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주자학을 수학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했다. 그는 고려 시대 공문서 대부분을 저술하고, 조선 건국 후에는 왕권 강화를 위해 사병 폐지를 주장했으며,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도 기여했다. 저서로는 《양촌집》, 《입학도설》 등이 있으며, 《입학도설》은 한국 최초로 그림을 넣어 학문을 설명한 책으로 이황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2년 출생 - 얀 아펠만스
    얀 아펠만스는 특정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역사를 지닌 인물 또는 개념으로,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며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방향과 유사한 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 1352년 출생 - 제3대 마치 백작 에드먼드 모티머
    제3대 마치 백작 에드먼드 모티머는 잉글랜드 귀족이자 정치인으로 아일랜드 총독을 역임했으며, 왕실과의 혼맥 형성, 잉글랜드 원수 임명, 프랑스 외교 임무 수행, 존 오브 곤트와의 정치적 대립, 그리고 아일랜드에서 사망한 인물이다.
  • 1409년 사망 - 발루아의 이사벨
    발루아의 이사벨은 프랑스 공주로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와 정략 결혼했으나 폐위 후 프랑스로 돌아갔고, 샤를 도를레앙과 재혼했으나 19세의 나이로 출산 중 사망했다.
  • 1409년 사망 - 마르티누 1세
    마르티누 1세는 1390년부터 1409년까지 시칠리아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시칠리아 단독 통치를 시도하고 경제 발전과 문화 예술 진흥에 기여했으나, 귀족들의 반발과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아라곤 왕국의 왕위 계승 분쟁을 야기했다.
  • 고려의 학자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학자 - 원천석
    원천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말 진사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은둔하여 야사 6권을 저술했으며, 시조 2수가 전해지고, 강원도 원주에 묘역이 있다.
권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권근
원어명權近
출생일1352년
사망일1409년 2월 14일 (58세)
별명자는 가원(可遠)·사숙(思淑)
호(號)는 양촌(陽村)
시호는 문충(文忠).
종교유교(성리학)
자녀아들 권규(權侊)
부모아버지 권희(權僖)
친인척손자 권남(權擥)
관직 정보
직책고려의 예문관 응교
임기1374년 2월 24일~1374년 3월 24일
군주고려 공민왕
직책조선의 참찬문하부사
임기1399년 1월 29일~1399년 11월 26일
섭정정안공 이방원(대리청정)
군주조선 정종
기타 정보
경력문신, 정치인 학자
정당무소속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2. 생애

권근은 경상도 안동 출신으로, 이색정몽주의 문하에서 주자학을 공부했다. 1369년(공민왕 18년) 18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으나, 고려 말 정쟁에 휘말려 유배되기도 하였다.

1389년(창왕 2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공양왕 즉위 후 문서 문제로 유배되었다. 이성계의 구원으로 목숨을 건지고, 이색의 일파와 같이 청주옥(淸州獄)에 갇혔다가 수해로 용서받고 익주(益州)에서 《입학도설》을 저술하였다.

조선 개국 후, 1396년(태조 5) 명나라 태조가 조선의 찬표에 문제가 있다고 하여 정도전을 압송하라고 요구하자, 권근이 대신 명나라에 가서 해명하고 극진한 예우를 받고 귀국했다.[3] 귀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3]

정종 때 정당문학 겸 대사헌, 참찬문하부사를 역임하였고, 1401년(태종 1년)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으로 길창군에 봉해졌다. 1407년 문과 중시(重試)에 독권관이 되어 변계량 등 10인을 뽑았다. 조선 건국 후 의정부 참정사 등을 역임하며 사병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노력하였고,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도 공헌하였다.

2. 1. 고려 시대

이색정몽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1369년(공민왕 18년)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검열이 되었다. 1374년(공민왕 23) 성균관 직강, 예문관 응교에 임명되었으며,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 정도전 등과 함께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좌사의대부, 성균관 대사성, 지신사 등을 거쳐, 1388년(창왕 1년) 동지공거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1389년(창왕 2년) 첨서밀직사사에 이르러 문하평리 윤승순과 함께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는데, 공양왕 즉위 후 명나라에서 가져온 문서의 글이 원인이 되어 유배되었다. 이림(李琳, 창왕의 외조부)의 일파로 몰려 극형을 받을 뻔했으나 이성계의 구원으로 모면하고, 이색의 일파와 같이 청주옥(淸州獄)에 갇혔다가 수해로 용서받고 익주(益州)에 있으면서 《입학도설》을 저술하였다.

2. 1. 1. 초기 생애

경상도 안동 출신으로, 일찍이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그의 수제자인 정몽주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였다. 1368년(공민왕 17) 17세에 성균시에 합격하고, 1369년(공민왕 18년) 18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이 되었다. 1374년(공민왕 23) 성균관 직강(直講), 예문관 응교(應敎)에 임명되었으며,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 정도전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와 성균관대사성, 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1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2. 1. 2. 과거 급제

1368년(공민왕 17) 17세에 성균시에 합격하고, 1369년(공민왕 18년) 18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검열이 되었다. 1374년(공민왕 23) 정몽주, 정도전 등과 함께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며 성균관 직강(直講), 예문관 응교(應敎)에 임명되었다. 1388년(창왕 1년)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와 성균관대사성, 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2. 1. 3. 배원친명

권근은 경상도 안동 출신으로, 이색의 문하에서 주자학을 공부하였다. 18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으나, 고려 말 정쟁에 휘말려 유배되기도 하였다. 조선 건국 후에는 의정부 참정사 등을 역임하며 사병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기여하였고,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도 공헌하였다.

