문일 수 있다는 설도 있다.

불을 통제하는 능력은 초기 인류에게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다.[15] 불 피우기는 음식 요리를 가능하게 했고, 영양소 종류와 가용성을 늘리고 음식 속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여 질병을 줄였다.[16] 또한 추운 날씨에 따뜻함을 유지하게 하여 더 시원한 기후에서도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야행성 포식자들을 쫓는 데도 사용되었다.

3. 2. 불의 화석 기록

오르도비스기 중기에 육상 식물이 정착하면서 불의 화석 기록이 처음 나타났다.[9] 육상 식물들이 산소를 폐기물로 배출하면서 대기 중의 산소 농도가 높아져 13%를 넘어서자 산불이 가능해졌다.[10] 실루리아기 후기 화석 기록에서 숯화된 식물 화석이 발견되면서 산불이 처음 기록되었다.[11][12] 데본기 후기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시기를 제외하면 숯은 그 이후로 계속 존재한다.[12] 대기 중 산소 수준은 숯의 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산소는 산불 발생의 주요 요인이기 때문이다.[13] 풀이 확산되어 많은 생태계의 지배적인 구성 요소가 되면서 불이 더 흔해졌다.[14] 불쏘시개는 불이 더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싯깃을 제공했고, 이러한 광범위한 화재는 따뜻하고 건조하며 화재에 더 적합한 기후를 만들어 양성 피드백 과정을 시작했을 수 있다.[13]

3. 3. 문명과 불

불은 농경, 산업, 전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현대에도 불은 수많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넓은 의미에서 불은 통제된 환경에서 거의 모든 사람이 매일 사용한다. 내연 기관 차량의 사용자는 운전할 때마다 불을 사용한다. 열 발전소석탄, 석유 또는 천연 가스와 같은 연료를 점화하여 발생한 열로 증기를 끓여 터빈을 구동함으로써 인류의 많은 부분에 전기를 공급한다.

인류는 불을 다양하게 이해해 왔다. 어떻게 불을 얻었는지에 대한 불의 기원 신화도 세계 각지에서 알려져 있다[48][49]그리스 신화프로메테우스 신화가 대표적인 불의 기원 신화이다[50]

불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종교도 있다. 고대 세계에서 불은 신격화되어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51]。 예를 들어 인도 신화의 아그니가 있다. 또한 배화교라는 이명을 가진 조로아스터교도 있다. 불교도 인도의 배화 신앙과 습합하여, 화장 등의 문화를 각지에 전파했다. 일본에서도 오본송화(교토시의 고잔 오쿠리비가 유명)를 비롯해, 국내 각지에서 특징적인 불 축제가 다수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코쇼가츠에 행해지는 사기초 (돈도야키)는, 일본 각지에 거의 널리 존재한다[52]。 신앙의 장소 외에도, 예를 들어 캠프파이어 등 많은 행사, 상징적인 장소 등에서 불은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도 불은 상징으로서의 힘을 지니고 있다.

기원전 6세기, 헤라클레이토스는, 유전하는 세계의 근원에 불을 위치시키고[53][54], 영혼을 신적인 불로 간주했다. 기원전 5세기의 엠페도클레스는, 불을 사원소 중 하나로 하여, 프로메테우스에 연유하여 "파이로 (πυρgrc)"라고 했다. 데모크리토스는, 영혼과 불을 동일시하고, 원자는 무수히 많다고 하면서, "구형의 것이 불이며, 영혼이다"라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서, 불은 사원소 중 하나로 위치 지어졌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흐름을 잇는 이슬람 과학에서도 불은 원소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또한 중국 대륙철학에서도 유사한 사고방식이 있었다). 18세기경까지의 유럽에서도, 대체로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서의 불의 이해 방식을 계승했다고 생각해도 좋다. 다만, 한편으로 연금술에서는, 불은 물질이나 물질에 가탁된 정신의 통합과 순화를 촉진하는 힘으로 생각되었다[51]

18세기가 되자, 많은 사상가들은, 열과 에 불의 본질을 찾으려 했다[51]칸트는, 온도 상승을 불의 원소의 이동과 관련지어 이해했다.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은, 불이란 가연성의 원질 "플로지스톤"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1697년의 저서 『화학의 기초』에서 이를 표명했다. 이 설(플로지스톤설)은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되어 최대의 영향력을 가졌다. 동 설에 대항하는 여러 설이 있었지만, 18세기 말에 라부아지에가 행한 비판과 동씨의 이론의 설득력 등에 의해, 연소를 산소와의 결합 현상으로 하는 설을 채택하는 사람이 늘어나 주류가 되었다.

