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민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자 e스포츠 해설가로, 특히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는 2003년과 2004년 MBC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창의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캐논 러시'와 '수정탑 확장' 전략을 대중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2008년 프로게이머 은퇴 후에는 MBC게임과 온게임넷에서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12년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조용호 (프로게이머)
2000년부터 프로게이머로 활동한 조용호는 SouL 입단 후 '목동저그' 스타일을 확립, 홍진호, 박경락과 함께 '조진락'으로 불리며 저그 최강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2006년 CYON MSL 우승 및 신한은행 스타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 로열로더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로열로더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강민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강민 |
한자 표기 | 강민 (姜旼) |
로마자 표기 | Gang Min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
포지션 | 前 프로게이머, 게임 해설가 |
종족 | 프로토스 |
아이디 | Nal_rA |
별명 | 몽상가(夢想家), 광민, 광통령, 광렐루야, 존야, 코 먹는 기계 |
소속 팀 | CJ 엔투스(2002~2004.03) → KT 롤스터 (2004.04~2010.06) |
좌우명 | 후회없는 게임을 하자 |
웹사이트 | 개인 웹사이트 |
선수 경력 | |
활동 게임 | 스타크래프트 |
프로 데뷔 | 2002년 |
은퇴 | 2008년 |
주요 활동 기간 | 2002–2004 (OGN Entus) 2004–2010 (KT 롤스터) |
기타 정보 | |
키보드 | 삼성 DT-35 블랙 |
마우스 | 로지텍 미니 휠마우스 + 서페이스 은색(MBA LE) |
마우스웨어 | 로지텍 마우스웨어 9.73 |
마우스 설정 | 노가속 오른쪽 끝 |
2. 선수 경력
강민은 1999년 하반기 아마추어 게이머로 활동하다 학업 문제로 2001년 하반기까지 약 2년간 휴식기를 가졌다. 2002년 상반기 GO(현 CJ 엔투스)팀에 입단하며 정식 프로게이머로 활동, 2008년 상반기까지 개인리그 2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했고, 프로토스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양대리그 제패를 달성했다. 그는 새로운 전략, 개념을 꾸준히 제시하며 프로토스 진영의 타 종족전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강민이 전성기 시절 활용했던 대 테란전 운영(셔틀 견제 후 지상군+캐리어 조합) 및 대 저그전 원게이트 운영, 더블 넥서스 빌드는 현 프로토스의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전략 전술로 자리잡았다.
2004년 4월, 슈마GO(현 CJ 엔투스) 소속이던 강민은 3년간 36억원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KTF 매직엔스 (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이후 프로리그 에이스 결정전 9연승 등 KTF 매직엔스 (현 KT 롤스터)의 04~05 시즌 23연승에 기여했고, 개인리그에서도 명성을 이어갔다.
2008년 9월, 강민은 선수 생활 은퇴를 선언하고 MBC게임의 프로리그, MSL 중계진에 합류했다. 2009년 10월 9일 MBC게임 해설에서 온게임넷 해설로 이적했다.
2010년 3월 6일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시즌' 공군 ACE와 SK텔레콤 T1 경기 후 프로게이머 복귀 의사를 밝혔다. 이후 돌아온 뒷담화의 코너 강민의 올드보이에서 복귀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공익근무요원 입대 영장을 받아 프로그램에서 스타리그 예선 후 입대 계획을 밝혔다.
2010년 6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예선에서 이호준에게 0:2로 패배했다. 2010년 6월 17일, 공익근무요원으로 논산훈련소에 입대, 2012년 6월 15일 소집해제되었다.
2012년 6월 19일 서지훈과 레전드 매치를 통해 온게임넷에 복귀했다. 2012년 6월 27일, 온게임넷 보도자료에 따르면 강민은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로 복귀, 2012년 ~ 2014년까지 롤챔스 해설자로 활동했다.
