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시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성시장은 대구광역시에서 서문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으로, 1946년 북문시장으로 개설되었다. 6.25 전쟁 이후 대구역 주변으로 피난민이 모이면서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1974년 칠성시장으로 공식 등록되었다. 1970~80년대 재개발을 통해 번창했으나, 1990년대 유통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해 쇠퇴하였다. 칠성시장 완구골목은 학령인구 감소와 유통구조 변화로 쇠퇴하고 있으며, 개 식용 종식법 발표에 따라 개고기 골목 역시 사라질 전망이다. 현재는 칠성시장, 경명시장 등 여러 시장을 포함하는 대규모 종합시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이 위치해 있다.
칠성시장은 1946년 '''북문시장'''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처음에는 평범한 시장이었지만, 해방 후 해외 동포들이 돌아오고 6·25 전쟁으로 피난민들이 대구역 주변에 모여들면서 시장이 커지기 시작했다. 무태조야동, 검단동, 동촌동 등 근처 지역 농민들이 채소와 과일을 팔기 시작하면서 칠성시장은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1974년 7월 30일에는 정식으로 상설 시장으로 등록되면서 현재의 '''칠성시장'''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4]
서문시장에 이어 대구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서문시장과 함께 대구의 2대 장터로 꼽힌다. 한때는 동촌 및 하양 등지에서 사과와 농산물이 많이 모여 '''동천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
2. 역사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재개발 사업으로 칠성시장,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이 각각 독립된 상가 건물로 지어지면서 크게 번성했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대형 마트 등이 등장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7년에는 칠성시장 상권 회복을 위해 '칠성종합시장 발전위원회'가 만들어졌고, 2006년에는 정부가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2015년과 2016년에는 ICT 전통시장 육성 사업과 상인대학 지원사업도 진행되었다.[4]
최근에는 칠성시장 완구골목이 학생 수 감소와 유통 구조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5] 개 식용 종식법이 발표되면서 칠성시장 내 개고기 골목도 사라질 예정이다. 한때 칠성시장은 모란가축시장, 구포가축시장과 함께 ‘국내 3대 개시장’으로 불렸지만, 다른 두 곳은 이미 문을 닫았고 칠성시장도 곧 문을 닫을 것으로 보인다.[6][7]
2. 1. 형성
칠성시장은 1946년 '''북문시장'''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당시에는 평범한 시장이었으나, 해방 이후 해외 동포의 유입과 6·25 전쟁으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대구역 주변에 임시 수용되며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무태조야동, 검단동, 동촌동 같은 근처 지역의 농민들이 채소와 과일을 가져와 팔기 시작했고, 인근에 있던 칠성시장의 규모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1974년 7월 30일에 공식적으로 개설되어 상설 시장으로 등록되었고, 현재의 '''칠성시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4]
2. 2. 발전
칠성시장은 1946년 '''북문시장'''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당시에는 평범한 시장이었으나, 해방 이후 해외 동포의 유입과 6·25 전쟁으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대구역 주변에 임시 수용되며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무태조야동, 검단동, 동촌동 같은 근처 지역의 농민들이 채소와 과일을 가져와 팔기 시작했고, 인근에 있던 칠성시장의 규모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1974년 7월 30일에 공식적으로 개설되어 상설 시장으로 등록되었고, 현재의 '''칠성시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4]
1970년대~1980년대에는 재개발사업을 통해 칠성시장,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으로 나뉘어 독립 상가들이 건설되며 번창했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 유통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해 쇠퇴하기 시작했다.
칠성시장의 상권 회복을 위해 1997년 '칠성종합시장 발전위원회'가 조직되었고, 2006년에는 정부가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2015년과 2016년에 ICT 전통시장 육성 사업과 상인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4]
칠성시장 완구골목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와 유통구조 변화로 활기를 잃고 쇠퇴하고 있다.[5] 또한, 개 식용 종식법 발표에 따라 칠성시장 내 개고기 골목 역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때 칠성시장은 경기 성남 모란가축시장과 부산 구포가축시장과 함께 ‘'''국내 3대 개시장’'''으로 불렸으나, 나머지 2곳은 폐쇄되었고, 칠성시장 또한 곧 사라질 전망이다.[6][7]
2. 3. 변화
1974년 7월 30일, 칠성시장은 상설 시장으로 등록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4]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재개발 사업을 통해 칠성시장,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이 각각 독립된 상가 건물로 건설되면서 번성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유통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7년, 칠성시장 상권 회복을 위해 '칠성종합시장 발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2006년에는 정부가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후 2015년과 2016년에는 ICT 전통시장 육성 사업과 상인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4]
최근 칠성시장 완구골목은 학령 인구 감소와 유통 구조 변화로 인해 활기를 잃고 쇠퇴하고 있다.[5] 개 식용 종식법 발표에 따라 칠성시장 내 개고기 골목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때 칠성시장은 경기 성남 모란가축시장과 부산 구포가축시장과 함께 ‘국내 3대 개시장’으로 불렸지만, 다른 두 곳은 이미 폐쇄되었고 칠성시장도 곧 폐쇄될 전망이다.[6][7]
2. 4. 최근 동향
1970년대~1980년대 칠성시장,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 등으로 나뉘어 재개발 사업을 통해 독립 상가들이 건설되며 번창했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 유통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7년 '칠성종합시장 발전위원회'가 조직되어 칠성시장의 상권 회복을 위해 노력했고, 2006년에는 정부가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2015년과 2016년에는 ICT 전통시장 육성 사업과 상인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4]
최근 학령인구 감소와 유통구조 변화로 칠성시장 완구골목이 쇠퇴하고 있다.[5] 개 식용 종식법 발표에 따라 칠성시장 내 개고기 골목 역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때 칠성시장은 경기 성남 모란가축시장과 부산 구포가축시장과 함께 ‘국내 3대 개시장’으로 불렸으나, 두 곳은 폐쇄되었고 칠성시장 또한 곧 사라질 전망이다.[6][7]
3. 특징
저녁이면 시장 내에서 해산물을 파는 포장마차가 영업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2019년 11월 2일 칠성교와 경대교 사이 신천 둔치 공영주차장에 '별별상상 칠성 야시장'이라는 이름으로 야시장이 문을 열었다.[3]
대구역과 가깝고, 주변에는 대구의 번화가인 동성로와 2·28기념중앙공원, 경북대학교, 대구 오페라하우스가 있다. 인근 시장으로는 교동과 대구약령시가 있다.
