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3,000년 전 상나라 시대에 기록이 나타난 역사가 깊은 언어이다. 중국어는 고대 중국어, 중기 한어, 근대 한어, 현대 한어를 거치며 발전했고,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특히 표준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보통화, 중화민국에서 국어로 불린다. 중국어는 성조를 가지며, 문법적으로는 어순으로 문법 관계를 나타내는 고립어에 속한다. 한자는 중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표의 문자로, 간체자와 번체자로 나뉘며,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한어 병음이 널리 사용된다. 중국어는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어휘와 문자 체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마카오의 언어 - 마카오어
마카오어는 마카오의 유라시아계 소수 민족인 마카오인들이 사용하는 토착 혼성어이며, 소수의 고령층만이 사용하여 사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마카오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홍콩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홍콩의 언어 - 홍콩어
홍콩어는 홍콩에서 사용되는 광동어 방언으로, 영어의 영향과 중국 본토와의 격리 속에서 독자적인 음운, 어휘, 구문을 발전시켜 왔으며, 특히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 약어와 단문 메시지 언어가 활발히 사용되는 특징적인 언어이다. - 중국의 상징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중국의 상징 - 남중국호랑이
남중국호랑이는 중국 남부에 서식했던 호랑이 아종으로, 밝은 노란색 털과 가늘고 많은 줄무늬가 특징이며, 무분별한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야생 복귀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중국어 | |
---|---|
지도 | |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중국어 |
원어 이름 | |
로마자 표기 | Zhōngwén Hànyǔ Huáyǔ |
발음 |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기타 화교 거주 지역 |
사용 지역 |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
총 사용자 수 | 13억 이상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시나어파 |
문자 | 한자 (간체자, 번체자) 주음부호 병음 중국어 점자 소아경 |
공용어 지정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중화민국 싱가포르 국제연합 |
언어 관리 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중화민국 교육부 |
언어 코드 | |
ISO 639-1 | zh |
ISO 639-2/B | chi |
ISO 639-2/T | zho |
ISO 639-3 | zho |
방언 | |
방언 종류 | 민동어 진어 관화 보선어 휘어 민중어 감어 객가어 상어 한문 민북어 민남어 오어 월어 계북평화 계남평화 |
언어 계통 | |
조상 언어 | 원시 시노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후한 시대 중국어 중세 중국어 |
주요 방언 | |
주요 방언 | 관화 진어 오어 감어 상어 민어 객가어 월어 평화 휘주어 |
표준어 | |
표준어 | 표준 중국어 표준 광동어 |
2. 역사
중국어는 상고 한어, 중고 한어, 중세 한어, 근대 한어를 거쳐 현대 한어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해 왔다.
- 상고 한어: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의 한어
- 중고 한어: 남북조 시대와 당나라의 한어
- 중세 한어: 오대십국과 송나라의 한어
- 근대 한어: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한어
- 현대 한어: 현대 중화권에서 쓰는 한어
최초의 기록은 상나라 시대 3,000년 전에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언어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지역 방언들이 서로 소통이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중앙 정부는 여러 차례 통일된 표준어를 보급하려고 노력했다.[18]
2. 1. 고대 중국어
최초의 기록은 상나라 시대 갑골문에서 나타났다. 주나라 서주 시대(기원전 1046년~771년)의 청동기 유물에 새겨진 명문, 『시경』, 『서경』, 『역경』 등에서 그 다음 단계가 확인된다.[1] 학자들은 후대 중국어 방언들과 『시경』의 운율, 그리고 대부분의 한자에 있는 음운 요소들을 비교하여 고대 중국어 음운론을 재구성하려 했다.[2] 상세한 부분은 여전히 불명확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 중국어가 중국 중세어와 달리 역설음과 구개음이 없었고 어떤 종류의 초기 자음군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성 비음과 액체음을 가지고 있었다는 데 동의한다.[3] 최근의 대부분의 재구성은 또한 음절 끝에 자음군이 있는 무성조 언어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중세어의 성조 구분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한다.[4] 몇 가지 파생 접사도 확인되었지만, 이 언어는 굴절이 없으며 어순과 조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냈다.[5]2. 2. 중기 한어
남북조 시대와 수, 당, 송 시대에 사용된 언어이다. 절운(601년) 운서에 반영되어 있다.2. 3. 근대 한어
북송의 멸망과 그 뒤를 이은 여진의 금과 몽골의 원의 북중국 지배 이후, 수도 주변 화북 평원 방언들을 기반으로 한 공통어(현재 고한어로 불림)가 발전했다.[1]1324년의 『중원음운』은 이 언어로 된 새로운 산곡 시가의 운율 규칙을 성문화한 사전이었다.[2] 약간 후대의 『몽고자운』과 함께 이 사전은 현대 북경어 방언의 특징을 많이 지닌 언어를 묘사하고 있다.[3]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관리들은 실용적인 조치로 官話|guānhuà|관화중국어(官話, language of officials)로 알려진, 북경어 계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공용어를 사용하여 제국을 통치했다.[4] 이 기간 대부분 이 언어는 난징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기반으로 한 코이네였지만, 어떤 단일 방언과도 동일하지는 않았다.[5] 19세기 중반까지 북경어 방언이 우세해졌고, 황실과의 어떤 업무에도 필수적이었다.[6]
2. 4. 현대 한어
20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지역 방언만 사용했다.[18]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관리들은 실용적인 조치로 官話|관화중국어(language of officials)로 알려진, 북경어 계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공용어를 사용하여 제국을 통치했다.[19] 1930년대에는 표준 국어( 國語|궈위중국어)가 채택되었다. 북방과 남방 방언 지지자들 간의 많은 논쟁과 인위적인 발음에 대한 실패한 시도 끝에 국어통일위원회는 1932년 마침내 북경어 방언을 확정했다. 1949년에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표준을 유지했지만 普通話|푸퉁화중국어(common speech)로 이름을 바꿨다.[20] 현재 국어는 중국 본토와 대만 모두에서 교육, 언론 및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21]3. 표준어
현대 표준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보통화''', 중화민국의 '''국어'''와 '''대만 국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등의 '''화어'''가 있다.[18]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광둥어가 주요 구어로 사용되며 교육, 언론, 공식적인 발언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광둥 이민자들의 문화적 영향과 식민 시대 정책의 영향 때문이다.
