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동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동욱은 2003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에서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질레트 스타리그를 통해 이름을 알렸으며,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후 SKY 프로리그 2004에서 팀의 우승에 기여하며 에이스로 활약했다. 2007년 슬럼프와 소속팀과의 불화로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했고, 2008년 공군 e스포츠병으로 입대하여 활동하다가 2010년 은퇴했다. 주요 기록으로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우승, 개인리그 4강 2회, 팀 단위 리그 우승 1회가 있으며,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라는 특이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 - 원종서
    원종서는 2005년 온게임넷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활동한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였으나, 2010년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프로게이머 자격을 영구 박탈당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 공군 ACE의 선수 - 오영종
    오영종은 로열로더 우승과 프로리그 MVP 수상 등 뛰어난 활약을 보였던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한동욱
기본 정보
사인 중인 한동욱
이름한동욱
한자 표기韓東旭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86년 9월 25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종족테란
아이디Adamas[Alive]
Casy
별명아트테란
소닉부스터
소닉테란
마우스로지텍 미니옵

2. 선수 이력

이윤열과 대화중인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하반기 KOR(이후 온게임넷 스파키즈로 변경)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1]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008년 공군 ACE에 입대하여 2010년까지 복무했다.[1] 제대 후 프로게이머 생활을 은퇴하였다.

2. 1. 데뷔와 초기 활동 (2003년 ~ 2004년)

2003년 하반기, KOR(이후 온게임넷 스파키즈로 변경)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1]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에 진출하며 이름을 알렸다. 아마추어 신분으로 지역 예선, PC방 예선, 챌린지 리그, 듀얼 토너먼트를 거쳐 스타리그 본선까지 진출한 것은 한동욱이 마지막 사례이다.

이후 KOR의 개인전 핵심 선수로 성장한 한동욱은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우승에 기여하며 팀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했다.

2. 2. 전성기 (2005년 ~ 2006년)

KOR의 개인전 카드로 성장한 한동욱은 소속팀의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우승에 기여하며 에이스로 자리잡았다.[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에서 한동욱은 4강에 진출, 당대회 우승자인 최연성 (SK 텔레콤 T1)과 대등한 공방을 벌인 끝에 2:3으로 석패했다.[1]

바로 다음 시즌,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결승에 오른 한동욱은 전시즌 MSL 우승자 조용호 (당시 KTF 매직엔스)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이는 온게임넷 스파키즈로 재창단된 소속팀에 안긴 첫 개인리그 우승컵이었다.[1]

이후 우승자 징크스로 한동안 부진을 면치 못했던 한동욱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에서 다시 4강에 올랐다.[1] 비록 이윤열 (당시 팬택)에게 패퇴하며 결승 진출엔 실패했지만, 4강 3경기(리버스 템플)에서 보여준 믿기 힘든 역전승은 한동욱만이 보여줄 수 있는 속도전의 진수였다.[1]

2. 3. 슬럼프와 이적 (2007년)

2007년 중반, 한동욱은 개인리그 및 프로리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슬럼프에 빠졌다. 특히 소속팀과의 원만치 못한 관계가 외부로 알려지면서, 이를 둘러싼 e스포츠 팬들의 거센 논쟁과 관심이 한동안 지속되었다. 한동욱, 온게임넷 스파키즈, 이명근 감독을 둘러싼 이른바 '한동욱 사태'는 2007년 9월 7일, 한동욱이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하면서 일단락되었다.

2. 4. 공군 ACE 복무와 은퇴 (2008년 ~ 2010년)

2008년 8월 22일, 한동욱은 박정석, 오영종과 함께 공군 e스포츠병 모집에 최종 합격하였다.[1] 이들은 9월 22일에 진주 공군교육사령부에 입대했으며, 2010년까지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였다.[1]

2009년 5월 1일,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오프라인 예선에서 한동욱은 박재영(KT 롤스터), 공민창(MBC게임 히어로) 등을 꺾고 36강에 진출, EVER 스타리그 2008 이후 3시즌만에 스타리그 본선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한상봉에게 2:0으로 패하며 16강 진출은 좌절되었다.

