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토테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켄토테카족(Centotheceae)은 PACMAD 분지군에 속하는 기장아과 내의 "centothecoid clade"에 속하는 벼과의 한 족이다. 켄토테카속(Centotheca)과 Megastachya 등의 속을 포함하며, 카스만티움족, 제우기테스족, 트리스타키아족, 스테이에르마르코클로아족, 티사놀라이나족, 키페로클로아족 등과 가까운 계통 관계를 가진다. C3 또는 C4 광합성 경로를 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7년 기재된 식물 - 민들레
민들레는 한국 각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깃털 모양의 잎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식용 및 약재로 사용되지만 서양민들레 확산으로 토종 민들레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 1907년 기재된 식물 - 호호바
호호바는 북미 사막 지역이 원산인 상록 활엽수 관목으로,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은 화장품, 의약품, 윤활유 등으로 쓰이며 사막 환경 적응력이 높아 사막화 방지 식물로도 활용된다. - 기장아과 - 기네리움
기네리움은 벼과 기장아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잎의 구조와 특성을 통해 C3 및 C4 광합성 경로를 모두 사용하는 PACMAD 분지군에 속하며 다양한 종내 분류군을 가진다. - 기장아과 - 제우기테스족
제우기테스족은 벼과에 속하는 족으로 제우기테스속, 조릿대풀속 등 여러 속을 포함하며 PACMAD 분지군에 속한다.
켄토테카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학적 정보 | |
계통 위치 | 벼과 기장아과 |
학명 | Centotheceae Ridl. (1907) |
이명 | Centothecinae Benth. (1881) |
하위 분류 | |
속 | 켄토테카속 (Centotheca) 메가스타키아속 (Megastachya) |
2. 하위 분류
- 켄토테카속(''Centotheca'' Desv.)
- ''Megastachya'' P.Beauv.
3. 계통 분류
PACMAD 분지군의 기장아과 내 "centothecoid clade"에 속하는 켄토테카족은 카스만티움족, 제우기테스족, 트리스타키아족, 스테이에르마르코클로아족, 티사놀라이나족, 키페로클로아족 등과 가까운 계통 관계를 가지며, C3 또는 C4 광합성 경로를 이용한다.[4][5]
3. 1. 상세 계통 분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5]{{분지군|style=white-space:nowrap;font-size:85%;line-height:95%
|분류1=PACMAD 분지군
|1={{분지군
|1=아리스티다아과 '''C3''' & '''C4'''
|2={{분지군
|분류1=기장아과
|1={{분지군
|분류1="centothecoid clade"
|1={{분지군
|1={{분지군
|1=카스만티움족 '''C3'''
|2=제우기테스족 '''C3'''
}}
|2={{분지군
|1={{분지군
|1=트리스타키아족 '''C4'''
|상태2=dashed
|2=스테이에르마르코클로아족 '''C3'''
}}
|2={{분지군
|1=켄토테카족 '''C3'''
|2={{분지군
|1=티사놀라이나족 '''C3'''
|2=키페로클로아족 '''C3'''
}}
}}
}}
}}
|2={{분지군
|1=기네리움족 '''C3'''
|2={{분지군
|1=기장족 '''C3''' & '''C4'''
|2={{분지군
|1=참새피족 '''C3''' & '''C4'''
|분류2=나도솔새상족
|2={{분지군
|1=새족 '''C4'''
|2=나도솔새족 '''C4'''
}}
}}
}}
}}
|2={{분지군
|1={{분지군
|1=물대아과 '''C3'''
|2=미크라이라아과 '''C3''' & '''C4'''
}}
|2={{분지군
|1=꼬인새풀아과 '''C3'''
|2=나도바랭이아과 '''C3''' & '''C4'''
}}
}}
}}
}}
}}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2]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3]
간행물
Materials for a Flora of the Malayan Peninsula 3
[4]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5]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