2015년 5월 19일, 온게임넷 해설을 그만두고 헝그리앱TV 등에서 활동했다. 2015년 7월 20일, OGN 베인글로리 리그에서 박태민과 함께 해설을 맡으며 OGN에 다시 복귀했다.[5]
2. 1. 초기 활동 (1999년 ~ 2002년)
1999년 하반기 아마추어 게이머로 활동을 시작했으나, 학업 문제로 2001년 하반기까지 약 2년간 휴식기를 가졌다. 2002년 상반기 GO(현 CJ 엔투스)팀에 입단하면서 정식으로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하였다.2. 2. 전성기 (2003년 ~ 2006년)
강민은 2002년 상반기 GO(현 CJ 엔투스)팀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008년 상반기까지 개인리그 2회 우승, 2회 준우승의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프로토스 선수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양대리그(스타리그) 제패를 달성했다. 그는 새로운 전략과 개념을 꾸준히 제시하여 프로토스 진영의 타 종족전 전략의 기본 틀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강민이 전성기 시절 즐겨 사용했던 대 테란전 운영(셔틀 견제 이후 지상군+캐리어 조합)과 대 저그전 원게이트 운영, 더블 넥서스 빌드는 현재 프로토스의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전략으로 자리잡았다.[5]
2004년 4월, 강민은 슈마GO(현 CJ 엔투스)에서 KTF 매직엔스 (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당시 3년간 36억원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이었다. 이적 후 프로리그 에이스 결정전 9연승을 기록하는 등 KTF 매직엔스 (현 KT 롤스터)의 04~05 시즌 23연승에 크게 기여했고, 개인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강민은 PGR21 대회에서 서지훈을 꺾고 우승했으며, 올림푸스 챌린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MBC게임 스타리그에서 이윤열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결승에서 전태규를 만났다. 2004년 4월에는 한국e스포츠협회 랭킹 2위에 올랐다. 2006년 2월에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토너먼트에서 우승했고, 2006년 7월에는 MBC게임 스타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다.
강민은 특히 캐논 러시와 수정탑 확장 전략을 활용하는 등 창의적인 플레이로 유명하다. 그의 굿프렌드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아비터 릴로디드' 플레이는 MBC게임 역대 100대 경기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2. 3. 후기 활동 및 은퇴 (2007년 ~ 2008년)
2008년 9월, 강민은 한시적인 선수 생활 은퇴를 선언하며 MBC게임의 프로리그, MSL 중계진에 합류했다. 기존에 해설을 맡았던 김동준의 군입대 공백을 메우게 된 강민은 클럽데이 온라인 MSL을 통해 정식 해설위원으로 데뷔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에서도 '강철승(강민-김철민-한승엽)' 조합의 일원으로서 중계를 담당했었다.[5]이후 MBC게임 해설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서울예술대학교에서 프로게이밍 관련 강좌를 가르치는 직업을 갖겠다고 밝혔다.
3. 해설자 경력
2008년 9월, 강민은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하고 MBC게임 해설진에 합류하여 김동준의 군입대 공백을 메웠다. 클럽데이 온라인 MSL을 통해 정식 해설위원으로 데뷔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에서 '강철승(강민-김철민-한승엽)' 조합으로 중계를 담당했다. 2009년 10월 9일 MBC게임에서 온게임넷으로 이적했다.
2010년 3월 6일,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시즌' 공군 ACE와 SK텔레콤 T1 경기 후 프로게이머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면서 스타리그 예선 이후 입대 계획을 밝혔다. 2010년 6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예선에서 이호준에게 패배했다.
2012년 6월 19일 서지훈과의 레전드 매치를 통해 온게임넷에 복귀했고, 6월 27일 온게임넷 보도자료에 따르면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로 복귀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롤챔스 해설자로 활동했다.
2015년 5월 19일, 온게임넷 해설을 그만두고 헝그리앱TV 등에서 활동하다가, 7월 20일 OGN 베인글로리 리그에서 박태민과 함께 해설을 맡으며 OGN에 복귀했다.
