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경북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경북대학교는 1946년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을 통합하여 설립된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1951년 국립 경북대학교로 통합 개편되었으며, 현재 대구와 상주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인문, 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부속 시설로는 도서관, 박물관, 병원 등을 갖추고 있다. 거점국립대학교로서, 여러 대학 평가에서 국내 최상위권, 세계 상위권의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시의 학교 - 상주대학교
    1921년 상주공립농잠학교로 개교한 상주대학교는 상주농잠고등학교, 상주농잠전문학교를 거쳐 1999년 상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나, 2008년 경북대학교와 통합되어 국립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로 개편되었고 2012년 상주대학교로서의 존속기간이 만료되었다.
  • 상주시의 학교 - 상희학교
    상희학교는 현재 학교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 경북대학교 - 대구사범학교 (1923년)
    대구사범학교는 일제강점기에 설립되어 해방 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교원 양성 과정을 운영하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으로 통합된 교육기관이다.
  • 경북대학교 - 이효상
    이효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시인, 교육자로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교육계와 언론계에서 활동하다 4·19 혁명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3선 개헌 강행 처리와 유신 체제 지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대구 북구의 학교 - 대구과학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는 1960년 대구간호학교로 개교하여 '참교육으로 미래를 밝히리라'는 건학 이념 아래 간호, 자연과학, 인문사회, 공학, 예·체능 계열의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는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소재의 전문대학이다.
  • 대구 북구의 학교 -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는 1977년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문대학 대표 브랜드 사업 지원대학 및 세계적 수준 전문대학 육성사업 등에 선정되었고, 높은 취업률과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경북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경북대학교 휘장
휘장
정식 명칭경북대학교
로마자 표기Gyeongbuk Daehakgyo
한자 표기慶北大學校
별칭경대 (경대; 慶大)
표어진리, 긍지, 봉사
영어 표어Truth, Pride, Service
건학 이념진리·긍지·봉사
설립일1946년
개교일1951년
학교 종류국립 종합대학
국가대한민국
위치대구캠퍼스: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상주캠퍼스: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559
캠퍼스 규모2개 캠퍼스, 17개 대학, 14개 대학원
교색KNU Red
웹사이트https://www.knu.ac.kr, https://en.knu.ac.kr
조직
총장허영우
19대 총장원화홍
교수진전임교원 1,233명 (2023년)
행정 직원1,161명 (2023년)
학생
전체 학생 수33,568명 (2023년 10월 기준)
학부생27,295명
대학원생6,273명
전체 학생 수 (2023년 4월 1일 기준)35,945명
학부생 (2023년 4월 1일 기준)28,665명
대학원생 (2023년 4월 1일 기준)6,830명
캠퍼스 정보
메인 캠퍼스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의과대학 및 경북대학교 병원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
치과대학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
상주 캠퍼스경상북도 상주시

2. 설립 경위

8·15 광복 이후, 우리 민족은 일제로부터 빼앗긴 것들을 되찾고 민주공화국을 세우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이 시급한 과제였으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1945년 9월, 미군정청 학무국은 한국 교육위원회를 설치하여 민주교육의 기초를 다졌다. 이 위원회는 교육 공백을 메우고 일제가 남긴 학문적 후진성을 극복하며, 민족교육을 부활시켜 국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썼다. 1946년 3월에는 새로운 교육제도를 채택하여 의무교육과 남녀공학 제도의 원칙을 도입하는 등 교육 민주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1946년 9월, 대구에서는 현대적 국립대학 설립이 추진되었다. 대구농업전문학교가 국립대구농과대학으로, 대구사범학교가 국립대구사범대학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이는 전년도에 승격된 대구의과대학과 함께 경북대학교 역사의 첫걸음이 되었다.

