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레윗수염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레윗수염박쥐는 몸길이가 7~9cm, 몸무게가 약 7g인 작은 박쥐이다. 칠레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밤에 곤충을 잡아먹고, 매일 동면에 들어가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며, 과거에는 산악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와 같은 종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0년 기재된 포유류 - 집박쥐
    집박쥐는 흑갈색에서 암회갈색 털을 가진 5~11g의 박쥐로, 도시 평야부에 분포하며 건물 틈새에 서식하고 모기 등을 먹으며 7월 초에 새끼를 낳고, 해충 구제에 도움을 주지만 오염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여 포획 및 살상이 금지된다.
  • 1840년 기재된 포유류 - 네팔회색랑구르
    네팔회색랑구르는 랑구르원숭이의 일종이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동물로 여겨지고 멸종 위기에 처해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과제이다.
  • 윗수염박쥐속 - 호지슨박쥐
    호지슨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과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윗수염박쥐속 -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박쥐로,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산지 숲, 아열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칠레윗수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칠레윗수염박쥐
상태관심 필요 (LC)
상태 출처IUCN 적색 목록
학명Myotis chiloensis
명명자(George Robert Waterhouse, 1840)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박쥐목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
칠레윗수염박쥐 (M. chiloensis)
분포
칠레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2. 특징

칠레윗수염박쥐는 작은 박쥐로, 꼬리 길이를 포함하여 전체 몸길이가 7~9cm에 불과하고 몸무게는 약 7g이다. 털 색은 북쪽의 연한 황토색 종부터 남쪽의 커피-갈색까지 위도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8][2]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5.8로 느리지만 비행할 때 기동성이 높다.[8] 꼬리는 꼬리 비막 안에 완전히 감춰진다.[8][2]

3. 분포 및 서식지

칠레윗수염박쥐는 남방큰귀갈색박쥐 외에도 세계의 다른 어떤 박쥐 종보다 더 남쪽에서 서식한다.[2] 이 종은 주로 칠레에서 남위 30°S 이남에 서식하지만, 아르헨티나 네우켄, 리오네그로, 그리고 추붓의 서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서식지의 가장 남쪽 끝에서는 티에라델푸에고 전역, 즉 칠레와 아르헨티나 섬 양쪽 부분에서 발견된다.[3] 이 넓은 지역에 걸쳐 북쪽의 반건조 칠레 마토랄에서 남쪽의 온대 및 상록수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2][4]

현재 인정되는 아종은 없지만, 서남아메리카 북부에서 서식하는 산악윗수염박쥐와 아타카마윗수염박쥐는 이전에는 ''M. chiloensis''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으며,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여겨진다.[2]

4. 생태 및 행동

칠레윗수염박쥐는 나무 구멍, 바위 틈새, 동굴, 다락방과 같은 인공 구조물에서 휴식을 취한다.[2] 해 질 녘에 나타나 약 3시간 동안 먹이를 먹고 집으로 돌아간다. 다른 대부분의 박쥐와 달리 밤에 다시 먹이를 먹지 않는다.[2] 작은 크기와 낮은 신진대사율 때문에, 박쥐는 종종 매일 동면 상태에 들어가며, 이 기간 동안 체온은 주변 온도보다 단 0.5°C 높게 떨어진다.[2]

이들은 날아다니는 파리를 잡아먹는데, 특히 모기류, 예를 들어 각다귀를 잡아먹는다.[5] 이들의 반향 정위 신호는 아래로 향하는 주파수 변조 부분과 비교적 일정한 주파수에서 좁은 대역 성분으로 구성된다. 탐색 신호는 89에서 39 kHz까지 내려가며, 약 95밀리초 간격으로 방출된다.[6] 암컷은 여름 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

5. 계통 분류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9]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윗수염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구대륙 분류군

|-

! 신대륙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신북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

|

{| class="wikitable"

|-

|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

|



|}

|}

|}

|}

|-

|

{| class="wikitable"

|-

! 구북구

분류군

|-

|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

! 신열대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고기잡이박쥐

|-

|

{| class="wikitable"

|-

|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

|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

|



|}

|}

|}

|}

|}

|}

|}

|}

|}

5. 1. 윗수염박쥐속 계통 분류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9]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윗수염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구대륙 분류군

|-

! 신대륙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신북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

|

{| class="wikitable"

|-

|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

|



|}

|}

|}

|}

|-

|

{| class="wikitable"

|-

! 구북구

분류군

|-

|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

! 신열대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고기잡이박쥐

|-

|

{| class="wikitable"

|-

|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

|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

|



|}

|}

|}

|}

|}

|}

|}

|}

|}

참조

[1] 간행물 "''Myotis chiloensis''" 2021-11-16
[2] 학술지 "''Myotis chiloens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2015-08
[3] 간행물 "''Myotis chiloensis''"
[4] 학술지 Bats of the Chilean temperate rainforest: patterns of landscape use in a mosaic of native forests, eucalyptus plantations and grasslands within a South American biodiversity hotspot 2014-07
[5] 학술지 The Southernmost Bats 1967-08
[6] 학술지 Acoustic identification of four species of bats (Order Chiroptera) in central Chile 2013-01
[7] 저널 "''Myotis chiloensis''" http://www.iucnredli[...] IUCN 2016-06-18
[8] 저널 "''Myotis chiloens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2015-08
[9] 문서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http://dx.doi.org/10[...]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