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구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구개음은 혀의 뒤쪽이 입천장의 연구개에 닿아 소리 내는 자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IPA)를 통해 다양한 발음을 표기한다. 한국어에는 연구개 비음, 무성/유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찰음 등이 존재하며, 다른 언어에서도 다양한 연구개음이 나타난다. 일부 언어에서는 연구개음이 존재하지 않거나, 구개음화 현상을 겪기도 한다. 또한, 혀와 연구개의 위치가 반대인 연구개후두 자음도 존재하며, IPA 확장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연구개음
조음 위치
위치연구개음
설명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사이에서 나는 소리
발음
국제 음성 기호/k/
/kʷ/
/k͡p/
/w/
예시aŋːai
kaɣo
ɡake
xaˤʕʼ
keɣa
paʕaˤ
kapaɣao
언어별 발음
영어/k/
/ɡ/
한국어/ㄱ/

2.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연구개음은 조음 위치(연구개)와 조음 방법(비음,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유·무성 여부에 따라 다양한 기호로 표기된다.



1. which과 witch의 발음이 다른, 영어의 스코틀랜드 방언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ㄱ'은 문맥에 따라 무성 연구개 파열음 또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로 소리 날 수 있다.

2. 1. 연구개 자음 목록

IPA설명예시
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연구개 비음버마어[1]ငှါး|응아my'빌리다'
유성 연구개 비음영어ring|링영어'반지'
무성 연구개 파열음영어skip|스킵영어'건너뛰다'
유성 연구개 파열음영어ago|어고영어'전에'
무성 연구개 파찰음한국어크다|크다한국어'크다'
유성 연구개 파찰음영어good|굿영어'좋은'
무성 연구개 마찰음독일어Bauch|바우흐de'배'
유성 연구개 마찰음그리스어γάτα|가타el'고양이'
유성 연구개 접근음아일랜드어naoi|나오이ga'아홉'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영어which|위치영어'어떤'
양순 연구개 접근음영어witch|위치영어'마녀'
()무성 연구개 측 파찰음아르히어[4]лӀон|론aqc'양떼'
유성 연구개 측 파찰음히우어q r̄ē|크뤼hiw'돌고래'
()무성 연구개 측 마찰음와기어[3]nòⱡ|노을wbb'물'
()유성 연구개 측 마찰음아르히어[4]наӏлъдут|나이루듯aqc'푸른'
유성 연구개 측 접근음와기어aʟaʟe|아을아을에wbb'현기증 나는'
유성 연구개 측 탄음멜파어colspan=3 |
연구개 방출음아르히어кӀан|크안aqc'바닥'
연구개 방출 파찰음하자어dlaggwa|들라과hts'토닥이다'
연구개 방출 마찰음틀링깃어xʼáaxʼ|xʼáaxʼtli--'사과'
()연구개 측 방출 파찰음산다웨어tl’ungu|틀웅구sad'하늘'
()무성 연구개 내파음우스판텍어[5]k'끈/실'
유성 연구개 내파음신드어ڳرو|g̈ərosd'무거운'
연구개 흡착음워로프어 (의성어)(연구개 흡착음 과 동소)'예'


3. 연구개음의 부재

일부 언어에서는 연구개음이 존재하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후두음 는 인간 언어에서 가장 흔한 자음이다.[6] 그러나 일부 언어에서는 연구개음 (또는 모든 설측 자음)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언어들은 하위 섹션인 "=== 연구개음이 없는 언어의 예 ==="에서 다룬다.

다른 언어들은 단순 연구개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태평양 북서부 해안 지역의 언어들은 역사적으로 *k가 구개음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 연구개음의 구개음화 ==="에서 설명한다.

무성 파열음 를 제외하면 다른 연구개음은 특별히 흔하지 않다. 영어에서 나타나는 와 조차도 그렇다. 유성 파열음이 없는 언어(예: 중국어 (표준어))에는 음소가 없을 수 있다. ''세계 언어 구조 아틀라스''에서 조사된 언어 중 를 가지고 있는 언어의 약 10%가 가 빠져 있다.[8]

몇몇 코이산어족 언어는 폐음 연구개 자음의 수나 분포가 제한적이다. (코이산어족 언어의 딸깍소리 자음은 연구개 또는 후두 부위에서 조음되지만, 그 폐쇄는 자음의 조음 위치가 아니라 기류 기전의 일부이다.)

