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경구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경구개음은 혀와 입천장 사이에서 조음되는 자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ʨ],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ʥ]으로 표기된다. 이 소리들은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 동아시아 언어와 슬라브어, 북서캅카스어 등에서 나타난다. 치경구개 파열음, 비음, 설측음도 존재하며, 일부 언어에서는 경구개음과 음소적으로 대립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 비음
    경구개 비음은 혀 중간 부분을 경구개에 대고 발음하는 유성 비음으로, 공기 흐름을 막고 코와 입으로 공기를 내보내며, 스페인어 "ñ", 프랑스어 "gn", 스와힐리어 "ny" 등으로 표현된다.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치경구개음
개요
조음 위치치경-경구개
조음 방법자음
특징
조음 방법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이 가능하다.
혀의 위치혀끝이 치경 뒤쪽에서 경구개까지 닿는다.
발음 시 특징혀의 몸 부분이 올라간다.
예시 (국제음성기호)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ɕ (아오모리)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 (가지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t͡ɕ (오차)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d͡ʑ (가지마)
무성 치경구개 구개음화음t͡ɕ (티끌)
유성 치경구개 구개음화음d͡ʑ (반디)
치경구개 비음ɲ (に)
치경구개 설측 접근음ʎ (울

2. 국제음성기호 (IPA)

국제음성기호(IPA)는 인간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국제적인 표준 기호 체계이다. 치경구개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기호는 다음과 같다.



치경구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별도의 기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ɕ]와 [ʑ]는 본질적으로 [ʃʲ]와 [ʒʲ]와 동일하며, 전구개 마찰음 [ç˖]와 [ʝ˖]의 마찰음 대응이다.

치경구개 파열음 ([ȶ], [ȡ]), 비음 ([ȵ]) 및 유음 ([ȴ])에 대한 기호는 때때로 중국학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표준 IPA에서는 [t̠ʲ, d̠ʲ, n̠ʲ, l̠ʲ] 또는 [c̟, ɟ̟, ɲ̟, ʎ̟]로 표기할 수 있다.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과 비음에 대한 또 다른 표기는 [ɟ˖, ɲ˖]이지만, 이는 [ɟ̟, ɲ̟]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문자 ''ń''로 표시되는 폴란드어 비음은 구개음화된 설단 치조 비음이며, 따라서 구개음보다는 치경구개음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호주 원주민 언어의 "구개음" 자음 또한 발음 시 치경구개음에 더 가깝다.

2. 1. 마찰음

치경구개 마찰음은 공기가 좁은 틈 사이로 마찰하면서 나는 소리이다. 표준 중국어, 객가어, 오어와 같은 중국어 방언, 일본어,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동아시아 언어에서 흔히 사용된다.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 슬라브어족과 압하스어 같은 북서캅카스어족 언어에도 나타난다.


2. 1. 1.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

성대의 울림 없이 나는 소리이다. 표준 중국어의 'x' (小|xiǎo중국어, 작다), 한국어 'ㅅ'의 변이음([/s/~/ɕ/])으로 나타난다.[1]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에서 사용된다.[1]

언어철자IPA의미
중국어小 (xiǎo)[]작은

[1]

2. 1. 2.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성대가 울리면서 나는 소리이다. 폴란드어의 'zi' (zioło|지오워pl)는 '약초'라는 뜻이다.

2. 2. 파찰음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ʨ])과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ʥ])이 있다.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성대 울림 없이,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성대 울림을 동반하여 소리낸다.

2. 2. 1.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ʨ])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성대의 울림 없이 나는 소리이다.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ć' (kuća, 집) 등에 쓰인다.[1]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세르보크로아트어kuća / кућа

[1]

2. 2. 2.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ʥ])

성대가 울리면서 나는 소리이다. 일본어의 'j' (地震)에서 들을 수 있다.[4]

3. 치경구개 파열음, 비음, 설측음

치경구개 파열음(t̠ʲ/c̟, d̠ʲ/ɟ̟), 비음(n̠ʲ/ɲ̟), 설측음(l̠ʲ/ʎ̟)은 국제 음성 기호(IPA)에 공인된 기호는 없지만, 중국학 등에서 사용된다. 표준 IPA에서는 또는 로 표기할 수 있다.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과 비음에 대한 다른 표기는 이지만, 이는 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IPA 외IPA설명예시
언어철자IPA의미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 먼지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 반딧불이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비음너수어nyi앉다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설측음카탈루냐어ull



예를 들어, 문자 ''ń''로 표시되는 폴란드어 비음은 구개음화된 설단 치조 비음이며, 따라서 구개음보다는 치경구개음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호주 원주민 언어의 "구개음" 자음 또한 발음 시 치경구개음에 더 가깝다.

3. 1. 치경구개 파열음

혀로 경구개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치경구개 파열음(t̠ʲ/c̟, d̠ʲ/ɟ̟), 비음(n̠ʲ/ɲ̟), 설측음(l̠ʲ/ʎ̟)이 있다.

표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또는 로 표기할 수 있다.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과 비음에 대한 또 다른 표기는 이지만, 이는 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문자 ''ń''로 표시되는 폴란드어 비음은 구개음화된 설단 치조 비음이며, 따라서 구개음보다는 치경구개음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호주 원주민 언어의 "구개음" 자음 또한 발음 시 치경구개음에 더 가깝다.