2. 1. 4. 명나라 파견

권근은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 공헌하였다.[1]

2. 1. 5. 유배

1389년(창왕 2년)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使)에 이르러, 문하평리 윤승순과 함께 사신으로 명나라를 다녀왔는데, 그때 공양왕이 즉위하자 명나라에서 가져온 문서의 글이 원인이 되어 유배되었다. 이림(李琳, 창왕의 외조부)의 일파로 몰려 극형을 받을 뻔했으나 이성계의 구원으로 모면하고, 이색의 일파와 같이 청주옥(淸州獄)에 갇혔다가 마침 수해로 용서를 받고 익주(益州)에 있으면서 《입학도설》을 저술하였다.

2. 2. 조선 시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권근은 새 왕조에 협력하였다.[3] 정종 때 정당문학 겸 대사헌, 참찬문하부사를 역임하였고, 1401년(태종 1년)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으로 길창군에 봉해졌다. 권근은 문학과 경학에 뛰어나 고려 시대 공문서 대부분을 저술하였다.

2. 2. 1. 조선 개국

조선이 개국되자, 1393년(태조 2) 태조의 명으로 정총(鄭摠)과 함께 정릉(定陵)의 비문을 짓고 중추원사가 되었다. 1396년 태조는 이천시 율면 산성리 정문말에 권근을 찾아와 임금님 바위에서 정치적인 담론을 하였고, 조선 왕조에 협조를 거부하던 권근은 절의를 굽혔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새 왕조에 협력하게 되었다.[3]

1396년(태조 5) 명나라 태조가 자기에게 바치는 글인 찬표를 잘못 썼다 하여 그 글을 쓴 정도전을 잡아들이라고 할 때, 정도전을 대신해서 자진하여 명나라에 가서 해명을 잘 하여 극진한 예우를 받고 돌아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었다.

2. 2. 2. 명나라와의 외교

1396년(태조 5) 명나라 태조가 조선에서 바치는 글인 찬표에 문제가 있다고 하여 그 글을 쓴 정도전을 압송하라고 요구하자, 권근은 정도전을 대신하여 자진해서 명나라에 갔다.[3] 권근은 명나라에서 이 문제를 잘 해명하고 극진한 예우를 받고 귀국했다.[3] 귀국 후, 권근은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3]

2. 2. 3. 왕권 강화 노력

조선 건국 후 의정부 참정사 등을 역임하며 사병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노력하였고,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도 공이 있었다.[1] 태종 즉위 시에는 「수전의 교서」를 작성하였다.[1]

2. 2. 4. 정종, 태종 시기

정종 때 정당문학 겸 대사헌, 참찬문하부사를 거쳐 다시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고, 1401년(태종 1년) 태종 이방원이 즉위하자 좌명공신의 호를 받고 길창군에 봉해졌다. 그 후 찬성사를 거쳐 대제학에 이르렀고, 검열로부터 재상에 이를 때까지 항상 문한(文翰)에 임명되었으며, 한 번도 다른 벼슬을 받은 일이 없었다. 1407년에는 최초의 문과 중시(重試)에 독권관이 되어 변계량 등 10인을 뽑았다. 태종 즉위 시에는 「수전의 교서」를 작성하였다.[1]

3. 평가

그가 지은 《입학도설》은 한국 최초로 그림을 넣어 학문을 설명한 책으로, 후에 이황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 그는 이색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경학(經學)과 문학을 잘 조화시켰다.[1]

4. 사상과 영향

그는 정몽주의 제자로, 한때 그가 가르쳤던 동생 권우길재가 그의 동문이었다.

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도전

이숭인

정몽주→권근

권우세종대왕

정인지

길재김숙자김종직정여창

김굉필조광조백인걸이이(율곡)

성수침성혼(우계)

→이연경

김안국

→김정국

주계부정 이심원

김일손

김전

남곤

경상도 안동 출신으로, 이색의 문하에서 주자학을 공부하고 18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으나, 고려 말 정쟁에 휘말려 유배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의정부 참정사 등을 역임하며 사병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힘썼고,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에도 공헌하였다. 문학과 경학에 뛰어나 경세의 문서와 사대의 표전 등 고려 시대 공문서 대부분을 저술하였다. 태종 즉위 시에는 「수전의 교서」를 작성하였다. 저서로는 「양촌집」, 「입학도설」, 「예기천견록」 등이 있다.

5. 저서

6. 가계

항목내용
증조부권부(1262년~1346년)
증조모시령 류씨 (류승(柳陞)의 딸)
할아버지권고(權皐)
아버지권희(權僖) (검교 정승)
동생권우 (세종의 스승)
부인이존오(李存吾, 1341년-1371년)의 딸
아들권제(1387년-1445년)
손자길창부원군 권람(1416년-1465년) (권제의 차남)
증손녀 & 증손녀사위남이(1441년-1468년)
손자권우(權愚)
아들권규(1393년-1421년)
자부경안공주(1393년-1415년)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딸)
손자권담(權聃)
증손녀권영금 (김문기의 아들 김현석의 처)
손자권총(1413년-1480년)
딸 & 사위이종선
외손자이계주
외증손자이개(1417년-1456년) (사육신 중 1인)
딸 & 사위서미성
외손자서거정(1420년-1488년) (조선 최초 양관 대제학)
외증손자서복경



권황후와 권중귀는 5촌이다.

7. 권근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
[2] 문서 양촌 권근의 조선왕조 입조와 그 공과에 대한 설명
[3] 간행물 양촌 권근의 조선왕조 입조와 그 공과 경주사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