불은 역사상 다양한 형태로 전쟁에 이용되어 왔다. 고대에는 수렵 채집 사회에서, 들판이나 숲을 불태워 적을 공격하고 식량을 얻기 어렵게 하는 등, 불은 인류가 그 제어에 관한 지식을 얻은 때부터 전쟁에 이용되어 왔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전쟁에 그리스 화약을 사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보병이 처음으로 화염 방사기를 사용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그것을 차량에 장착했다. 또한, 소이탄에 의한 폭격이 도쿄, 로테르담, 런던, 함부르크, 드레스덴 등에서 행해졌다. 그로 인해 화재 선풍이 일어난 도시도 있다. 대전 말기에는 미군이 일본의 각 도시를 소이탄으로 폭격했다. 일본의 가옥은 목조가 많았기 때문에 소이탄의 효과가 컸다. 1945년 7월, 대전 종결 직전에 네이팜탄이 투입되었지만[76], 네이팜탄이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베트남 전쟁 때이다[76] . 또한, 화염병이라는 무기도 사용되어 왔다.

4. 불의 활용

불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크게 빛을 이용하는 광원과 열을 이용하는 열원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오래된 불의 이용은 모닥불 형태였으며, 이는 빛과 열을 모두 제공했다. 현대에도 캠핑에서 모닥불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모닥불이 광원으로 사용되었고, 장작을 들면 횃불이 되었다. 이후 기름을 사용한 램프나 양초가 사용되었으며, 근대에는 가스등석유를 이용한 조명이 등장했다. 현재는 전기가 주된 광원이지만, 양초는 종교 행사 등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열원으로서 불은 난방, 조리, 산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4. 1. 난방과 조리

불을 조절하는 능력은 초기 인류의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15] 불을 피워 열과 빛을 냄으로써 사람들은 음식을 요리할 수 있게 되었고, 영양소 섭취를 늘리고 음식 속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여 질병을 줄일 수 있었다.[16] 또한 추운 날씨에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어 더 추운 기후에서도 살 수 있게 되었다. 불은 야행성 포식자들을 쫓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요리된 음식의 증거는 에서 발견되는데,[17] 이는 약 100만 년 전에 불이 통제된 방식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18][19]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규칙적인 사용 시기를 40만 년 전으로 보기도 한다.[20]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불 위에 솥을 올려놓고 요리하는 모습


생활용 열원으로서 불은 주로 난방조리에 사용되었다. 모닥불은 따뜻함을 얻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불꽃이 크면 가까이 다가가기 어렵다. 불꽃이 작더라도 오랫동안 천천히 타는 작은 불이 더 유용하며, 불꽃 없이 타는 이 효과적이었다. 불을 약하게 오래 유지하기 위해 에 묻는 방법도 사용되었다.

방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에는 더 강하게 타는 불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내에서 불꽃이 타오르는 것은 위험하므로, 스토브나 난로가 만들어져 불을 가둔 상태에서 강하게 태울 수 있게 되었다. 액체 연료나 기체 연료는 안전하게 공급하는 시스템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현재는 액체 연료나 기체 연료가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는 난방 연료의 대체 역할을 크게 하지 않고 있다.

