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504년부터 1553년까지 사보이아 공작으로 재위했다. 그는 필리포 2세 디 사보이아의 아들로, 어린 시절에는 공작 계승을 예상하지 못했으나, 형의 죽음으로 18세에 공작 자리에 올랐다. 카를로 3세는 프랑스와의 갈등으로 영토를 대부분 상실하고 망명 생활을 하다가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뒤를 이었다. 그는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네바 백작 -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1378년 서방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우르바노 6세의 선출에 반대하는 추기경들에 의해 선출되어 아비뇽을 중심으로 교황청을 운영했으나 재정난을 겪고 1394년 사망했다.
  • 제네바 백작 -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490년부터 1496년까지 사보이아 공국을 다스렸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후계 구도를 복잡하게 만들었고, 어머니의 섭정 시절 프랑스 군대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했으며, 사촌인 필리포 2세가 공작위를 계승하는 과정에서 상속권 주장이 제기되었다.
  • 키프로스계 이탈리아인 -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490년부터 1496년까지 사보이아 공국을 다스렸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후계 구도를 복잡하게 만들었고, 어머니의 섭정 시절 프랑스 군대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했으며, 사촌인 필리포 2세가 공작위를 계승하는 과정에서 상속권 주장이 제기되었다.
  • 키프로스계 이탈리아인 - 필리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 1553년 사망 - 페드로 데 발디비아
    페드로 데 발디비아는 스페인 출신으로, 16세기 남아메리카에서 칠레를 정복하고 산티아고를 건설했으며, 칠레 총독으로 식민지를 확장하다가 아라우카니아인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 1553년 사망 - 나가오 하루카게
    나가오 하루카게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사다자네의 양자이자 나가오 다메카게의 아들이며, 가스가 산성 성주를 지냈으나 동생 나가오 가게토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1553년에 사망했다.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샤를 3세의 초상화 (재위 초)
샤를 3세의 초상화 (재위 초)
군주 칭호사보이아 공작
재위 기간1504년 9월 10일 – 1553년 8월 17일
이전 통치자필리베르 2세
다음 통치자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출생일1486년 10월 10일
출생지샤제쉬랭
사망일1553년 8월 17일
사망지베르첼리
배우자베아트리스 드 포르투갈
자녀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가문사보이아 가문
아버지필리포 2세 란도네
어머니클로딘 드 브로스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결혼과 자녀
배우자베아트리스 드 포르투갈
자녀아드리아노 디 사보이아
루도비코 디 사보이아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2. 생애

카를로 3세는 필리포 2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클로딘 드 브로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복형 필리베르토 2세가 24세에 요절하면서 공작위를 계승했다.

1521년, 포르투갈마누엘 1세의 딸 베아트리스(베아트리체)와 결혼했다. 아들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에게는 장인의 이름인 마누엘의 이탈리아어 이름 에마누엘레를 붙였고, 이후 사보이아 가문의 남자 이름에 종종 에마누엘레가 사용되었다.

카를로 3세는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세력에 맞서 싸웠으며,[4] 제네바에서 일어난 종교 분쟁에 대응하려 했으나 실패했다.[5] 또한 합스부르크 가와 동맹을 맺었지만, 1536년 프랑수아 1세의 침공으로 영토 대부분을 잃고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6]

2. 1. 권력 승계 과정

필리포 2세 디 사보이아와 브르타뉴 공국의 권리를 주장했었던 가문 출신인 클로딘 드 브로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모는 루도비코 1세와 안 드 뤼지냥이다. 어린 시절에 그가 공작 자리를 계승할 것이라고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었다. 그는 사촌인 투사공 카를로 1세의 이름을 이어받아 카를로 3세라는 통치명을 택했다.

그가 열 살 무렵, 그의 아버지는 증손 카를로 2세의 뒤를 이어 갑작스럽게 공작 자리와 사보이아 가 가주 자리를 이어받았고, 예루살렘, 키프로스, 아르메니아의 군주 작위 또한 물려받았다. 그러나 카를로의 아버지는 사망한 전대 공작의 법정 상속인이 아니었고 남계 후손이었을 뿐이었다. 그리하여 예루살렘, 키프로스, 아르메니아 및 그 외 권리들과 소유권은 다른 후계자에게 넘어가야 했고, 원칙상으로는 카를로 2세의 누이인 이올란다 디 사보이아였다. 카를로의 아버지는 이 권리들을 포기할 준비가 되지 않아, 권리의 표시로서 이 작위들을 사용했다. 그는 또한 1496년에 이올란다를 그의 아들 필리베르토 2세와 혼인시켜, 남계 계승을 확실히 하였다.

