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다이냐이 합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다이냐이 합병은 1655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멸망을 시도한 사건으로, 라지비우 가문의 야노슈 라지비우와 보그스와프 라지비우가 스웨덴 왕 칼 10세 구스타브와 맺은 조약을 통해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스웨덴의 보호령으로 만들려 했다. 이 조약은 연방의 해체와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선언했지만, 야노슈 라지비우의 죽음과 민중 봉기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이 사건은 이후 라지비우 가문의 몰락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으며, 배신 또는 현실 정치의 결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케다이냐이 합병
기본 정보
이름케다이냐이 합병
원어 이름lt: Kėdainių unija 또는 Kėdainių sutartis
pl: Umowa Kiejdańska
케다이냐이 합병 조약 텍스트 (라틴어)
조약 텍스트 (라틴어)
유형스웨덴-리투아니아 연합 수립 및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법적 해산
서명일1655년 10월 20일
서명 장소케다이냐이, 리투아니아
서명 당사자칼 10세 구스타브
야누시 라지비우 (1612–1655)
참여 국가스웨덴 제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2. 역사

라지비우 가문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막대한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지만, 연방의 정치 체제에서는 일반 귀족(슐라흐타)과 동등한 신분일 수밖에 없어 마그나트의 지위에 머무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 때문에 라지비우 가문과 국왕 정부의 이해관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2]

1654년 스웨덴모스크바 러시아가 연방을 침공하여 대홍수가 시작되자, 라지비우 가문의 야누시 라지비우와 그의 사촌 보구스 law 라지비우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해체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독립시키기 위해 스웨덴 국왕 칼 10세 구스타브와 협상했다. 당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스웨덴과 러시아에게 협공당하고 있었고, 국왕 정부의 지배력은 거의 없었다. 야누시를 최고 사령관으로 하는 리투아니아군은 전투 없이 스웨덴군에게 항복했고, 리투아니아 서부와 폴란드 왕관령 대부분은 스웨덴군에게, 제마이티야, 수발키야, 아우크슈타이티야 일부를 제외한 리투아니아 대공국 대부분은 러시아군에게 점령되었다. 우크라이나는 흐멜니츠키의 난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야노슈 라지비우


1655년 10월 10일 케다이냐이 조약이 체결되어 리투아니아는 스웨덴의 보호국이 되고, 라지비우 가문은 독립된 공국을 얻는 대신, 러시아와의 전쟁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야누시 라지비우의 사망, 폴란드 민중 봉기, 스웨덴의 전쟁 등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2. 1. 라지비우 가문의 불만과 배경

라지비우 가문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막대한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연방의 정치 체제에서는 일반 귀족(슐라흐타)과 동등한 지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불만으로 라지비우 가문은 국왕 정부와 이해관계에 차이가 발생했다.[2]

야노슈 라지비우는 리투아니아 개신교도의 지도자로서, 국왕 브와디스와프 4세의 총애를 받았으나, 그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얀 2세 카지미에시와는 대립 관계에 있었다.[2] 1649년 선거 직후, 야노슈 라지비우는 게오르기 2세 라코치가 트란실바니아와 거래를 통해 폴란드 왕위를 차지하려는 노력을 지지했다. 그는 스웨덴과의 협상을 통해 리투아니아를 폴란드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를 했다.[2]

야누시 라지비우 공작

2. 2. 스웨덴과 러시아의 침공 (대홍수)

1654년 스웨덴러시아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침공하면서 대홍수 시대가 시작되었다.[5]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양쪽으로부터 협공을 당했고, 우크라이나에서는 흐멜니츠키 봉기가 일어나 혼란이 가중되었다.

야노슈 라지비우를 최고군사령관으로 삼은 리투아니아군은 별다른 교전 없이 스웨덴군에게 항복했고, 리투아니아 서부 지역과 폴란드 왕관령 대부분은 스웨덴군에게 점령되었다. 사모기티아, 수발키야, 아욱슈타이티야 일부를 제외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부분은 러시아군이 점령했다.