그러나 이들 대학은 10.1 사건(1946)과 6·25 전쟁 등으로 인해 학업 중단과 교사 이전 등 여러 시련을 겪었다. 교육 이념 부재, 교수 부족, 교육 여건 미비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이들 대학은 민족문화 재건과 인재 양성이라는 중대한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경북도민들의 고등교육 열망은 종합대학교 건설 운동으로 이어졌다. 1945년 11월 종합대학교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1946년 8월 군정청 학무국의 '국립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 발표를 계기로 경북에서도 관민 합동으로 설립 기금을 마련하여 종합대학교 설립 인가를 신청했다. 그러나 유지재단 불충분을 이유로 1947년 3월 기각되었다.

두 번째 종합대학교 설립 운동은 6·25 전쟁 중인 1951년 4월부터 시작되었다. 전쟁으로 대학 시설이 파괴되자 정부는 각 도에 국립종합대학교 설립 계획을 세우고 설립 기금 조달을 권장했다. 이에 경북에서는 기존 국·사립 단과대학이 합동하여 '국립종합대구대학교건설위원회'를 조직하고, 전 도민이 참여하는 설립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고병간(의대), 손계술(사대), 김인식(농대, 후에 이의배) 등 3개 대학장과 국립종합대학교 건설위원회(위원장은 경북도지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경북도 당국은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학생들까지 설립 기금 모금에 참여했다. 미8군 당국도 교사 신축 자재 등을 지원하며 대학 설립을 도왔다. 이러한 노력 끝에 1951년 10월 6일, 마침내 '국립경북대학교'가 설립 인가를 받았다.

3. 연혁

경북대학교는 1953년 대학원을 설치하고, 1956년 첫 석사과정 졸업생을 배출했다.[4] 1958년에는 신학진이 대구의학전문학교 1회 졸업생으로 최초의 박사 학위(의학박사)를 받았다.[5]

1962년 대구사범학교를 병설교육대학으로 개편하고 부속도서관을 설립했으나, 1963년 대구교육대학으로 분리, 독립했다. 1969년 교육대학원을 신설하고, 1970년에는 공과대학, 1972년에는 경상대학을 신설하며 종합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춰나갔다.

1973년1977년, 1979년에는 전자공학과(現 전자공학부), 금속공학과(現 신소재공학부), 원예학과(現 원예과학과), 농화학과(現 응용생명과학부 생명환경화학 전공) 등이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어 집중적인 지원을 받았다.

1979년 치과대학, 1980년 행정대학원, 1981년 경영대학원과 보건대학원, 1982년 예술대학, 1985년 산업대학원을 차례로 신설하며 교육 및 연구 분야를 확장했다. 1988년에는 농과대학 수의학과가 수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90년대에도 1992년 농업개발대학원과 생활과학대학, 1996년 국제대학원을 신설하고, 1994년 전자공학과(現 전자공학부)가 전자·전기 분야 국책 공과대학, 1996년 농업생명과학대학이 특성화 학과로 지정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2000년 정책정보대학원과 자율전공부, 2002년 농과대학을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개칭, 2003년 수사과학대학원, 2005년 간호대학을 설치하고, 치과대학을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개편하였다. 2005년에는 전자전기컴퓨터학부가 공과대학에서 독립하여 단과대학급으로 승격되었다.[6]

2006년 의과대학을 의학전문대학원으로 개편하고,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8] 2010년 IT대학과 글로벌인재학부,[9] 2011년 약학대학과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 전공을 신설했다.

