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셉트 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념도는 1970년대 코넬 대학교의 조지프 D. 노박 교수가 개발한 학습 도구로, 새로운 과학 지식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자가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하도록 돕는 데 사용되며, 개념과 연결선을 사용하여 지식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개념도는 마인드 맵, 토픽 맵과 비교되며, 교육, 지식 경영, 소프트웨어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국에서도 교육, 기업, 정치 및 정책 분야에서 아이디어 창출, 지식 관리, 문제 해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트필기 - 코넬 노트
    코넬 노트는 노트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필기하는 방식이며, 학습 효과를 증진할 수 있지만 개인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다른 필기 방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 그래프 그리기 - 덴드로그램
    덴드로그램은 데이터 분석에서 데이터 포인트 간 계층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나무 형태의 다이어그램으로, 군집 분석에서 클러스터 간 유사성을 나타내기 위해 활용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그래프 그리기 - 상태도 (오토마타 이론)
    상태도는 유한 오토마타 이론에서 시스템의 상태와 전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유향 그래프이며, 무어 머신, 밀리 머신, 하렐 상태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 개념 모델링 - 유추
    유추는 두 사물이나 현상의 관계에서 유사성을 찾아 추론하는 인지 과정으로, 철학, 법학, 신학을 넘어 문제 해결, 의사 결정, 학습, 창의성에 기여하며, 젠트너의 구조 매핑 이론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개념 모델링 - 세계관
    세계관은 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이자, 철학, 신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신념과 가치관의 체계이다.
콘셉트 맵
개요
개념 지도의 예시
개념 지도의 예시
유형다이어그램
설명개념 간의 제안적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상세 정보
구성 요소개념
관계
교차 연결
관련 항목지식 시각화
마인드 맵
토픽 맵
의미 네트워크
활용
용도학습
지식 관리
평가
계획
의사소통

2. 역사

개념도는 1970년대 코넬 대학교의 조지프 D. 노박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학생들의 새로운 과학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개발했다.[6] 이후 과학 및 기타 과목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증진하고, 교육, 정부 및 비즈니스 분야의 개인 및 팀의 전문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개념도는 구성주의라고 불리는 학습 운동에서 유래되었다. 특히,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자가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노박의 연구는 새로운 개념을 학습(또는 ''동화'')하는 데 있어서 사전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이비드 오스벨의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가르쳐라."[7] 노박은 여섯 살 어린 학생들에게 "물은 무엇인가?", "계절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나타내기 위해 개념도를 만들도록 가르쳤다. 노박은 그의 저서 ''학습하는 법을 배우다''에서 "의미 있는 학습은 새로운 개념과 명제를 기존의 인지 구조로 동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말했다.

개념도를 만드는 과정을 개념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8] 맥앨리스는 ''노드''와 ''관계''를 사용하여 지식을 명시적으로 만드는 과정이 개인이 자신이 아는 것을 인식하고 그 결과 자신이 아는 것을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고 제안했다.[9] 마리아 비르빌리는 어린 아이들이 자신이 아는 것에 대해 생각하도록 돕기 위해 동일한 아이디어를 적용했다.[10] 맥앨리스의 지식 아레나 개념은 학습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을 탐구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제시한다.[9]

2. 1. 코넬 대학교와 조지프 D. 노박

코넬 대학교의 조지프 D. 노박[6][12] 교수와 그의 연구팀은 1970년대에 학생들의 새로운 과학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개념도를 개발했다.[6] 이후 개념도는 과학 및 기타 과목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증진하고, 교육, 정부 및 비즈니스 분야의 개인 및 팀의 전문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개념도는 구성주의 학습 운동에서 유래되었으며,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자가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노박의 연구는 데이비드 오스벨의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오수벨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가르쳐라."[7][13]라며 새로운 개념 학습에 있어 사전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노박은 여섯 살 어린 학생들에게 "물은 무엇인가?", "계절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나타내기 위해 개념도를 만들도록 가르쳤다. 노박은 그의 저서 ''학습하는 법을 배우다''에서 "의미 있는 학습은 새로운 개념과 명제를 기존의 인지 구조로 동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말했다.

2. 2. 구성주의 학습 이론의 영향

개념도는 1970년대 코넬 대학교의 조지프 D. 노박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학생들의 새로운 과학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개발했다.[6] 이후 과학 및 기타 과목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증진하고, 교육, 정부 및 비즈니스 분야의 개인 및 팀의 전문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개념도는 구성주의 학습 운동에서 유래되었다. 특히,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자가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노박의 연구는 새로운 개념을 학습(또는 ''동화'')하는 데 있어서 사전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이비드 오스벨의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7] 오스벨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가르쳐라."라고 말했다.[7][13] 노박은 여섯 살 어린 학생들에게 "물은 무엇인가?", "계절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나타내기 위해 개념도를 만들도록 가르쳤다. 노박은 그의 저서 ''학습하는 법을 배우다''에서 "의미 있는 학습은 새로운 개념과 명제를 기존의 인지 구조로 동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말했다.