3. 1. MBC게임 해설위원 (2008년 ~ 2009년)
2008년 9월, 강민은 한시적인 선수생활 은퇴를 선언하며 MBC게임의 프로리그, MSL 중계진에 합류했다. 기존에 해설을 맡았던 김동준의 군입대 공백을 메우게 된 강민은 클럽데이 온라인 MSL을 통해 정식 해설위원으로 데뷔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에서도 '강철승(강민-김철민-한승엽)' 조합의 일원으로서 중계를 담당했었다.[5]3. 2. 온게임넷 해설위원 (2009년 ~ 2015년)
2009년 10월 9일, MBC게임 해설에서 온게임넷 해설로 이적했다.[5] 2015년 5월 19일, 온게임넷 해설을 그만두고 헝그리앱TV 등에서 활동하게 된다.4. 라이벌 및 천적 관계
임요환, 최연성, 박용욱, 마재윤과의 대결은 스타크래프트 팬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마재윤과의 경기는 '성전'이라 불리며 많은 화제를 모았으나, 마재윤의 승부조작으로 인해 모두 무효 처리되었다.
4. 1. 임요환, 최연성
임요환, 최연성은 강민의 전성기였던 2003~2004 시즌의 대표적인 테란 유저들이었다. 이 시기 강민은 여러 차례 임요환을 격파하여 명성을 얻었는데, 특히 2003년 말부터 2004년 초까지 개인리그 2회 우승, 1회 준우승을 기록한 그를 두고 "강민을 '본좌'로 볼 수 있느냐"는 네티즌간의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이 논쟁은 임요환의 제자이자 그를 잇는 최고의 테란 선수가 된 최연성에 의해 일단락됐다. 최연성은 개인리그 및 팀단위 리그의 고비 때마다 강민을 꺾었으며, 오래잖아 당대 1인자로 군림했던 이윤열의 왕좌를 탈환함으로써 자신이 최강임을 입증해냈다.
임요환과의 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11:5, 비공식전까지 포함하여 14:6으로 강세다. 하지만 최연성과의 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4:9 약세,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4:10 약세다.
4. 2. 박용욱
박용욱과의 악연은 2002년 온게임넷 챌린지리그 결승전부터 시작되었다. 챌린지리그 우승자는 바로 스타리그로 직행하고, 준우승자부터는 듀얼토너먼트를 거쳐 스타리그에 진출해야 했는데, 이 결승에서 박용욱은 강민을 3:2로 꺾으며 스타리그에 직행한다. 강민은 그 후 듀얼토너먼트에서 탈락하며 다음 시즌을 기약하게 된다. 이후 마이큐브배 스타리그 결승전에서 다시 악몽이 시작되었다. 당시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던 강민은 결승전에 진출하여 처음 결승전에 올라오는 박용욱을 상대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강민의 우세를 점쳤지만 박용욱이 3:1로 승리하였다. 그리고 프로리그나 개인리그 등 중요한 경기에서 박용욱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 SKY프로리그 결승전 SK텔레콤 T1과 KTF(현재 KT)와의 경기에서 그 전까지 에이스 결정전 9연승을 달리고 있었던 강민은 팀이 3:1로 몰리던 상황에서 당시 임요환(SK텔레콤 T1)의 무적의 맵 알포인트에 임요환 스나이핑으로 배치되었으나 의외의 카드 박용욱을 만나면서 팀의 준우승과 함께 천적 관계가 그대로 굳어졌다. 하지만 그 뒤로 조금씩 차이를 좁히기 시작하였다. 특히 프링글스 MSL Season1 4강에서는 박용욱을 3:0으로 셧아웃을 시켰고, e-stars Seoul 2009 헤리티지에서 마지막으로 박용욱을 꺾으며 공식전만으로는 12:12, 비공식전까지 포함해 상대전적을 16:16으로 천적관계를 풀어냈다. 이후 09-10시즌부터 온게임넷에서 같이 프로리그를 진행하게 된다. 그 후 뒷담화 프로그램에 나오면서 서로 사이좋게 지내면서 즐거운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였다.4. 3. 마재윤
마재윤과의 관계는 2005년 MBC Movies배 팀리그부터 2009년 헤리티지까지 이어진 치열한 경기로 유명하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프로게이머 중 최고로 불리던 마재윤과 이에 맞서는 강민의 경기는 다른 경기에 비해 유난히 치열했다. 1차부터 13차까지 경기가 치러졌지만, 강민은 대부분 마재윤의 벽을 넘지 못했다. 총 상대전적은 18:8 (공식전 8:5)로 마재윤이 우세하였다. 당시 팬들은 이를 성전(聖戰)이라 불렀다.두 사람은 13차례에 걸쳐 치열한 경기를 펼쳤으나, 마재윤의 승부조작으로 인해 이 경기들은 전부 무효 처리되었다. 마재윤의 승부조작 사실이 알려진 후 강민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엄청난 욕설을 하였다고 한다.
