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은 최영애와 김용옥이 제안한 중국어 표기법으로, 한글을 사용하여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표기법은 중복을 피하고, 한글 자모 외의 기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음절을 간략화하고 음소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표기법은 자음, 모음, 성조를 한글로 표기하며, 예외 사항도 존재한다.

2. 기본 원칙

다음은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다.


  • 중국어 발음이 같은 경우에도 우리말 표기는 중복되지 않게 한다. 즉, 우리말 표기만으로 모든 중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우리말에서 현재 통용되는 알파벳 이외의 기호(어퍼스트로피 등 음성학적 기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 모든 표기는 세 글자를 초과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음절을 간략하게 하여 경제성을 추구한다.
  • 음소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실제 발음에 가장 가까운 방식으로 표기한다.

2. 1. 표기 원칙

다음은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다.

# 중국어의 모든 발음을 한글로 표기할 때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즉, 한글 표기만으로 모든 중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 한글에서 현재 통용되는 알파벳 이외의 기호(어퍼스트로피 등 음성학적 기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 모든 표기는 세 글자를 초과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음절을 간략하게 하여 경제성을 추구한다.

# 음소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실제 발음에 가장 가까운 방식으로 표기한다.

colspan="3" rowspan="3" |개구(開口)
aoe-ieraieiaoouanenangeng-ong
아이에이아오어우
순음(脣音)b빠이뻬이빠오
p파이페이파오퍼우
m마이메이마오머우
f훼이훠우
설첨음(舌尖音)d따이떼이따오떠우
t타이타오터우
n나이네이나오너우
라이레이라오러우
설첨전음(舌尖前音)z짜이쩨이짜오쩌우
c차이차오처우
s싸이싸오써우
설첨후음(舌尖後音)zhᄌᆞᄌᆞ아ᄌᆞ어ᄌᆞ으ᄌᆞ아이ᄌᆞ에이ᄌᆞ아오ᄌᆞ어우ᄌᆞ안ᄌᆞ언ᄌᆞ앙ᄌᆞ엉ᄌᆞ옹
ch츠아츠어츠으츠아이츠아오츠어우츠안츠언츠앙츠엉츠옹
shᄉᆞᄉᆞ아ᄉᆞ어ᄉᆞ으ᄉᆞ아이ᄉᆞ에이ᄉᆞ아오ᄉᆞ어우ᄉᆞ안ᄉᆞ언ᄉᆞ앙ᄉᆞ엉
r르어르으르아이르아오르어우르안르언르앙르엉르옹
설면음(舌面音)j
q
x
설근음(舌根音)g까이께이까오꺼우
k카이카오커우
h하이헤이하오허우
ø아이아오어우



colspan="3" rowspan="3" |제치(齊齒)합구(合口)촬구(撮口)
iiaiaoieiouianiniangingionguuauouaiueiuanunuanguengüüeüanün
이아야오이에여우이엔이앙이옹우아우어와이웨이우안우앙위에위앤
순음(脣音)b뺘오삐에삐엔
p퍄오피에피엔
m먀오미에미우미엔
f후우
설첨음(舌尖音)d땨오띠에띠우띠엔뚜어뛔이뚜안
t탸오티에티엔투어퉤이투안
n냐오니에니우니엔니앙누어누안뉘에
리아랴오리에리우리엔리앙루어루안뤼에
설첨전음(舌尖前音)z쭈어쮀이쭈안
c추어췌이추안
s쑤어쒜이쑤안
설첨후음(舌尖後音)zhᄌᆞᄌᆞ우ᄌᆞ우아ᄌᆞ우어ᄌᆞ와이ᄌᆞ웨이ᄌᆞ우안ᄌᆞ운ᄌᆞ우앙
ch츠우츠우어츠와이츠웨이츠우안츠운츠우앙
shᄉᆞᄉᆞ우ᄉᆞ우아ᄉᆞ우어ᄉᆞ와이ᄉᆞ웨이ᄉᆞ우안ᄉᆞ운ᄉᆞ우앙
r르우르우어르웨이르우안르운
설면음(舌面音)j지아쟈오지에지우지엔지앙지옹쥐에쥐앤
q치아챠오치에치우치엔치앙치옹취에취앤
x시아샤오시에시우시엔시앙시옹쉬에쉬앤
설근음(舌根音)g꾸아꾸어꽈이꿰이꾸안꾸앙
k쿠아쿠어콰이퀘이쿠안쿠앙
h후아후어화이후에이후안후앙
ø야오여우와이웨이위에위앤


