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아스 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아스 호자는 1363년 동 차가타이 한국의 투글루크 티무르에 의해 트란스옥시아나의 지도자로 임명되었다. 그는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의 저항에 직면했고, 1365년 타슈켄트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사마르칸트 입성에 실패했다. 흑사병으로 인해 트란스옥시아나 지배를 잠시 미루어야 했고, 1368년 카마르 웃딘에 의해 살해당했다. 그의 가족은 몰락했지만, 그의 형제 키즈르 호자가 차가타이 칸 가문을 다시 잇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굴리스탄 칸국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 모굴리스탄 칸국 - 카마르 웃딘 칸
    카마르 웃딘 칸은 14세기 후반 모굴리스탄의 칸으로, 일리아스 호자를 암살하고 칸이 되었으나 티무르 제국과의 전투에서 고전하다가 알타이 산맥에서 실종되었다.
  • 1368년 사망 - 고무라카미 천황
    고무라카미 천황은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의 97대 천황으로, 쇼헤이 일통 시기 북조를 통합하기도 했으나 남조의 쇠퇴를 막지 못하고 스미요시에서 사망했으며,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다.
  • 1368년 사망 - 류숙 (고려)
    류숙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반원 자주 개혁정치를 주도하며 친원파 숙청, 정동행중서성 이문소 폐지, 요동 회복 등에 기여했고 도첨의찬성사,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했으나 신돈의 모함으로 피살된 후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고 문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 티무르 왕조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 티무르 왕조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일리아스 호자
기본 정보
모굴리스탄
통치 기간1363년 – 1368년
이전투글루크 티무르
이후카마르 앗딘 칸 두글라트
사망1368년

2. 생애

1363년, 투글루크 티무르트란스옥시아나 지역 지도자들을 처형하고 일리아스 호자를 지도자로 임명했지만, 모굴인에 대한 반감으로 아미르 후세인과 아미르 티무르를 중심으로 저항이 일어났다.[1] 트란스옥시아나 지역민들은 일리아스 호자의 공격을 격퇴했고, 투글루크 티무르 사후 일리아스 호자는 모굴리스탄 칸 자리를 계승했다. 1365년, 트란스옥시아나로 돌아온 일리아스 호자는 타슈켄트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사마르칸트 주민들의 저항과 흑사병으로 인해 퇴각해야 했다.[2]

1361년 투글루크 티무르가 마와라안나흐르를 정복하면서 일리아스 호자는 마와라안나흐르의 지배를 맡게 되었으나, 티무르가 반란을 일으켰다. 1363년 키슈 근교 전투에서 패배한 후, 1364년 봄 마와라안나흐르를 친정했다. 1365년 진흙 전투에서 티무르와 후세인 연합군에게 승리하고 사마르칸트로 진격했으나, 사르바다르 운동을 펼치던 주민들의 기습과 역병으로 인해 퇴각했다.[4][5]

1368년, 일리아스 호자는 두글라트부의 카마르 웃딘에게 살해당했고, 카마르 웃딘이 칸을 참칭했다.[6][7] 이후 일리아스 호자 가문은 몰살당했지만, 형제 키즈르 호자는 살아남아 훗날 차가타이 칸 가문을 다시 잇게 된다.[3]

2. 1. 초기 생애와 트란스옥시아나 통치

1363년, 투글루크 티무르트란스옥시아나 주변 지역의 지도자들을 처형한 다음 일리아스 호자를 지도자로 삼았다.[1] 그러나 투글루크 티무르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모굴인에 대한 반감을 사게 되어 지역민들이 카라우나스의 아미르 후세인과 바를라스의 아미르 티무르를 중심으로 저항을 이어나갔다. 하나로 뭉친 트란스옥시아나의 지역민들은 충성을 강요한 일리아스 호자의 공격을 격퇴했다. 투글루크 티무르가 죽은 후에 일리아스 호자는 모굴리스탄의 칸 자리를 이었다.