2. 3. 초기 활용과 발전

개념도는 1970년대 코넬 대학교의 조지프 D. 노박 교육학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학생들의 과학 지식 표현 수단으로 개발되었다.[6][12] 이후 과학 및 기타 과목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증진하고, 교육, 정부 및 비즈니스 분야의 개인 및 팀의 전문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6] 개념도는 구성주의 학습 운동에서 유래되었는데,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자가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한다고 주장한다.[6]

노박의 연구는 데이비드 오스벨의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 오스벨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가르쳐라."라며 새로운 개념 학습에 있어 사전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7][13] 노박은 여섯 살 어린 학생들에게 "물은 무엇인가?", "계절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나타내기 위해 개념도를 만들도록 가르쳤다.[7] 그의 저서 ''학습하는 법을 배우다''에서 "의미 있는 학습은 새로운 개념과 명제를 기존의 인지 구조로 동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설명했다.[7]

3. 특징

3. 1. 개념과 연결선

3. 2. 계층적 구조 (선택 사항)

3. 3. 교차 연결 (선택 사항)

3. 4. 다른 시각화 도구와의 비교


  • '''토픽 맵''' : 개념도는 토픽 맵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지식 그래프이지만, 토픽 맵은 정보 관리 전문가들이 데이터의 시맨틱 상호 운용성을 위해 개발되었으며(원래는 도서 색인을 위해 사용됨), 개념도는 교육 전문가들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3] 개념도 연구자인 조셉 D. 노박과 밥 고윈은, 개념도 작성 접근 방식이 "개인들이 자신의 특이한 의미를 구성하는 기반으로서 개념과 명제적 학습에 초점을 맞춘 학습 이론"에 기초한다고 설명한다.
  • '''마인드 맵''' : 개념도와 토픽 맵은 트리 구조로 제한된 마인드 맵과 대조될 수 있다.[4] 개념도는 여러 허브와 클러스터를 만들 수 있어 더 자유로운 형식을 가질 수 있지만,[5] 단일 중심에서 시작되는 마인드 맵과는 다르다.[4] 개념 지도법과 유사한 것으로는 마인드 매핑이 있다. 이는 방사형 계층 구조와 트리 구조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 프로세스, 조직을 시각화하는 다양한 스키마와 기법 중에서, 노바크의 개념 지도법은 "개념 및 개념으로 구성된 명제를 지식 구조와 의미 구축의 중심에 둔다"는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14]。 지식은 뇌내의 선언적 기억 위에서 작동하는 산물(청크, 명제)로서 저장된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15][16]。개념 지도는 선언적 기억 시스템의 구성을 반영하도록 구축되어 있으므로, 개념 지도의 작성자와 이용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유의미 학습이 용이해진다. 개념 지도는 과학에서의 유의미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잘 작성된 개념 지도는 명시적인 "질문 초점(focus question)"으로 정의되는 "컨텍스트 프레임" 내에서 성장하지만, 마인드 맵은 단순히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가지가 있을 뿐인 경우가 많다. 개념 지도법과 마인드 매핑의 또 다른 차이점은, 마인드 맵 작성 시의 속도와 자발성이다. 마인드 맵은 어떤 하나의 주제에 대한 생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브레인스토밍의 초안으로 적합하다. 개념 지도는 현실의 (추상적인) 시스템이나 개념군들의 지도이며, 시스템적 관점이다. 또한, 개념 지도는 중심이 복수 존재하거나, 연결되지 않은 개념군이 공존하는 등 자유로운 형식인 데 반해, 마인드 맵은 하나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성장한다.

3. 4. 1. 마인드 맵과의 비교

마인드 맵은 개념도 및 토픽 맵과 대조될 수 있다. 마인드 맵은 트리 구조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4] 개념도는 여러 허브와 클러스터를 만들 수 있어 더 자유로운 형식을 가질 수 있지만,[5] 마인드 맵은 단일 중심에서 시작된다.[4]

마인드 매핑은 개념 지도법과 유사하다. 마인드 맵은 방사형 계층 구조와 트리 구조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노바크의 개념 지도법은 "개념 및 개념으로 구성된 명제를 지식 구조와 의미 구축의 중심에 둔다"는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14]

마인드 맵은 어떤 하나의 주제에 대한 생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브레인스토밍의 초안으로 적합하다. 개념 지도는 현실의 (추상적인) 시스템이나 개념군들의 지도이며, 시스템적 관점이다. 개념 지도는 중심이 복수 존재하거나, 연결되지 않은 개념군이 공존하는 등 자유로운 형식인 데 반해, 마인드 맵은 하나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성장한다.

3. 4. 2. 토픽 맵과의 비교

토픽 맵은 정보 관리 전문가들이 데이터의 시맨틱 상호 운용성을 위해 개발되었으며(원래는 도서 색인을 위해 사용됨), 개념도는 교육 전문가들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3] 개념도 연구자인 조셉 D. 노박과 밥 고윈은, 개념도 작성 접근 방식이 "개인들이 자신의 특이한 의미를 구성하는 기반으로서 개념과 명제적 학습에 초점을 맞춘 학습 이론"에 기초한다고 설명한다.