4. 분류
언어학자들은 모든 종류의 중국어를 시노티베트어족의 일부로 분류하는데, 여기에는 버마어, 티베트어 및 히말라야와 동남아시아 고원에서 사용되는 다른 많은 언어들이 포함된다.[73] 이러한 관계는 19세기 초에 처음 제안되었고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어학자인 제리 노먼(Jerry Norman)은 서로 알아듣지 못하는 중국어 방언이 수백 가지에 이른다고 추산했다.[44] 이러한 방언들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언어적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 일반적으로 남중국 산악 지대는 화북 평원보다 언어적 다양성이 더 크다.
중국어 방언은 통상적으로 중국어 중세음의 유성 파열음의 발전 차이를 기준으로 7개의 방언 집단으로 분류된다.
《중국어 방언 지도》(1987)에 사용된 리롱의 분류는 세 가지 그룹을 더 구분한다.
- 이전에는 관화에 포함되었던 진어
- 이전에는 우어에 포함되었던 회주어
- 이전에는 월어에 포함되었던 평화어
해남도의 단주 방언, 서쪽 호남성에서 사용되는 와샤화, 북쪽 광동성에서 사용되는 소주 토화 등 일부 방언은 분류되지 않았다.
중국어 방언 분류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언어학자와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화자들이 공통의 국가 정체성과 공통의 문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모든 구어 방언을 하나의 언어로 간주한다. 반면 다른 이들은 표준 중국어, 우어 등 중국어의 주요 방언들을 "방언"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상호 이해할 수 없는 정도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중국어 주요 방언 명칭은 方言|팡옌|지역 방언중국어이며, 이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변종은 地點方言|디뎬 팡옌|지역 방언중국어이라고 한다.
언어와 방언의 차이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토포렉트(topolect)'',[3] ''구어'', ''지역 언어'', ''언어 변종'' 등 다른 용어들이 제안되었다.
4. 1. 역사적 분류
중국어는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상고 한어: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의 한어
- 중고 한어: 남북조와 당나라의 한어
- 중세 한어: 오대십국과 송나라의 한어
- 근대 한어: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한어
- 현대 한어: 현대 중화권에서 쓰는 한어
4. 2. 계통학적 분류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버마어, 티베트어 및 히말라야와 동남아시아 고원에서 사용되는 다른 많은 언어들과 같은 어족이다.[73] 이러한 관계는 19세기 초에 처음 제안되었고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시노티베트어족의 재구성은 인도유럽어족이나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같은 어족의 재구성보다 훨씬 덜 발전되어 있다. 어려움에는 언어의 다양성, 많은 언어에서 굴절의 부족, 그리고 언어 접촉의 영향 등이 포함된다. 또한, 많은 소수 언어는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 지역에서 사용되며, 종종 민감한 국경 지역이기도 하다. 원시 시노티베트어의 확실한 재구성이 없이는 이 어족의 상위 구조가 불분명하게 남아 있다. 중국어와 티베트-버마어파로의 최상위 분기는 종종 가정되지만, 설득력 있게 증명되지는 않았다.4. 3. 방언
중국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중국어 제(諸)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차이가 크지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 기반 위에서는 상호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다.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관화(북방화): 8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중국어 최대 방언이다. 만다린어라고도 한다.
- * 베이징관화 —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싱가포르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표준 중국어의 모태가 되는 방언.[73]
- * 진어(): 산시성(山西省)에서 사용된다. 보통 관화의 하위 방언으로 보나, 개별 방언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 * 동북말()
- 푸젠어():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5000만 명이 사용한다.
- * 민둥어(閩東語): 푸젠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 * 푸셴어(): 푸젠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仙遊縣)에서 사용된다.