IPA 외IPA설명예시
언어철자IPA의미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비음너수어nyi앉다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설측음카탈루냐어ull



3. 1. 1.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 ([t̠ʲ/c̟])

한국어의 'ㅌ'은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이다. '티끌'([t̠ʲʰiʔk͈ɯl])에서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IPA 외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t̠ʲʰiʔk͈ɯl]먼지



3. 1. 2.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 ([d̠ʲ/ɟ̟])

표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또는 로 표기할 수 있다. 는 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IPA 외IPA설명예시
언어철자IPA의미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반딧불이

[1]

3. 2. 치경구개 비음 ([n̠ʲ/ɲ̟])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너수어에서 ꑌ '''ny'''i (n̠ʲi˧)가 이 소리를 나타낸다.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치경구개 비음너수어nyi앉다


3. 3. 치경구개 설측음 ([l̠ʲ/ʎ̟])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카탈루냐어의 'll' (ull|울ca, )에서 이 소리가 난다.

IPA 외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align="center"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설측음카탈루냐어ull


4. 경구개음과의 구별

일부 언어에서는 치경구개음과 경구개음이 음소적으로 대립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겔레뇨 치키타노어에서는 음소 /ȶ/가 음소 /c̠/와 대조를 이룬다.[4]

또한, 중국학에서 ɲ 대신 ȵ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대조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는 터키어 [ɲ]가 아닌 주요 변이음을 강조하거나, 그 기원이 치경에 있거나 다른 연구개 자음과 함께 진화하여 치경구개음이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여기서 ɲ는 연구개 자음에서 진화한 후경구개음을 위해 남겨둔다. 그러나 ȵ가 일부 메이셴 하카어에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용 구분이 모호해졌다. 반면 ȶ는 헝양의 특정 중국어 방언에서 음소를 나타내는 정확한 용법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카어나 산둥성 안팎의 특정 표준 중국어에는 적용된 적이 없다.

4. 1. 아일랜드어

보수적인 아일랜드어에서는 음절 종성(또는 모음 사이) 위치에서 설단 치경구개 음소 /ṉʲ/(fortis slender coronal nasal, 예: ''inn'')는 등쪽 경구개 음소 /ɲ/(slender dorsal nasal, 예: ''ing'' 또는 ''-nc-'') 및 설단 구개음화 치경 음소 /nʲ/(lenis slender coronal nasal, 예: ''in'')와 대조를 이룬다.[5][6] 반면 먼스터 아일랜드어를 제외한 일반 아일랜드어는 치경구개 비음을 경구개 비음과만 대조를 이룬다. 두 경우 모두 경구개 자음은 연구개 자음의 구개음화로 작용하는 반면, 치경구개 자음은 치경 자음의 구개음화로 작용한다.

4. 2. 중국어 방언

일부 중국어 방언, 예를 들어 루촨 어의 𠊎话|루촨 객가어중국어에서는 치경구개 비음과 구개연구개 비음이 대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루촨 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조 쌍을 찾을 수 있다.[4]

루촨 어 대조 쌍
중세 중국어 (EMC)문자발음성조
newH尿niau거성
nraewX양평
nyewȵiau양평
ngewHɲ̠iau상성
nrjemniam음평
nyemXȵiam상성
ngjaemɲ̠iam양평
nyinȵin양평
ɲ̠in



표준 중국어와 같은 많은 중국어 방언에서도 중세 중국어 치경구개 비음과 3류 연구개 비음(구개음화 중설)을 대조하지만, 치경구개음이 경구개음과 다른 방식으로 대조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Q14457200|Pianlian중국어 하카어에서는 치경구개 비음이 전설 근접 모음 아래에서 연구개 비음과 미미하게 대조를 이루지만, 경구개 대조의 징후는 거의 없다.

M 쌍
중세 중국어 (EMC)문자발음성조
nrjepniap양성
ȵiap
nyipȵap
netŋiap


5. 사용 언어

치경구개 마찰음은 중국어, 객가어, 오어와 같은 중국어 방언, 일본어, 한국어, 티베트어, 미얀마어를 포함한 티베트-미얀마어족, 태국어, 라오어, 산어, 좡어를 포함한 타이어족 등 여러 동아시아 언어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폴란드어, 러시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와 같은 많은 슬라브어족과 압하스어, 우비흐어와 같은 북서캅카스어족에서도 나타난다.

국제 음성 기호에 포함된 치경구개 자음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style="font-size: 20px"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중국어小 (xiǎo)작은
style="font-size: 20px"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폴란드어zioło약초
style="font-size: 20px"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세르보크로아트어kuća / кућа
style="font-size: 20px"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일본어地震 (jishin)지진



중국학 분야에서는 치경구개 파열음 , 비음 , 유음 기호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표준 IPA에서는 또는 로 표기할 수 있다.

IPA 외 문자, IPA, 설명, 예시는 다음과 같다.

IPA 외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style="font-size: 20px" |style="font-size: 20px"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먼지
style="font-size: 20px" |style="font-size: 20px"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한국어반딧불이
style="font-size: 20px"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비음너수어nyi앉다
style="font-size: 20px" |style="font-size: 20px" |치경구개 설측음카탈루냐어ull


참조

[1] 서적 Phonetic Notation
[2] 문서 # SOWL의 정확한 유형을 알 수 없으므로 문서로 분류 SOWL
[3] 웹사이트 On the articulatory classification of (alveolo)palatal consonants https://www.research[...] 2021-10-26
[4] 학술지 Elementos de la morfofonología del chiquitano migueleño https://periodicos.s[...] 2020-11-17
[5] 서적 Gaeilge Chorca Dhuibhne Institiúid Teangeolaíochta Éireann
[6] 서적 The Irish of Erris, Co. Mayo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