3. 한글 자모와 중국어 발음의 대조표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은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이 표기법은 다음의 주요 특징을 갖는다.


  • 모든 중국어 발음은 중복되지 않게 한글로 표기된다. 즉, 한글 표기만으로 해당 중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재구(再構)할 수 있다.
  • 알파벳 외의 기호(어퍼스트로피 등)는 사용하지 않는다.
  • 최대한 세 글자를 초과하지 않도록 음절을 간략화하여 경제성을 추구한다.
  • 음소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실제 발음에 가깝게 표기한다.


아래는 중국어 발음과 한글 자모의 대조표이다.

colspan="3" rowspan="3" |개구(開口)제치(齊齒)합구(合口)촬구(撮口)
aoe-ieraieiaoouanenangeng-ongiiaiaoieiouianiniangingionguuauouaiueiuanunuanguengüüeüanün
아이에이아오어우이아야오이에여우이엔이앙이옹우아우어와이웨이우안우앙위에위앤
순음(脣音)b빠이뻬이빠오뺘오삐에삐엔
p파이페이파오퍼우퍄오피에피엔
m마이메이마오머우먀오미에미우미엔
f훼이훠우후우
설첨음(舌尖音)d따이떼이따오떠우땨오띠에띠우띠엔뚜어뛔이뚜안
t타이타오터우탸오티에티엔투어퉤이투안
n나이네이나오너우냐오니에니우니엔니앙누어누안뉘에
라이레이라오러우리아랴오리에리우리엔리앙루어루안뤼에
설첨전음(舌尖前音)z짜이쩨이짜오쩌우쭈어쮀이쭈안
c차이차오처우추어췌이추안
s싸이싸오써우쑤어쒜이쑤안
설첨후음(舌尖後音)zhᄌᆞᄌᆞ아ᄌᆞ어ᄌᆞ으ᄌᆞ아이ᄌᆞ에이ᄌᆞ아오ᄌᆞ어우ᄌᆞ안ᄌᆞ언ᄌᆞ앙ᄌᆞ엉ᄌᆞ옹ᄌᆞ우ᄌᆞ우아ᄌᆞ우어ᄌᆞ와이ᄌᆞ웨이ᄌᆞ우안ᄌᆞ운ᄌᆞ우앙
ch츠아츠어츠으츠아이츠아오츠어우츠안츠언츠앙츠엉츠옹츠우츠우어츠와이츠웨이츠우안츠운츠우앙
shᄉᆞᄉᆞ아ᄉᆞ어ᄉᆞ으ᄉᆞ아이ᄉᆞ에이ᄉᆞ아오ᄉᆞ어우ᄉᆞ안ᄉᆞ언ᄉᆞ앙ᄉᆞ엉ᄉᆞ우ᄉᆞ우아ᄉᆞ우어ᄉᆞ와이ᄉᆞ웨이ᄉᆞ우안ᄉᆞ운ᄉᆞ우앙
r르어르으르아이르아오르어우르안르언르앙르엉르옹르우르우어르웨이르우안르운
설면음(舌面音)j지아쟈오지에지우지엔지앙지옹쥐에쥐앤
q치아챠오치에치우치엔치앙치옹취에취앤
x시아샤오시에시우시엔시앙시옹쉬에쉬앤
설근음(舌根音)g까이께이까오꺼우꾸아꾸어꽈이꿰이꾸안꾸앙
k카이카오커우쿠아쿠어콰이퀘이쿠안쿠앙
h하이헤이하오허우후아후어화이후에이후안후앙
ø아이아오어우야오여우와이웨이위에위앤