2010년 10월 30일, 한동욱은 제대 후 프로게이머 생활을 마감하였다.

2. 5. 은퇴 이후 (2010년 ~ 현재)

2010년 10월 30일 제대하였으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접었다. 이후 아프리카TV에서 잠시 활동하였으나, 현재는 활동하지 않는다.

3. 주요 기록

한동욱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1회 우승하였다.[1]

연도대회명결과
2003제1회 여수시장배4위
2004KBC 파워게임쇼 스타크래프트 신인왕전우승
2004질레트 스타리그16강
2004제1회 광주 KBC 방송국 대회우승
2005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 1ROUND2위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4강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우승 (3:1 조용호)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24강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4강
2007신한은행 마스터즈3위
2007Daum 스타리그16강
2008EVER 스타리그 20081차 본선
2009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64강
2009박카스 스타리그 200936강 (16강 진출 좌절)



한동욱은 팀 단위 리그에서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에서 KOR팀 소속으로 우승하였다.[1]

3. 1. 개인리그

다음은 한동욱의 개인 리그 경력이다.

  • 2003년: 제1회 여수시장배 4위[1]
  • 2004년:
  • KBC 파워게임쇼 스타크래프트 신인왕전 우승[1]
  • 질레트 스타리그 16강[1]
  • 제1회 광주 KBC 방송국 대회 우승[1]
  • 2005년: 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 1ROUND 2위[1]
  • 2006년: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4강[1]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우승''' (3:1 조용호)[1]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24강[1]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4강[1]
  • 2007년:
  • 신한은행 마스터즈 3위[1]
  • Daum 스타리그 16강[1]
  • 2008년: EVER 스타리그 2008 1차 본선[1]
  • 2009년: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 64강[1]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16강 진출 좌절)[1]

3. 2. 팀 단위 리그


  • 2004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공동 3위(KOR)[1]
  • 2005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우승(KOR)[1]
  • 2005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3위(KOR)[1]

4. 특이사항

한동욱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고 4강에도 두 번 진출했지만, MBC게임의 MSL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순수 스타리그 우승자 중에서는 김준영과 함께 MSL 진출 기록이 전무하며, 마이너리그 진출이 최고 기록이다. 프로리그 프로토스전에서는 17연패를 기록했는데, 이는 통산 단일 종족 최다 연패 기록이다. 참고로 방송 경기 기준 프로토스전 최다 연패는 이성은의 12연패이다.

4. 1.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한동욱은 2005년 11월 16일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에서 강민에게 패한 이후 프로토스전 부진이 시작되었다. 한동욱의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는 통산 단일 종족 최다 연패 기록이다.[1]

방송 경기 기준 프로토스전 최다 연패는 이성은이 가지고 있으며, 연패 기록은 12연패이다. 한동욱이 은퇴하면서 이 기록은 멈추었다.

날짜상대
2005년 11월 16일강민러시아워2
2006년 7월 1일박종수디아이
2006년 10월 28일서기수신백두대간
2006년 12월 2일박종수롱기누스
2007년 4월 18일윤용태팔진도
2007년 5월 13일허영무몬티홀
2007년 10월 24일도재욱블루스톰
2007년 11월 14일송병구백마고지
2008년 5월 28일이승훈안드로메다
2008년 12월 16일김재훈네오레퀴엠
2009년 3월 2일박영민신청풍명월
2009년 5월 17일이경민단장의능선
2009년 5월 20일김승현아웃사이더
2009년 6월 3일김구현황혼의그림자
2010년 1월 24일김승현투혼
2010년 4월 20일김태균심판의날
2010년 5월 30일윤용태그랜드라인


4. 2. MSL과의 인연

스타리그에서는 우승을 기록하고 4강에도 두 번이나 올라갔지만, 유독 MBC게임의 MSL에서는 인연이 없었다.

순수 스타리그 우승자들 중에서는 김준영과 함께 MSL 진출 기록이 없다. (마이너리그 진출이 최고 기록)[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