차수 | 날짜 | 대회 | 비고 | 결과 |
---|---|---|---|---|
1차 | 2005년 2월 12일 | MBC Movies배 팀리그 | G.O VS KTF 3경기 | 강민 승 |
2차 | 2005년 8월 27일 | 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 | 1R F조 4경기 | 강민 승 |
3차 | 2005년 10월 6일 | LG CYON 2005 MSL | 16강 1경기 | 마재윤 승 |
4차 | 2006년 2월 27일 | Elite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 대구투어 결승전 | 2:1 강민 승 |
5차 | 2006년 7월 16일 | 프링글스 MSL 시즌 1 | 결승전 | 3:1 마재윤 승 |
6차 | 2006년 8월 5일 | WEF 2006 | 4강 | 2:0 마재윤 승 |
7차 | 2006년 11월 2일 | 프링글스 MSL 시즌 2 | 4강 | 3:1 마재윤 승 |
8차 | 2007년 1월 11일 | 곰TV MSL 시즌 1 | 8강 | 마재윤 승 |
9차 | 2007년 4월 29일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 CJ VS KTF 2세트 | 강민 승 |
10차 | 2007년 5월 20일 | 2007 WWI | 4강 | 2:0 마재윤 승 |
11차 | 2007년 8월 4일 | 2007 블리즈컨 | 8강 | 2:1 마재윤 승 |
12차 | 2007년 8월 5일 | 2007 블리즈컨 | 최종 결승전 | 2:0 마재윤 승 |
13차 | 2009년 7월 21일 |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 10강 B조 5경기 | 마재윤 승 |
5. 플레이 스타일
강민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플레이로 유명하다. 캐논 러시와 수정탑 확장 전략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당시에는 이러한 전략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그의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 중 하나는 굿프렌드와의 경기에서 아비터 환영을 이용하여 리콜 능력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아비터 리로디드' 플레이이다.
