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최다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최다빈은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00년 1월 19일에 태어났다. 2017년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피겨 여자 싱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고려대학교 스포츠 심리학 석사 과정을 밟았으며, 2024년에는 2025년 동계 세계 대학 경기대회 대한민국 대표로 선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감강찬
    감강찬은 1995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김예리, 김규은과 페어 스케이팅을 하며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고,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 입상했다.
  • 대한민국의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김규은
    김규은은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싱글 스케이팅과 페어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하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포함한 여러 국제 대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 2023년 동계 세계 대학 경기 대회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사카모토 카오리
    사카모토 카오리는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22년, 2023년, 202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2023-24 시즌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으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 2023년 동계 세계 대학 경기 대회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김예림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예림은 2010년 김연아의 올림픽 금메달을 계기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은메달, 2022 NHK 트로피 우승, 2022 동계 올림픽 9위, 2023 사대륙 선수권 은메달 등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는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메달리스트 - 아라카와 시즈카
    아라카와 시즈카는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해설가로,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금메달과 2004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 아이스 쇼, 해설, 올림픽 캐스터 등으로 활동하며 2018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메달리스트 - 천루
    천루는 1990년대에 뛰어난 활약을 펼친 중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올림픽 메달 2개와 세계 선수권 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중국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최초로 세계 선수권 및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고 2회 연속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아시아 선수이다.
최다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의 최다빈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당시의 최다빈
본명최다빈
로마자 표기Choe Dabin
출생일2000년 1월 19일 (24세)
출생지서울특별시
거주지경기도 남양주시
신장1.55m
스케이팅 시작2004년
은퇴(정보 없음)
웹사이트(정보 없음)
별칭(정보 없음)
선수 정보
종목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코치신혜숙
이전 코치이은희, 크리스타 파시, 지현정, 지슬란 브리앙
안무가미야모토 겐지
이전 안무가데이비드 윌슨, 파스칼 카멜렝고, 나카지마 데쓰야, 니키타 미하일로프
훈련 장소태릉
소속 클럽(정보 없음)
개인 최고 기록
총점199.26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쇼트 프로그램67.77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프리 스케이팅131.49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세계 랭킹
2017-18 시즌18위
2016-17 시즌24위
2015-16 시즌33위
2014-15 시즌40위
2013-14 시즌41위
주요 대회 성적
아시안 게임 로고
아시안 게임 로고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여자 싱글 금메달

2. 생애 및 경력

최다빈은 9살 때 2010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노비스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시니어 레벨로 올라와 2012년, 2013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최다빈 선수 경력
대회결과비고
2010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은메달노비스
201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동메달시니어
2013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동메달시니어



2013-2014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데뷔하여 벨라루스 대회에서 4위, 멕시코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1] 2014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불가리아 소피아)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9위, 프리 스케이팅 6위로 종합 6위에 올랐으며, 개인 최고 점수 162.35점을 기록했다.[1]

2014-2015 시즌에는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 프랑스 대회 4위, 일본 대회 5위를 차지했다.[1] 2015년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박소연에 이어 2위에 올랐다.[1] 2015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종합 9위를 기록하며 2016년 대회 자국 출전권 2장을 확보했다.[1]

2015-2016 시즌, 마지막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라트비아 리가 대회 3위, 오스트리아 린츠 대회 3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시니어 데뷔 무대였던 2015 CS 탈린 트로피에서는 8위를 기록했고, 회장배 랭킹전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6 사대륙 선수권 대회(타이완 타이베이)에서는 개인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8위,[2] 2016 세계 선수권 대회(보스턴)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1]

2016-2017 시즌, 처음으로 시니어 그랑프리에 초청받아 스케이트 캐나다 7위, NHK 트로피 9위에 올랐다. 랭킹전에서는 5위, 2017 한국 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4대륙 선수권을 앞두고 쇼트프로그램 음악을 It's over, isn't it?|잇츠 오버, 이즌트 잇?영어 (스티븐 유니버스 ost)과 Someone in the crowd|섬원 인 더 크라우드영어 (라라랜드 ost)로 변경했고, 그 결과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특히 프리스케이팅 기록은 김연아 선수 이후 대한민국 선수 최고점이기도 했다. 박소연의 부상으로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에 대체 출전하여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피겨 여자 싱글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7-2018 시즌, 올림픽 시즌 전 부츠 문제와 모친상을 겪었으나, 피겨 1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했다.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4위, 핀란디아 트로피 9위를 기록했고, 올림픽 시즌 첫 그랑프리 대회인 컵 오브 차이나에서 9위를 차지했다. 피겨 2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종합 4위를 기록했으나, 제72회 한국 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총점 1위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4위를 기록하며 자신감을 얻었고, 올림픽 단체전에서 쇼트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어진 개인전에서 또다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종합 7위에 올라 김연아 이후 대한민국 선수 최고 등수를 기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부츠 문제와 부상으로 기권했다.[1]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다빈


