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연성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이다. 스타크래프트 선수 시절, MSL 3회 우승과 스타리그 2회 우승을 달성하며, WCG 2006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은퇴 후에는 SK텔레콤 T1의 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팀의 프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으로 활동하며, 2018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을 기록했다. 그는 '빌드 깎는 노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레이트 메카닉 빌드를 개척하여 테란의 물량 운영을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SL 금배지 수상자 - 이영호 (1992년)
이영호는 2007년 KT 롤스터에 입단하여 최연소 OSL 챔피언 기록을 세우고,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3회 우승, WCG 금메달을 획득하며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자 현재는 아프리카TV BJ이다. - MSL 금배지 수상자 - 이윤열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게임 개발자, 사업가인 이윤열은 혁신적인 전략과 뛰어난 실력으로 '천재 테란'이라 불리며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활약, 온게임넷 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최초 수상 등 다수 우승 기록을 세운 후 게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강민 (프로게이머)
강민은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경기 운영으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며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로열로더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로열로더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최연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프로게이머 정보 | |
아이디 | iloveoov, KT.MGW)Quetrin |
이름 | 최연성 |
로마자 표기 | Choi Yeon-seong |
한글 표기 | 최연성 |
한자 표기 | 崔然星 |
별명 | 괴물, 머슴테란, 빌드 깎는 노인 |
출생일 | 1983년 11월 5일 (36세)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
국적 | 대한민국 |
종족 | 테란 |
좌우명 | 싸워서 이기자 |
키보드 | 삼성DT-35 화이트 키보드 |
마우스 | 로지텍 Mx300 -> 로지텍 미니옵티컬 |
웹사이트 | 아프리카 프릭스 선수단 소개 |
종교 | 개신교 |
![]() | |
경력 | |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 |
역할 | 테란, 코치 (스타크래프트) 코치 (리그 오브 레전드) |
데뷔 | 2003년 |
은퇴 | 2011년 |
코치 시작 | 2016년 |
코치 종료 | 2020년 |
팀 | |
2003년 | Orion |
2003년–2004년 | 4 Union |
2004년–2011년 | SK 텔레콤 T1 |
코치 팀 | |
2008년–2016년 | SK 텔레콤 T1 |
2016년–2020년 | 아프리카 프릭스 |
주요 성적 | |
월드 사이버 게임즈 | 우승 (2006) |
2. 선수 경력
최연성은 같은 팀의 임요환을 형 또는 멘토로 생각했다. 임요환은 최연성이 테란, 저그, 프로토스에게 패한 후 배틀넷 경기에서 최연성을 스카우트했다. 2004년 온게임넷 Ever Starleague 결승전에서 임요환을 3:2로 꺾고 우승했다.[3]
손목 부상으로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하고 팀의 코치가 되기 위해 은퇴하였으나, 이후 "선수 겸 코치"로 선수 명단에 복귀했다.[4]
2016년 SK텔레콤 T1이 스타크래프트 2 로스터를 해체하자,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이 되었다.[5]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에 진출했으나, Cloud9에게 3-0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이후 시즌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2019년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으며, 2020년 스프링 스플릿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했다. 2020년 11월,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와 결별했다.[6]
2. 1. 초기 활동 및 MSL 3회 연속 우승
최연성은 당시 본진 플레이 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 더블 커맨드를 활용한 대량 물량 운영을 선보이며 수비형 테란의 선진 빌드를 개척했다.2004년 하나포스 센게임 MSL 결승전에서 당시 최강의 테란으로 평가받던 이윤열과 맞붙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KeSPA 랭킹 1위였던 이윤열의 승리를 예상했다.
그러나 최연성은 뛰어난 물량과 힘을 바탕으로 최고의 테란 대 테란전 명경기를 선보이며 3:2로 이윤열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을 통해 최연성은 이전 대회인 TG삼보배 MSL과 차기 대회인 스프리스 MSL까지 3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 2. 스타리그 도전과 첫 우승
최연성은 무대를 옮겨 질레트 스타리그 2004에 진출하였다. 스타리그에서도 엄청난 경기력으로 4강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여기서 당시 신예인 투신 박성준과 만나게 된다. 당시 MSL 2연속 우승과 저그전 승률 90%의 성적에도 불구하고 박성준에게 2:3으로 패해, 스타리그 결승 진출은 좌절되었다.