음식 가공에 불을 사용하게 된 것은 산불 등에서 미처 피하지 못한 동물의 구운 고기를 먹은 것이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5] 음식을 불로 가열하는 법을 배우면서 인류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불에 굽는 것만으로도 음식 맛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생으로는 먹기 어려웠던 곡물, , 고구마 등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66] 또한 동물의 고기나 생선을 불에 구워 기생충이나 병원균의 위험 없이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가열 소독은 현대 요리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67] 토기가 등장하면서 식재료와 물을 넣고 가열하여 삶는 조리법이 가능해졌고, 금속기의 등장으로 식재료를 더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기름으로 볶거나 튀기는 조리법도 개발되었다.[68]

20세기에는 전기레인지전자레인지 등이 등장하여 불을 사용하지 않는 가열 조리가 가능해졌다.

4. 2. 산업과 에너지

불은 금속 제련, 도자기 제작 등 다양한 산업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인류는 불을 이용하여 토기를 굽고, 구리, 청동, 등의 금속을 제련하여 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발전해 왔다.[74]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소


연료를 태우면 화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나무선사 시대부터 연료로 사용되어 왔으며[27], 석유, 천연 가스,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는 오늘날 화력 발전을 통해 전 세계 에너지 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77]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 전력의 거의 80%가 화석 연료에서 꾸준히 공급되었다고 밝히고 있다.[28] 발전소에서 불은 물을 데워 증기를 생성하고, 이 증기는 터빈을 구동한다. 터빈은 다시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한다.[29] 불은 또한 열팽창에 의해 직접 기계적 일을 제공하는데, 이는 외연 기관과 내연 기관 모두에서 사용된다.

4. 3. 농업

화전 농업은 불을 이용하여 토지를 개간하고 비옥하게 만드는 전통적인 농업 방식이다. 인류는 산불 등으로 불에 탄 토지에 초원이 생겨나 초식 동물의 먹이장이 되는 것을 보고, 인위적으로 불을 질러 초원을 유지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이것이 화전 농업의 기원으로 여겨진다.[69] 불을 지르면 땅에 남은 재가 좋은 비료가 되어 수년간 좋은 수확을 얻을 수 있었다.[70] 지력이 떨어지면 밭을 버리고 새로운 토지에 불을 질러 밭을 만드는 순환이 이루어졌다.[71] 현대에도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화전 농업이 행해지고 있지만, 짧아진 주기로 인해 지력 소모, 산림 화재,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72]

한국에서는 수확 후의 에 불을 질러 마른 벼나 을 태우는 불 지르기가 행해지는데, 이는 해충 구제와 비료화를 위한 것이다.

5. 불의 위험성

불은 통제되지 않으면 화재로 이어져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불을 붙이려면 가연물, 산소와 같은 산화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 인화점을 넘는 열이 필요하다. 불이 붙으면 연소로 발생한 열 에너지가 추가적인 연소를 일으키지만, 연소를 계속하려면 연료와 산소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56]

불을 끄려면 연료, 산소, 열 중 하나를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화재의 경우, 가스 공급을 중단하거나(연료 제거), 불꽃을 밀폐하거나(산소 차단), 대량의 물을 뿌리거나(열 제거), 할로메탄과 같은 반응 지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5. 1. 화재

불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타오르는 것을 화재라고 한다.[82]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자연적으로 진화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초기에는 소화기를 사용하며, 소방의 도움을 받아 소화하게 된다.

개발이 진전된 지역에서는 화재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 서비스가 제공된다. 소방관소방차 등을 사용해 소화전 등의 물을 방수하여 소화한다. 연소하는 물질에 따라서는 화학 소방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화재 예방에는 발화원이 되는 것을 제거하고, 화재 방지 교육도 중요하다. 학교 등 큰 건물에서는 화재 대피 훈련을 실시한다. 대부분의 법치 국가에서 방화범죄이다.