3. 1. 연구개음이 없는 언어의 예

자반테어, 표준 타히티어(하지만 /tVt/는 [kVt]로 발음되며, 이 패턴은 니이하우 방언 하와이어에서도 발견됨)와 여러 스코어어파 언어(우퉁어, 바니모어의 두모 방언, 보베어)는 후두음(그리고 모든 설측 자음)이 없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언어들은 종지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비음 모음의 실현으로 분석되었다.[6] 피라하어에서는 남성이 유일한 후두음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태평양 북서부 해안 지역은 역사적인 *k가 구개음화되었다는 지역적 특징을 보인다. 이 소리들이 파열음으로 남아 있을 때, 아메리카주의 음성 표기법에서 로 전사되었는데, 아마도 IPA 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안 살리시어의 사니치 방언, 살리시-스포케인-칼리스펠어, 체마쿰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는 *k가 더 나아가 유성 마찰음 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역사적인 *k’는 이 되었고, 역사적인 *x는 이 되었다. *g 또는 *ŋ은 없었다. 북서 코카서스어족에서 역사적인 또한 구개음화되어 우비크어에서는 이 되고, 대부분의 체르케스어 방언에서는 이 되었다. 두 지역 모두에서 이들 언어는 순음화 후두 자음 계열(예: 태평양 북서부의 )뿐만 아니라 연구개 자음을 유지한다.[7]

중국어 (표준어)에는 음소가 없을 수 있다. ''세계 언어 구조 아틀라스''에서 조사된 언어 중 를 가지고 있는 언어의 약 10%가 가 빠져 있다.[8]

피라하어는 음성적으로 와 를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나 는 다른 자음처럼 작용하지 않으며, 이는 음소적으로 이며, 피라하어는 기저적으로 후두음으로 만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와이어는 와 를 구별하지 않는다. 는 발화의 시작 부분에서는 경향이 있고, 앞에서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곳에서는 특히 니이하우와 카우아이 방언에서 변동이 심하다. 하와이어에는 이 없고, 는 와 사이에서 변동하기 때문에, 하와이어가 음소적인 후두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명확하게 의미가 없다.

몇몇 코이산어족 언어는 폐음 후두 자음의 수나 분포가 제한적이다.(그들의 딸깍소리 자음은 연구개 또는 후두 부위에서 조음되지만, 그 폐쇄는 자음의 조음 위치가 아니라 기류 기전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코이코이어는 중간이나 끝 위치에서 후두음을 허용하지 않지만, 주호안 방언에서는 처음 위치에서조차 후두음이 드물다.

3. 2. 연구개음의 구개음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태평양 북서부 해안 지역의 언어들에서는 역사적인 *k가 구개음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소리가 파열음으로 남아 있을 때는 아메리카주의 음성 표기법에서 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IPA 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안 살리시어의 사니치 방언, 살리시-스포케인-칼리스펠어, 체마쿰어 등에서는 *k가 더 나아가 유성 마찰음 가 되었다. 이와 비슷하게, 역사적인 *k’는 가 되었고, 역사적인 *x는 가 되었다. *g 또는 *ŋ은 없었다. 북서 코카서스어족에서도 역사적인 가 구개음화되어 우비크어에서는 이 되고, 대부분의 체르케스어 방언에서는 이 되었다. 두 지역 모두에서 이들 언어는 순음화 후두 자음 계열(예: 태평양 북서부의 )뿐만 아니라 연구개 자음을 유지한다.[7] 평범한 후두음을 유지하는 어족의 언어에서는 평범한 후두음과 순음화 후두음 모두가 '전후두음'이며, 아마도 후두음과의 구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일 것이다. 전후두음은 구개음화되기 쉽다.

4. 연구개후두 자음

정상적인 연구개 자음은 혀의 뒤쪽(혀몸)이 입천장의 연구개에 닿는 '후두 연구개' 자음이다.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발성 기관의 움직임이 반대인 '연구개 후두' 파열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즉, 혀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연구개가 내려와 혀에 닿는다. IPA 확장에서는 연구개 자음의 IPA 기호를 뒤집어 표기한다.

확장 IPA설명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larger; width:2em;" |무성 연구개 후두 파열음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larger; width:2em;" |유성 연구개 후두 파열음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larger; width:2em;" |연구개 후두 비음


참조

[1] 웹사이트 Episode 5: Centum, Satem and the Letter C {{!}} The History of English Podcast https://web.archive.[...] 2017-01-29
[2]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http://www.madore.or[...]
[3] 서적 Wahgi Phonology and Morphology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4] 웹사이트 The Archi Language Tutorial https://web.archive.[...] 2009-12-23
[5] 학술지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Uspanteko (Mayan) 2022-09
[6] 서적 Patterns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Common West Caucasian: the reconstruction of its phonological system and parts of its lexicon and morphology Research School CNWS: Leiden
[8] 웹사이트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Voicing and Gaps in Plosive Systems http://wals.info/fea[...]
[9] 문서 鼻濁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