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카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빈 카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포토 저널리스트로, 아파르트헤이트와 내전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1993년 수단에서 촬영한, 독수리가 굶주린 소녀를 노리는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지만, 사진 촬영 윤리에 대한 논란에 휩싸였다. 1994년, 그는 동료의 죽음과 사진에 대한 죄책감, 우울증 등으로 인해 자살했다. 그의 삶과 죽음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자살한 사람 - J. L. B. 스미스
J. L. B. 스미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어류학자로, 1938년 발견된 실러캔스를 확인하고 세상에 알렸으며, 아내와 함께 《남아프리카의 바다 물고기》를 공동 저술하고 5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며 어류학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기자 - 켄 오스터브룩
켄 오스터브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 작가로, 1991년 The Star의 수석 사진 작가로 활동했으며,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인종 차별 없는 선거를 9일 앞두고 평화 유지군에 의해 사망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기자 - 안톤 함메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사진 작가 안톤 함메를은 앙골라 복무와 켄 오스터브룩의 멘토링을 통해 뱅뱅 클럽에서 활동하며 전쟁과 갈등 지역을 기록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민주화 과정을 사진으로 남겼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 취재 중 포격으로 사망하여 언론 자유와 기자 안전에 대한 국제적 우려를 낳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가 - 켄 오스터브룩
켄 오스터브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 작가로, 1991년 The Star의 수석 사진 작가로 활동했으며,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인종 차별 없는 선거를 9일 앞두고 평화 유지군에 의해 사망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진가 - 안톤 함메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사진 작가 안톤 함메를은 앙골라 복무와 켄 오스터브룩의 멘토링을 통해 뱅뱅 클럽에서 활동하며 전쟁과 갈등 지역을 기록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민주화 과정을 사진으로 남겼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 취재 중 포격으로 사망하여 언론 자유와 기자 안전에 대한 국제적 우려를 낳았다.
케빈 카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본명 | 케빈 카터 |
출생일 | 1960년 9월 13일 |
출생지 | 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연방 |
사망일 | 1994년 7월 27일 (향년 33세) |
사망 장소 | 파크모어, 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직업 | 보도 사진가 |
대표 작품 | 《The Vulture and the Little Girl》 |
2. 어린 시절과 교육
케빈 카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백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는 경찰이 그 지역에 불법으로 거주하는 흑인들을 체포하는 것을 종종 목격했다. 카터는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님의 "자유주의적" 가치관에도 불구하고, 아파르트헤이트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는 소극적인 태도에 의문을 품었다.[18]
1983년 군 복무를 마친 후, 카터는 요하네스버그에서 사진 용품점에서 일하며 사진 저널리스트들과 교류했다.[2] 이후 '요하네스버그 선데이 익스프레스'에서 주말 스포츠 사진작가로 일하다가, 1984년 요하네스버그 스타로 옮겨 아파르트헤이트의 잔혹함을 폭로하는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3]
1993년 3월, 유엔 수단 생명선 작전의 로버트 해들리는 주앙 실바에게 수단으로 가서 내전 중인 그 지역 반군과 함께 남수단의 기아에 대해 보도할 기회를 제공했다.[4] 실바는 카터에게 이 기회를 말했고, 카터는 이를 프리랜서 경력을 넓히고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삼을 기회라고 생각했다. 수단 생명선 작전은 자금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유엔은 이 지역의 기아와 필요성을 홍보하는 것이 구호 단체의 자금 지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실바와 카터는 정치적 성향이 없었고 오직 사진만 찍고 싶어했다.[4]