3. 1. 개구 (開口)

입을 벌리고 발음하는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olspan="3" rowspan="3" |개구 (開口)
aoe-ieraieiaoouanenangeng-ong
아이에이아오어우
脣音b빠이뻬이빠오
p파이페이파오퍼우
m마이메이마오머우
f훼이훠우
舌尖音d따이떼이따오떠우
t타이타오터우
n나이네이나오너우
라이레이라오러우
舌尖前音z짜이쩨이짜오쩌우
c차이차오처우
s싸이싸오써우
舌尖後音zhᄌᆞᄌᆞ아ᄌᆞ어ᄌᆞ으ᄌᆞ아이ᄌᆞ에이ᄌᆞ아오ᄌᆞ어우ᄌᆞ안ᄌᆞ언ᄌᆞ앙ᄌᆞ엉ᄌᆞ옹
ch츠아츠어츠으츠아이츠아오츠어우츠안츠언츠앙츠엉츠옹
shᄉᆞᄉᆞ아ᄉᆞ어ᄉᆞ으ᄉᆞ아이ᄉᆞ에이ᄉᆞ아오ᄉᆞ어우ᄉᆞ안ᄉᆞ언ᄉᆞ앙ᄉᆞ엉
r르어르으르아이르아오르어우르안르언르앙르엉르옹
舌面音j
q
x
舌根音g까이께이까오꺼우
k카이카오커우
h하이헤이하오허우
ø아이아오어우


3. 2. 제치 (齊齒)

제치(齊齒)는 입술을 양옆으로 벌리고 이빨 사이로 소리 내는 중국어 발음을 가리킨다. 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olspan="3" rowspan="3" |제치 (齊齒)
iiaiaoieiouianiniangingiong
이아야오이에여우이엔이앙이옹
脣音b뺘오삐에삐엔
p퍄오피에피엔
m먀오미에미우미엔
f
舌尖音d땨오띠에띠우띠엔
t탸오티에티엔
n냐오니에니우니엔니앙
리아랴오리에리우리엔리앙
舌尖前音z
c
s
舌尖後音zhᄌᆞ
ch
shᄉᆞ
r
舌面音j지아쟈오지에지우지엔지앙지옹
q치아챠오치에치우치엔치앙치옹
x시아샤오시에시우시엔시앙시옹
舌根音g
k
h
ø야오여우


3. 3. 합구 (合口)

합구(合口)는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고 발음하는 중국어 발음이다. 다음은 합구의 한글 표기이다.

colspan="3" |합구
uuauouaiueiuanunuangueng
우아우어와이웨이우안우앙
脣音b
p
m
f후우
舌尖音d뚜어뛔이뚜안
t투어퉤이투안
n누어누안
루어루안
舌尖前音z쭈어쮀이쭈안
c추어췌이추안
s쑤어쒜이쑤안
舌尖後音zhᄌᆞᄌᆞ우ᄌᆞ우아ᄌᆞ우어ᄌᆞ와이ᄌᆞ웨이ᄌᆞ우안ᄌᆞ운ᄌᆞ우앙
ch츠우츠우어츠와이츠웨이츠우안츠운츠우앙
shᄉᆞᄉᆞ우ᄉᆞ우아ᄉᆞ우어ᄉᆞ와이ᄉᆞ웨이ᄉᆞ우안ᄉᆞ운ᄉᆞ우앙
r르우르우어르웨이르우안르운
舌面音j
q
x
舌根音g꾸아꾸어꽈이꿰이꾸안꾸앙
k쿠아쿠어콰이퀘이쿠안쿠앙
h후아후어화이후에이후안후앙
ø와이웨이


3. 4. 촬구 (撮口)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고 앞으로 내밀어 발음하는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촬구 (撮口)
üüeüanün
위에위앤
舌面音j쥐에쥐앤
q취에취앤
x쉬에쉬앤
舌尖中音n뉘에
뤼에
ø위에위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