2015년 치의학전문대학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을 다시 치과대학과 의과대학으로 개편하고, 2021년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12] 2022년 식물방역대학원을 설치했다.[13] 2024년에는 첨단기술융합대학을 설치하고,[14] 글로컬대학 30 사업 대학에 선정되었다.[15]

2016년 10월 제18대 총장으로 김상동 박사가,[10] 2020년 10월 제19대 총장으로 홍원화 박사가 취임하여[11]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경북대학교

1946년 8·15 광복 이후, 미군정 아래에서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이 국립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 해를 경북대학교의 개교년도로 삼는다.[1] 경북대학교는 이 세 대학을 모체로 하여 1951년 10월에 국립 종합대학교로 통합, 개편되었다.[2] 이때 문리과대학과 법정대학이 신설되었다. 1952년 5월, 경북대학교는 첫 입학식을 거행하며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3]

경북대학교의 설립은 일제강점기에 억눌렸던 민족 교육의 열망과 광복 후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결과였다. 특히 1946년 10·1 사건과 6.25 전쟁 등 어려운 시기에도 불구하고, 경북대학교는 지역 사회의 전폭적인 지원과 구성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경북대학교의 모체가 된 각 대학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대학설립 연도 및 변천 과정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



2008년 3월에는 상주대학교를 통합하여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로 개편하였다.[7]

3. 2. 상주대학교 (현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1921년 4월 25일 '''상주공립농잠학교'''로 개교하였다. 2008년 3월 경북대학교와 통합하여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로 개편되었다.[7]

3. 3. 대구사범대학

3. 4. 대구의과대학

1923년 9월 대구의학강습소를 설치하였다.(사립학교)[1]

1924년 4월 대구의학강습소는 사립에서 도립으로 승격되었다.[1]

1926년 4월 '''경북의학강습소'''로 개칭하였다.[1]

1929년 5월 '''경북도립 대구의학강습소'''로 개칭하였다.[1]

1933년 3월 '''대구의학전문학교'''로 승격 및 대구의학전문학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1]

1945년 9월 '''대구의학전문학교'''로 재개교하였다.(교장 고병간 박사)[1]

1945년 10월 대구의학전문학교를 '''대구의과대학'''으로 승격하였다.[1]

1947년 5월 '''도립 대구의과대학'''으로 변경하였다.[1]

1949년 9월 도립 대구의과대학을 6년제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하였다. (2년과정 의예과 설치)[1]

1951년 10월 국립 경북대학교(종합대학) 출범으로 '''경북대 의과대학'''으로 편입되었다.[1]

1952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1]

3. 5. 대구농과대학

1944년 4월 대구 산격동에 '''관립 대구농업전문학교'''가 개교하였다. 1946년 9월 '''국립 대구농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2년제 대학)

4. 총장

경북대학교 총장은 경북대학교의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 총장임용추천위원회에서 선정하고 대한민국 교육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용하며, 임기는 4년이다.

2021년 11월 20일 기준으로 홍원화 교수가 경북대학교 총장이다.[1] 그는 경북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북대학교는 학술부총장, 대외부총장, 연구산학협력부총장 등 세 명의 부총장을 두고 있다. 또한 학술지원, 학생지원, 기획재정, 연구산학협력, 국제협력, 입학, 대외협력, 정보기술, 교육혁신, 대학원정책 등 다양한 행정 분야를 감독하는 10명 정도의 학장이 있으며,[1] 총무처는 인사, 예산 및 시설 관리를 담당한다.[1]

5. 캠퍼스

경북대학교는 대구광역시경상북도에 걸쳐 네 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6. 학부

경북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학부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아래는 경북대학교의 단과대학 목록이다.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자연과학대학
  • 경제통상대학
  • 공과대학
  • IT대학
  • 농업생명과학대학
  • 음악대학
  • 사범대학
  • 의과대학
  • 치과대학
  • 수의과대학
  • 인간생활환경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첨단융합기술대학
  • 생태환경대학
  • 과학기술대학
  • 행정대학원
  • 미정전공

6. 1. 대구캠퍼스

교시탑


본관측면


본관


1946년 설립된 대구캠퍼스는 주요 공과대학과 이과대학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 북구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산격 캠퍼스'''

대학학과 및 전공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IT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예술대학
사범대학
수의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약학대학
자율전공부
행정학부
융합학부



'''동인 캠퍼스'''

대학학과 및 전공
의과대학
간호대학



'''삼덕 캠퍼스'''

대학학과 및 전공
치과대학


6. 2. 동인캠퍼스

대구 중심부에 위치한 이 캠퍼스는 의과대학, 간호대학을 갖추고 있다. 의과대학은 최근 100주년을 맞이했으며,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경북대학교병원을 포함하고 있다.

