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89년은 명나라 홍무 22년, 일본 남조 겐추 6년, 북조 가케이 3년/고오 원년, 쩐 왕조 광태 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박위가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 섬을 공격했고, 이성계의 차남 이방과가 왜구를 방어했으며, 창왕이 폐위되고 공양왕이 즉위했다. 코소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를 속국으로 삼았다. 주요 인물로는 안토니누스 데 피렌체, 랭커스터의 존, 코시모 데 메디치 등이 탄생했고, 교황 우르바노 6세, 고려 우왕과 창왕, 무라드 1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9년 - 코소보 전투
코소보 전투는 1389년 6월 15일 코소보 평원에서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를 비롯한 발칸 연합군과 무라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으나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으며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89년 | |
---|---|
연도 정보 | |
기원후 | 1389년 |
세기 | 14세기 |
십년대 | 1380년대 |
달력 | |
로마 숫자 | MCCCLXXXIX |
줄리안력 | 해당 없음 |
간지 | 기사년 (己巳年) |
일본 연호 | 고오리쿠 2년 (康応二年) |
황기 | 2049년 |
이슬람력 | 791년 ~ 792년 |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2월, 박위가 병선 100여 척을 이끌고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공격하여 적선 300여 척을 불사르고 잡혀갔던 고려인 1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
- 조선 태조 이성계의 차남 이방과가 황해도 해주에 침략한 왜구를 방어하였다.
- 이성계에 의해 창왕이 폐위되고 강화도로 귀양 갔다.
- 신종의 7대 후손 정창군 요가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으로 왕위에 올랐다.
- 우왕과 창왕이 이성계 일파에게 피살되었다. 우왕은 25세, 창왕은 10세였다.
- 2월 24일 - 덴마크의 마르가레테 1세 여왕이 스웨덴의 알베르트 국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세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알베르트는 스웨덴 왕위에서 폐위되어 포로로 잡혔다.
- 5월 3일 -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가 반역 귀족들(Lords Appellant)로부터 잉글랜드의 통제권을 되찾았다.
- 5월 19일 - 바실리 1세가 아버지 드미트리 돈스코이의 사망으로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다.
- 6월 -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켑링에 살인 사건(Käpplinge murders)이 발생하였다.
- 6월 15일 - 코소보 전투: 오스만 제국과 세르비아가 전투를 벌였으나 결정적인 승패는 없었고,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무라드 1세 술탄과 세르비아의 라자르 왕자가 이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 바예지드 1세 (1389–1402)가 아버지 무라드 1세 (1362–1389)의 뒤를 이어 오스만 술탄이 되었다.
-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르비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7월 18일 -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이 르랭햄 휴전(Truce of Leulinghem)에 서명하여 잉글랜드-프랑스 백년 전쟁(1369-89년)의 제2단계를 종식시키고 13년간의 평화가 시작되었다.
- 11월 2일 - 보니파시오 9세가 우르바노 6세의 뒤를 이어 203대 교황이 되었다.
- 왈라키아의 미르체아 1세와 폴란드 국왕 야기에우워 2세가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첫 조약을 체결하였다.
- 하지 2세가 술탄 바르쿠크를 몰아내고 맘루크 술탄으로 복위되었다.
- 대립교황 요한 23세의 지원을 받은 앙주 루이 2세의 지지자들이 미성년 국왕 나폴리의 라디슬라우스를 몰아내고 나폴리 왕이 되었다. 새로운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라디슬라우스의 왕위 계승권을 인정하였다.
- 위크라마와르다나가 하얌 우루크의 뒤를 이어 마자파힛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 인기 없던 델리의 술탄 투글루크 칸이 살해되고 그의 동생 아부 바크르 샤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비리 2세가 카데 알루누의 뒤를 이어 카넴-보르누 제국(현재 차드 동부와 나이지리아)의 왕이 되었고, 제국은 현재 차드 지역의 땅을 빌랄라에게 잃었다.
- 산다키가 마가 2세를 몰아내고 말리 제국의 만사가 되었다.
- 압드 알-라흐만 2세가 무사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서부 알제리의 지야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아부 타슈푸핀 2세가 그의 조카 아부 함무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동부 알제리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포르투갈 리스본에 카르무 수도원이 건설되었다.
