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번디시 실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번디시 실험은 1797년 헨리 캐번디시가 수행한 실험으로, 비틀림 저울을 사용하여 중력 상수를 최초로 측정했다. 이 실험은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검증하고, 지구의 밀도와 질량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 기여했다. 캐번디시는 비틀림 저울을 통해 작은 공들 간의 중력 인력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중력 상수와 지구의 밀도를 계산했다. 이 실험은 과학적 방법론의 발전과 지구 물리학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립학회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 왕립학회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캐번디시 실험 | |
---|---|
개요 | |
![]() | |
목적 | 만유인력 상수 측정, 지구의 밀도 측정 |
관련 인물 | 헨리 캐번디시 |
발표 연도 | 1798년 |
상세 정보 | |
실험 시기 | 1797년 - 1798년 |
실험 장소 | 헨리 캐번디시의 집 실험실 |
실험 도구 | 비틀림 저울 |
측정 변수 | 중력 |
계산 대상 | 만유인력 상수 (G) 지구의 밀도 |
주요 결과 | 지구의 밀도와 만유인력 상수를 최초로 합리적인 정확도로 측정함. |
중요성 |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지구의 질량과 밀도를 추정하는 데 기여함. |
작동 원리 | |
원리 | 작은 질량 사이의 중력을 측정하여 만유인력 상수를 결정한다. |
설명 | 비틀림 저울에 매달린 두 개의 작은 공에 가까이 큰 질량의 추를 가져다 놓으면, 두 질량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인해 저울이 회전한다.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만유인력 상수를 구할 수 있다. |
2. 실험 장치 및 원리
캐번디시가 사용한 비틀림 균형 장치는 '비틀림 저울'이라고도 불린다. 이 장치는 1.8m 길이의 나무 막대 양 끝에 지름 5.08cm, 무게 0.73kg의 납 공(작은 공)을 매달아 놓은 구조이다. 이 막대는 와이어로 매달려 있으며, 작은 공 근처에는 별도로 매달린 지름 30.48cm, 무게 158kg의 큰 납 공이 22.86c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35]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중력 인력으로 인해 작은 공이 매달린 막대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가 비틀린다. 와이어의 비틀림 힘과 두 공 사이의 중력 인력이 균형을 이룰 때 막대의 회전이 멈춘다. 캐번디시는 막대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고, 와이어의 비틀림 힘(토크)을 앎으로써 두 공 사이의 힘을 결정할 수 있었다.[37] 작은 공에 작용하는 지구의 중력은 직접 측정 가능하므로, 두 힘의 비율을 통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사용하여 지구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작은 공이 회전한 각도(θ)와 와이어의 비틀림 힘(K)은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
(여기서 L은 두 공 사이의 거리, F는 중력이다.)
캐번디시는 와이어의 비틀림 계수를 구하기 위해 저울 막대의 진동 주기를 측정했다. 처음 3번의 실험에서는 주기가 약 15분이었고, 이후 더 뻣뻣한 와이어를 사용한 14번의 실험에서는 약 7.5분이었다.[11] 비틀림 계수는 이 주기와 저울의 질량 및 치수로부터 계산 가능했다.
캐번디시의 장비는 매우 민감하여, 비틀림 저울을 비트는 힘은 1.74 × 10-7 N[12]으로, 작은 공 무게의 약 1/50,000,000에 불과했다.[13] 그는 공기의 흐름과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체 장치를 약 1.98m 너비, 1.27m 높이, 14cm 두께의 마호가니 상자에 넣고, 외부와 차단된 창고에 설치했다. 창고 벽의 두 구멍을 통해 망원경으로 막대의 움직임을 관찰했으며, 막대 끝의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0.01인치보다 정밀하게 측정했다.[15]
2. 1. 비틀림 균형 장치
캐번디시가 사용한 비틀림 균형 장치는 '비틀림 저울'이라고도 불린다. 이 장치는 1.8m(6피트) 길이의 나무 막대 양 끝에 지름 5.08cm(2인치), 무게 0.73kg(1.61파운드)의 납 공(작은 공)을 매달아 놓은 구조이다.[35] 이 막대는 와이어로 매달려 있으며, 작은 공 근처에는 별도로 매달린 지름 30.48cm(12인치), 무게 158kg(348파운드)의 큰 납 공이 22.86cm(9인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35]thumb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중력 인력으로 인해 작은 공이 매달린 막대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가 비틀린다. 와이어의 비틀림 힘과 두 공 사이의 중력 인력이 균형을 이룰 때 막대의 회전이 멈춘다. 캐번디시는 막대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고, 와이어의 비틀림 힘(토크)을 앎으로써 두 공 사이의 힘을 결정할 수 있었다.[37] 작은 공에 작용하는 지구의 중력은 직접 측정 가능하므로, 두 힘의 비율을 통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사용하여 지구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때, 작은 공이 회전한 각도(θ)와 와이어의 비틀림 힘(K)은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
(여기서 L은 반지름이고, F는 중력이다.)