1365년, 일리야스 호자는 트란스옥시아나로 돌아와, 5월에 타슈켄트 전투에서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를 물리쳤지만,[2] 사마르칸트 근처에 이르렀을 때 거주민들이 입성을 거부했다. 성을 포위하던 일리아스 호자의 군대는 얼마 후, 군마 사이에서 흑사병이 발생해 트란스옥시아나 지배를 잠시 미뤄야 했다.[2]

2. 2. 티무르와의 갈등

1363년, 동차가타이 한국의 초대 칸이었던 투글루크 티무르트란스옥시아나 주변 지역의 지도자들을 처형한 다음 일리야스 호자를 지도자로 삼았다.[1] 그러나 투글루크 티무르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모굴인에 대한 반감을 사게 되어 지역민들이 카라우나스의 아미르 후세인과 바를라스의 아미르 티무르를 중심으로 저항을 이어나갔다. 하나로 뭉친 트란스옥시아나의 지역민들은 충성할 것을 강요한 일리야스 호자의 공격을 격퇴하였다. 투글루크 티무르가 죽은 후에 일리아스 호자는 모굴리스탄의 칸 자리를 계승했다.

1365년, 일리야스 호자는 트란스옥시아나로 돌아와 5월에 타슈켄트 전투에서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를 물리쳤지만, 사마르칸트 근처에 도달했을 때 거주민들이 입성을 거부했다.[2] 성을 포위하던 일리야스 호자의 군대는 얼마 후 군마 사이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여 트란스옥시아나 지배를 잠시 미뤄둬야 했다.

1361년에 투글루크 티무르가 마와라안나흐르를 지배하는 서차가타이 칸국을 정복하자 일리아스 호자는 마와라안나흐르의 지배를 맡게 되었다. 바를라스부의 지도자 티무르가 일리아스 호자의 후견인으로 임명되었지만, 티무르는 일리아스 호자를 떠나 반란을 일으켰다.

1363년 키슈 근교 전투에서 티무르 군대에 대패하였고, 이듬해 1364년 봄에 일리아스 호자는 마와라안나흐르를 친정했다.

1365년 치나즈·타슈켄트 사이에서 일어난 진흙 전투에서 일리아스 호자는 티무르와 후세인의 연합군에게 승리했다. 승리 후 모굴리스탄 군은 사마르칸트로 향했고, 사마르칸드 성내에서는 반몽골을 외치는 "사르바다르 운동" 집단이 주민들에게 저항을 호소했다. 당시 사마르칸드에는 방벽과 내성이 없었고 수비병도 후퇴했기 때문에 일리아스 호자는 쉽게 사마르칸드를 공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4] 그러나 저항을 받지 않고 사마르칸드 깊숙이 들어간 모굴리스탄 군은 사르바다르에 이끌린 주민들의 기습으로 피해를 입고 성에서 탈출했다. 게다가 역병으로 군마를 많이 잃었고, 일리아스 호자는 전과를 얻지 못한 채 중앙아시아에서 퇴각해야 했다.[5]

2. 3. 사마르칸트 포위와 퇴각

1365년, 일리아스 호자는 트란스옥시아나로 돌아와 타슈켄트 전투에서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를 격파했다.[2] 그러나 사마르칸트 성문에 도착했을 때 주민들이 입성을 거부하여 포위 공격을 해야 했다. 하지만 군마(軍馬) 사이에 흑사병이 발생하여 많은 수를 잃었고, 결국 일리아스 호자는 트란스옥시아나 지배를 잠시 미루고 퇴각해야 했다.[2][5]

2. 4. 죽음과 그 이후

1368년 일리아스 호자는 두글라트부의 카마르 웃딘에게 살해당했고, 카마르 웃딘은 칸을 참칭했다.[6][7] 카마르 웃딘은 일리아스 호자의 죽음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 이후 일리아스 호자의 가족들은 몰살당했지만,[3] 그의 형제 키즈르 호자는 훗날 차가타이 칸 가문을 다시 잇게 된다.[3]

참조

[1] 서적 The Ott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BC-CLIO
[2] 서적 The History of Kazakhstan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Volume I. ЛитРес
[3] 서적 The History of Kazakhstan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Volume I. ЛитРес
[4] 서적 中央アジア歴史群像
[5] 서적 中央アジア歴史群像
[6] 간행물 チムールの帝国
[7] 간행물 ティムールとトクタミシュ―トクタミシュ軍のマー・ワラー・アンナフル侵攻とその影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