- * 민중어(閩中語): 푸젠성 중앙
- * 민베이어(): 푸젠성 북부
- * 민난어(閩南語): 푸젠성 남부, 광둥성(廣東省) 동부, 하이난성(海南省) 및 중화민국
- ** 차오저우어()
- ** 하이난어()
- ** 장저우어(漳州語)
- ** 타이완어(臺灣語): 중화민국
- ** 샤먼어(廈門語): 샤먼시
- ** 취안저우어()
- 간어(): 장시성(江西省)에서 2000만 명이 사용한다.
- 학가어(客家語): 광둥성 북부와 여러 나라의 화교 집단에서 3500만 명이 사용한다.
- 샹어(): 후난성(湖南省)에서 3500만 명이 사용한다.
- 우어(): 중국 동부에서 9000만 명이 사용한다.
- 웨어(광둥어 등)():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 중국인들이 8000만 명이 사용한다.
- 둥간어(東干語):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이 사용한다.
- 핑어(平語) - 좡족
- 후이어() - 우어 혹은 간어의 일부로, 안후이성(安徽省)에서 사용된다.
제리 노먼(Jerry Norman)은 서로 알아듣지 못하는 중국어 방언이 수백 가지에 이른다고 추산했다.[44] 이러한 방언들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언어적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지만, 변화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남중국 산악 지대는 화북 평원보다 언어적 다양성이 더 크다.
중국어 방언은 통상적으로 중국어 중세음의 유성 파열음의 발전 차이를 기준으로 7개의 방언 집단으로 분류된다.
- 표준 중국어를 포함한 북경어, 사천 방언, 그리고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되는 둥간어 등의 관화
- 상하이 방언, 소주 방언, 문주 방언 등을 포함한 우어
- 감어
- 향어
- 복건 방언, 해남어, 호건어, 조주 방언 등을 포함한 민어
- 객가어
- 광둥어와 태산어를 포함한 월어
《중국어 방언 지도》(1987)에 사용된 리롱의 분류는 세 가지 그룹을 더 구분한다.
- 이전에는 관화에 포함되었던 진어
- 이전에는 우어에 포함되었던 회주어
- 이전에는 월어에 포함되었던 평화어
해남도의 단주 방언, 서쪽 호남성에서 사용되는 와샤화, 북쪽 광동성에서 사용되는 소주 토화 등 일부 방언은 분류되지 않았다.
5. 음운
중국어는 성조 언어이며, 음절의 높낮이 차이로 의미를 구별한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다.[74]
성조 | 한자 | 뜻 | 병음 | 높낮이 윤곽 |
---|---|---|---|---|
1 | 妈|mā중국어 | 어머니 | mā중국어 | 높고, 평평한 |
2 | 麻|má중국어 | 삼 | má중국어 | 높고, 상승하는 |
3 | 马|mǎ중국어 | 말 | mǎ중국어 | 낮고,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
4 | 骂|mà중국어 | 꾸짖다 | mà중국어 | 높고, 내려가는 |
경성 | 吗|ma중국어 | 의문문 | ma중국어 | 다양함 |
표준 중국어의 음절은 성조 변화를 포함해 약 1,000개 정도이다.
5. 1. 음절 구조
중국어의 음절은 “C(자음) + M(반모음) + V(모음) + C/V”의 형태를 취한다. 이 중, 앞의 자음을 “성모”라고 부르고, 그 뒤의 부분을 “운모”라고 부른다. 그리고 음절 전체에 “성조”라고 불리는 음고나 음고의 상승, 하강이 존재한다. 운모는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M(반모음)을 “개음(운두)”, V(모음)을 “주모음(운복)”, 가장 뒤의 “C/V”를 “운미”라고 부른다. 몇몇 한자를 예로 들어, 그 발음을 이 방법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표 안의 굵은 글씨는 병음, [x]는 IPA 표기이다.)예시 | 성모 | 운모 | 성조 | ||
---|---|---|---|---|---|
개음 | 주모음 | 운미 | |||
年중국어 | n [nipa] | i [iipa] | a [ɛipa] | n [nipa] | 2성 (양평성) |
贵중국어 | g [kipa] | u [uipa] | (e) [əipa] | i [iipa] | 4성 (거성) |
家중국어 | j [tɕipa] | i [iipa] | a [aipa] | 1성 (음평성) | |
好중국어 | h [xipa] | a [aipa] | o [uipa] | 3성 (상성) | |
妈중국어 | m [mipa] | a [aipa] | 1성 (음평성) | ||
买중국어 | m [mipa] | a [aipa] | i [iipa] | 3성 (상성) | |
元중국어 | yu [ɥipa] | a [ɛipa] | n [nipa] | 2성 (양평성) | |
爱중국어 | a [aipa] | i [iipa] | 4성 (거성) | ||
我중국어 | w [wipa] | o [oipa] | 3성 (상성) | ||
阿중국어 | a [aipa] | 1성 (음평성) | |||
鱼중국어 | yu [yipa] | 2성 (양평성) |
음절은 형태론 및 문자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음운론적으로 고정된 규칙에 따라 구성된다.