캐번디시는 와이어의 비틀림 계수를 구하기 위해 저울 막대의 진동 주기를 측정했다. 처음 3번의 실험에서는 주기가 약 15분이었고, 이후 더 뻣뻣한 와이어를 사용한 14번의 실험에서는 약 7.5분이었다.[37] 비틀림 계수는 이 주기와 저울의 질량 및 치수로부터 계산 가능했다.
캐번디시의 장비는 매우 민감하여, 비틀림 저울을 비트는 힘은 1.74 × 10-7 N[38]으로, 작은 공 무게의 약 1/50,000,000에 불과했다.[39] 그는 공기의 흐름과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체 장치를 약 1.98m 너비, 1.27m 높이, 14cm 두께의 마호가니 상자에 넣고, 외부와 차단된 창고에 설치했다.[41] 창고 벽의 두 구멍을 통해 망원경으로 막대의 움직임을 관찰했으며, 막대 끝의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0.01인치보다 정밀하게 측정했다.[42]
2. 2. 중력과 비틀림 힘의 관계
비틀림균형장치(Torsion Balance Instrument)는 '비틀림 저울'이라고도 한다.큰 공이 작은 공을 끌어당기는 중력의 힘의 크기는 작은 공이 회전한 각도(θ)로부터 알 수 있다. 이때 작은 공이 매달린 와이어의 비틀림 힘(K)도 중력의 힘이다.
:
3. 중력 상수 측정
중력 (F)은 두 질량 M과 m의 곱에 비례하고, 두 질량 사이의 거리 r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여기에 중력 상수 G를 곱한 값으로 표현된다.[25][26][27] 즉, 다음과 같다.
:
캐번디시 실험에서는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이 중력 상수를 측정했다. 비틀림 저울에서 비틀림 힘은 회전 각도에 비례하며, 이 관계는 Kθ = LF (여기서 K는 비틀림 계수, θ는 회전 각도, L은 비틀림 막대의 길이, F는 중력)로 나타낼 수 있다. 위 두 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
:
K는 비틀림 진자의 진동 주기 T와 관성 모멘트 I를 통해 구할 수 있다. () 이 값을 위의 식에 대입하고, G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중력 상수 공식을 얻을 수 있다.
:
이 공식에서 T, L, θ, r, M은 모두 측정 가능한 값으로, 이를 통해 중력 상수 G를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57][58][59]
캐번디시는 비틀림 힘의 계수 K를 공명하는 진자의 진동주기 T와 관성 모멘트 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25][26][27]
:
여기서 관성 모멘트 I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 식들을 통해 진동 주기 T를 이용하면, 비틀림 힘의 계수 K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훅의 법칙에 따르면, 비틀림 철사에 작용하는 토크는 밸런스의 편향 각도 에 비례하며, 비틀림 계수 를 사용하여 로 표현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한 반대 방향 토크는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인력과 철선까지의 거리 L/2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두 공이 밸런스 축에서 L/2 거리에 있으므로 ''LF''이다. 평형 상태에서 이 두 토크는 균형을 이루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인력 ''F''는 다음과 같다.
:
이 ''F''를 위의 토크 균형 식에 대입하면 비틀림 계수와 관련된 식을 얻을 수 있다.
