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멘스크샤흐틴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1671년 코사크 정착촌으로 시작되어, 1817년 홍수와 화재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1920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다가 1925년 러시아로 이관되었으며, 1927년 시로 승격되어 카멘스크가 되었고, 1929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1954년부터 1957년까지 카멘스크 주의 주도였다. 주요 산업으로는 인조 섬유, 채광 기계, 유리 생산 등이 있으며, 유럽 고속도로 E40이 지나간다. 2024년 8월에는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으로 연료 저장 시설에 화재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토프주 - 로스토프나도누
    로스토프나도누는 러시아 남부 돈 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1749년 세관 설치를 시작으로 발전하여 주요 무역 및 교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현재는 러시아 남부 군관구의 주요 거점이다.
  • 로스토프주 - 아조프
    아조프는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돈 강 어귀의 상업 중심지로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기원하여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쳤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 요새 건설과 러시아 제국과의 격전지, 그리고 표트르 1세의 아조프 원정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아조프스키군의 행정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박물관을 통해 풍부한 역사를 보여준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카멘스크샤흐틴스키
개요
카멘스크-샤흐틴스키 문장
문장
카멘스크-샤흐틴스키 깃발
깃발
위치 좌표북위 48° 19′ 14″ 동경 40° 15′ 40″
행정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로스토프 주
도시 관할구카멘스크-샤흐틴스키 도시 округ
일반 정보
지위도시
설립1686년
도시 지위 획득1927년
인구
2010년 인구 조사95,296명
인구 순위러시아 내 180위
2002년 인구 조사75,632명
1989년 인구 조사72,379명
기타
시간대MSK (UTC+3)

2. 역사

1671년 코사크 정착촌인 카멘스카야가 현재의 카멘스크샤흐틴스키 근처에 세워졌고, 19세기 말 탄광 개발과 철도 부설로 인구가 증가했다.[1] 1927년 3월 28일 시로 승격되었으나, 다른 카멘스크 시와 구별하기 위해 1929년 카멘스크샤흐틴스키로 개명되었다.[1]

2004년, 도시형 정착촌 리호프스코이(2002년 인구 조사 기준 13,638명)와 자보드스키(2002년 인구 조사 기준 8,962명)가 합병되어 인구가 10만 명 가까이 증가했지만,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1]

2024년 8월 28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속된 전투에서 우크라이나 드론이 FDKU 아틀라스 연료 저장 시설에 화재를 일으켰다. 이 시설은 국가 비축 연방 기관의 일부이다.[1]

2. 1. 초기 역사

1671년 현재의 카멘스크샤흐틴스키 근처에 카멘스카야라는 코사크 정착촌이 세워졌다. 카멘스카야는 인근에 흐르던 카멘카 강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위치는 봄철 눈이 녹아 발생하는 홍수에 취약했고, 여러 차례 큰 화재가 발생하여 마을은 이전을 반복했다. 1817년 대화재 이후 현재의 도네츠 강 우안(남안)으로 이전했다. 당시 카멘스카야는 돈 군관구에 속했으며, 19세기 말부터 탄광 개발과 철도 부설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큰 마을이 되었다.[1]

10월 혁명러시아 내전 이후, 카멘스카야는 1920년부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 현에 소속되었으나, 1925년 10월 행정 개혁으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되었다. 1927년 3월 28일 카멘스카야는 시 지위를 부여받아 카멘스크 시가 되었지만, 다른 카멘스크 시(우랄 지방의 카멘스크우랄스키 등)와 구별하기 위해 1929년 카멘스크샤흐틴스키로 개명되었다. 샤흐틴스키는 "광산의"를 의미하며, 현지의 중요한 산업인 탄광에서 유래되었다.[1]

2. 2. 소비에트 연방 시대

10월 혁명러시아 내전 이후, 카멘스카야는 1920년부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도네츠크 현에 소속되었으나, 1925년 10월의 행정 개혁으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되었다. 1927년 3월 28일 카멘스카야는 시로 승격되어 카멘스크 시가 되었지만, 다른 카멘스크 시(우랄 지방의 카멘스크우랄스키 등)와 구별하기 위해 1929년 카멘스크샤흐틴스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샤흐틴스키는 "광산의"라는 뜻으로,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인 탄광에서 유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 전쟁(소련에서 "대조국 전쟁"으로 칭함) 당시,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1942년 7월 18일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1943년 2월 13일 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일부 주민들은 파르티잔 활동을 통해 독일군에 저항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 소부대가 카멘스크샤흐틴스키 인근에 도달했으나 시가지를 점령하고 해방하지는 못했고, 이후 독일군에 의해 시민들이 징병, 심문, 학살당했다.