5. 2. 성모
음절의 첫소리를 성모(聲母)라고 한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21개의 성모가 있다. 중국어의 음절은 “C(자음) + M(반모음) + V(모음) + C/V”의 형태를 취하며, 이 중 앞의 자음을 “성모”라고 부른다.현대 표준 중국어는 유기(有氣) 음성모와 무기(無氣) 음성모의 대립이 주요 대립축을 이룬다.[49] 현대 표준 중국어를 포함하여 현대 중국어의 대부분 지역 변종에서 유성(有聲) 폐쇄음(阻害音)은 성조(聲調)의 변화 등을 수반하면서 무성 무기(無聲無氣) 성모 또는 무성 유기(無聲有氣) 성모로 분화되어 있으며, 음운 체계상으로는 유성 폐쇄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단, 특정 조건하에서 무기 성모가 유성음으로 조음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남방 지역 변종에는 유성 폐쇄음 성모를 가진 것도 있다.[50]
설측음(そり舌音声母) 성모가 존재하는 것도 현대 표준 중국어와 북경어, 북방 지역 변종의 큰 특징이다. 남방 지역 변종에는 설측음을 가지지 않는 것도 많다.[51]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n과 l을 구별하는 것도 특징적이다. 남방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관화(官話) 지역에서도 서남 지역 등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52]
5. 3. 운모
중국어 음절에서, 초성 자음을 제외한 부분을 운모(韻母)라고 한다. 운모는 반모음(介音), 주모음(主母音), 운미(韻尾)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반모음에 /i-/, /u-/, /y-/의 세 종류가 있으며, 운미에는 /-i/, /-u/, /-n/, /-ŋ/의 네 종류가 있다. 그러나 주모음은 음운론적으로 정리하면 /-a-/, /-ə-/의 두 종류밖에 없으며, 반모음과 운미를 조건으로 하여 음성적 실현 방식이 달라진다.[53] [54]-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상승 이중 모음, 하강 이중 모음, 삼중 모음이 있으며, 운모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13개가 있다. 그러나 한어계 지역 변종에서는 이중 모음이나 삼중 모음을 가지지 않는 방언도 있다. [58]
-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비음 운미가 두 계열 존재한다. 한어계 지역 변종에서는 이 중 하나만 가지는 것, 또는 운미가 소멸하여 비모음화된 것(비화운)도 있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는 비음 운미 /-m/을 갖는 지역 변종도 있다. [59]
-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조구호( '''yu-'''[ɥ])가 있다. 지역 변종에 따라서는 조구호를 갖지 않는 것도 있다. [60]
6. 문법
중국어는 어형 변화(활용)가 일어나지 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이다.[69] 기본 어순은 SVO형이다.[70] 현대 중국어에서는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지만,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了|le중국어(완료), 过/過|guò중국어(경험), 着/著|zhe중국어(진행)을 붙이는 것으로 나타낸다.
'''예'''
- 我昨天'''去'''了电影院。|wǒ zuótiān '''qù'''le diànyǐngyuàn.중국어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며,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예'''
1인칭 단수 인칭대명사 我|wǒ중국어
- 我去過中國。|wǒ qùguò Zhōngguó.중국어 (주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我媽媽讓'''我'''學習。|wǒ māma ràng '''wǒ''' xuéxí.중국어 (목적격: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중국어는 종종 '단음절어'로 묘사되지만, 이는 부분적으로만 정확하다. 현대 표준 중국어의 대부분의 명사, 형용사 및 동사는 이음절이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음운 침식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음운 변화로 인해 언어의 음절 목록에서 가능한 음절 수가 꾸준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성조를 포함하여 약 1,200개의 음절만 있지만, 베트남어(여전히 대부분 단음절어)에는 약 5,000개, 영어에는 8,000개 이상의 음절이 있다.
대부분의 현대 변종은 다음절 복합어를 통해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음운 붕괴는 동음이의어의 수 증가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Langenscheidt Pocket Chinese Dictionary''[4]에는 표준 중국어에서 shí중국어로 일반적으로 발음되는 여섯 개의 단어가 나열되어 있다.
문자 | 의미 | 중국어 중세어 | 광둥어 |
---|---|---|---|
十|shí중국어 | '열' | dzyipltc | sap6yue |
实/實|shí중국어 | '실제의' | zyitltc | sat6yue |
识/識|shí중국어 | '인식하다' | syikltc dzyeklmc | sik1yue |
石|shí중국어 | '돌' | dzyiltc | sek6yue |
时/時|shí중국어 | '시간' | dzyiltc | si4yue |
食|shí중국어 | '음식' | zyikltc | sik6yue |
현대 구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단어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면 엄청난 모호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 모호성이 적은 이음절 복합어로 대체되었다. 첫 번째 단어인 十|shí중국어만 일반적으로 구어 표준 중국어에서 단음절 형태로 나타난다. 나머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음절 형태로 사용된다.