3. 1. 중력 상수 계산
중력 (F)은 두 질량 M과 m의 곱에 비례하고, 두 질량 사이의 거리 r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여기에 중력 상수 G를 곱한 값으로 표현된다.[25][26][27] 즉, 다음과 같다.
:
캐번디시 실험에서는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이 중력 상수를 측정했다. 비틀림 저울에서 비틀림 힘은 회전 각도에 비례하며, 이 관계는 Kθ = LF (여기서 K는 비틀림 계수, θ는 회전 각도, L은 비틀림 막대의 길이, F는 중력)로 나타낼 수 있다. 위 두 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
:
K는 비틀림 진자의 진동 주기 T와 관성 모멘트 I를 통해 구할 수 있다. () 이 값을 위의 식에 대입하고, G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중력 상수 공식을 얻을 수 있다.
:
이 공식에서 T, L, θ, r, M은 모두 측정 가능한 값으로, 이를 통해 중력 상수 G를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57][58][59]
3. 2. 비틀림 힘 계수 (K) 측정
캐번디시는 비틀림 힘의 계수 K를 공명하는 진자의 진동주기 T와 관성 모멘트 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25][26][27]:
여기서 관성 모멘트 I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 식들을 통해 진동 주기 T를 이용하면, 비틀림 힘의 계수 K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훅의 법칙에 따르면, 비틀림 철사에 작용하는 토크는 밸런스의 편향 각도 에 비례하며, 비틀림 계수 를 사용하여 로 표현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한 반대 방향 토크는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인력과 철선까지의 거리 L/2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두 공이 밸런스 축에서 L/2 거리에 있으므로 ''LF''이다. 평형 상태에서 이 두 토크는 균형을 이루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큰 공과 작은 공 사이의 인력 ''F''는 다음과 같다.
:
이 ''F''를 위의 토크 균형 식에 대입하면 비틀림 계수와 관련된 식을 얻을 수 있다.
4. 지구 밀도 및 질량 측정
캐번디시가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중력 상수()를 측정 한 후, 지구의 질량과 밀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지구 표면의 물체가 지구 자체에 작용하는 인력을 이용하여 지구 질량()과 밀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구 표면에서 질량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위 식을 지구 질량()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지구 밀도()는 지구 질량을 지구 부피로 나눈 값이다. 지구를 반지름이 인 완전한 구로 가정하면, 지구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캐번디시의 측정 결과, 지구 밀도는 5.448±0.033g/cm3으로 측정되었다.[60][61] 이는 현재 알려진 지구 밀도 값인 5.515g/cm3과 비교적 가까운 값이다.
4. 1. 지구 밀도 계산
캐번디시가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중력 상수()를 측정 한 후, 지구의 질량과 밀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지구 표면의 물체가 지구 자체에 작용하는 인력을 이용하여 지구 질량()과 밀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지구 표면에서 질량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위 식을 지구 질량()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지구 밀도()는 지구 질량을 지구 부피로 나눈 값이다. 지구를 반지름이 인 완전한 구로 가정하면, 지구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캐번디시의 측정 결과, 지구 밀도는 5.448±0.033g/cm3으로 측정되었다.[60][61] 이는 현재 알려진 지구 밀도 값인 5.515g/cm3과 비교적 가까운 값이다.
4. 2. 지구 질량 계산
캐번디시 실험을 통해 일단 만유인력 상수 ''G''가 구해지면, 지구 표면의 물체가 지구 자체에 작용하는 인력을 이용하여 지구 질량과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57][58][59]지구 표면에서 물체가 지구로부터 받는 힘을 이용하여, 지구의 질량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
지구의 밀도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캐번디시의 측정에서 지구 밀도는 5.448±0.033g/cm3로 측정되었다.[60][61] 현재 지구 밀도는 5.515 g/cm3로 알려져 있다.
기호 정의에 대해서는 본 항목의 그림과 표를 참조하십시오.