1976년 프레토리아에 있는 가톨릭 기숙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약사를 꿈꿨지만 좌절하고 군대에 입대했다.[17] 공군에서 복무하던 중, 흑인 웨이터를 변호하다가 동료 군인들에게 심하게 구타당하는 사건을 겪었다.[17] 이후 무단이탈하여 "데이비드"라는 이름의 라디오 디스크 자키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다시 군 복무를 마쳤다.[18] 1983년 5월 20일, 프레토리아 군 시설 앞에서 발생한 교회 거리 폭탄 테러를 목격하고 구조를 도운 후, 역사를 기록하는 포토 저널리스트가 되기로 결심했다.[18]
3. 초기 경력
카터는 1980년대 중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들이 공개적으로 넥레이싱 처형을 당하는 모습을 최초로 촬영했다. 그는 나중에 "나는 그들이 하는 일에 경악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사진들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그때 나는 어쩌면 내 행동이 전혀 나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느꼈다. 이렇게 끔찍한 일의 증인이 되는 것은 꼭 나쁜 일만은 아니었다."라고 말했다.[3]
4. 수단에서의 활동
두 사람은 나이로비로 날아간 후 수단에서 새로운 전투가 벌어져 그 도시에서 무기한 대기해야 했다. 이 기간 동안 카터는 유엔과 함께 수단 남부 주바에 당일 여행을 가서 이 지역에 대한 식량 원조를 싣고 있는 바지선을 촬영했다. 그 직후 유엔은 한 반군 단체로부터 아요드로 식량 원조를 수송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해들리는 실바와 카터를 그곳으로 함께 비행할 것을 초대했다.[4] 아요드에 도착한 후 실바와 카터는 기아 피해자들의 사진을 찍기 위해 헤어졌고, 그들이 목격한 충격적인 상황에 대해 서로 논의했다. 실바는 그를 권위 있는 사람에게 데려다줄 수 있는 반군 병사를 발견했고, 카터도 그와 합류했다. 영어를 못하는 병사 중 한 명이 카터의 손목시계에 관심을 보였고, 카터는 그에게 싼 시계를 선물로 주었다.[4] 병사들은 그들의 보디가드 역할을 했다.[5]
카터는 굶주림으로 땅에 쓰러진 어린 소녀로 보이는 아이와 근처 땅에 독수리가 어슬렁거리는 모습을 촬영했다. 그는 실바에게 방금 촬영한 상황에 충격을 받았으며, 독수리를 쫓아냈다고 말했다. 몇 분 후, 카터와 실바는 작은 UN 비행기에 탑승하여 아요드를 떠나 콩고르로 향했다.[4]
1983년부터 이어진 내전과 가뭄으로 인해 수단에서는 아이들을 중심으로 심각한 기아 상태가 발생했다.[19] 카터가 방문한 식량 배급소가 있는 아요드라는 마을에서는 굶주림과 전염병으로 하루에 10명에서 15명의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었다.[20]
4. 1. "독수리와 소녀" 논란
케빈 카터가 굶주림으로 쓰러진 어린 소녀와 그 근처를 맴도는 독수리를 촬영한 사진 독수리와 소녀는 1993년 3월 26일 ''뉴욕 타임스''에 처음 게재되어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6] 사진이 공개되자 수많은 사람들이 신문사에 아이의 생사를 문의했다. 신문사는 카터의 말을 인용해 "소녀가 독수리를 쫓아낸 후 다시 걸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되었다"고 밝혔지만, 소녀가 국제 연합 식량 센터에 도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6] 1994년 4월, 이 사진은 퓰리처상 특별사진 부문을 수상했다.[7][8]
이 사진은 "왜 소녀를 돕지 않았는가"라는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사람들은 사진을 찍기 전에 소녀를 먼저 구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 논쟁은 "보도냐 인명이냐"라는 언론 윤리의 근본적인 문제로 확장되었다.
2011년, 아이의 아버지는 아이가 실제로는 소년 콩 뇽(Kong Nyong)이며, 국제 연합 식량 원조 기지에서 돌봄을 받았다고 밝혔다. 콩 뇽은 2007년경 열병으로 사망했다.[9]
5. 그 외의 활동
1983년 군 복무를 마친 카터는 요하네스버그로 돌아와 사진 용품점에서 일하며 현지 사진 저널리스트들을 만나 사진 의뢰를 받기 시작했다. 그는 ''요하네스버그 선데이 익스프레스''에서 주말 스포츠 사진 작가로 활동했다.[2] 1984년에는 ''요하네스버그 스타''로 옮겨 아파르트헤이트의 잔혹함을 폭로하는 사진을 찍었다.
카터는 1980년대 중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들이 공개적으로 행한 "넥레이싱" 처형을 최초로 촬영한 사진작가였다. 그는 "나는 그들이 하는 일에 경악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사진들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그때 나는 어쩌면 내 행동이 전혀 나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느꼈다. 이렇게 끔찍한 일의 증인이 되는 것은 꼭 나쁜 일만은 아니었다."라고 말했다.[3]
1994년 3월, 카터는 보푸타츠와나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 직전 아프리카너 저항 운동 회원 3명이 총격당하는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은 보푸타츠와나에서 발생한 실패한 침공 당시의 긴장된 상황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진으로 평가받았다.[11]
6. 죽음
1994년 7월 27일, 케빈 카터는 33세의 나이로 자살하여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사망했다.[12][13] 데스몬드 투투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명예 대주교는 카터에 대해 "가장 혹독한 조건에서 활동하는 인간이 겪는 트라우마의 대가가 무엇인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카터의 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었다.