2. 3. 슬럼프와 부활
MSL에서는 3연속 우승을 차지했지만, 유독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최연성은 EVER 스타리그 2004 본선에 진출했다. 이 대회 8강에서 이윤열에게 2:1로 승리하고, 4강에서는 박정석을 3:2로 꺾으며 처음으로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 상대는 같은 팀 소속이자 자신의 스승이었던 임요환이었다. 임요환과의 결승전에서 최고의 명경기를 선보이며 3:2로 승리, 스타리그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2004년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던 최연성에게도 슬럼프가 찾아왔다. 늘 결승 문턱까지 가는 성적을 보이던 최연성이었지만,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8강,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16강, EVER 스타리그 2005 8강 등 아쉬운 모습을 여러 차례 보이며 팬들로부터 '임요환, 이윤열과 똑같이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는구나'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2005년 말 비공식 대회였던 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대회 결승전에 진출, 당시 아이옵스 스타리그 우승자였던 이윤열을 2:1로 꺾으며 기량을 회복하고 부활을 알리기 시작했다.
2. 4. 이중 계약 논란
2005년 최연성은 KTF 매직엔스와 SK텔레콤 T1 간의 이중 계약 문제로 프로게이머 자격 박탈 위기에 처했다. 결국 '프로리그 2005 시즌 전기리그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아 해당 기간 동안 프로게이머로 활동할 수 없었다.[1]2. 5. 스타리그 2회 우승과 WCG 금메달
점차 기량이 회복되던 최연성은 우주닷컴 MSL 2005 4위, So1 스타리그 2005 3위를 달성하였으나, CYON MSL 2005에서는 마재윤에게 0-5로 완패하며 3위를 기록하여 기세가 꺾이는 듯 했다. 하지만 프로리그 결승에서 변은종과 조용호를 완파했다.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에서는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부활을 알렸다. 8강에서 다시 만난 스승과 제자의 대결에서 임요환을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신예 한동욱과 장기전 승부 끝에 3:2로 승리하며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투신 박성준을 상대로 3:0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승리하며 질레트 스타리그 4강에서의 패배를 설욕하고 스타리그 2회 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WCG 2006 스타크래프트 그랜드 파이널 결승전에서 다시 박성준을 만나 2:0으로 승리함으로써 금메달을 수상하게 되었다.
2. 6. 은퇴 및 선수 복귀
2007년 갑작스럽게 찾아온 손목 부상으로 경기력이 하락하였으며, 부상 이후 자신감도 떨어지며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최고의 위기를 맞았다.2008년 1월 최연성은 은퇴를 선언하였고 팀의 코치로 활약하였다. 이후 잠시동안 플레잉 코치로 전환하여 경기에도 출전했다.
3. 지도자 경력
최연성은 손목 부상으로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하고 팀의 코치가 되었다.[3] 이후 "선수 겸 코치"로 선수 명단에 복귀했다.[4] 2016년 SK텔레콤 T1의 스타크래프트 2 로스터 해체 이후, 아프리카 프릭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을 맡아 2018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에 진출했으나, 이후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2020년 11월 팀과 결별했다.[5][6]
3. 1. SK텔레콤 T1 코치 및 감독
그는 같은 팀의 임요환을 형 또는 멘토로 생각한다. 임요환은 최연성의 테란, 저그, 프로토스에 패한 후 배틀넷 경기에서 최연성을 스카우트했다. 최연성은 2004년 온게임넷 Ever Starleague 결승전에서 임요환을 3:2로 꺾었다.[3]그는 손목 부상으로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하고 팀의 코치가 되었다.[3] 이후 최연성은 "선수 겸 코치"로 선수 명단에 복귀했다.[4]
2016년 SK텔레콤 T1은 스타크래프트 2 로스터를 해체했고,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감독이 되었다.[5] 그는 팀을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에 진출시켰지만, 결국 Cloud9에게 3-0으로 패하여 탈락했다.