3. 1. 다양한 시장
칠성시장한국어은 시장 면적 3423m2, 대지면적 5423m2, 건축면적 11475m2, 점포 수 총 308개, 노점 수 84개의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며, 서문시장에 이어 규모가 2번째로 큰 시장이다. 대구광역시에서 서문시장과 함께 2대 장터를 이루고 있다.
1946년 시장공영화 정책에 따라 '''북문시장'''이라는 이름으로 상설시장이 개설되었고, 현재는 칠성시장, 경명시장, 대성시장, 칠성꽃시장,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 북문시장, 능금시장, 가구시장 등 여러 개의 시장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종합시장이 되었다.[1] 9개 시장을 모두 합쳐 흔히 칠성시장이라고 부른다. 시장 구내에 대구청과시장, 삼성시장 등의 작은 시장들도 있으며, 시장 끝에는 칠성전자상가가 있다. 서문시장과는 달리 상가형 시장이며, 돼지골목과 닭골목 등 맛집 골목도 시장 구내에 많이 있다.[2]
3. 2. 먹거리
서문시장과는 달리 상가형 시장이며, 돼지골목과 닭골목 등 맛집 골목도 시장 구내에 많이 있다.[2]
저녁이면 시장 내에 해산물을 판매하는 포장마차가 영업해 문전성시를 이룬다.
4. 교통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이 시장 바로 옆에 있으며, 시장 앞에는 대구의 남북을 잇는 신천대로와 칠성남로가 있어 접근이 편리하다. 승용차 이용시 약 300여 대를 주차할 수 있는 신천둔지 주차장이 시장 내부에 있다.
4. 1. 대중교통
칠성시장역 정류장에서 808, 동구2, 동구3, 북구2, 북구3, 팔공1, 가창2번 버스를 이용한 후 하차하면 도보로 약 3분 거리에 있다. 또는 칠성시장 정류장에서 101, 156, 306, 401, 403, 524, 618, 650, 708, 980, 가창2, 급행1번 버스를 이용하면 하차 후 도보로 약 3분 소요된다. 신성교 정류장에서는 101, 동구2, 북구3번 버스를 이용한 후 하차하면 도보로 약 3분 거리에 위치한다.[8]4. 2. 주차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 1번 또는 4번 출구로 나가면 칠성시장이 나온다.[1] 시장 바로 옆에는 대구의 남북을 잇는 도로인 신천대로와 칠성남로가 있어 접근이 편리하다.[1] 승용차 이용시 약 300여 대를 주차할 수 있는 신천둔지 주차장이 시장 내부에 있다.[1]5. 주변 명소
대구역과 가깝고, 인근 관광지로는 대구의 번화가인 동성로와 2·28기념중앙공원, 경북대학교, 대구 오페라하우스가 있으며, 인근 시장으로는 교동, 대구약령시가 있다.
참조
[1]
웹인용
대한민국 구석구석 - 칠성시장
https://korean.visit[...]
[2]
웹인용
대구광역시북구 문화체육관광 - 칠성시장
https://www.buk.daeg[...]
2024-10-10
[3]
뉴스
칠성야시장, 서문야시장 아성 잇나…개장 첫날 '인산인해'
https://news.naver.c[...]
2020-04-11
[4]
웹인용
칠성시장 - 대구역사문화대전
https://www.grandcul[...]
2024-10-10
[5]
웹인용
신학기 대목? 한산한 칠성시장 완구골목
http://se-cu.com/nds[...]
2024-10-10
[6]
웹인용
"[포토뉴스] 말복에도 한산한 대구 칠성 개시장 보신탕거리"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4-10-10
[7]
웹인용
점심에도 빈 보신탕 골목··· "장사 접어야지 우짜겠노"
https://www.dkilbo.c[...]
2024-10-10
[8]
웹인용
칠성야시장 - 교통안내
https://7starnm.com/[...]
칠성야시장
2024-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