4. 1. 동아시아
- 2월, 박위가 병선 1백여 척을 이끌고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공격하여 적선 3백여 척을 불사르고 잡혀갔던 고려인 1백여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1]
- 조선 태조 이성계의 차남 이방과가 황해도 해주에 침략한 왜구를 방어하였다.[1]
- 이성계에 의해 창왕이 폐위되고 강화도로 귀양 갔다.[1]
- 신종의 7대 후손 정창군 요가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으로 왕위에 올랐다.[1]
- 우왕과 창왕이 이성계 일파에게 피살되었다. 우왕은 25세, 창왕은 10세였다.[1]
- 고려 혁명(1388~1392): 고려의 왕 고려 창왕이 실각하고 고려 공양왕이 왕위에 올랐다. 열 살의 창왕과 그의 전임자인 고려 우왕은 모두 그 해 후반에 암살된다.[1]
- 위크라마와르다나가 하얌 우루크의 뒤를 이어 마자파힛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4. 1. 1. 고려
- 2월, 박위가 병선 1백여 척을 이끌고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공격하였다. 이때 적선 3백여 척을 불사르고 잡혀갔던 고려인 1백여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1]
- 조선 태조 이성계의 차남, 이방과가 황해도 해주에 침략한 왜구를 방어하였다.[1]
- 창왕이 이성계에 의해 폐위되고 강화도로 귀양 갔다.[1]
- 신종의 7대 후손 정창군 요가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으로 왕위에 올랐다.[1]
- 우왕과 창왕이 이성계 일파에게 피살되었다. 우왕의 나이는 25세, 창왕의 나이는 10세였다.[1]
4. 1. 2. 일본
2월, 박위가 병선 1백여 척을 이끌고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공격하여 적선 3백여 척을 불사르고 잡혀갔던 고려인 1백여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1]조선 태조 이성계의 차남 이방과가 황해도 해주에 침략한 왜구를 방어하였다.
4. 1. 3. 명나라
1389년에는 명나라와 관련된 기록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4. 2. 서아시아 및 동유럽
- 6월 15일 - 코소보 전투: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 왕국을 격파하였다. 이 전투에서 양측 모두 큰 손실을 입었으며, 무라드 1세 술탄과 세르비아의 라자르 왕자가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 바예지드 1세(1389년–1402년)가 아버지 무라드 1세(1362년–1389년)의 뒤를 이어 오스만 술탄이 되었다.
-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르비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왈라키아의 미르체아 1세와 폴란드 국왕 야기에우워 2세가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첫 조약을 체결하였다.
- 5월 19일 – 바실리 1세가 아버지 드미트리 돈스코이의 사후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다.[2]
- 하지 2세가 술탄 바르쿠크를 몰아내고 맘루크 술탄국 술탄으로 복위되었다.
- 위크라마와르다나가 하얌 우루크의 뒤를 이어 마자파힛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 인기 없는 델리 술탄국의 술탄 투글루크 칸이 살해되고 그의 동생 아부 바크르 샤가 계승하였다.
- 산다키가 마가 2세를 몰아내고 말리 제국의 만사가 되었다.
- 압드 알-라흐만 2세가 무사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서부 알제리의 지야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아부 타슈푸핀 2세가 그의 조카 아부 함무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동부 알제리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4. 3. 서유럽
- 2월 24일 - 덴마크의 마르가레테 1세 여왕이 스웨덴의 알베르트 국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세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알베르트는 스웨덴 왕위에서 폐위되고 포로로 잡혔다.[1]
- 5월 3일 -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가 반역 귀족들(Lords Appellant)로부터 잉글랜드의 통제권을 되찾았다.[1]
- 7월 18일 -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이 르랭햄 휴전(Truce of Leulinghem)에 서명하여 백년 전쟁(1369-89년)의 제2단계를 종식시키고 13년간의 평화를 가져왔다.[1]
- 11월 2일 - 보니파시오 9세가 우르바노 6세의 뒤를 이어 203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
- 앙주 루이 2세의 지지자들이 미성년 국왕 나폴리의 라디슬라우스를 몰아내고 나폴리 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새로운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라디슬라우스의 왕위 계승권을 인정하였다.[1]
- 포르투갈 리스본에 카르무 수도원이 건설되었다.[1]
4. 4. 기타 지역
- 2월 24일 - 덴마크의 마르가레테 1세 여왕이 스웨덴의 알베르트 국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세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알베르트는 스웨덴 왕위에서 폐위되어 포로로 잡혔다.
- 5월 3일 -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가 반역 귀족들(Lords Appellant)로부터 잉글랜드의 통제권을 되찾았다.[1]
- 5월 19일 - 바실리 1세가 아버지 드미트리 돈스코이의 사망으로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다.[2]
- 6월 -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켑링에 살인 사건(Käpplinge murders)이 발생하였다.
- 6월 15일 - 코소보 전투: 오스만 제국과 세르비아가 전투를 벌였으나 결정적인 승패는 없었고,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무라드 1세 술탄과 세르비아의 라자르 왕자가 이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 바예지드 1세 (1389–1402)가 아버지 무라드 1세 (1362년–1389)의 뒤를 이어 오스만 술탄이 되었다.
-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르비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7월 18일 -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이 르랭햄 휴전(Truce of Leulinghem)에 서명하여 잉글랜드-프랑스 백년 전쟁(1369-89년)의 제2단계를 종식시키고 13년간의 평화가 시작되었다.
- 11월 2일 - 보니파시오 9세가 우르바노 6세의 뒤를 이어 203대 교황이 되었다.
- 왈라키아의 미르체아 1세와 폴란드 국왕 야기에우워 2세가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첫 조약을 체결하였다.