최다빈은 이번 시즌과 이후 모든 대회에서 이전 시즌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인 ''닥터 지바고''로 복귀했다. 올림픽 쇼트 프로그램 "Papa, Can You Hear Me?"는 어머니께 헌정되었으며, 연기 후 "천국에서 저를 지켜보고 계시는 어머니께 정말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2018년 8월, 쇼트프로그램은 에비타 OST , 프리스케이팅은 카르멘으로 선곡했음을 밝혔다. 부츠 문제로 2018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 2018 스케이트 캐나다, 2018 NHK 트로피에 모두 기권했고, 2018–19 피겨 스케이팅 시즌에 출전하지 않았다. 오프 시즌 동안 2019 올댓 스케이트 쇼에 참가했다.

2. 1. 선수 생활 초반

최다빈은 9살 때 2010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노비스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시니어 레벨에 출전하여 2012년, 2013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최다빈 선수 경력
대회결과비고
2010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은메달노비스
201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동메달시니어
2013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동메달시니어


2. 2. 2013-2014 시즌: 주니어 국제 무대 데뷔

2013-2014 시즌에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데뷔하여 벨라루스 대회에서 4위, 멕시코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1] 2014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개최된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9위, 프리 스케이팅 6위를 기록하며 종합 6위에 올랐고, 개인 최고 점수인 162.35점을 기록했다.[1]

2. 3. 2014-2015 시즌

2014-2015 시즌에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하여 프랑스 대회에서 4위, 일본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1] 2015년 목동에서 열린 한국피겨종합선수권에선 박소연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1]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15 주니어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9위를 기록, Top10에 랭크되는 성과를 보였다.[1] 이로써 2016년 대회에 자국 출전권 2장을 확보했다.[1]

2. 4. 2015-2016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메달 획득 및 시니어 국제 무대 데뷔

2015-2016 시즌에 최다빈은 마지막으로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하여 생애 처음으로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따내는 성과를 보였다. 라트비아 리가 그랑프리에서 3위, 오스트리아 린츠 그랑프리에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4차 대회는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두각을 나타낼 만한 선수들이 많아 메달 입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안정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니어 첫 데뷔 무대였던 2015 CS 탈린 트로피에서는 8위를 기록했으나, 회장배 랭킹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자신감을 높였다. 타이완 타이베이에서 열린 2016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프리스케이팅과 총점에서 개인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8위를 차지했고,[2] 2016 세계 선수권 대회(보스턴)에서 14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1]

2. 5. 2016-2017 시즌: 동계 아시안 게임 금메달

시니어 그랑프리에 처음으로 초대받은 최다빈은 2차 대회인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종합 7위, 6차 대회인 NHK 트로피에서는 종합 9위에 그쳤다. 랭킹전에선 박소연에 이어 5위를 차지하며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티켓을 놓쳤다. 2017 한국피겨종합선수권에서도 김나현에 밀려 종합 4위를 차지해 메달 획득 및 피겨 세계선수권 티켓을 놓쳤다. 그러나 동계체전 고등부 피겨 여자싱글 1위를 차지했다.

4대륙 선수권을 앞두고 쇼트프로그램 음악을 변경하는 초강수를 두었는데, 기존의 음악 '맘보'를 It's over, isn't it?|잇츠 오버, 이즌트 잇?영어 (스티븐 유니버스 ost)과 Someone in the crowd|섬원 인 더 크라우드영어 (라라랜드 ost)로 바꾸었다. 그 결과 4대륙 쇼트에서 자신의 개인 최고점(61.62)을 경신했고, '닥터 지바고'에 맞춰 선보인 프리 경기에서도 개인 최고점(120.79)을 내며 종합 점수도 182.41점으로 경신했다. 특히 이때 프리스케이팅의 기록은 김연아 선수 이후 대한민국 피겨 선수 프리스케이팅 최고점이기도 했다.