  • 의과대학
  • * 의예과(2년제)
  • * 의학과(4년제)
  • 간호대학
  • * 간호학과

6. 3. 삼덕캠퍼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이 삼덕캠퍼스에 있다.

  • 치과대학
  • * 치의예과(2년제)
  • * 치의학과(4년제)

6. 4. 상주캠퍼스

경북대 상주캠퍼스 정문


경북대 상주캠퍼스 전경


경북대 상주캠퍼스 전경


경북대 상주캠퍼스 전경


경북대 상주캠퍼스 가을


2010년 경북대학교와 통합된 상주캠퍼스는 2개의 단과대학, 19개 학과 및 다양한 대학원을 포함하고 있다. 목장과 동물병원과 같은 독특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생태환경대학(生態環境大学)



과학기술대학(科学技術大学)


7. 대학원

경북대학교는 전문적인 학술 연구와 실무 능력 함양을 위해 다양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원 종류


7. 1. 대구캠퍼스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

일반대학원전문대학원특수대학원


7. 2. 상주캠퍼스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상주캠퍼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주캠퍼스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이전 출력과 동일)

8. 부속/지원 시설

경북대학교는 다양한 부속 및 지원 시설을 갖추고 학생들의 학습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1952년 개관한 경북대학교 도서관은 대구캠퍼스의 중앙도서관, 의학·치의학·법학 분관, 상주캠퍼스 분관을 포함하여 총 320만 권 이상의 장서와 48,000여 종의 전자저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보물 제271호 「대불정수능엄경」을 비롯한 귀중한 고문헌도 소장하고 있다. 1996년에는 학술정보시스템 'KUDOS'를 구축하였고, 2016년에는 웹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전자자료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국내외 대학 도서관 및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역 주민에게도 시설을 개방하여 지역사회의 문화 및 학술정보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에는 중앙도서관 앞에 건축학부의 프로젝트로 전통 정자인 금란정이 건설되었다.[16]

  • '''국제교류원'''


2001년 설립된 국제교류원은 외국 대학과의 교환학생 파견, 해외 인턴십, 복수학위 프로그램, 글로벌 서머 스쿨 등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도록 돕고 있다.

  • '''기초교육원'''


2007년 설립된 기초교육원은 학생들이 폭넓은 지식과 종합적인 사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기초 교양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 '''인권센터'''


인권센터는 경북대학교 구성원들의 인권 보호와 권익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인권 침해 사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인권 친화적인 대학 문화를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 '''글로벌플라자'''


2012년 3월에 준공된 글로벌플라자는 교육 지원 시설, 컨벤션 시설, 전시 및 홍보 시설 등을 갖춘 현대적인 건물이다. 건설 초기에는 등록금 인상 및 학생권 침해를 이유로 반대 여론도 있었으나, 2009년 5월 찬반 투표 결과 반대가 다수로 나타났다.[18]

  • '''정보전산원'''


1976년 설립된 정보전산원은 대학의 학사 및 행정 통합 정보 시스템, 정보 시스템 서버 및 정보 통신망 운영, 정보 보안 관리, 홈페이지 및 포털 시스템 관리 등 다양한 IT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영재교육원 (과학, 정보, 영어)'''


경북대학교는 과학, 정보, 영어 분야의 영재들을 조기에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각각 1998년, 2003년, 2007년에 과학영재교육원, 정보영재교육원, 영어영재교육원을 설립하였다.

  • '''체육진흥센터'''


1972년 설립된 체육진흥센터는 교직원과 학생들의 체육 활동을 지원하며, 운동장, 헬스장, 다목적 구장, 테니스장, 제2체육관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상주캠퍼스에도 체육관, 골프연습장, 테니스장, 대운동장 등을 갖춘 체육진흥센터 분원이 있다.