6. 주요 기록
강민은 개인 리그와 팀 단위 리그에서 모두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개인 리그에서는 2회 우승과 2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특히 스타우트 MSL 2003과 NHN 한게임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팀 단위 리그에서는 MBC게임 팀리그와 온게임넷 프로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경험했으며, Neowiz Pmang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전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6]
'''개인 리그 주요 성적'''
- 2001년 PGR21 토너먼트 1위
- 2002년 올림푸스 챌린지 리그 2위
- 2003년 스타우트 MSL 2003 우승 (3:0 이윤열)
- 2003년 마이큐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 (1:3 박용욱)
- 2004년 NHN 한게임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우승 (3:1 전태규)
- 2006년 프링글스 MSL 시즌1 준우승 (1:3)
- 2006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토너먼트 우승
'''팀 단위 리그 주요 성적'''
- 2003년 계몽사 MBC게임 팀리그 우승 (GO)[6]
- 2003년 라이프존 MBC게임 팀리그 우승 (GO)[6]
- 2004년 LG IBM MBC게임 팀리그 3위 (슈마GO)[6]
- 2004년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우승 (슈마GO)[6]
- 2004년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전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정규시즌 1위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정규리그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개인전 다승왕[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정규시즌 1위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정규리그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개인전 다승왕 (공동)[6]
- 2006년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7년 제5회 슈퍼파이트 종족최강전 우승 (프로토스팀)[6]
6. 1. 개인 리그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2회, 준우승 2회'''[6]연도 | 대회 |
---|---|
2000년 | 밀레니엄 사이버 페스티벌 MCF대회 3위 |
2001년 | Gamei 주장원 1주차 2위 |
2001년 안산페스티벌 일반부 3위(2001.10.3) | |
PGR21 토너먼트 1위 | |
2002년 | Gamei 주장원 1주차 우승 |
제1회 KTF 나지트배 프로게이머 최강전 우승 | |
제2회 KTF 나지트배 프로게이머 최강전 준우승 | |
제3회 KTF 나지트배 프로게이머 최강전 우승 | |
2002 WCG 국가대표 선발전 4위 | |
2003년 | 챌린지 듀얼 토너먼트 진출 |
스타우트 MSL 2003 우승 (3:0 이윤열) | |
2003 마이큐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 (1:3 박용욱) | |
TG삼보 MSL 16강 | |
2004년 | NHN 한게임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우승 (3:1 전태규) |
하나포스 센게임 MSL 3위 | |
The Games 창간기념 인텔 베스트 커플전 우승 | |
질레트 스타리그 16강 | |
스프리스 MSL 3위 | |
당신은 골프왕 MSL 16강 | |
2005년 |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 1라운드 4위 |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 2라운드 준우승 | |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 통합 4위 | |
블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
올림푸스 챌린지 리그 2위 | |
2006년 | K.SWISS 온게임넷 듀얼 토너먼트 1 라운드, 2위 |
CYON MSL 본선 진출 | |
WWI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16강 | |
프링글스 MSL 시즌1 준우승 (1:3) | |
W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
프링글스 MSL 시즌2 4강 | |
2007년 | 곰TV MSL 시즌1 4강 |
곰TV MSL 시즌2 16강 | |
WWI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4강 | |
블리즈컨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 |
곰TV MSL 시즌3 8강 | |
2008년 | 곰TV MSL 시즌4 32강 |
2009년 |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출전 |
2012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
6. 2. 팀 단위 리그
팀리그 | |||||||||
---|---|---|---|---|---|---|---|---|---|