단어 | 병음 | 의미 |
---|---|---|
实际/實際|shíjì중국어 | shíjìcmn | '실제 연결' |
认识/認識|rènshi중국어 | rènshicmn | '인식하다-알다' |
石头/石頭|shítou중국어 | shítoucmn | '돌-머리' |
时间/時間|shíjiān중국어 | shíjiāncmn | '시간-간격' |
食物|shíwù중국어 | shíwùcmn | '식품' |
각각의 경우, 동음이의어는 일반적으로 거의 유사어 또는 일종의 일반적인 단어(예: '머리', '것')를 추가하여 모호성을 해소했다.
현대 중국어의 모든 변종은 분석적 언어이다. 즉, 문장 내에서 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 굴절 형태론(단어 형태의 변화)이 아니라 구문론(어순과 문장 구조)에 의존한다. 중국어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사용하며, 동아시아의 많은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문장을 형성하는 데 주제-술어 구문을 자주 사용한다. 중국어는 또한 광범위한 분류사 및 측량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7. 표기
중국어는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한자는 표의 문자이다. 한자는 표음 문자인 로마자나 한글과는 달리 의미를 중심으로 표현되므로, 발음을 나타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외국 고유명사는 소리가 비슷한 한자를 빌려 쓰거나(가차(假借)[75]), 뜻과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기도 한다. (예: 컴퓨터를 電腦(전뇌)로 번역)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사용하던 초기 인도 번역가들은 중국어의 소리와 발음을 외국어로 기술하려 했다. 15세기 이후, 예수회와 서구 선교사들은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바탕으로 여러 로마자 표기/쓰기 체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로마자 기반 체계 중 일부는 현대에도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11]
후난성의 일부 여성들은 한자에서 유래한 음절 문자인 여서(女書)를 사용하여 지역 중국어 방언을 기록한다. 둥간어는 키릴 문자로 쓰이며, 이전에는 아랍 문자로 쓰였다. 둥간족은 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에 거주하는 무슬림이며, 중국의 후이족도 이 언어를 사용한다.
한자는 중국 고유의 문자로, 음절 문자이자 표의 문자이다. 한자는 방대하고 복잡하며, 불규칙한 읽기 방식과 이체자 및 유의어가 많아 배우기 어렵고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따라 문자를 간략화하거나 라틴 문자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져 간체자와 병음 표기가 개발되었다.[62] 실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베트남에서는 한자를 폐지했다.[63]
중국어에는 간체자와 번체자 두 가지가 있으며, 이들은 같은 한자라도 표기가 다르다. 번체자와 간체자는 각 문화권의 정치적·기술적 배경으로 인해 컴퓨터 처리에서 호환되지 않는 별개의 문자 코드·문자 집합 체계(간체자권=GB 2312, 번체자권=Big5)를 사용해 왔다. 간체자에는 여러 번체자를 한 글자로 정리한 형태가 있어, 간체자에서 번체자로 변환할 때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7. 1. 한자의 종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체자를 사용하고, 중화민국(타이완), 홍콩, 마카오에서는 번체자(정체자)를 사용한다.[65]현재 한자에는 두 가지 체계가 있다. 홍콩, 타이완, 마카오 및 많은 해외 중국어 사용 지역에서 사용되는 번체자는 대체로 후한 말기에 거슬러 올라가는 전래된 한자 형태를 따르며 명나라 시대에 표준화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PRC)이 1954년에 대중적 문해력 향상을 위해 도입한 간체자는 특히 일반적인 초서 약자를 채택하고 발음이 비슷한 한자들을 가장 획수가 적은 한자로 통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대부분의 복잡한 전통 글자를 더 적은 획으로 단순화했다. 중국계 주민이 많은 싱가포르는 자체 간체자를 만들고 나서 중국 간체자를 완전히 채택함으로써 간체자를 공식적으로 채택한 두 번째 국가가 되었다. 말레이시아의 젊은 중국계에게도 사실상 표준이 되었다.
인터넷은 이러한 각 체계를 읽는 연습을 제공하며, 대부분의 중국어 사용자는 경험과 추측을 통해 대안 체계를 읽을 수 있거나 적어도 읽을 수 있다.[12]
중국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1956년에 획수가 적고 읽기와 구성에도 통일성을 높인 간체자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64] 간체자는 중국 전역에서 사용되는 것이 중앙 정부에 의해 의무화되었고, 싱가포르도 중국어(화어) 표기에 채택했다.
7. 2.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는 언어를 라틴 문자로 전사하는 과정이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고유한 음운 표기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어 방언에 대해서는 많은 로마자 표기 체계가 존재한다. 중국어가 라틴 문자로 기록된 최초의 사례는 16세기 서구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알려져 있다.[11]오늘날 표준 중국어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는 1956년 중국이 도입하고 싱가포르와 대만이 나중에 채택한 한어 병음이다. 한어 병음은 현재 아메리카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전역의 학교와 대학에서 표준 중국어 구어를 가르치는 데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중국인 부모들은 또한 자녀들에게 새로운 단어의 발음과 성조를 가르치는 데 한어 병음을 사용한다. 중국어를 가르치는 교과서에서는 한어 병음 로마자 표기가 종종 단어가 나타내는 사물의 그림 아래에, 중국어 한자와 함께 표시된다.