  • '''보건진료소'''


1961년 설립된 보건진료소는 진료실, 정신건강과, 치과진료실, 처치실, 안정실, 주사실, 영상촬영실, 보건교육실, 금연·비만클리닉 등을 갖추고 있으며, 상주캠퍼스에는 보건의무실을 운영하여 구성원들의 건강 관리를 지원한다.

1959년 개교 13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된 경북대학교 박물관은 보물 7점을 포함한 64,000여 점의 유물과 38,000여 점의 자료를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 상주캠퍼스에는 박물관 분관이 있다.

  •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은 2004년 개관하였으며, 국내 최초의 국립대학 자연사박물관이다. 공룡 화석관, 야생 동물관 등 7개의 실내 전시실과 옥외 생태 습지를 갖추고 있으며, 약 6만여 점의 표본을 소장하고 있다.

  • '''경북대학교 미술관'''


2006년 개관한 경북대학교 미술관은 지역 사회에 봉사하고 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3개의 전시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근·현대 미술품을 중심으로 전시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


대구캠퍼스와 상주캠퍼스에 설립되어 있으며, 대구캠퍼스 동물병원은 2014년 32채널 CT 장비를 도입하였다. 상주캠퍼스에는 2013년 전국 수의과대학 최초로 대동물 전용 병원인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 분원이 설립되었다.

  • '''신문방송사'''


신문방송사는 학내외 소식을 보도하고 대학 구성원들의 여론 형성에 기여하며, 경북대신문은 1952년 9월 1일에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 '''어학교육원'''


1964년 설립된 어학교육원은 외국어 및 한국어 강좌 운영, 어학 교재 개발, 학술 강연회 등 어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 '''출판부'''


1973년 설립된 출판부는 전공 및 교양 도서, 고서적, 학술 연구 성과물 등을 출판하여 대학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수련원'''


1985년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에 설립된 수련원은 학생과 교직원의 심신 단련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 설립된 테크노파크는 지역 산업 및 경제 진흥 거점 기관이자 글로벌 기업 육성 전문 기관으로, 창업 보육 센터, 중소기업 성장 지원 센터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지역 창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2016년 4월 중앙도서관에서 바라본 테크노파크의 모습은 IT 융합 산업 빌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공동실험실습관'''


1989년 설립된 공동실험실습관은 고가의 실험·실습 기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며, 기초 과학 및 응용 과학 분야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부속학교 및 병원'''


경북대학교는 대구광역시경상북도에 다음과 같은 부속학교 및 병원을 두고 있다.

종류명칭위치
부속 초등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대구광역시중구
부속 중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중구
부속 고등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중구
대학 병원경북대학교병원중구
대학 병원칠곡경북대학교병원대구광역시북구
치과 병원경북대학교치과병원중구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북구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분원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분원경상북도상주시


9. 학생 활동

총학생회는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학생 자치 활동을 통해 자유로운 진리 탐구와 창조적이고 진보적인 대학 문화를 건설하고, 회원 상호 간의 공동체적 연대를 강화함으로써 대학의 자율적인 발전을 도모하며, 실천을 통한 학생회 본래의 이념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 자치 기구이다.

총동아리연합회는 중앙 동아리들의 창조적이고 자주적인 활동을 통해 건전한 대학 문화를 선도하며, 동아리 구성원들의 복지 및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생 자치 기구이다. 각 동아리와 중앙연합회는 누구에게나 문이 열려 있다.