1655년 10월 10일, 야노슈 라지비우와 보그스와프 라지비우는 케다이냐이 성에서 스웨덴과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리투아니아는 스웨덴의 보호국이 되고, 양국은 동군연합을 결성하며, 라지비우 가문은 대공국 내 소유지를 독립 공국 형태로 양도받고,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기존의 자유와 특권을 유지하기로 했다.[5]

그러나 이 조약은 실행되지 못했다. 야노슈 라지비우는 조약 체결 2개월 후인 12월 31일 티코친 성에서 사망했고, 파베우 얀 사피에하가 리투아니아 대헤트만 지위를 이어받았다. 폴란드에서 일어난 민중 봉기는 스웨덴의 군사 지배를 무너뜨렸고, 스웨덴은 덴마크, 러시아와의 전쟁까지 겹쳐 리투아니아를 보호할 수 없게 되었다. 1657년 스웨덴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철수했고, 보그스와프 라지비우는 1669년 망명지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2. 3. 케다이냐이 조약과 리투아니아의 독립 시도

1655년 10월 10일(O.S) 야노슈와 보그스와프 라지비우는 케다이냐이 성에서 스웨덴과의 협정에 서명했다.[5] 이 조약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법적으로 무효가 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스웨덴의 보호국이 되어 러시아에 대한 군사 지원을 받는 대신 양국은 동군연합을 조직했다. 라지비우 가문은 대공국 내 소유 영지를 독립된 공국 형태로 양도받고,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기존의 자유와 특권을 유지했다.

2. 4. 조약의 실패와 라지비우 가문의 몰락

케다이냐이 조약의 주창자였던 야노슈 라지비우는 조약에 서명한 지 불과 2개월 후인 1655년 12월 31일, 얀 2세 카지미에시를 지지하는 군대에 포위된 티코친 성에서 사망했다.[5] 그의 죽음 직후 파베우 얀 사피에하가 성을 점령하고, 리투아니아 대헤트만 직위를 받았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일어난 민중 봉기는 스웨덴 군을 몰아냈다.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던 스웨덴군도 민중 반란에 의해 흩어졌다. 스웨덴은 덴마크, 러시아 등 여러 국가와의 전쟁으로 인해 리투아니아를 보호할 여력이 없었다. 스웨덴군의 패배와 철수(1657년)는 야노슈의 사촌 보그스와프의 야망을 꺾었다. 보그스와프는 프로스토키 전투에서 패배한 후 1669년 망명지인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이후 라지비우 가문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배신자'라는 오명을 얻고 몰락했다. 폴란드에서 보그스와프는 "(폴란드어: Gnida, 그니다)"로, 야노슈는 "배신자"(폴란드어: Zdrajca, 즈드라이차)로 불렸다. 미하우 카지미에슈 라지비우처럼 폴란드 측에 섰던 사람도 있었지만, 두 사람의 행동은 다른 가족 구성원의 공헌을 덮어버리는 "매국 행위"로 폴란드의 역사에 각인되었다.

3. 평가

케다이냐이 조약과 라지비우 가문의 행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하다. 동시대인들은 이 사건을 반역 행위로 여겼지만, 오늘날에는 엇갈린 평가가 존재한다.

일부는 야누시 라지비우가 스웨덴과의 협약을 맺은 이유가 탐욕이나 정치적 야망이 아닌 현실 정치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이론으로는, 야누시 라지비우가 러시아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동맹을 확보하려 했을 뿐이라는 견해가 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두 전선에서 전쟁을 치를 자원이 부족했고, 폴란드 왕국 역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여 미미한 양의 자금과 군사력만 지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3. 1. 배신인가, 현실 정치인가?

동시대 사람들은 라지비우 가문의 행동을 배신으로 여겼지만, 현대에는 야노슈 라지비우의 행동이 단순한 정치적 야망이 아닌, 러시아의 위협에 맞서기 위한 현실 정치의 결과였다는 평가도 존재한다.[3]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두 개의 전선에서 전쟁을 치를 여력이 없었고, 폴란드가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이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된다.[3] 그러나 스웨덴 역시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말뿐인 지원만 제공했을 뿐이어서, 결과적으로 이 선택은 잘못된 것이었다.