두 번째로 흔한 로마자 표기 체계인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토머스 웨이드가 1859년에 고안하고 허버트 자일스가 1892년에 수정한 것이다. 이 체계는 표준 중국어의 음운론을 영어 자음과 모음으로 근사치로 나타내므로—대체로 영국식 표기법—영어권 배경을 가진 중국어 초급 학습자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특히 1980년대 이전까지 미국에서 학술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09년까지 대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유럽 텍스트에서 사용될 때, 한어 병음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모두에서 성조 표기는 간소화를 위해 종종 생략된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광범위한 아포스트로피 사용 또한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서구 독자들은 (한어 병음)보다는 '베이징'에, (웨이드-자일스)보다는 에 훨씬 더 익숙할 것이다. 이러한 간소화는 실제로 동음이의어가 아닌 음절들을 동음이의어로 제시하며, 따라서 동음이의어의 수를 거의 4배로 과장한다.
다른 체계로는 궈예우 로마자, 프랑스의 EFEO, 예일 체계(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이 사용하기 위해 고안됨), 광둥어, 민난어, 하카어 및 기타 방언의 음운 요구 사항에 맞춘 별도의 체계가 있다.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에는 19세기 이후 웨이드-자일스 방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현재도 타이완의 도로 표지판, 영자 신문에 나오는 인명 등에 사용되고 있다.[66] 중화인민공화국은 1956년에 한어병음이라는 새로운 로마자 표기법을 제정했다.[68] 이 병음은 1977년에 국제연합 제3회 지명표준화회의에서 중국 지명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82년에는 ISO에서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병음은 외국인(특히 서구인)의 중국어 학습이나 초등학생의 한자 학습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2009년에는 타이완에서도 한어병음을 채택하고 있다.
7. 3. 기타 표기
주음부호는 대만에서 표준 발음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반음절 문자이다.[11] 둥간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11]8. 어휘
중국어는 종종 '단음절어'로 묘사되지만, 이는 부분적으로만 정확하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단어의 약 90%가 단일 문자로 구성되었고, 현대 중국어에서도 형태소는 단음절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명사, 형용사, 동사가 이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음운 변화로 인해 가능한 음절 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성조를 포함하여 약 1,200개의 음절만 있지만, 베트남어에는 약 5,000개, 영어에는 8,000개 이상의 음절이 있다.[4]
음운 붕괴는 동음이의어의 수 증가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 'shí'로 발음되는 단어는 여섯 개가 넘는다.
문자 | 의미 | 중국어 중세어 | 광둥어 | |||||||||||||||||||||||||||||||||||||||||||||||||||||||||||||||||||||||||||||||||||||||||
---|---|---|---|---|---|---|---|---|---|---|---|---|---|---|---|---|---|---|---|---|---|---|---|---|---|---|---|---|---|---|---|---|---|---|---|---|---|---|---|---|---|---|---|---|---|---|---|---|---|---|---|---|---|---|---|---|---|---|---|---|---|---|---|---|---|---|---|---|---|---|---|---|---|---|---|---|---|---|---|---|---|---|---|---|---|---|---|---|---|---|---|---|
十|shí중국어 | 열 | {{lang|ltc|dzyip|} | } || sap6|yue
단어 | 병음 | 의미 |
---|---|---|
實際|shíjì중국어 | 실제 연결 | |
認識|rènshi중국어 | 인식하다-알다 | |
石頭|shítou중국어 | 돌-머리 | |
時間|shíjiān중국어 | 시간-간격 | |
食物|shíwù중국어 | 식품 |
각 경우에 동음이의어는 유사어나 일반적인 단어(예: '머리', '것')를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하지만, 복합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모호성을 해소하는 음절이 생략되고, 결과 단어는 여전히 이음절로 남는다. 예를 들어, '石|shí중국어'는 '石頭|shítou|돌중국어'가 아닌 '石膏|shígāo|석고중국어', '石灰|shíhuī|석회중국어' 등의 복합어에 나타난다.
많은 단음절 형태소(字|zì중국어)는 독립적인 단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 둘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된 다음절 복합어(詞|cí중국어)를 형성한다.