2016년 5월 대동제 주막


매년 5월이면 학교 최대의 축제인 대동제가 열린다. 대동제 기간에는 백양로에서부터 법대 주차장까지 학과 및 동아리에서 주막을 운영해왔다. 하지만 2018년에는 교육부의 '대학생 주류 판매 관련 주세법령 준수 안내 협조' 공문에 따라 주막을 설치하지 않고, 대동제 기간을 23~25일 사흘에서 24~25일 이틀로 단축해서 운영했다.[19]

10. 편의 시설

경북대학교에는 학생, 교직원, 교원들의 복지를 위한 다양한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대구캠퍼스'''

대구캠퍼스에는 생활관(기숙사)과 복지관, 학생식당 등이 있다. 생활관은 성실관, 긍지관, 협동관, 봉사관, 진리관, 화목관, 면학관, 향토관의 8개 건물과 BTL 생활관인 첨성관, 명의관, 누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2,066개의 관실에 4,6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문화관에는 455석 규모의 식당이 있다.

복지관은 동문지구에 위치하며, 1층에는 신한은행, 서점, 생협 쇼핑플라자가 있다. 2층에는 학생식당, 매점, 우체국이 있다. 3층에는 경북대학교 총학생회실, 경북대학교 생활협동조합 학생위원회실, 열린글터, 복현교지, 교수회 등 자치기구들이 있다. 4층에는 인재개발원과 잡플라자, 컴퓨터실이 있어 학생들이 진로 상담을 받거나 공부를 할 수 있다.

대구캠퍼스 내에는 5개의 학생식당과 2개의 기숙사 식당이 있다. 복지관 식당은 복지관 2층에 위치하며, 주로 3500KRW에서 5000KRW 대의 식사를 판매한다. 점심, 저녁 식사 시간에는 1종의 라면만 판매하고 그 외에는 다른 종류의 라면도 판매한다. 최근에는 신용 카드로 학생 식당의 식권을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상주캠퍼스'''

상주캠퍼스에는 생활관, 복지회관, 복합관 등이 있다. 생활관은 자주관, 창조관, 근면관, 경애관, 노악관, 청운관의 6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총 544개의 관실에 1,329명을 수용할 수 있다. 근면관 건물에는 '도미토랑'이라는 생활관 식당이 있다. 2014학년도 2학기부터 신축 생활관이 개관되었으며, 생활실마다 개별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다. 나머지 생활관은 모두 공용 화장실과 공용 샤워실을 사용한다. 상주캠퍼스 재학생 3,200여 명 중 40%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복지회관에는 생협 쇼핑플라자, 서점, 복사&인쇄실, 인재개발원 상주분원, 취업상담실, 보건소가 있다. 보건소는 기존 2층에서 근로장학생으로만 운영했으나, 2016년 1학기부터 3층으로 확장 이전되면서 간호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복합관에는 생협 패스트푸드점, 커피전문점, 박물관분관, 정보검색실이 있다.

11. 교통

동대구역에서 경북대학교까지 순환2-1번과 937번 버스가 운행된다. 순환2-1번은 경북대학교 쪽문과 후문 방면의 대현로를 지나가며, 937번 버스는 경북대학교 정문과 동문 쪽 경대로를 지나간다. 경북대학교 북문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는 없으나, 413번, 937번 버스가 복현오거리를 지나간다.

대구캠퍼스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 터미널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이다. 고속/시외/공항버스가 운행 중이며, 서울경부, 동서울, 대전, 광주, 부산 등 주요 행선지 버스가 상시 운행되고 있다.

북부정류장은 323(-1)번이 2015년 개편으로 북문으로 가지 않기 때문에, 체육센터 혹은 복현오거리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원주, 강릉, 춘천 등 강원도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이 북부정류장에서 출발한다.

서부정류장은 경북대학교 북문에서 급행6번, 306번, 706번 버스가 운행 중이나 약 12km 정도 떨어져 있어 거리가 멀다. 따라서 서부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 및 교직원은 적은 편이다.

상주캠퍼스는 시내, 고속/시외버스(청주, 대구, 김천행)가 운행된다.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는 대구 시내에 근접해 있으며,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 중이다.

