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글루크 티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글루크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의 4대손으로, 1348년 톈산산맥을 근거지로 하는 모굴리스탄 칸국의 칸으로 추대되어 차가타이 칸국이 동서로 분열되었다. 그는 1360년과 1361년 서투르키스탄을 침공하여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재통합했으며, 바를라스 부족의 티무르를 등용하기도 했다. 투글루크 티무르는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다른 종교와 지식인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1363년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알말릭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굴리스탄 칸국 - 일리아스 호자
일리아스 호자는 1363년 투글루크 티무르에 의해 트란스옥시아나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으나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의 저항에 직면했고, 흑사병으로 인해 지배를 잠시 미루다 1368년 카마르 웃딘에게 살해당했다. - 모굴리스탄 칸국 - 카마르 웃딘 칸
카마르 웃딘 칸은 14세기 후반 모굴리스탄의 칸으로, 일리아스 호자를 암살하고 칸이 되었으나 티무르 제국과의 전투에서 고전하다가 알타이 산맥에서 실종되었다. - 1329년 출생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1329년 출생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차가타이 칸국의 칸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차가타이 칸국의 칸 - 알루구
알루구는 1260년 차가타이 칸국의 수장으로 임명되어 중앙 아시아를 장악하고 아릭 보케를 지지하다 배신했으며, 쿠빌라이 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카이두를 공격했으나 패배한 인물이다.
투글루크 티무르 | |
---|---|
기본 정보 | |
이름 | 투글루크 티무르 칸 |
다른 이름 | 타르마시린 칸 (개종 전) |
칭호 | 칸 |
통치 기간 | 1360년 - 1363년 |
통치 지역 | 차카타이 한국 |
종교 | 이슬람교 (수니파) (개종 후) |
출생 | 1312년/1313년경 |
사망 | 1363년 |
매장 장소 | 차카타이 한국 |
시대 | 14세기 |
가문 | |
왕조 | 차카타이 왕조 |
아버지 | 에센 부카 1세 |
자녀 | 일야스 호자 히즈르 호자 |
차카타이 한국 통치 | |
통치 시작 | 1360년경 |
통치 종료 | 1363년 |
이전 통치자 | 샤 테무르 |
이후 통치자 | 아딜 술탄 |
모굴리스탄 통치 | |
통치 시작 | 1347년 |
통치 종료 | 1360년 |
이전 통치자 | 해당사항 없음 |
이후 통치자 | 일야스 호자 |
2. 생애
투글루크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의 후손으로, 14세기 중반 차가타이 칸국이 동서로 분열된 상황에서 등장했다. 1347년 모굴리스탄 칸국의 칸으로 즉위한 그는, 1360년과 1361년 두 차례에 걸쳐 서차가타이 칸국(트란스옥시아나)을 침공하여 일시적으로 칸국을 재통합했다.[8]
1360년 첫 침공에서 그는 대부분 부족 아미르들의 지지를 얻었다. 바를라스 부족의 하지 베그는 도망쳤고, 몽골인들은 그의 어린 조카 티무르에게 영토 관리를 맡겼다. 이는 훗날 티무르가 티무르 제국을 건설하는 기반이 되었다.[5] 1361년, 투글루크 티무르는 다시 트란스옥시아나를 침공하여 여러 아미르들을 처형하고 권력을 집중했다. 아미르 후세인이 반대하자 아무다리야 남쪽 영토를 침략하여 승리했고, 아미르 후세인은 도망쳤다. 몽골 군대는 쿤두즈까지 추격하여 약탈했다.[5]
투글루크 티무르는 트란스옥시아나 아미르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차가타이 칸국을 재통일한 후, 아들 일리아스 호자를 트란스옥시아나 총독으로 임명하고 모굴리스탄으로 돌아갔다.[5] 그러나 그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1363년 3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무덤은 알말리크(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콜가스 시)에 있다.