박소연의 부상으로 대체 출전하게 된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에선 쇼트는 개인 최고에 조금 못미치는 61.30을 받았으나 클린했고, 프리스케이팅에선 트리플 살코의 언더 판정을 제외하곤 모두 완벽한 경기를 선보여 프리 기록 126.24점, 합계 187.54라는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또한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동계 아시안게임 피겨 여자싱글에서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

2. 6. 2017-2018 시즌: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올림픽 시즌 시작 전 부츠 문제와 모친상을 당한 최다빈은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피겨 1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여했다. 프로그램 구성은 다소 낮췄으나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발휘,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고 1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8월 초 예정되어있던 아시안 트로피에는 출전 직전 기권하였으며 그랑프리 전 챌린저 대회로 출전한 첫 대회 온드라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선 종합 4위를 기록, 두 번째 출전한 핀란디아 트로피에선 종합 9위를 차지하며 다소 부진한 출발을 알렸다. 올림픽 시즌 첫 그랑프리 대회인 중국 대회(컵 오브 차이나)에 출전해선 총점 165.99점으로 종합 9위를 차지했다. 6차 대회인 스케이트 아메리카 대회 출전도 예정되어 있었으나 피겨 2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과 불과 1주 밖에 차이가 안나는 무리한 일정으로 인해 미국 대회는 출전 직전 기권했다. 12월 초 출전한 피겨 2차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선 쇼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국내 비공인 개인 최고점을 올렸으나, 프리에서는 잦은 실수를 범해 8위로 추락 종합 4위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1월 5일부터 7일까지 열린 제 72회 한국피겨종합선수권에선 쇼트에서 64.11점을 받아 4위, 프리에서 126.01점을 받아 2위에 오르며 종합 2위를 차지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1, 2, 3차 총합 540.28점으로 평창행 올림픽 티켓을 1위로 따내면서 당당히 올림픽 출전권을 거머쥐게 되었다. 올림픽 출전 직전 프로그램 점검 차 출전한 피겨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선, 쇼트 5위와 프리 4위, 종합 4위(190.23)에 랭크되며 자신의 4대륙 최고 성적을 갈아치웠다. 또한 종합 점수는 개인 최고점에 불과 0.8정도 모자란 성적이었다. 4대륙에서 자신감을 얻고 출전한 올림픽에선 단체전 무대에서 65.73을 받아 쇼트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어진 개인전 여자 싱글에서 불과 열흘만에 67.77로 다시 한 번 개인 최고를 갈아치우며 전체 30명의 선수 중 8위에 올랐다. 이어진 프리스케이팅에선 131.49를 받아 개인 최고점을 3.05점 끌어 올렸고 개인 최고 점수는 무려 8.15점 높인 199.26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쇼트와 프리에선 각각 8위에 올랐지만 종합 점수에서 7위에 오르며 김연아 이후 대한민국 선수 최고 등수를 마크했다. 한 달 후 열린 피겨 세계선수권에선 무너진 부츠로 인해 쇼트 21위로 부진했고, 공식연습 중 발목 부상이 염려되어 결국 프리스케이팅에는 기권했다.[1] 하지만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무대 2장의 티켓을 가져온 장본인이고, 김연아 이후 ISU 공인 최고점수와 올림픽 최고 순위(7위)를 마크하는 등 대한민국 피겨 국가대표로서 활약한 점은 이번 시즌의 가장 큰 성과였다.

최다빈은 이번 시즌과 이후 모든 대회에서 이전 시즌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인 ''닥터 지바고''로 다시 돌아갔는데, 이는 대체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다빈은 올림픽 쇼트 프로그램에서 기립 박수를 받았으며, 여기에는 대한민국의 김연아도 포함되었다. "Papa, Can You Hear Me?"에 맞춰 진행된 이번 시즌 쇼트 프로그램은 대한민국 대표 선발전 직전에 사망한 그녀의 어머니에게 헌정되었다. 최다빈은 단체전에서의 연기 후 "천국에서 저를 지켜보고 계시는 어머니께 정말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2. 7. 2018-2019 시즌 이후

2018년 8월 1일, 소속사를 통해 쇼트프로그램은 영화 에비타의 OST 로, 프리스케이팅은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으로 선곡했음을 밝혔다. 9월 중순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 출전할 예정이었고, 전후 사정에 따라 다른 한 개의 챌린저 대회도 나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올 시즌 그랑프리 두 개 대회에 초청받았는데, 첫 대회는 2차 <스케이트 캐나다>이며, 두 번째 대회는 4차 이다. 두 대회는 시니어 첫 데뷔 시즌에 나간 적이 있었으며 각각 7위와 9위를 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부츠 문제로 두 그랑프리 대회들을 모두 기권했다.

