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마르 웃딘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마르 웃딘 칸은 14세기 후반 모굴리스탄의 칸으로, 투글루크 티무르에게 울루스 베그 직위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한 후 일리아스 호자를 암살하고 칸 자리에 올랐다. 그는 티무르 제국과의 잦은 전투에서 고전했으나, 1390년 티무르의 공격을 피해 도주한 후 알타이 산맥에서 실종되었다. 그의 실종은 차가타이 가문 출신 히드르 호자가 칸의 자리를 차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굴리스탄 칸국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 모굴리스탄 칸국 - 일리아스 호자
    일리아스 호자는 1363년 투글루크 티무르에 의해 트란스옥시아나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으나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의 저항에 직면했고, 흑사병으로 인해 지배를 잠시 미루다 1368년 카마르 웃딘에게 살해당했다.
  • 티무르 왕조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 티무르 왕조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 1392년 사망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1392년 사망 - 지용기
    지용기는 고려 말 문신으로, 왜구 토벌 공헌과 위화도 회군 가담으로 정치적 변동에 기여했으나, 공양왕 옹립 후 중흥공신에 책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후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외증손녀는 조선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이다.
카마르 웃딘 칸
기본 정보
티무르의 아들 우마르 샤이크가 이끄는 티무르 군대가 카마르 알딘의 군대를 격파하는 모습; 자그지반 칼란의 왕실 무굴 자파르나마의 삽화, 무굴 인도, 1595-1600년경
티무르의 아들 우마르 샤이크가 이끄는 티무르 군대가 카마르 알딘의 군대를 격파하는 모습; 자그지반 칼란의 왕실 무굴 자파르나마, 무굴 인도,
칭호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왕조두글라트
즉위
통치 기간1368년 – 1392년
이전 통치자일야스 호자
다음 통치자키즈르 호자
개인 정보
출생일알 수 없음
사망일1392년

2. 생애

두글라트부의 귀족(아미르) 프라지의 형제인 카마르 웃딘은 프라지 사후 울루스 베기 직의 계승을 투글루크 티무르에게 요구했다. 그러나 울루스 베기 직은 프라지의 어린 아들 쿠다이다드에게 계승되었고, 그 결정에 불만을 품은 카마르 웃딘은 투글루크 티무르 사후 그의 아들 일리아스 호자를 암살하고 칸을 참칭했다.[8] 즉위 후에는 자신보다 상위에 있던 형 샴스 웃딘의 의견을 존중했다고 한다.[8]

1389년까지 6차례에 걸쳐 티무르의 공격을 받았지만, 티무르 군이 퇴각할 때마다 세력을 회복했다.[9] 1390년 카마르 웃딘 칸은 다시 티무르 군의 공격을 받자 수도 알마리크를 포기하고 도주하여, 알타이 산맥에서 소식이 끊겼다.[12]

2. 1. 권력 장악

툴루크(Tuluk)와 부라지(Bulaji)는 투글루크 티무르(Tughlugh Timur) 아래에서 '울루스 베그(위대한 지도자의 군주 명칭)'였다. 부라지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쿠다이다드(Khudai-dad)가 뒤를 이었는데, 쿠다이다드의 형제 카마르 웃딘은 울루스 베그 직위를 두고 쿠다이다드와 경쟁하였다. 카마르 웃딘은 투글루크 티무르에게 울루스 베그가 되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는 투글루크 티무르가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 일리아스 호자(Ilyas Khoja) 칸에 대한 반란의 계기가 되었다.[8]

카마르 웃딘은 일리아스 호자를 제거한 후, 투글루크 티무르 가문의 대부분을 몰살하였다. 비록 일부 아미르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모굴리스탄의 칸으로서 지위를 이을 수 있었다.

카마르 웃딘의 통치 기간 동안, 아미르 티무르가 이끄는 티무르 제국과 중앙아시아에서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카마르 웃딘은 티무르의 공격을 막아내기 어려웠지만, 티무르 또한 카마르 웃딘을 완전히 제압하지 못하여 바렌 평원에서 군대를 돌려야 했다.[9] 1388년경 성장한 호다이다드가 일리야스 호자의 형제인 히즐 호자를 옹립하자, 조치 울루스의 토흐타미슈와 연합한다.[10] 1389년 티무르는 모굴리스탄에 대한 본격적인 원정을 감행했고, 티무르 군은 모굴리스탄의 중심부, 나아가 위구르스탄의 투르판까지 이르렀다.[11] 그러나 1390년, 티무르가 소규모 전투를 벌이던 중 카마르 웃딘은 자취를 감추었다.[12] 카마르 웃딘 칸의 실종은 차가타이 가문 출신 히드르 호자(Khizr Khoja)에게 기회가 되었고, 히드르 호자가 모굴리스탄 칸의 직위를 잇게 된다.

카마르 웃딘에게는 쿠다이다드라는 사촌이 있었는데, 타리퀴 라쉬디(Tarikh-i Rashidi)에 따르면 그는 히드르 호자를 지지했고, 차가타이 가문이 몰살당할 때 그를 숨겨주었다고 한다. 쿠다이다드는 이후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성장하여 히드르 호자가 죽은 후 지도자 자리를 좌우할 정도로 권력을 쥐게 되었다. 쿠다이다드는 허톈시, 아커쑤시, 카스시, 사처현을 가족에게 분할하여 다스렸는데, 이는 미르자 아부 바크르 도글라트(Mirza Abu Bakr Dughlat) 시대까지 이어졌다.