1497년에 카를로의 배다른 형제 필리베르토가 사보이아 공작 등 아버지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필리베르토가 1504년에 자식 없이 사망하자, 카를로가 18세의 나이에 공작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1499년에 이올란다가 사망하고, 예루살렘과 키프로스에 대한 법적 권리는 사보이아 가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카를로는 어느 정도 남계 상속인으로서 이 작위들을 사용했고, 그의 후손들 역시 사용했다. 1713년 카를로의 현손자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가 이 작위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던 프랑스, 스페인의 왕들에게서 작위에 대한 확인을 받아내었다. 그 상속 권리는 법정 상속인의 계승에 따라, 모계 상속인을 포함시키지 않아서 카를로의 사후에는 라 트레무아유의 영주이자 탈몽, 타란토의 공작인 프랑스계 귀족 가문인 라 트레무아유 가에게 넘어갔다.

사보이아 공작들의 문장.


사보이 공작의 문장


늙은 샤를 3세의 초상화

2. 2. 통치 기간의 어려움

카를로 3세는 필리포 2세와 클로딘 드 브로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에는 공작 자리를 계승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그는 사촌인 카를로 1세의 이름을 이어받아 카를로 3세라는 통치명을 사용했다.

10세 때 아버지가 카를로 2세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면서, 예루살렘, 키프로스, 아르메니아의 군주 작위도 물려받았다. 그러나 카를로 3세의 아버지는 정당한 상속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권리들은 카를로 2세의 누이인 이올란다 디 사보이아에게 넘어가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를로의 아버지는 이 작위들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사용했으며, 1496년에는 아들 필리베르토 2세와 이올란다를 결혼시켜 상속권을 확실히 하려 했다.

1497년, 카를로의 배다른 형제 필리베르토가 공작 자리를 이어받았으나, 1504년에 자식 없이 사망하면서 카를로 3세가 18세의 나이로 공작이 되었다.

카를로는 필리베르 베르틀리에를 포함한 여러 도전 세력에 직면해야 했다.[4] 1499년 이올란다가 사망하면서 예루살렘과 키프로스에 대한 법적 권리는 사보이아 가문에서 사라졌지만, 카를로 3세는 이 작위들을 계속 사용했고, 그의 후손들도 마찬가지였다. 1713년, 카를로 3세의 현손자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프랑스스페인 왕에게서 이 작위들에 대한 확인을 받았다.

1534년 7월, 카를로 3세는 제네바에서 일어난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폭동에 대응하여 기습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 1535년 10월에 다시 포위 공격을 시도했지만, 베른 군대의 지원을 받은 제네바에 의해 또다시 격퇴당했다.[5]

카를로 3세는 프랑수아 1세카를 5세가 대립하던 서유럽 정세 속에서 합스부르크 가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1536년, 프랑스가 사보이아 공국을 침공하여 카를로 3세의 영토 대부분을 점령했다.[6] 이후 카를로 3세는 친척들에게 의지하며 망명 생활을 했고, 1553년 베르첼리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일한 적자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공작 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1530년에 "시옹의 죄수" 프랑수아 보니바르를 시옹 성에 감금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 3. 결혼과 자녀

카를로 3세는 포르투갈의 군주 마누엘 1세와 아라곤의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 베아트리스 드 포르투갈과 1521년에 혼인했다.[1] 베아트리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사촌이자 형수이기도 했다. 그들은 9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성인까지 살아남은 자식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유일했다.[1]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프랑스 왕 앙리 2세의 여동생 베리 여공작 마르그리트와 혼인했다.[1]

이름출생사망
아드리아노 조반니 아마데오[1] (피에몬테 공[1])1512년 11월 19일[1]1523년 1월 10일[1]
루도비코[1] (피에몬테 공[1])1523년 12월 4일[1]1536년 11월 25일[1]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1]1528년 7월 8일[1]1580년 8월 30일[1]
카테리나[1]1529년 11월 25일[1]1536년 5월[1]
마리아[1]1530년 6월 12일[1]1531년[1]
이사벨라[1]1532년 5월[1]1533년 9월 24일[1]
에마누엘레[1]1533년 5월[1]유아 때 사망[1]
에마누엘레[1]1534년 5월[1]유아 때 사망[1]
조반니[1]1537년 12월 3일[1]1538년 1월 8일[1]


2. 4. 죽음

카를로 3세는 1536년 프랑스의 사보이 공국 침공으로 대부분의 영토를 잃고, 친척들에게 의지하며 사실상 망명 생활을 했다.[6] 1553년 베르첼리에서 사망하여 베르첼리 대성당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유일한 적자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뒤를 이었다.[6] 그는 1530년에 "시옹의 죄수" 프랑수아 보니바르를 시옹 성에 감금했던 공작이기도 하다.

참조

[1] 웹사이트 Philibert Berthelier http://www.britannic[...]
[2] 서적 The German Political Broadsheet, 1600–1700: 1600–1615 Otto Harrassowitz 1985
[3] 서적 The Italian Wars, 1494–1559 Pearson Educational Limited 2012
[4] 웹사이트 Philibert Berthelier http://www.britannic[...]
[5] 서적 The German Political Broadsheet, 1600–1700: 1600–1615 Otto Harrassowitz 1985
[6] 서적 The Italian Wars, 1494–1559 Pearson Educational Limited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