시즌 | 소속 | 승 | 패 | 합계 | 승률 | 올킬 | 팀성적 | 비고 | |
2003 계몽사 | 예선 | G.O | 비출전 | 우승(5팀) | rowspan="2" | | ||||
본선 | 4 | 2 | 4승 2패 | 66.7% | |||||
2003 라이프존 | 예선 | 예선 면제 | 우승(8팀) | rowspan="2" | | |||||
본선 | 1 | 0 | 1승 0패 | 100.0% | |||||
2003 LG IBM | 예선 | 예선 면제 | 3위(8팀) | rowspan="2" | | |||||
본선 | 2 | 2 | 2승 2패 | 50.0% | |||||
2004 투싼 | 예선 | KTF 매직엔스 | 예선 면제 | rowspan="2" | | |||||
본선 | 1 | 2 | 1승 2패 | 33.3% | 3위(8팀) | ||||
2004 MBC MOVIES | 예선 | 예선 면제 | 3킬 올킬(vs SouL) | ||||||
본선 | 6 | 1 | 6승 1패 | 85.7% | 1회 | 3위(8팀) | |||
합계 | 14 | 7 | 14승 7패 | 66.7% | 1회 | 우승 2회 | 3킬 올킬 (1회) |
시즌 | 소속 | 개인 | 팀플 | 합계 | 승률 | 팀성적 | 비고 | |||
---|---|---|---|---|---|---|---|---|---|---|
승 | 패 | 승 | 패 | |||||||
2003 KTF EVER | 예선 | G.O | 비출전 | 4위(8팀) | rowspan="2" | | |||||
본선 | 1 | 0 | 5 | 5 | 6승 5패 | 54.5% | ||||
2003 네오위즈 피망 | 예선 | 예선 면제 | 우승(8팀) | 결승전 MVP 수상 | ||||||
본선 | 1 | 0 | 9 | 3 | 10승 3패 | 76.9% | ||||
2004 SKY 1R | KTF 매직엔스 | 2 | 2 | 0 | 1 | 2승 3패 | 40.0% | 7위(11팀) | ||
2004 SKY 2R | 0 | 1 | 4 | 2 | 4승 3패 | 57.1% | 새턴리그 3위(5팀) | |||
2004 SKY 3R | 5 | 2 | 4 | 0 | 9승 2패 | 81.8% | 준우승(10팀) | |||
2004 SKY GF | 0 | 2 | 0승 2패 | 0.0% | 4위(4팀) | |||||
2005 SKY 전기 | 6 | 2 | 1 | 0 | 7승 2패 | 77.8% | 준우승(11팀) | |||
2005 SKY 후기 | 6 | 5 | 1 | 0 | 7승 5패 | 58.3% | 3위(10팀) | |||
2005 SKY GF | 1 | 0 | 0 | 1 | 1승 1패 | 50.0% | 준우승(4팀) | |||
2006 SKY 전기 | 3 | 3 | 1 | 2 | 4승 5패 | 44.4% | 4위(11팀) | |||
2006 SKY 후기 | 1 | 2 | 1 | 0 | 2승 2패 | 50.0% | 10위(11팀) | |||
2006 SKY 통합챔피언 | 진출실패 | 진출실패 | ||||||||
2007 신한은행 전기 | 10 | 10 | 10승 10패 | 50.0% | 7위(12팀) | |||||
2007 신한은행 후기 | 1 | 9 | 1승 9패 | 10.0% | 9위(12팀) | |||||
2007 신한은행 통합챔피언 | 진출실패 | 진출실패 | ||||||||
2008 신한은행 | 3 | 1 | 3승 1패 | 75.0% | 5위(12팀) | |||||
합계 | 40 | 37 | 26 | 16 | 66승 53패 | 55.5% | 우승 1회 | 결승전 MVP 1회 |
- 2003년 계몽사 MBC게임 팀리그 우승 (GO)[6]
- 2003년 라이프존 MBC게임 팀리그 우승 (GO)[6]
- 2004년 LG IBM MBC게임 팀리그 3위 (슈마GO)[6]
- 2004년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우승 (슈마GO)[6]
- 2004년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전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정규시즌 1위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정규리그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개인전 다승왕[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정규시즌 1위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정규리그 MVP[6]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개인전 다승왕 (공동)[6]
- 2006년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KTF 매직엔스)[6]
- 2007년 제5회 슈퍼파이트 종족최강전 우승 (프로토스팀)[6]
7. 통산 전적
종족전 | 경기 | 승-패 | 승률 |
---|---|---|---|
대 테란 | 249 | 150-99 | 60.2% |
대 저그 | 248 | 132-116 | 53.2% |
대 프로토스 | 133 | 81-52 | 60.9% |
총 합 | 630 | 363-267 | 58.1% |
참조
[1]
웹사이트
강민
https://people.searc[...]
2018-08-10
[2]
뉴스
The Esports Mom: the journey of Susie 'lilsusie' Kim
http://www.espn.com/[...]
ESPN
2016-09-10
[3]
뉴스
Prochain niveau pour les sports électroniques au Québec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Montréal
2018-08-10
[4]
웹사이트
[News] Nal_rA to become a teacher!
http://www.teamliqui[...]
[5]
뉴스
롤 인벤 핫이슈··· 강민 해설 프리선언에 '시끌'
http://news.tf.co.kr[...]
BizFACT
[6]
문서
스타리그 및 MSL 성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