2. 2. 티무르와의 전쟁

카마르 웃딘은 재위 기간 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아미르 티무르가 이끄는 티무르 제국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9] 카마르 웃딘은 티무르의 공격을 막아내기 어려웠지만, 티무르 또한 카마르 웃딘을 완전히 제압하지 못하여 결국 모굴리스탄 바렌 평원에서 군대를 돌려야 했다.[11] 1390년, 티무르가 소규모 전투를 벌이던 중 카마르 웃딘은 종적을 감추었다.[12] 카마르 웃딘의 실종은 차가타이 가문 출신인 히드르 호자에게 기회가 되었고, 히드르 호자가 모굴리스탄 칸의 자리를 이었다.

2. 3. 몰락과 실종

투글루크 티무르 칸 아래에서 '울루스 베그(위대한 지도자의 군주 명칭)' 직위에 있던 아미르는 툴루크(Tuluk)와 부라지(Bulaji)였다. 부라지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쿠다이다드(Khudai-dad)가 뒤를 이었으나, 카마르 웃딘은 형제로서 울루스 베그 직위를 두고 쿠다이다드와 경쟁했다. 카마르 웃딘은 투글루크 티무르에게 울루스 베그가 되겠다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는 투글루크 티무르 사후 그의 아들 일리아스 호자(Ilyas Khoja) 칸에 대한 반란의 계기가 되었다.

카마르 웃딘은 일리아스 호자를 제거한 후, 투글루크 티무르 가문의 대부분을 몰살하여 잠재적 위협을 없앴다. 일부 아미르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카마르 웃딘은 모굴리스탄의 칸 지위를 이을 수 있었다.

카마르 웃딘의 재위 기간 동안, 중앙아시아에서 티무르 제국의 아미르 티무르 대제와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다. 카마르 웃딘은 티무르의 공격을 막아낼 수 없었지만, 티무르 또한 카마르 웃딘을 완전히 제압하지 못해 모굴리스탄 바렌 평원에서 회군했다. 그러나 1390년, 티무르 대제가 소규모 전투를 벌이던 중 카마르 웃딘은 자취를 감추었다.[12] 카마르 웃딘 칸의 실종은 차가타이 가문 출신 히드르 호자(Khizr Khoja)에게 기회가 되었고, 히드르 호자가 모굴리스탄 칸 직위를 계승하게 된다.

카마르 웃딘에게는 쿠다이다드라는 사촌이 있었는데, 타리퀴 라쉬디(Tarikh-i Rashidi)에 따르면 그는 히드르 호자의 초기 지지자였으며, 차가타이 가문이 몰살당할 때 그를 숨겨주었다고 전해진다.

3. 계승

툴루크(Tuluk)와 부라지(Bulaji)는 투글루크 티무르(Tughlugh Timur) 아래에서 '울루스 베그('위대한 지도자'라는 뜻의 군주 명칭)'로 있었다. 부라지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쿠다이다드(Khudai-dad)가 뒤를 이었는데, 형제 사이였던 카마르 웃딘과 울루스 베그 직위를 놓고 싸움을 벌였다. 카마르 웃딘은 투글루그 티무르에게 울루스 베그가 되겠다는 요청을 거절당했고, 이는 투글루그 티무르가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 일리아스 호자(Ilyas Khoja) 칸에게 반란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카마르 웃딘은 일리아스 호자를 제거한 후에도 위협이 될 것이라 여긴 투글루그 티무르 가문의 대부분을 몰살하였다. 비록 카마르 웃딘은 일부 아미르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모굴리스탄의 칸으로서 지위를 이을 수 있었다.

카마르 웃딘의 재위 기간 중에는 중앙아시아에서 티무르 제국의 아미르 티무르 대제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카마르 웃딘은 티무르의 공격을 감당할 수 없었지만, 티무르 대제 또한 카마르 웃딘을 상대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모굴리스탄 바렌 평원에서 회군했다. 하지만 1390년, 티무르 대제가 소규모 전투를 벌이던 중 카마르 웃딘은 자취를 감췄다. 카마르 웃딘 칸의 실종은 차가타이 가문 출신이었던 히드르 호자(Khizr Khoja)에게 기회로 작용했고, 히드르 호자가 모굴리스탄 칸의 직위를 잇게 된다.

참조

[1] 문서 Hodong
[2] 문서 Muhammad Haidar
[3] 문서 Grousset
[4] 서적 The Mongol empire & its legacy https://archive.org/[...] Leiden; Boston : Brill
[5] 문서 Barthold
[6] 문서 Muhammad Haidar
[7] 서적 川口『ティムール帝国支配層の研究』
[8] 서적 川口『ティムール帝国支配層の研究』
[9] 간행물 ラフマナリエフ「チムールの帝国」『アイハヌム 2008』
[10] 간행물 川口「ティムールとトクタミシュ―トクタミシュ軍のマー・ワラー・アンナフル侵攻とその影響」『北海道武蔵女子短期大学紀要』40
[11] 간행물 ラフマナリエフ「チムールの帝国」『アイハヌム 2008』
[12] 간행물 ラフマナリエフ「チムールの帝国」『アイハヌム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