투글루크 티무르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인물로, 이로 인해 모굴리스탄의 아미르들도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되었다. 그는 다른 종교와 지식인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차가타이와 원나라 선조들이 불교에 대해 가졌던 관심을 공유했다.[5] 1363년경 원나라 수도 다두(현재 베이징)에서 돌아오던 티베트 불교 라마 롤파이 도르지를 초청했으나, 롤파이 도르지는 거리와 칸의 이슬람 개종을 이유로 초청을 정중히 거절했다.[6]
2. 1. 초기 생애와 배경
투글루크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의 4대손이자 차가타이 한국의 11대 군주 두아의 아들 아미르 호자(埃米尔火者)의 아들이었다.[8]1346년 차가타이 한국 서부에서 다니시멘지를 괴뢰 칸으로 추대했다. 그러자 1348년, 현재의 신장 지역인 차가타이 칸국 동부 지역의 유력 가문인 도그라트(Duglaht)부에서 투글루크 티무르를 옹립하면서 차가타이 칸국은 동서로 분열되었다.[8]
1346년 차가타이 칸국(Chagatai Khanate)의 카잔 칸(Qazan Khan ibn Yasaur)이 사망한 후, 칸국은 변화를 겪었다. 서쪽(트란스옥사니아)에서는 주로 투르크-몽골(Turko-Mongol) 부족들이 카라우나스(Qara'unas) 아미르들의 지휘 아래 권력을 장악했다. 아미르들은 칭기즈 칸 가문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칭기즈 칸의 여러 후손들을 칸의 자리에 앉혔지만, 이들은 명목상의 통치자일 뿐 실질적인 권력은 없었다.[8]
동부 지역은 칸들의 권력 약화로 인해 수년 동안 사실상 자치 상태였다. 트란스옥사니아와는 달리 이 동부 지역(대부분 "모굴리스탄"으로 알려짐)은 주로 몽골인들이 거주했으며, 불교와 샤머니즘이 주된 종교였다.[8]
이 시기 칸국 동부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은 몽골계 두글라트(Dughlat) 아미르 가문이었다. 두글라트 가문은 카슈가르, 악수, 야르칸트, 호탄 등 여러 중요 도시들을 칸의 봉신으로서 지배하고 있었다. 1347년경, 두글라트 아미르 불라지(Bulaji)는 트란스옥사니아의 상황을 보고 자신이 선택한 칸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그의 선택은 당시 그저 모험가에 불과했던 투글루크 티무르였다.[8]
2. 2. 이슬람교로의 개종
투글루크 티무르는 무슬림 성직자 마울라나 아르샤드 우드 딘(Mauláná Arshad-ud-Din)에 의해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3] 투글루크는 성직자를 불러 그의 사냥에 간섭한 이유를 물었는데, 성직자는 자신이 침입하고 있는 줄 몰랐다고 답했다. 이때 투글루크는 성직자가 페르시아 사람임을 알아채고 "개 한 마리가 페르시아인보다 더 가치 있다"라고 말했다. 성직자는 "그렇습니다. 만약 우리에게 진정한 신앙이 없었다면, 우리는 정말 개보다 더 나빴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당황한 투글루크는 성직자에게 "진정한 신앙"을 설명하라고 명령했고, 이렇게 해서 투글루크는 이슬람의 교리를 배우게 되었다. 그 후 투글루크는 이슬람을 받아들였다.[4] 이 행위는 모굴리스탄의 아미르들도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만들었다. 한 기록에 따르면 "그는 할례를 받았고, 같은 날 16만 명이 머리를 깎고 이슬람을 고백했다"고 한다.[1]2. 3. 칸 즉위와 차가타이 칸국 재통합
투글루크 티무르는 1347년 모굴리스탄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8] 1346년 차가타이 칸국의 카잔 칸이 사망한 후, 칸국 서부(트란스옥시아나)에서는 투르크-몽골 부족들이 카라우나스 아미르들의 지휘 아래 권력을 장악했다. 이들은 명목상 칭기즈 칸의 후손들을 칸으로 옹립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없었다.[5]반면, 동부 지역은 칸의 권력 약화로 수년간 자치 상태였다. 이 지역은 주로 몽골인들이 거주했으며, 불교와 샤머니즘이 주된 종교였다. 당시 칸국 동부의 가장 강력한 세력은 몽골계 두글라트 가문이었고, 이들은 카슈가르, 악수, 야르칸트, 호탄 등 여러 중요 도시들을 지배하고 있었다. 1347년경, 두글라트부의 아미르 불라지는 트란스옥시아나의 상황을 보고 자신이 선택한 칸을 세우기로 결정했고, 그가 선택한 인물이 바로 투글루크 티무르였다.[5]
투글루크 티무르는 1360년과 1361년, 두 차례에 걸쳐 서차가타이 칸국(트란스옥시아나)을 침공했다.[8] 1360년 3월의 첫 침공에서 그는 대부분의 부족 아미르들의 지지를 얻었다. 바를라스 부족의 하지 베그는 도망쳤고, 몽골인들은 그의 어린 조카 티무르를 대신 영토를 관리하도록 했다. 이는 훗날 티무르가 티무르 제국을 건설하는 첫걸음이 되었다.[5]
1361년, 투글루크 티무르는 다시 트란스옥시아나를 침공하여 아미르 바야지드와 부얀 술두스 등 여러 아미르들을 처형하고 권력을 집중했다. 카라우나스 아미르 후세인이 반대하자 아무다리야 남쪽의 영토를 침략하여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미르 후세인은 도망쳤고, 몽골 군대는 쿤두즈까지 추격하여 약탈했다.[5]
이로써 트란스옥시아나 아미르들의 권력을 파괴하고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재통합한 투글루크 티무르는 아들 일리아스 호자를 트란스옥시아나 총독으로 임명하고 모굴리스탄으로 돌아갔다.[5]
2. 4. 통치와 사망
투글루크 티무르는 트란스옥시아나 아미르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차가타이 칸국을 재통일한 후, 아들 일리아스 호자를 트란스옥시아나 총독으로 임명하고 모굴리스탄으로 돌아갔다.[5]알리 술탄이 프란체스코 수도회 선교사들을 살해한 것과는 달리, 투글루크 티무르는 다른 종교와 지식인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차가타이와 원나라 선조들이 불교에 대해 가졌던 관심을 공유했다.[5] 1363년경 원나라 수도 다두(현재 베이징)에서 돌아오던 티베트 불교 라마 롤파이 도르지를 초청했으나,[6] 롤파이 도르지는 거리와 칸의 이슬람 개종을 이유로 초청을 정중히 거절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몽골인들은 몽골 정체성과 몽골어를 유지했다.