경북대학교 북문 건너 정류장


경북대학교 북문 버스정류장은 경북대학교에서 가장 승하차 승객이 많은 버스정류장이다. 2019년 3월 현재 대구시내버스 300번, 306번, 410-1번, 706번, 719번, 급행6번, 523번 버스가 정차한다. 이들 버스는 경북대학교에서 반월당역, 서문시장역, 수성구청역 등 대구 주요 지역을 운행한다.

대구캠퍼스 인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신천역이 있다. 신천역의 부역명이 경북대입구이지만, 경북대학교 정문까지 1.4km 정도 떨어져 있어서 직접적인 역세권이라고 할 수 없다.

학기 중에는 신천역 8번 출구, 대구은행역 3번 출구, 북구청역 1번/4번 출구에서 등교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대구캠퍼스와 대구국제공항은 약 4km 떨어져 있어, 공항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12. 위상

경북대학교는 거점국립대학교이자 지방 대학 중 가장 우수한 대학 중 하나이다.[22] 경상도 지역 학생들에게는 인서울대학 중상위권과 주로 비교된다.

2024년 주요 대학 평가 순위는 다음과 같다.

평가 기관세계 순위한국 순위국립대 순위
타임스 고등교육(THE) 세계 대학 평가501~600위14위1위[2]
타임스 고등교육(THE) 대학 영향력 순위39위3위1위[2]
QS 세계 대학 순위516위15위1위[3]
상하이교통대학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401~500위9~12위- [4]
세계 대학 순위 센터(CWUR)420위10위1위[5]



경북대학교는 대한민국 동남부 지역(대구광역시, 경상북도)을 대표하는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이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부산대학교와 함께 명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https://www.knu.ac.k[...]
[2] 웹사이트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4-06-17
[3] 웹사이트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4-06-17
[4] 웹사이트 ShanghaiRanking-Univiersities https://www.shanghai[...] 2024-06-17
[5] 웹사이트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anking 2024 CWUR https://cwur.org/202[...] 2024-06-17
[6] 간행물
[7] 뉴스 경북대-상주대 통합 정부 승인 http://www.idaegu.co[...] 대구신문 2007-12-02
[8] 간행물
[9] 뉴스 경북대 IT대학·글로벌인재학부 출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3-23
[10] 웹인용 경북대, 제18대 김상동 총장 취임 http://www.ksmnews.c[...] 2024-09-23
[11] 뉴스 경북대학교 제19대 총장에 홍원화 교수 취임 https://www.yna.co.k[...] 2020-10-20
[12] 웹인용 경북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개원 http://www.kbsm.net/[...] 2024-09-23
[13] 뉴스 경북대·전북대·전남대, ‘식물방역’ 특수대학원 선정 https://news.unn.net[...] 전북대, 전남대와 함께 공동 설립 2021-03-16
[14] 웹인용 [Next 글로컬/경북대학교] 지역과 상생하는 글로벌 명문 연구중심대학으로 ‘대전환’ https://news.unn.net[...] 2024-09-23
[15] 웹인용 경북대학교 포토뉴스 https://www.knu.ac.k[...] 2024-09-23
[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nun.net/[...] 2019-04-28
[17] 뉴스 경북대에 지상 20층 쌍둥이빌딩 건립한다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20-02-09
[18] 뉴스 경북대 글로벌 플라자 건립 `진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5-07
[19] 뉴스 주점 없는 본교 대동제, 볼거리 위주로 재편 http://www.knun.net/[...] 경북대신문 2018-05-21
[20] 웹사이트 경북대학교 가로수길(백양로) https://tour.daegu.g[...]
[21] 뉴스 아름다운 우리 캠퍼스 '花'들짝 놀라다 http://www.knun.net/[...] 경북대신문 2011-05-09
[22] 웹인용 국내 최고 지방 명문대는? 경북대ㆍ부산대ㆍ 전남대 선두 쟁탈전 https://www.hankyung[...] 2021-04-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