많은 국가에서 건축물의 화재 방지 대책을 정하고 있다. 능동적 대책으로 스프링클러 설비가 있다. 수동적 대책으로 선진국에서는 건축 재료의 내화 성능에 대해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인구가 집중된 도시에서 발생한 화재는 큰 피해를 가져오는데, 64년로마 대화재1666년런던 대화재처럼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례도 존재한다.[83] 일본에서는 불에 잘 타는 목조 가옥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도시의 대형 화재가 많았고,[84] 그중에서도 에도1657년메이레키 대화재를 필두로 빈번하게 대형 화재를 겪었다.[85] 이후 도시의 난연화 및 방화 체제 정비로 도시의 화재는 전 세계적으로 감소 및 소규모화되었지만, 전쟁이나 지진 등으로 방화 체제에 틈이 생길 때 대규모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86]

도시 화재 외에도 숲이나 초원을 태우는 산불도 존재한다. 산불은 어느 숲에서나 발생하지만, 특히 호주나 캘리포니아와 같은 온대 반건조 지역이나 시베리아캐나다 등의 한대 침엽수림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산불을 전제로 한 생태계가 성립되어 있다.[87]

5. 2. 화재 예방 및 대응

화재 예방은 화재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포함한다.

건축물에는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동 화재 방지 및 능동 화재 방지 시스템이 설치된다. 건축 법규는 이러한 시스템 설치를 의무화하며, 스프링클러가 능동 화재 방지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건물의 수동 화재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건축 자재와 가구의 내화 등급, 가연성 및 인화성을 테스트한다.[44] 차량 및 선박에 사용되는 실내 장식품, 카펫, 플라스틱도 테스트 대상이다.

화재 예방 교육은 사람들이 화재를 일으키는 것을 피하도록 돕는다.[42] 건물, 특히 학교와 고층 건물에서는 화재 대피 훈련을 실시하여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43] 고의로 불을 지르는 행위는 방화로 간주되어 대부분의 국가에서 범죄로 처벌받는다.[43]

화재 발생 시에는 훈련된 소방관소방차, 수도관, 소화전 등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41] 또한, 화재 원인에 따라 A급 및 B급 폼을 사용하기도 한다.

불을 끄기 위해서는 연료, 산소, 열 중 하나를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화재의 경우 가스 공급 중단(연료 제거), 불꽃 밀폐(산소 차단), 대량의 물 뿌리기(열 제거), 할로메탄과 같은 반응 지연제 사용(연쇄 반응 억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화재 예방 및 대응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발생한 경우, 화재 보험을 통해 재정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44]

6. 한국 문화와 불

인류는 불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해 왔으며, 불을 어떻게 얻었는지에 대한 불의 기원 신화도 세계 각지에서 전해져 내려온다.[48][49] 그 가운데 하나가 그리스 신화프로메테우스 신화이다.[50]

불은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고대 세계에서 불은 신격화되어 경외의 대상이 되었으며,[51] 인도 신화의 아그니가 그 예이다. 조로아스터교는 배화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불교도 인도의 배화 신앙과 습합하여 화장 등의 문화를 각지에 전파했다. 일본에서도 오본송화(교토시의 고잔 오쿠리비가 유명)를 비롯해, 국내 각지에서 특징적인 불 축제가 다수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코쇼가츠에 행해지는 사기초(돈도야키)는 일본 각지에 거의 널리 존재한다.[52]

한국에서도 불은 여러 민속 신앙 및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위 섹션 "전통 신앙과 불" 참조)

일상생활에서도 불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하위 섹션 "불과 관련된 속담 및 관용 표현" 참조)

6. 1. 전통 신앙과 불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불은 정화와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정월 대보름쥐불놀이, 달집태우기 등은 불을 통해 액운을 쫓고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다.

6. 2. 불과 관련된 속담 및 관용 표현

연애나 분노와 같이 격앙된 감정은 종종 불이나 불꽃에 비유된다.[1] "재가 된 말뚝에 불이 붙었다"는 표현은 한때 연애 관계에 있던 남녀가 다시 연애 관계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한 번 타서 숯이 된 나무 말뚝은 그 후에도 쉽게 불이 붙는 것에서 유래했다.[1] "불을 뿜듯이" 화를 내거나, 수치심 등으로 뺨이 붉어지는 것을 "불이 나는 듯"이라고 형용하는 것도 비슷한 예시이다.[1]

위험한 상황으로 인해 위기에 빠지는 것을 "궁지에 몰렸다"고 표현하기도 한다.[1] 야구에서 투수가 연속으로 안타를 맞아 얻어맞는 경우 "불덩이"나 "불타오른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그 예이다.[1]