리투아니아 민족 부흥 시기, 마이로니스와 같은 일부 리투아니아 지식인들은 폴란드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리투아니아의 주권을 확보하려 한 리투아니아 귀족들을 칭찬하기도 했다.[3] 1995년에는 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이 양국 간 우호와 역사적 유대감을 상징하는 케다이냐이 조약 340주년을 기념했다.[4]

한편, 칼 10세의 연합 시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열을 꾀한 최초의 사례였다. 비록 초기의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는 공화국 내 독립 세력이 다른 국가와 동맹을 맺고 공화국을 혼란에 빠뜨리는 시초가 되었다.

3. 2. 연방 해체의 시초

1654년 스웨덴과 모스크바 러시아의 침공(대홍수)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위기에 처하자, 야누시 라지비우와 보구스 law 라지비우는 스웨덴 왕 칼 10세 구스타브와 연방 해체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1655년 10월 10일, 이들은 케다이냐이 성에서 스웨덴과의 조약에 서명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국가를 무효화하고 리투아니아를 독립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스웨덴의 보호국이 되고, 양국은 동군 연합을 구성하며, 라지비우 가문은 대공 국내 소유지를 독립 공국 형태로 양도받고,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자유와 특권을 유지하는 조건이었다.[3]

하지만 이 조약은 실행되지 못했다. 야누시 라지비우는 조인 후 2개월 만에 사망했고, 칼 10세는 1656년 "바르샤바 전투"에서 패배 후 동맹국들이 이탈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흐멜니츠키의 난이 진정되고 폴란드에서 민중 봉기가 일어나 스웨덴의 지배에 저항하면서 상황은 반전되었다. 스웨덴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령에서 철수했고, 보구스 law 라지비우의 야망도 좌절되었다.

당시에는 이 사건이 반역 행위로 여겨졌지만, 현대에는 엇갈린 평가가 존재한다. 일부는 야누시 라지비우가 현실 정치와 러시아에 대항할 강력한 동맹을 확보하기 위해 스웨덴과 협력했다고 주장한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두 전선에서 전쟁을 치를 여력이 없었고, 폴란드는 미미한 지원만 제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웨덴 역시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리투아니아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했기에 이 선택은 잘못된 것으로 평가받는다.[4]

칼 10세의 야망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열을 꾀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된다. 비록 초기의 분할 시도는 좌절되었지만, 이는 공화국 내 독립 세력이 다른 국가와 동맹을 맺고 혼란을 야기하는 시초가 되었다.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와 통합하여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독립을 유지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대홍수 시대에 폴란드가 맹약을 이행하지 않자 배신감을 느끼고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게 되었다.

폴란드에 대한 신뢰 상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는 공화국으로부터의 이탈을 막을 수 있었지만, 헤트만 국가에서는 우크라이나 코사크가 러시아와 결탁하고, 세임이 비준한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 창설 구상을 거부했으며, 러시아와의 전쟁 끝에 헤트만 국가가 공화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분할되는 결과를 낳았다(안드루소보 조약).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결국 주변 국가들의 개입을 불러왔다. 18세기 리투아니아 내전을 계기로 스웨덴과 결탁하는 세력이 다시 나타나 공화국에 괴뢰 정권을 세우는 등 대북방 전쟁에서 공화국의 몰락을 초래했다. 전쟁 후에는 폴란드 왕위 계승 다툼에서 내정 간섭이 빈번해졌고, 폴란드의 내정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에 주변 강대국들이 가담하면서 결국 "폴란드 분할"로 이어져 공화국은 소멸하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2000
[2] 웹사이트 Janusz Radziwiłł h. Trąby http://www.ipsb.nina[...] 2023-11-17
[3] 서적 Senosios Lietuvos istorija (1009–1795) [The History of Medieval Lithuania] R. Paknio leidykla 2005
[4] 서적 The Swedish and the Polish-Lithuanian Empires and the formation of the Baltic Region Baltic University 2002
[5] 서적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