기호 정의 | ||
비틀림 천칭 막대의 자연 정지 위치로부터의 변위각 | ||
질량 M 과 m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 ||
만유인력 상수 | ||
작은 납구의 질량 | ||
큰 납구의 질량 | ||
평형 상태에서의 큰 납구와 작은 납구의 중심 간 거리 | ||
비틀림 천칭의 작은 납구 중심 간의 거리 | ||
매달린 와이어의 비틀림 계수 | ||
비틀림 천칭의 관성 모멘트 | ||
비틀림 천칭의 진동 주기 | ||
지표면에서의 중력 가속도 | ||
지구의 질량 | ||
지구의 반지름 | ||
지구의 밀도 |
5. 실험의 의의 및 영향
5. 1. 과학적 의의
5. 2. 후속 연구 및 영향
6. 비판과 한계
6. 1. 실험 오차
6. 2. 중력 상수 측정의 어려움
7. 한국의 관점과 현대적 응용
7. 1. 한국의 중력 연구
7. 2. 교육 및 과학 대중화
7. 3. 현대적 응용
참조
[1]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The aim [of experiments like Cavendish's] may be regarded either as the determination of the mass of the Earth,...conveniently expressed...as its "mean density", or as the determination of the "gravitation constant", G'. Cavendish's experiment is generally described today as a measurement of ''G''.
1987
[3]
서적
mainly mechanics, radiation and heat
https://feynmanlectu[...]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12-09
[4]
간행물
1987
[5]
서적
Jungnickel & McCormmach 1996
https://books.google[...]
[6]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Density of the Earth
https://books.google[...]
1798-06-21
[8]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9]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Cavendish, Henry
[11]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12]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13]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14]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15]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16]
서적
Jungnickel & McCormmach 1996
https://books.google[...]
[17]
서적
Weighing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8]
서적
The Earth's Inner Co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9]
논문
Détermination nouvelle de la constante de l'attraction et de la densité moyenne de la Terre
http://gallica.bnf.f[...]
1873
[20]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21]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22]
서적
MacKenzie 1900
https://books.google[...]
[23]
논문
The curious case of the gravitational constant
2016-09-06
[24]
논문
Big G Redux: Solving the Mystery of a Perplexing Result
https://www.nist.gov[...]
2016-11-16
[25]
웹사이트
Cavendish Experiment, Harvard Lecture Demonstrations, Harvard Univ
http://sciencedemons[...]
2013-12-30
[26]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27]
간행물
1987
[28]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29]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1910
https://books.google[...]
[30]
Citation
Lectures on Physics, Vol.1
Addison-Wesley
[31]
간행물
1987
[32]
서적
McCormmach & Jungnickel 1996
https://books.google[...]
[33]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34]
간행물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Density of the Earth
https://books.google[...]
1798-06-21
[35]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36]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37]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38]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39]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40]
웹사이트
Mass of a Grain of Sand
http://hypertextbook[...]
2009-08-10
[41]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42]
서적
Cavendish 1798
https://books.google[...]
[43]
서적
McCormmach & Jungnickel 1996
https://books.google[...]
[44]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5]
서적
Lectures on Physics, Vol.1
Addison-Wesley
[46]
서적
The Character of Physical Law
MIT Press
[47]
간행물
Cavendish Experiment, Harvard Lecture Demonstrations, Harvard Univ
http://www.fas.harva[...]
2007-08-26
[48]
서적
Groundbreaking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49]
문서
Clotfelter 1987
[50]
서적
McCormmach & Jungnickel 1996
https://books.google[...]
[51]
웹사이트
Hodges 1999
http://www.public.ia[...]
[52]
문서
Lally 1999
[53]
논문
Mutual determination of the constant of attraction and the mean density of the earth
Paris
1873
[54]
서적
Boys 1894
https://books.google[...]
[55]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56]
서적
MacKenzie 1900
https://books.google[...]
[57]
웹사이트
Cavendish Experiment, Harvard Lecture Demonstrations, Harvard Univ.
http://www.fas.harva[...]
[58]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59]
문서
Clotfelter 1987
[60]
서적
Poynting 1894
https://books.google[...]
[61]
백과사전
Cavendish, Hen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