이후 시즌에서 그는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고, 2019년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으며, 2020년 스프링 스플릿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했다. 2020년 11월,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와 결별했다.[6]
3. 2. 아프리카 프릭스 감독
2016년 SK텔레콤 T1은 스타크래프트 2 로스터를 해체했고,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감독이 되었다.[5] 그는 팀을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에 진출시켰지만, Cloud9에게 3-0으로 패하여 탈락했다.이후 시즌에서 그는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고, 2019년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으며, 2020년 스프링 스플릿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했다. 2020년 11월,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와 결별했다.[6]
4. '빌드 깎는 노인'과 레이트 메카닉
최연성은 그 당시 본진 플레이를 하는 시점에서 더블 커맨드를 활용한 대량 물량 운영을 선보이며 수비형 테란의 앞서나간 빌드를 개척해냈다. 이후 SKT팀 코치로 활약하면서 프로토스 대 테란전의 T1 빌드라는 유명한 빌드를 만들었다.[1]
임요환, 최연성, 정명훈으로 이어지는 테란 라인에서 당시 바이오닉에 미흡했던 정명훈과 함께 레이트 메카닉이라는 혁명적인 빌드를 만들었다. 정명훈이 혼자서 만들었다는 말과 공동으로 만들었다는 말이 있는데, 정명훈이 혼자서 만들었다고 해도 최연성의 코치가 있었음이 당연하므로 최연성의 영향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1]
이러한 여러 가지 빌드를 만들어 완성형 스타크래프트, 사실상 이영호라는 선수를 만드는 데에도 어느 정도 일조했다. 당시 테란 대 저그전은 테란이 초반부를 버티고 저그가 4가스를 어떻게든 먹으면 디파일러+울트라리스크로 역전하는 경기가 나왔었다. ( '이영호vs김준영' 다음 스타리그 4강 참고) 그랬던 저그전이 이 '레이트 메카닉'이라는 빌드 때문에 다시 테란이 후반부에도 밀리지 않고 저그를 압도하는 상성이 완성됐다.[1]
이러한 최연성을 사람들은 '빌깍노', 즉 빌드 깎는 노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
5. 주요 기록
최연성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5회 우승[8]했으며, 임요환과 함께 MSL 3회 우승을 달성한 두 번째 선수이다. 특히 저그전 연승 기록이 주목할 만하다.
전체 전적은 228승 143패(61.46%)이며, 종족별 전적은 다음과 같다.
- 대 테란: 82승 62패 (56.94%)
- 대 저그: 79승 37패 (68.10%)
- 대 프로토스: 67승 44패 (60.36%)
5. 1. 개인 리그
최연성은 개인 리그에서 5회 우승하였다.[8]연도 | 대회명 | 결과 | 상대 선수 | 경기 결과 |
---|---|---|---|---|
2003년 | iTV 신인왕전 2003 | 우승 | 차재욱 | 3:0 |
2003년 | TG삼보 MSL 2003 | 우승 | 홍진호 | 3:0 |
2004년 |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 우승 | 이윤열 | 3:2 |
2004년 | iTV 랭킹전 7차리그 | 준우승 | 박성준 | 1:3 |
2004년 | 질레트 스타리그 | 3위 | ||
2004년 | 스프리스 MSL 2004 | 우승 | 박용욱 | 3:2 |
2004년 | EVER 스타리그 2004 | 우승 | 임요환 | 3:2 |
2004년 |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 8강 | ||
2005년 |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 16강 | ||
2005년 | UZOO MSL 2005 | 4위 | ||
2005년 | EVER 스타리그 2005 | 8강 | ||
2005년 | So1 스타리그 2005 | 3위 | ||
2005년 | 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 우승 | 이윤열 | 2:1 |
2005년 | WEF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 준우승 | 0:2 | |
2006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 우승 | 박성준 | 3:0 |
2006년 | CYON MSL 2005 | 3위 | ||
2006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 24강 | ||
2006년 | 프링글스 MSL 시즌1 | 8강 | ||
2006년 | I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 준우승 | 이윤열 | 1:2 |
2006년 | WCG 2006 스타크래프트 그랜드 파이널 | 우승 | 박성준 | 2:0 |
2007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 16강 | ||
2007년 | Daum 스타리그 2007 | 16강 | ||
2007년 | 곰TV MSL 시즌2 | 16강 | ||
2007년 | IEF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 3위 | ||
2007년 | 곰TV MSL 시즌3 | 16강 | ||
2008년 | 곰TV MSL 시즌4 | 32강 | ||
2009년 |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 본선 | 기권 | |
2009년 |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 8강 | ||
