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최만린(崔滿麟, 1935년 10월 3일 ~ 2020년 11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조각가입니다. 서울 출생으로, 한국 현대 추상 조각의 1세대 작가로 평가받습니다. [3, 4]
생애 및 활동:
- 1935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3]
- 1954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에 입학하여 1958년에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10]
- 6.25 전쟁을 겪은 세대로, 전쟁의 상흔과 생명에 대한 의지를 작품에 담았습니다. [2]
- 1960년대에는 '나와 우리'의 정체성 복원에 몰두하며,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작업에 천착했습니다. [2]
- 1970년대부터는 'O' 연작을 통해 무(無)와 공(空)의 개념을 탐구하며, 비움으로써 얻어지는 무한한 세계를 표현했습니다. [1, 2]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1967~2001) 및 국립현대미술관장(1997~1999)을 역임했습니다. [10]
- 2020년 11월 17일, 85세의 나이로 별세했습니다. [4]
작품 세계:
- 초기에는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고통과 생존 의지를 표현한 '이브' 연작을 제작했습니다. [1, 2]
- 이후 '천(天)', '지(地)', '현(玄)', '태(胎)', '맥(脈)' 등 한자 제목의 연작을 통해 한국적인 조형 언어를 구축했습니다. [1, 2, 6]
- 'O' 연작은 그의 대표작으로, 원형의 형태를 통해 시작과 끝, 유와 무, 영원성 등 열린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2]
- 추상 조각을 주로 작업했지만, 공공 조각 프로젝트에도 활발히 참여했습니다. [8]
주요 전시 및 소장처:
- 개인전 다수 개최 (신세계미술관, 원화랑, 현대화랑, 갤러리세이호 등) [10]
- 파리 비엔날레,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국제전 참여 [10]
-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등 주요 미술관에 작품 소장 [2]
- 성북구립최만린미술관에서 그의 작품을 상설 전시 중이며, 기획전도 개최하고 있습니다. [5, 7] 최근 기획전으로는 '흰:원형'(2024.4.26~2024.11.2)이 있습니다. [5]
수상 경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특선 (1957, 1958) [10]
- 김세중 조각상 (1991) [10]
- 대한민국 환경문화상 (1994) [10]
| 최만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최만린 |
| 한자 표기 | 崔滿麟 |
| 출생일 | 1935년 10월 3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
| 사망일 | 2020년 11월 17일 |
| 분야 | 조각, 미술평론 |
| 수상 | 2014년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 직업 | 조각가, 방송인, 미술평론가, 대학교수 |
| 학력 | 서울대 대학원 미술학 석사 |
| 배우자 | 김소원 |
| 부모 | 최춘빈(부), 지명순(모) |
| 자녀 | 최아사(아들), 최아란(딸) |
| 친척 | 지석모(외조부) 박희교(자부) 김민자(처제) 최불암(동서) 최동녘(이질) 최동비(이질녀) 서승현(사돈) 황은진(사돈) |
| 경력 | |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