1954년부터 1957년까지 로스토프 주 북부와 그 주변 지역에 카멘스크 주가 설치되어 카멘스크샤흐틴스키가 주도가 되었으나, 주가 해체되면서 다시 로스토프 주로 복귀했다. 1987년 카멘스카야 역에서 카멘스크샤흐틴스키 철도 사고가 발생하여 106명이 사망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 전쟁(소련에서 "대조국 전쟁"이라 칭함) 당시,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1942년 7월 18일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1943년 2월 13일 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일부 주민들은 파르티잔 활동을 통해 독일군에 저항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 소부대가 카멘스크샤흐틴스키 인근에 도달했으나, 시가지 진입 및 해방에는 실패했고, 이후 독일군에 의해 시민 징병, 심문, 학살 등이 자행되었다.

2. 4. 현대

1927년 3월 28일, 카멘스카야는 시로 승격되어 카멘스크 시가 되었지만, 다른 카멘스크 시(우랄 지방의 카멘스크우랄스키 등)와 구별하기 위해 1929년에 카멘스크샤흐틴스키로 개명되었다. 샤흐틴스키는 "광산의"를 의미하며, 현지의 중요한 산업인 탄광에서 유래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소 전쟁(대조국 전쟁)에서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1942년 7월 18일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1943년 2월 13일 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주민들은 파르티잔 활동을 통해 독일군에 저항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 소부대가 카멘스크샤흐틴스키 근처에 도달했지만 시가지 진입 및 해방에는 이르지 못했고, 이후 독일군에 의해 시민 징병, 심문, 학살 등이 이루어졌다.[1]

1954년부터 1957년까지 로스토프주 북부와 그 주변에 "카멘스크주"가 설치되어 카멘스크샤흐틴스키가 주도가 되었지만, 주의 해체로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로스토프주로 돌아갔다. 1987년 카멘스카야역에서 카멘스크샤흐틴스키 철도 사고가 발생하여 106명이 사망했다.[1]

2004년, 도시형 정착촌 리호프스코이(2002년 인구 조사 기준 13,638명)와 자보드스키(2002년 인구 조사 기준 8,962명)가 합병되어 인구가 10만 명 가까이 증가했지만,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1]

2024년 8월 28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속된 전투에서 우크라이나 드론이 FDKU 아틀라스 연료 저장 시설에 화재를 일으켰다. 이 시설은 국가 비축 연방 기관의 일부이다.[1]

3. 행정 구역

행정 구역 내에서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연방 주에 속하는 도시로서 도시 구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3] 지방 자치체로서 이 행정 단위는 또한 도시 구의 지위를 갖는다.[4]

4. 경제

과거 동부 도네츠 분지(돈바스)의 주요 석탄 채굴 중심지였던 이곳은 현재 인조 섬유, 채광 기계, 유리 등의 중요한 생산지이다. 유럽 고속도로 E40이 카멘스크샤흐틴스키를 통과한다. 카멘스키 화학 공장이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1]

카멘스크샤흐틴스키는 도네츠 분지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탄광이 번성했다. 시내에는 화학 공장, 기계 제조 공장, 식품 공장 등이 입지해 있다.[1]

수도 모스크바(910km)와 남쪽의 주도 로스토프나도누, 크라스노다르 지방을 잇는 러시아 연방 도로 M4가 지나가며, 철도는 로스토프나도누와 각지를 잇고 있다.[1]

5. 기후

카멘스크샤흐틴스키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록을 기준으로 하며, NOAA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른다.[5]

카멘스크샤흐틴스키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91–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0.9°C0.1°C7°C16.7°C23.5°C28.5°C30.5°C30.1°C23.2°C14.9°C5.9°C0.8°C15°C
평균 기온 (°C)-3.9°C-3.4°C2.4°C10.4°C16.8°C21.8°C23.8°C23°C16.5°C9.5°C2.4°C-1.9°C9.8°C
평균 최저 기온 (°C)-6.6°C-6.2°C-1.1°C5°C10.7°C15.5°C17.4°C16°C10.5°C5.1°C-0.4°C-4.3°C5.1°C
강수량 (mm)34.5mm30.5mm31.1mm29.8mm45.4mm42.1mm58.2mm28.7mm32.3mm36mm31.8mm39.7mm440.1mm
강수 일수 (≥ 1mm)76756664566771
상대 습도 (%)84817563615655536273818569


6. 갤러리

중재 교회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뉴스 Ukrainian drones hit Russian oil depot in Rostov Oblast, source confirms https://kyivindepend[...]
[3] 법률 Law #340-ZS
[4] 법률 Law #236-ZS
[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Kamensk-Shakhtinsky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4-09
[6]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