"불을 붙이다"는 말은 실제로 연료에 점화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떤 계획이나 활동을 시작할 때에도 사용된다.[1] 일단 불이 붙으면 그 후에는 저절로 타오르는 속성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보인다.[1] 발안자나 책략가를 "불씨" 또는 "방화범"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1]

참조

[1] 간행물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http://www.nwcg.gov/[...]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2007-10-01
[2] 웹사이트 What is the State of Matter of Fire or Flame? Is it a Liquid, Solid, or Gas? https://web.archive.[...] About.com 2009-01-21
[3] 웹사이트 What is the State of Matter of Fire or Flame? Is it a Liquid, Solid, or Gas? http://chemistry.abo[...] About.com 2009-01-21
[4] 문서 Lentile, ''et al.'', 319
[5] 논문 Forest Fire and the Natural Soil Erosion Regime in the Colorado Front Range
[6] 뉴스 SCIENCE WATCH; Burning Plants Adding to Nitrogen https://www.nytimes.[...] 2023-11-02
[7] 웹사이트 How Do Wildfires Affect Soil? - Applied Earth Sciences https://aessoil.com/[...] 2023-11-02
[8] 웹사이트 Fire https://www.etymonli[...] 2023-03-24
[9] 논문 The microfossil record of early land plants
[10] 논문 Fossil charcoal, its recognition and palaeoatmospheric significance
[11] 논문 Charcoal in the Silurian as evidence for the earliest wildfire
[12] 논문 The diversification of Paleozoic fire systems and fluctuations in atmospheric oxygen concentration
[13] 논문 Fire in the Earth system https://resolver.cal[...] 2024-01-26
[14] 논문 Neogene expansion of the North American prairie 1997-01-01
[15] 논문 The discovery of fire by humans: a long and convoluted process 2016-01-01
[16] 논문 Earliest fire in Africa: towards the convergen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and the cooking hypothesis 2013-01-01
[17] 논문 Million-year-old ash hints at origins of cooking https://www.nature.c[...] 2020-08-25
[18] 웹사이트 Were Early Humans Cooking Their Food a Million Years Ago? https://abcnews.go.c[...] 2020-01-10
[19] 논문 Microstratigraphic evidence of in situ fire in the Acheulean strata of Wonderwerk Cave, North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2012-05-15
[20] 논문 Fire in the Earth system https://resolver.cal[...] 2024-01-26
[21] 서적 Advances in Historical Ecology University of Columbia Press 2023-03-19
[22] 웹사이트 Farmers, Flames and Climate: Are We Entering an Age of 'Mega-Fires'? – State of the Planet http://blogs.ei.colu[...] Columbia Climate School 2012-05-23
[23] 뉴스 In Pictures: German destruction http://news.bbc.co.u[...]
[24] 웹사이트 Flamethrower in action https://nzhistory.go[...] 2023-11-02
[25] 서적 Peace and Conflict Studies https://books.google[...] SAGE 2022-09-02
[26] 논문 Napalm in US Bombing Doctrine and Practice, 1942-1975 https://apjjf.org/-M[...] 2016-12-01
[27] 서적 Alternative fuels and the environment Lewis 1995-01-01
[28] 간행물 World Energy Outlook 2022 https://www.iea.org/[...] IEA 2022-10-01
[29] 웹사이트 How electricity is generated https://www.eia.gov/[...] 2023-11-02
[30] 웹사이트 What is fire? https://www.newscien[...] 2022-11-05
[31] 뉴스 Sand Won't Save You This Time https://www.science.[...] 2022-11-05
[32] Youtube Ask Astronaut Greg Chamitoff: Light a Match! https://www.youtube.[...] 2016-12-30
[33] 웹사이트 How does fire behave in zero gravity? http://io9.com/57791[...] 2016-12-30
[34] 웹사이트 Spiral flames in microgravity https://science.nasa[...] 2000-01-01
[35] 웹사이트 CFM-1 experiment results http://microgravity.[...] 2005-04-01
[36] 웹사이트 LSP-1 experiment results http://microgravity.[...] 2005-04