최다빈은 2018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 2018 스케이트 캐나다, 2018 NHK 트로피에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지속적인 부츠 문제로 인해 세 대회 모두 기권했다. 그녀는 나머지 2018–19 피겨 스케이팅 시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오프 시즌 동안 최다빈은 2019 올댓 스케이트 쇼에 참가했다.

3. 프로그램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갈라
2018-2019
2017–2018
2016–2017
2015–2016
2014–2015
2013–2014
2012–2013
2011–2012



최다빈이 2018년 동계 올림픽 갈라 프로그램 "정선 아리랑 랩소디"를 공연하는 모습


최다빈이 2015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프리스케이팅 "안단테 스피아나토"를 공연하며 비엘만 스핀을 하는 모습

4. 경기 기록

최다빈은 2010-11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다양한 국제 대회 및 국내 대회에 참가했다. 주요 대회와 시즌별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연도2010
-11
2011
-12
2012
-13
2013
-14
2014
-15
2015
-16
2016
-17
2017
-18
2019
-20
2022
-23
2023
-24
올림픽7
세계 선수권 대회1410기권
4대륙 선수권 대회854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12 J3342242WD1413
GP 중국9
GP 스케이트 아메리카WD
GP NHK 트로피9
GP 스케이트 캐나다7
CS 오텀 클래식5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432
CS 아이스 챌린지18
CS 바르샤바 컵12
CS 네벨혼 트로피7
CS 핀란디아 트로피9
CS 네펠라 기념44
CS US 클래식4
CS 탈린 트로피8
동계 아시안 게임1
아시안 피겨컵1 N1 N3 J2 J2
유니버시아드6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69
JGP 오스트리아3
JGP 리가3
JGP 메이텔레4
JGP 쿠르슈벨5
JGP 민스크4
JGP 멕시코5
트리글라프 트로피1 J


  • N - 노비스
  • J - 주니어


2021-22 시즌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1년 동계 유니버시아드가 취소되어 출전하지 못했다. 최다빈은 부츠 문제와 발목 부상으로 인해 선수 생활 은퇴를 고려하기도 했다.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갈라
2018-2019
2017–2018
2016–2017
2015–2016
2014–2015
2013–2014
2012–2013
2011–2012


4. 1. 2011–19 대회 기록

대회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
올림픽7
세계 선수권141037
4대륙 선수권854
컵 오브 차이나9
스케이트 캐나다7
NHK 트로피9
핀란디아 트로피9
네펠라 메모리얼44
탈린 트로피8
US 인터내셔널 클래식4
동계 아시안 게임-- 1
아시안 트로피-- 2
주니어 세계 선수권69
JGP 오스트리아-- 3
JGP 벨라루스4
JGP 프랑스5
JGP 일본4
JGP 라트비아-- 3
JGP 멕시코5
아시안 트로피(주니어/노비스)-- 1 N-- 1 N-- 3 J-- 2 J
트리글라브 트로피-- 1 J
한국피겨종합선수권-- 3-- 34-- 2-- 24-- 2



* N - 노비스; * J - 주니어 [5]

4. 2. 2007–08부터 2010–11 대회기록

대회/연도2007-082008-092009-102010-11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 (노비스)16위8위2위12위 (주니어)
레벨: J = 주니어; N = 노비스


5. 각주

[2][3]

참조

[1] 문서 Communication No. 28 from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8
[2] 웹사이트 피겨스케이팅: 차준환·김채연 등 포함한 2025 동계아시안게임 피겨 대표팀 선발 https://olympics.com[...] Olympics.com 2024-10-12
[3]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assign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Winter University Games and Asian Winter Games Qualifiers 2024: https://x.com/skatin[...] Skating Korea 2024-10-12
[4] 뉴스 <平昌五輪>女子フィギュア崔多彬選手が五輪選考大会制す…不幸乗り越え http://www.mindan.or[...] 민단신문 2017-08-02
[5] 웹사이트 Competition Results: Da Bin CHOI http://www.isuresult[...] International Skating Unio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