2012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헌액 |
대회 | 기간 | 비고 |
---|---|---|
트리젬 MSL | 2003년 9월 ~ 11월 | 우승 |
하나포스 MSL | 2004년 1월 ~ 3월 | 우승 |
Gillette OnGameNet 스타리그 | 2004년 4월 ~ 7월 | 3위 |
Spris MSL | 2004년 5월 ~ 8월 | 우승 |
EVER OSL | 2004년 8월 ~ 11월 | 우승 |
UZOO MSL | 2005년 6월 ~ 8월 | 4위 |
So1 OSL | 2005년 8월 ~ 11월 | 3위 |
CKCG 한·중 사이버 게임 챔피언 | 2005년 10월 | |
CYON MSL | 2005년 10월 ~ 2006년 1월 | 3위 |
신한 OSL | 2005년 12월 ~ 2006년 3월 | 우승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6 | 2006년 10월 | 챔피언 |
임요환과 함께 MSL 3회 우승을 달성한 두 번째 선수이다. | ||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2018년 10월 | 5-8위 |
5. 2. 팀 단위 리그
최연성한국어은 팀 단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연도 | 대회명 | 결과 | 소속팀 |
---|---|---|---|
2003년 | KTF EVER 프로리그 | 우승 | 동양 오리온 |
2004년 | LG IBM MBC게임 팀리그 | 우승 | 4U |
2004년 | 투싼배 MBC게임 팀리그 | 우승 | SK 텔레콤 T1 |
2005년 |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 우승 | SK 텔레콤 T1 |
2005년 |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 우승 | SK 텔레콤 T1 |
2005년 |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 파이널 | 우승 | SK 텔레콤 T1 |
2006년 |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 우승 | SK 텔레콤 T1 |
2009년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우승 | SK 텔레콤 T1 |
준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소속팀 |
---|---|---|---|
2004년 |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 준우승 | SK 텔레콤 T1 |
2007년 | SKY 프로리그 2006 그랜드 파이널 | 준우승 | SK 텔레콤 T1 |
2010년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 준우승 | SK 텔레콤 T1 |
또한, 2003년 KTF EVER 프로리그에서는 신인왕과 개인전 다승왕을 동시에 수상하며 주목받는 신예로 떠올랐다.[8]
5. 3. 코치, 감독 경력
최연성은 손목 부상으로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하고 팀의 코치가 되었다.[3] 이후 "선수 겸 코치"로 선수 명단에 복귀했다.[4]연도 | 대회명 | 순위 |
---|---|---|
2008년 7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 3위 |
2008년 8월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 3위 |
2009년 3월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 4위 |
2009년 8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우승 |
2009년 8월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 우승 |
2010년 8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 준우승 |
2010년 8월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 우승 |
2014년 2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 준우승 |
2014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 우승 |
2014년 7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 준우승 |
2014년 8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 감독상 |
2014년 8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 준우승 |
2015년 2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 우승 |
2015년 4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 | 4위 |
2015년 7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 우승 |
2015년 9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 준우승 |
2015년 10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 감독상 |
2015년 10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통합 | 우승 |
2016년 3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 우승 |
2016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 3위 |
2016년 SK텔레콤 T1은 스타크래프트 2 로스터를 해체했고,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이 되었다.[5] 그는 팀을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8강에 진출시켰지만, Cloud9에게 3-0으로 패하여 탈락했다.