- 하지 2세가 술탄 바르쿠크를 몰아내고 맘루크 술탄으로 복위되었다.
- 대립교황 요한 23세의 지원을 받은 앙주 루이 2세의 지지자들이 미성년 국왕 나폴리의 라디슬라우스를 몰아내고 나폴리 왕이 되었다. 새로운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라디슬라우스의 왕위 계승권을 인정하였다.
- 위크라마와르다나가 하얌 우루크의 뒤를 이어 마자파힛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 인기 없던 델리의 술탄 투글루크 칸이 살해되고 그의 동생 아부 바크르 샤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비리 2세가 카데 알루누의 뒤를 이어 카넴-보르누 제국(현재 차드 동부와 나이지리아)의 왕이 되었고, 제국은 현재 차드 지역의 땅을 빌랄라에게 잃었다.
- 산다키가 마가 2세를 몰아내고 말리 제국의 만사가 되었다.
- 압드 알-라흐만 2세가 무사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서부 알제리의 지야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아부 타슈푸핀 2세가 그의 조카 아부 함무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동부 알제리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포르투갈 리스본에 카르무 수도원이 건설되었다.
5. 탄생
- 3월 1일 - 안토니누스 데 피렌체(Antoninus of Florence), 이탈리아 대주교 (사망 1459년)
- 6월 20일 - 랭커스터의 존(John of Lancaster, 1st Duke of Bedford), 잉글랜드 섭정 (사망 1435년)
- 4월 10일 - 코시모 데 메디치(Cosimo de' Medici), 피렌체 통치자 (사망 1464년)
- 9월 27일 - 코시모 데 메디치(Cosimo de' Medici), 피렌체 공화국의 은행가 (사망 1464년)
- 11월 9일 - 이사벨라 드 발루아(Isabella of Valois), 프랑스 공주이자 잉글랜드 왕비 (사망 1409년)[1]
- 12월 5일 - 지그문트 올레시니츠키 추기경(Zbigniew Oleśnicki (cardinal)), 폴란드 추기경이자 정치가 (사망 1455년)
- 12월 24일 - 브르타뉴 공작 장 6세(John VI, Duke of Brittany) (사망 1442년)
- 사이토 무네타다(斎藤宗円),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미노국 슈고다이 (사망 1450년)
- 나스 스케모치(那須資持),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사망 1467년)
6. 사망
- 10월 15일 - 교황 우르바노 6세, 202대 로마 교황.
- 3월 14일 - 기야스 웃딘 투글루크 2세, 델리 술탄 (암살됨)
- 5월 19일 - 드미트리 돈스코이, 모스크바 대공 (출생: 1350년)
- 6월 15일 (코소보 전투)
- * 라자르, 세르비아 공작 (출생: 1329년)
- * 무라드 1세, 오스만 술탄 (출생: 1326년)
- * 밀로시 오빌리치, 세르비아 기사
- 12월 31일 - 고려 우왕, 고려 창왕 (암살됨)
- 날짜 불명
- * 아이소벨라, 파이프 백작부인,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출생: 1320년)
- * 하얌 우루크, 마자파히트 제국 통치자 (출생: 1334년)
- * 이그나티우스 사바 1세, 투르압딘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2]
- * 고려의 문신 김저, 정득후
6. 1. 동아시아
6. 2. 서아시아 및 동유럽
-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1세가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되었다.[2]
-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사망했다. (1350년 출생)[2]
- 6월 15일 (코소보 전투)[2]
- * 세르비아의 공작 라자르가 사망했다. (1329년 출생)
- *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1세가 사망했다. (1326년 출생)
- * 세르비아의 기사 밀로시 오빌리치가 사망했다.
- 마자파히트 제국의 통치자 하얌 우루크가 사망했다. (1334년 출생)[2]
- 이그나티우스 사바 1세(Ignatius Saba I) 투르압딘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가 사망했다.[2]
6. 3. 서유럽
- 3월 1일 - 안토니누스 데 피렌체(Antoninus of Florence), 이탈리아 대주교 (1459년 사망)
- 6월 20일 - 랭커스터의 존(John of Lancaster, 1st Duke of Bedford), 잉글랜드 섭정 (1435년 사망)
- 4월 10일 - 코시모 데 메디치(Cosimo de' Medici), 피렌체 통치자 (1464년 사망)
- 11월 9일 - 이사벨라 드 발루아(Isabella of Valois), 프랑스 공주이자 잉글랜드 왕비 (1409년 사망)[1]
- 12월 24일 - 브르타뉴 공작 장 6세(John VI, Duke of Brittany) (1442년 사망)
- 10월 15일 - 우르바노 6세(Pope Urban VI) (1318년 출생)
- 날짜 불명 - 아이소벨라, 파이프 백작부인(Isabella, Countess of Fife),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1320년 출생)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Monarch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2-24
[2]
백과사전
Sobo, Ignatius
https://gedsh.bethma[...]
Gorgias Press
2020-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