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는 편미분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에 대한 정리로, 해석적인 계수를 갖는 초기 조건 문제에 대한 해의 존재와 유일성을 보장한다. 이 정리는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상의 벡터 공간에서 정의되며, 해는 원점의 근방에서 해석적인 함수로 존재한다. 1계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와 고계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가 있으며, 1계 정리에서는 해석 함수가 아닌 매끄러운 함수로 조건을 약화시키면 성립하지 않는다. 코시-코발렙스카야-카시와라 정리는 이 정리를 일반화한 것으로, D-가군의 언어로 표현된다. 이 정리는 오귀스탱 루이 코시와 소피야 코발렙스카야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해가 존재하지 않는 예시도 존재한다.
2. 정의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이고, 와 가 에 대한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가 0의 근방이고, 와 가 해석함수일 때, 미지의 함수 에 대한 초기 조건 문제는 항상 원점의 근방에서 해를 갖는다.
:
:
즉, 원점의 어떤 근방 에 대하여, 위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함수 가 존재한다.
이 정리에서 및 는 해석함수여야 한다. 만약 이를 매끄러운 함수로 약화시키면 이 정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레비의 예는 이 정리가 모든 매끄러운 함수에 대해 일반적으로 유효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 정리는 계수가 해석 함수일 때 ''n''차원에서 ''m''개의 미분 방정식 시스템의 해의 존재에 관한 것이다. 이 정리와 증명은 실수 또는 복소 변수의 해석 함수에 유효하다.
''K''는 실수 또는 복소수 체를 나타내고, ''V'' = ''K''''m'', ''W'' = ''K''''n''라고 하자. ''A''1, ..., ''A''''n''−1는 ''W'' × ''V''의 (0, 0)의 근방에서 정의되고 ''m'' × ''m'' 행렬의 값을 갖는 해석 함수이고, ''b''는 같은 근방에서 정의되고 ''V''의 값을 갖는 해석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0 근방에서 준선형 코시 문제에 대한 ''W''의 근방이 존재한다.
초기 조건은
:
: 인 초곡면에서
근처에서 고유한 해석 해 ''ƒ'' : ''W'' → ''V''를 갖는다.
이 정리는 추상적인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에서도 표현할 수 있다. ''V''와 ''W''는 유한 차원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이고, ''n'' = dim ''W''라고 하자. ''A''1, ..., ''A''''n''−1은 End (''V'')의 값을 갖는 해석 함수이고, ''b''는 ''W'' × ''V''의 (0, 0)의 근방에서 정의되고 ''V''의 값을 갖는 해석 함수라고 하자. 이 경우, 동일한 결과가 성립한다.
(''t'', ''x'') = (''t'', ''x''1, ''x''2,..., ''xn'')를 ''n''+1차원 실수 벡터 공간 '''R'''''n''+1(혹은 ''n''+1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C'''''n''+1)의 점으로 하고, 다음 형태의 편미분 방정식계를 고려한다.
:
u_j}{\partial t^{\nu_0}\partial x_1^{\nu_1} \dotsb \partial x_n^{\nu_n} }
, \dotsc, \biggr )
\quad (1 \leq i,j,\leq m )
:
초기 조건
:
각 ''Fi'' (1 ≤ ''i'' ≤ ''m'')는 좌변에 나타나는 의 항을 포함하지 않고, '''정규형'''(normal form)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Fi'' (1 ≤ ''i'' ≤ ''m'')는 모든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