> 정말 죄송합니다. 삶의 고통이 기쁨을 압도하여 기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울하다… 전화도 없고… 집세도 없고… 양육비도 없고… 빚도 없고… 돈!!! … 나는 살인과 시체, 분노와 고통의 생생한 기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굶주리거나 부상당한 아이들, 방아쇠를 당기는 정신 나간 사람, 종종 경찰, 살인 집행자들의 기억에… 운이 좋다면 켄을 만나러 갈 것입니다.
마지막 줄은 최근 사망한 동료 켄 오스터브룩을 언급한 것이다.
죽기 몇 년 전부터 카터는 약물 중독과 우울증에 시달렸으며, 20대 시절에는 조울증으로 두 번의 자살 시도를 하기도 했다.
7.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케빈 카터의 삶과 죽음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1996년 록 밴드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의 네 번째 앨범 ''Everything Must Go''에 수록된 노래 "케빈 카터"는 카터의 삶과 자살에서 영감을 받았다. 가사는 리치 에드워즈가 자신의 실종 직전에 썼다.
- 마크 Z. 다니엘레우스키의 저서 ''잎의 집''의 주요 등장인물인 윌 네비슨은 수단의 굶주린 소녀의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지만 그를 돕지 못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진 기자이다. 각주 336에서는 이것이 "분명히 케빈 카터의 [...] 사진을 기반으로 한다"고 언급했다.[14]
- 2001년 미국 헤비 메탈 밴드 세비지의 앨범 ''시인과 광인''은 카터의 삶과 죽음에서 영감을 받았다.[15]
- 케빈 카터의 죽음: 뱅뱅 클럽의 희생자(2004년) - 다큐멘터리 영화
- 뱅뱅 클럽 - 진실의 전장 -(2010년)
참조
[1]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 30 July 1994: Photojournalist Kevin Carter dies
https://www.theguard[...]
2018-12-20
[2]
뉴스
Kevin Carter. The Story of a Bang-Bang Club Photojournalist
https://reporterzy.i[...]
2024-09-02
[3]
웹사이트
First Draft by Tim Porter: Covering War in a Free Society
http://www.timporter[...]
2018-11-03
[4]
웹사이트
Operation Lifeline Sudan – A review
https://www.research[...]
2017-09-30
[5]
웹사이트
Carter and soldiers
https://vimeo.com/20[...]
[6]
뉴스
Editors' Note
https://www.nytimes.[...]
2016-09-01
[7]
웹사이트
The Importance Behind the Photo of a Starving Child and a Vulture
http://100photos.tim[...]
The Most Influential Images of All Time
[8]
간행물
The Life and Death of Kevin Carter
http://content.time.[...]
1994-09-12
[9]
뉴스
Kong Nyong, el niño que sobrevivió al buitre
http://www.elmundo.e[...]
2017-08-29
[10]
서적
Cultural Appropriations of Suffering
http://dx.doi.org/10[...]
Pluto Books
2023-12-05
[11]
웹사이트
Photojournalist Kevin Carter dies – obituary: from the archive, 30 July 1994; Media
https://www.theguard[...]
2015-10-27
[12]
뉴스
Kevin Carter, a Pulitzer Winner for Sudan Photo, Is Dead at 33
https://www.nytimes.[...]
2016-09-02
[13]
뉴스
Obituary: Kevin Carter
https://www.independ[...]
2017-12-03
[14]
서적
House of Leaves
Doubleday
2000
[15]
웹사이트
The Official Savatage Homepage
http://www.savatage.[...]
2020-08-18
[16]
문서
南アフリカで使用されている麻酔薬。吸いこむと全身が脱力感におそわれる。元々は、政府が反体制勢力の意欲を喪失させるために開発したものであったが、やがてアンゴラ内戦の恐怖から逃れるために南アフリカ政府軍内で蔓延するようになった。
[17]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Kevin Carter
https://content.time[...]
Time
2022-10-02
[18]
기타
Marinovich Silva 2000 p=39-
[19]
기타
ビュエル 2011 pp=204-205
[20]
문서
ハゲタカと訳されることがあるが、鳥としてはハゲワシ。また英語ではこの写真に対する短いタイトルはなく、ピューリッツァー賞では「食糧配給センターに向かう道すがら塞ぎ込んでしまった飢えたスーダンの少女と待ち構えるハゲワシ」と書かれている。
[21]
기타
1000047824 ケビン・カーター氏の手記がどの文献に出ているか教えてください。
2021-11-30
[22]
문서
撮影後の様子が記されたのはジョアン・シルバの手記であるが、日本の道徳の教材などでカーター本人の手記と誤って伝わ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