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호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호는 1457년 최항의 차남으로 태어난 조선 시대 인물이다. 21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제감정, 사도시정, 사옹원정을 거쳤으나, 경상남도 고성에서 급병으로 25세에 사망했다. 성종과 이황 등은 그의 재능을 아쉬워했으며, 사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으로 증직되었다. 최영호는 최충의 고손자, 최윤문의 증손자, 최사유의 손자이며, 영의정 최항이 아버지이다. 장남은 이조판서 최수언, 차남은 영의정 최수진이다.
최영호는 1457년(세조 3년)부터 1481년(성종 12년)까지 살았던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자는 처인(處仁)이다. 최항의 차남으로 서울 서소문 안에서 태어났다.
2. 생애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 예문관 한림 등을 지냈으며, 21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경차관으로 경상남도 고성에 파견 근무 중 1481년 2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 퇴계 이황은 최영호의 죽음을 애석해했다고 전해진다. 사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지경연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 성균관사 판의금부사 세자이사에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둔전골에 있으며 묘비가 있다.
2. 1. 가계와 출생
최영호(崔永灝, 1457년(세조 3년) ~ 1481년(성종 12년) 10월)는 자(字)가 처인(處仁)이며, 1457년 (세조 3년)에 서울 서소문 안에서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 최항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 장사랑, 예문관 한림을 지냈다.
퇴계 이황은 "재능과 문장이 뛰어난 공이 큰 뜻을 펴지 못하여 사람마다 애통해하였다"라고 전한다.
2. 2. 관직 생활
최영호는 장사랑, 예문관 한림을 지냈다. 1477년(성종 8년) 21세 때 식년시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 1위(전체 11위)로 급제하였다. 특명으로 사제감정에 제수되고, 이어서 사도시정을 거쳐 사옹원정에 임명되었다. 경차관으로 경상남도 고성에 파견 근무 중 급병을 얻어 1481년(성종 12년) 10월 2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지경연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 성균관사 판의금부사 세자이사에 추증되었다.
2. 3. 사후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최영호의 사후 평가나 기념물 등에 대한 정보가 없어, 이 섹션은 내용을 추가할 수 없는 빈 상태이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고조부 최충(崔忠) 증 병조판서(贈 兵曹判書) 고조모 미상 증조부 최윤문(崔潤文) 증 의정부 우찬성(贈 右贊成) 증조모 함종 어씨(咸從 魚氏) 증 정경부인, 아버지 어연(魚淵), 할아버지 삼사좌윤 어백유(魚伯遊) 조부 최사유(崔士柔) 증 영의정(贈 領議政) 조모 해주 오씨(海州 吳氏) 증 정경부인, 아버지 판종부시사 오혁충(吳奕忠) 아버지 최항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영의정(領議政), 문충공(文忠公) 어머니 달성 서씨(達城 徐氏) 정경부인, 아버지 달천부원군 서미성(徐彌性), 외할아버지 양촌 권근(權近) 배우자 경주 정씨(慶州 鄭氏) 증 정경부인, 아버지 계림군 정효상(鄭孝常) 장남 최수언(崔秀彦) 자(字) 온(溫), 이조판서, 판서공파 파조(判書公派 派祖) 며느리 청송 심씨(靑松沈氏) 정부인, 아버지 심빈(沈賓), 슬하 1녀(사위: 양천 허씨 허정(許淨)) 며느리 안동 권씨(安東權氏) 정부인, 슬하 1남 최경립(崔卿立) 손자 최경립(崔卿立) 증 통정대부 형조참의(贈 通政大夫 刑曹參議) 손자며느리 김해 김씨(金海金氏) 증 숙부인, 아버지 판서 김묵(金黙) 증손 최응룡 증 이조판서, 선무원종공신, 충절공(忠節公) 증손며느리 경주 이씨(慶州李氏) 증 정부인 현손 최영수(崔永水) 증 승정원 도승지, 선무원종공신, 무열공(武烈公) 현손며느리 청송 심씨(靑松沈氏) 증 숙부인, 아버지 심철(沈哲) 차남 최수진(崔秀珍) 영천부원군(寧川府院君), 증 영의정 며느리 창령 성씨(昌寧成氏) 경부인, 허백당 성현(虛白堂 成俔)의 셋째 딸, 무후(無後) 며느리 전의 이씨(全義李氏) 정경부인, 이세신(李世臣)의 딸, 슬하 1남 1녀 손자 최흥원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 영의정, 청백리, 충정공(忠貞公) 손자며느리 안동 권씨(安東權氏) 정경부인, 아버지 이참(吏參) 권응창(權應昌) 현손 최산립(崔山立) 영안군(寧安君), 호조참판(戶曹參判) 현손며느리 청주 한씨(淸州韓氏) 증 정경부인, 아버지 제용정 한진(韓璡) 현손 최순립(崔順立) 증 가선대부 한성부좌윤(贈 嘉善大夫 漢城府左尹) 현손며느리 문화 유씨(文化柳氏) 증 정부인, 아버지 현감 유대춘(柳帶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