중국어 단어는 단음절이 많아 성조로 구별해도 동음이의어가 많다. 따라서 특히 북방어에서는 “눈”→“眼睛중국어”, “귀”→“耳朵중국어”와 같이 복음절화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71]
비슷한 의미의 단음절 형태소를 나열하여 2음절 단어(숙어)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동사 “学/學중국어”(xué, 배우다)는 동음이의어가 많기 때문에, “学习/學習중국어”(xuéxí)와 같이 2음절 단어로 만들어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중국어에서 단음절 형태소를 나열하여 2음절 단어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72]
형식 | 설명 | 예 |
---|---|---|
등위형(1) | 두 형태소의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것. | 道路|dàolù|도로중국어, 衣服|yīfu|의복중국어, 学习/學習|xuéxí|학습중국어, 孤独/孤獨|gūdú|고독중국어 |
등위형(2) | 두 형태소의 의미가 상반되는 것. | 开关/開關|kāiguān|개폐중국어, 天地|tiāndì|천지중국어, 轻重/輕重|qīngzhòng|경중중국어 |
등위형(3) | 두 형태소의 의미가 서로 관련이 있는 것. | 手足|shǒuzú|수족중국어, 江山|jiāngshān|강산중국어, 口舌|kǒushé|구설중국어 |
수식·제한형 | 의미상, 앞 형태소가 뒤 형태소를 수식·제한하는 것. | 黑板|hēibǎn|흑판중국어, 象牙|xiàngyá|상아중국어, 高级/高級|gāojí|고급중국어 |
주술형 | 의미상, 앞 형태소가 주어이고, 뒤 형태소가 술어인 것. | 年轻/年輕|niánqīng|연경중국어, 地震|dìzhèn|지진중국어, 国营/國營|guóyíng|국영중국어 |
동목형 | 의미상, 앞 형태소가 어떤 술어이고, 뒤 형태소가 그 목적어인 것. | 关心/關心|guānxīn|관심중국어, 卫生/衛生|wèishēng|위생중국어, 刺眼|cìyǎn|자안중국어 |
보충형 | 의미상, 앞 형태소가 술어 동사이고, 뒤 형태소가 그 동작·행위의 결과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 | 改善|gǎishàn|개선중국어, 接近|jiējìn|접근중국어, 超出|chāochū|초출중국어 |
겹침형 | 동일한 형태소를 겹친 것. | 姐姐|jiějie|저저중국어, 爸爸|bàba|파파중국어, 娃娃|wáwa|왜왜중국어 |
부가형 | 어간이 되는 형태소에 접사를 부가한 것. |
8. 1. 차용어
중국어는 다른 문화권에서 유입된 많은 차용어들을 받아들였다. 현대 신조어는 주로 의역(캘크), 음역(소리), 또는 음과 뜻의 결합의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중국어로 번역된다.초기 인도유럽어 차용어로는 蜜|mì|꿀중국어, 獅|shī|사자중국어 등이 있다.[7] 고대 중국어 시대에 실크로드를 따라 葡萄|pútáo|포도중국어, 石榴|shíliú|석류중국어, 獅子|shīzi|사자중국어 등의 단어가 차용되었다. 佛|Fó|불중국어, 菩薩|Púsà|보살중국어 등은 불교 경전에서 차용되었다. 胡同|후통중국어과 같은 단어는 북쪽 유목민들로부터 유래되었다.
기술 용어 및 국제 과학 어휘와 같이 수입된 개념을 나타내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중국어 형태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전화'는 처음에는 음역으로 차용되었으나, 나중에 电话|diànhuà|전기 음성중국어이 보편화되었다.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电视|diànshì|전기 시각중국어 | '텔레비전' |
电脑|diànnǎo|전기 두뇌중국어 | '컴퓨터' |
手机|shǒujī|손 기계중국어 | '휴대전화' |
蓝牙|lányá|푸른 이빨중국어 | '블루투스' |
网志|wǎngzhì|인터넷 일지중국어 | '블로그' |
汉堡包|hànbǎobāo|함부르크 빵중국어처럼 음역과 번역 방법 사이의 타협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비디오 게임 캐릭터 '마리오'는 马利奥|Mǎlì'ào중국어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중국어 형태소를 통합하면서 원래 발음과 비슷하게 번역한 예이다.
외래어, 주로 고유 명사는 발음에 따라 음역하여 중국어로 계속 유입된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은 以色列|Yǐsèliè중국어이 되고, '파리'는 巴黎|Bālí중국어가 된다. 沙发|shāfā|소파중국어, 马达|mǎdá|모터중국어 등은 일반적인 단어로 남았다.
서구 개념을 나타내는 서구 외래어는 20세기 이후 음역을 통해 중국어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어에서 '발레'는 芭蕾|bālěi중국어로, '샴페인'은 香檳|xiāngbīn중국어로 차용되었고; 咖啡|kāfēi중국어는 이탈리아어 caffèit '커피'에서 차용되었다. 高尔夫|gāo'ěrfū|골프중국어, 沙发|shāfā|소파중국어와 같이 많은 영어 단어가 상하이 방언으로 차용되었다. 迪斯科|dísīkē|디스코중국어, 可乐|kělè|콜라중국어 등도 차용되었다. 현대 구어체 광둥어에는 卡通|j=kaa1 tung1|l=만화중국어, 的士|j=dik1 si6,2|l=택시중국어와 같이 영어에서 온 고유한 차용어가 있다. 粉丝|fěnsī|팬중국어, 黑客|hēikè|해커중국어와 같은 영어 음역도 만들어졌다.
영어 알파벳으로 철자된 단어인 字母词|zìmǔcí|알파벳 단어중국어도 출현하였다.