1363년, 투글루크 티무르는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알말리크(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콜가스 시)에 있다. 그가 트란스옥시아나를 정복한 것은 오래가지 못했는데, 아미르 후세인과 티무르가 일리아스 호자에게서 트란스옥시아나를 쉽게 빼앗았기 때문이다.
3. 유산 및 영향
투글루크 티무르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통치자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몽골 전통과 이슬람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가 형성되었다.[5] 그는 다른 종교와 지식인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원나라 궁정에서 돌아오던 티베트의 라마 롤파이 도르지를 초청하기도 했다.[6] 그러나 롤파이 도르지는 거리와 칸의 이슬람 개종을 이유로 초대를 거절했다. 투글루크 티무르의 통치 기간 동안 몽골인들은 몽골 정체성과 몽골어를 유지했다.
투글루크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재통합했지만, 1363년 그가 사망하면서 통합은 붕괴되었다.[5] 이후 티무르가 등장하여 티무르 제국을 건설하는 데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투글루크 티무르에 의해 아미르가 된 티무르는 여러 부족들을 제압하고 1370년에 서차가타이 칸국을 장악했다.
투글루크 티무르는 3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무덤은 알말리크에 있다. 투글루크 티무르 묘는 알말리크에 위치한 그의 영묘이다.
4. 가계
투글루크 티무르|투글루크 티무르중국어는 칭기즈 칸의 둘째 아들 차가타이 칸의 후손이다.[7] 바부르가 저술한 바부르나마(بابر نامہ) 1장 19페이지에는 그의 외조부 유누스 칸(يونس خان)의 족보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유누스 칸은 칭기즈 칸(چنگیز خان)의 둘째 아들 차가타이 칸(چغتای خان)의 후손으로, 유누스 칸은 와이스 칸(ویس خان)의 아들이며, 와이스 칸은 셰르알리 오글란(شیر علی اوغلان)의 아들이며, 셰르알리 오글란은 무함마드 칸(محمد خان)의 아들이며, 무함마드 칸은 키즈르 호자(خضر خواجه خان)의 아들이며, 키즈르 호자 칸은 투글루크 티무르|투글루크 티무르중국어 칸(تغلوق تیمور خان)의 아들이며, 투글루크 티무르|투글루크 티무르중국어 칸은 아이산 부가 칸(ایسن بوغا خان)의 아들이며, 아이산 부가 칸은 다와 칸(داوا خان)의 아들이며, 다와 칸은 바라크 칸(بارق خان)의 아들이며, 바라크 칸은 예순타와 칸(یسون توآ خان)의 아들이며, 예순타와 칸은 무투칸(موتوکان)의 아들이며, 무투칸은 칭기즈 칸의 아들 차가타이 칸의 아들이다."[7]
차가타이 칸의 4대손이자 차가타이 한국의 11대 군주 두아의 아들 아미르 호자(埃米尔火者)의 아들이었다.
style="border:none;"| |
참조
[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
서적
Society and Culture in the Early Modern Middle East
University of Edinburgh
[3]
서적
Tarikh e Rashidi
[4]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5]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6]
서적
The Karma-Pa Sect. A Historical Note
[7]
서적
The Babur Nama in English
[8]
서적
The Tarikh-i-Rashidi: A History of the Moghuls of Central Asia
[9]
서적
モグール・ウルスから新疆へ 東トルキスタンと明清王朝
東アジア・ 東南アジア伝統社会の形成
[10]
서적
トゥグルク・ティームール
アジア歴史事典 7巻
[11]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12]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13]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14]
서적
ティムール帝国支配層の研究
[15]
서적
ティムール帝国支配層の研究
[16]
서적
大モンゴルの時代
[17]
서적
大モンゴルの時代
[18]
서적
大モンゴルの時代
[19]
서적
モグール・ウルスから新疆へ 東トルキスタンと明清王朝
東アジア・ 東南アジア伝統社会の形成
[20]
서적
モグール・ウルスから新疆へ 東トルキスタンと明清王朝
東アジア・ 東南アジア伝統社会の形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