이후 시즌에서 그는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고, 2019년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으며, 2020년 스프링 스플릿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했다. 2020년 11월, 최연성은 아프리카 프릭스와 결별했다.[6]
연도 | 대회명 | 순위 |
---|---|---|
2017년 4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 5위 |
2017년 8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 | 5위 |
2017년 11월 | 2017 LoL KeSPA컵 | 12강 |
2018년 4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8 | 준우승 |
2018년 8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8 | 3위 |
2018년 10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8 | 8강 |
2020년 8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20 | 4위 |
5. 4. 협회 수상
연도 | 대회명 | 결과 | 비고 |
---|---|---|---|
2003년 | iTV 신인왕전 2003 | 우승 | 3:0 차재욱 |
2003년 | TG삼보 MSL | 우승 | 3:0 홍진호 |
2004년 | 하나포스 센게임 MSL | 우승 | 3:2 이윤열 |
2004년 | iTV 랭킹전 7차리그 | 준우승 | 1:3 박성준 |
2004년 | 질레트 스타리그 | 3위 | |
2004년 | 스프리스 MSL | 우승 | 3:2 박용욱 |
2004년 | EVER 스타리그 | 우승 | 3:2 임요환 |
2004년 |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 8강 | |
2005년 |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 16강 | |
2005년 | UZOO MSL | 4위 | |
2005년 | EVER 스타리그 | 8강 | |
2005년 | So1 스타리그 | 3위 | |
2005년 | 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 우승 | 2:1 이윤열 |
2005년 | WEF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 준우승 | 0:2 |
2006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 우승 | 3:0 박성준 |
2006년 | CYON MSL | 3위 | |
2006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 24강 | |
2006년 | 프링글스 MSL 시즌1 | 8강 | |
2006년 | I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 준우승 | 1:2 이윤열 |
2006년 | WCG 스타크래프트 그랜드 파이널 | 우승 | 2:0 박성준 |
2007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 16강 | |
2007년 | Daum 스타리그 | 16강 | |
2007년 | 곰TV MSL 시즌2 | 16강 | |
2007년 | IEF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 3위 | |
2007년 | 곰TV MSL 시즌3 | 16강 | |
2008년 | 곰TV MSL 시즌4 | 32강 | |
2009년 |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 본선 | 기권 |
2009년 |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 8강 | |
2012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헌액 | |
2006년 | 대한민국 e-SPORTS 대상 | 최우수 테란상 | |
최고의 물량상 | |||
최다승 상 | 공동 | ||
최우수 선수상 | |||
2015년 |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 스타크래프트 II 최우수 e스포츠 지도자상 |
6. 통산 전적
종족전 | 경기 | 승-패 | 승률 |
---|---|---|---|
대 테란 | 184 | 112-72 | 60.9% |
대 저그 | 178 | 124-54 | 69.7% |
대 프로토스 | 160 | 102-58 | 63.7% |
총합 | 522 | 338-184 | 64.8% |
colspan="4" | |
참조
[1]
웹사이트
[맨투맨] '사제지간' 최연성-정명훈이 밝힌 '엮인' 스토리
http://www.dailyespo[...]
2014-02-01
[2]
웹사이트
Iloveoov... Oov?
https://tl.net/forum[...]
[3]
웹사이트
Bisu to SKT1, Oov Retires
https://tl.net/forum[...]
[4]
웹사이트
iloveoov coming back as "playing-coach"
https://tl.net/forum[...]
[5]
웹사이트
iloveoov - Leaguepeda {{!}} League of Legends Esports Wiki
https://lol.gamepedi[...]
Gamepedia
2020-04-28
[6]
뉴스
Head coach iloveoov leaves Afreeca Freecs
https://www.gwinnett[...]
2020-11-03
[7]
웹사이트
SK텔레콤 T1 최연성 코치, 5월 24일 결혼
http://www.fighterfo[...]
2008-04-30
[8]
문서
스타리그 2회 우승. MSL 3회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