三G手机중국어 '3세대 휴대전화' | ← | 三|sān|세중국어 | + | G; '세대' | + | 手机|shǒujī|휴대전화중국어 |
IT界중국어 'IT 업계' | ← | IT | + | 界|jiè|업계중국어 |
CIF价중국어 '본선인도가격' | ← | CIF | + | 价|jià|가격중국어 |
e家庭중국어 'e-홈' | ← | e; '전자' | + | 家庭|jiātíng|가정중국어 |
W时代중국어 '무선 시대' | ← | W; '무선' | + | 时代|shídài|시대중국어 |
TV族중국어 'TV 시청자들' | ← | TV; '텔레비전' | + | 族|TV zú|무리중국어 |
20세기 이후, 일본에서 유럽의 개념과 발명품을 로 재구성한 한자어가 현대 중국어로 재차용되었다. 예를 들어, 经济|jīngjì중국어는 일본어 에서 '경제'라는 축소된 정의로 재수입되었다. 이러한 용어들은 원어민 중국어 단어와 거의 구분할 수 없다.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는 현대 용어를 설명하는 언어 용어의 집합체를 공유한다.
9. 영향
漢語|한어중국어는 역사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주변 국가로 전파되었다.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한국어와 일본어는 한자어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했으며, 이는 현대에도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ummary by language size
https://www.ethnolog[...]
2018-10-03
[2]
뉴스
自由廣場》Taigi與台語
https://talk.ltn.com[...]
2019-08-10
[3]
논문
[4]
서적
Langenscheidt Pocket Chinese Dictionary
https://archive.org/[...]
Langenscheidt KG
[5]
웹사이트
Languages - Real Chinese - Mini-guides - Chinese characters
https://www.bbc.co.u[...]
[6]
서적
Webster's Digital Chinese Dictionary – Advanced Reference Edition
2009-07-01
[7]
백과사전
Chines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4-04-12
[8]
웹사이트
Requirements for Chinese Text Layout
https://www.w3.org/T[...]
[9]
웹사이트
粵普之爭 為你中文解毒
https://stedu.sthead[...]
[10]
뉴스
粵語:中國最強方言是如何煉成的_私家歷史_澎湃新聞
http://m.thepaper.cn[...]
[11]
웹사이트
白話字滄桑
http://newmsgr.pct.o[...]
[12]
웹사이트
全球華文網-華文世界,數位之最
http://edu.ocac.gov.[...]
[13]
뉴스
How hard is it to learn Chinese?
http://news.bbc.co.u[...]
2006-01-17
[14]
뉴스
汉语水平考试中心:2005年外国考生总人数近12万
http://www.gov.cn/jr[...]
Xinhua News Agency
2006-01-16
[15]
뉴스
Chi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becoming popular in Mexico
http://news.xinhuane[...]
2011-06-27
[16]
웹사이트
The world’s languages, in 7 maps and charts
https://www.washingt[...]
2015-04-23
[17]
웹사이트
加盟国と公用語
https://www.unic.or.[...]
[18]
웹사이트
東外大言語モジュール|中国語
http://www.coelang.t[...]
[19]
웹사이트
北京語は標準語ではありません|中国留学ゼミナール 大学選びの秘訣
https://liuxue998.co[...]
[20]
서적
漢文の話
筑摩書房
[21]
서적
中国語学概論 改訂版
駿河台出版社
2004-04-10
[22]
논문
[23]
서적
中国語学概論 改訂版
駿河台出版社
2004-04-10
[24]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25]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26]
논문
Yuan baihua teshu yuyan xianxiang zai yanjiu
The Commercial Press
[27]
서적
中国語史通考
白帝社
[28]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29]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30]
서적
近代日中語彙交流史 新漢語の生成と受容 改訂新版
笠間書院
2008-08-20
[31]
서적
近代日中語彙交流史 新漢語の生成と受容 改訂新版
笠間書院
2008-08-20
[32]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3]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4]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35]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6]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7]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8]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39]
서적
近くて遠い中国語
中央公論新社
2007-01-25
[40]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41]
웹사이트
標準中国語、普及率約8割に 極度貧困地域では約6割
https://www.afpbb.co[...]
AFP
2021-05-10
[42]
웹사이트
中国、29種類の文字 普通話の普及率が73%に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7-09-15
[43]
서적
近くて遠い中国語
中央公論新社
2007-01-25
[44]
웹사이트
中国の字幕事情 {{!}} 中国語初心者のための中国留学ガイド
https://chinaryugaku[...]
2020-09-07
[45]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46]
웹페이지
[47]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48]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49]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50]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51]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52]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53]
웹페이지
[54]
웹페이지
[55]
웹페이지
[56]
웹페이지
[57]
웹페이지
[58]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59]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60]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61]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62]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63]
서적
近くて遠い中国語
中央公論新社
2007-01-25
[64]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65]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66]
서적
近くて遠い中国語
中央公論新社
2007-01-25
[67]
서적
近くて遠い中国語
中央公論新社
2007-01-25
[68]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69]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70]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71]
서적
中国語の歴史 ことばの変遷・探究の歩み
大修館書店
2011-07-20
[72]
서적
現代中国語総説
三省堂
2004-06-10
[73]
간행물
대한민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 영역 중국어
[74]
참고자료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松岡、2001
[75]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