[37] 웹사이트 Flame temperatures http://www.derose.ne[...] 2007-07-09
[38] 서적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Science Ltd., Cambridge, Massachusetts, US 1996
[39] 간행물 Federal Fire and Aviation Operations Action Plan
[40] 학술지 UK: The Role of Fire in the Ecology of Heathland in Southern Britain http://www.fire.uni-[...] 2011-09-03
[41] 웹사이트 Prescribed Fires https://web.archive.[...] SmokeyBear.com 2008-11-21
[42] 웹사이트 Fire & Life Safety Education http://www.firecomm.[...]
[43] 서적 Fire Officer: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9-03-16
[44] 서적 Foundations of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ISO27001 and ISO27002 https://books.google[...] Van Haren 2020-10-25
[45] 간행물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http://www.nwcg.gov/[...]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2009-11
[46] 웹사이트 What is the State of Matter of Fire or Flame? Is it a Liquid, Solid, or Gas? http://chemistry.abo[...] About.com 2009-01-21
[47] 학술지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http://www.treesearc[...]
[48] 서적 火の起原の神話 筑摩書房 2009-12
[49] 학술지 発火法と火の起源神話 https://hdl.handle.n[...] 東北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宗教学研究室
[50] 문서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51] 서적 岩波哲学・思想事典
[52] 문서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53] 웹사이트 ヘラクレイトスの認識論 http://ypir.lib.yama[...] 2021-09-21
[54] 웹사이트 初期ギリシア哲学者の実在観 http://www.eco.nihon[...] 2021-09-21
[55] 학술지 炎の構造と温度(<特集>燃焼と爆発) https://doi.org/10.2[...] 日本化学会 2022-04-01
[56] 문서 図解よくわかる 火災と消火・防火のメカニズム 日刊工業新聞社 2015-06-30
[57] 뉴스 Spiral flames in microgravity http://science.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0
[58] 웹사이트 Flame Temperatures http://www.derose.ne[...] 2010-07-13
[59] 웹사이트 Pyropen Cordless Soldering Irons http://www.cooperhan[...] 2010-07-13
[60] 문서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61] 서적 ネアンデルタール人 - その実像と生存説を探る 学生社 1985-11
[62] 문서 図説 人類の歴史 別巻 古代の科学と技術 世界を創った70の大発明 2012-05-30
[63] 문서 産業革命歴史図鑑 100の発明と技術革新 原書房 2019-09-27
[64] 문서 エネルギー資源の世界史 利用の起源から技術の進歩と人口・経済の拡大 一色出版 2019-04-20
[65] 문서 食と人の歴史大全 柊風社 2019-07-08
[66] 문서 火と人間 法政大学出版局 2004-04-20
[67] 문서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68] 문서 図説 人類の歴史 別巻 古代の科学と技術 世界を創った70の大発明 2012-05-30
[69] 문서 火と人間 法政大学出版局 2004-04-20
[70] 문서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71] 서적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72] 서적 現代森林政策学 日本林業調査会 2008-03-16
[73] 서적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74] 서적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75] 뉴스 In Pictures: German destru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76] 웹사이트 Napalm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5-08
[77] 웹사이트 "Key World Energy Statistics " http://www.iea.org/p[...] 국제에너지기관 2010-07-13
[78] 서적 火と人間 法政大学出版局 2004-04-20
[79] 서적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80] 서적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81] 서적 火の科学 エネルギー・神・鉄から錬金術まで 築地書館 2017-03-03
[82] 서적 図解よくわかる 火災と消火・防火のメカニズム 日刊工業新聞社 2015-06-30
[83] 서적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84] 서적 図解よくわかる 火災と消火・防火のメカニズム 日刊工業新聞社 2015-06-30
[85] 웹사이트 江戸時代の大火 https://www.bousaiha[...] 消防防災博物館 2022-02-16
[86] 서적 図説 火と人間の歴史 原書房 2014-02-04
[87] 서적 森林保護学の基礎 2021-04-25
[88] 서적 A Book of Steam for Engineers 19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