4. 활용 분야



개념 맵은 아이디어 생성을 자극하는 데 사용되며, 창의성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2] 개념 매핑은 때때로 브레인스토밍에도 사용된다. 개념 맵은 종종 개인적이고 특이하지만,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식화된 개념 맵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사용되며, 일반적인 사용법은 유사한 규칙 및 개발 방법론 내에서 통합 모델링 언어 다이어그램이다.

개념 매핑은 또한 온톨로지 구축의 첫 번째 단계로 볼 수 있으며, 논증 맵과 유사하게 공식적인 논증을 표현하는 데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개념 맵은 교육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용도는 다음과 같다.


  • 노트 필기 및 요약 - 문서 및 자료에서 핵심 개념, 관계 및 계층 구조를 추출
  • 새로운 지식 창출: 예: 암묵지를 조직 자원으로 변환, 팀 지식 매핑
  • 기관 지식 보존 (유지), 예: 퇴직 전 직원의 전문 지식을 이끌어내고 매핑
  • 협업 지식 모델링 및 전문가 지식 이전
  • 팀 또는 조직 내에서 공유 비전 및 공유된 이해를 창출 촉진
  • 교수 설계: 오수벨의 "사전 조직자"로 사용되는 개념 맵은 이후 정보 및 학습을 위한 초기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 훈련: 훈련 환경과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훈련 목표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오수벨의 "사전 조직자"로 사용되는 개념 맵.
  • 복잡한 아이디어와 논증 전달
  • 복잡한 아이디어와 논증 및 관련 용어의 대칭성 검토
  • 아이디어, 사고 과정 또는 논증의 전체 구조를 상세히 설명 (자신의 추론의 결함, 오류 또는 격차를 드러내는 특정 목표 포함)하여 다른 사람의 검토를 받음.
  • 메타인지 (학습 방법 배우기 및 지식에 대한 사고) 향상
  • 언어 능력 향상
  • 학습 목표, 개념 및 해당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자 이해도 평가[11]
  • 어휘 개발

4. 1. 교육

콘셉트 맵은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노트 필기, 자료 요약, 핵심 개념 추출 등에 사용되어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11] 또한, 암묵지를 조직 자원으로 변환하는 등 새로운 지식 창출에도 기여한다.[11]

데이비드 오수벨은 "선행 조직자(advance organizer)"로서 콘셉트 맵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11] 콘셉트 맵은 이후 정보 및 학습을 위한 초기 개념적 틀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결하여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도록 돕는다. 훈련 환경과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훈련 목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콘셉트 맵은 학습 목표, 개념 및 해당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자 이해도를 평가하고,[11] 어휘 개발 및 언어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4. 2. 지식 경영



개념 맵은 기업 및 조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지식 경영에 기여한다. 암묵지를 명시적 지식으로 변환하여 조직 내 지식 자산으로 보존하고, 팀원 간의 이해를 공유하며, 협업을 증진하는 데 유용하다.[11]

특히, 퇴직 예정 직원의 전문 지식을 개념 맵으로 만들어 조직 내에 보존함으로써 지식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11] 또한, 팀 또는 조직 전체가 공유하는 비전을 만들고, 구성원 간 이해를 돕는 데에도 활용된다.[11]

개념 맵은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아이디어 생성 과정을 지원하고, 창의성을 촉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2] 소프트웨어 설계 과정에서 통합 모델링 언어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활용되기도 하며, 온톨로지 구축의 초기 단계로 사용될 수도 있다.

4. 3.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개념 맵은 시스템 구조, 기능, 관계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2] 이는 (UML) 다이어그램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수 있다.[2] 정형화된 개념 맵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사용되며, 널리 사용되는 통합 모델링 언어의 그림 규정 및 작성법은 개념 지도와 유사하다. 개념 지도법은 온톨로지 구축의 첫 단계로 볼 수도 있으며, 형식적 논증을 유연하게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4. 4. 기타 분야

콘셉트 맵은 아이디어 생성을 돕고 창의성을 촉진하며, 브레인스토밍에도 활용된다.[2]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데 유용하며, 소프트웨어 설계에서는 통합 모델링 언어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사용된다.[2] 또한 온톨로지 구축의 초기 단계나 논증 맵처럼 논증 표현에도 활용될 수 있다.

콘셉트 맵은 교육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2] 예를 들어, 노트 필기 및 요약, 새로운 지식 창출, 조직 지식 보존, 협업 지식 모델링, 팀 내 공유 비전 형성에 기여한다.[2] 또한 오수벨의 "사전 조직자" 개념을 활용하여 교수 설계 및 훈련에 사용될 수 있다.[2] 그 외에도 복잡한 아이디어와 논증 전달, 메타인지 및 언어 능력 향상, 학습자 이해도 평가[11], 어휘 개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5. 한국에서의 활용

개념 지도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자극으로 사용되며, 창의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에서도 개념 지도가 사용될 수 있다. 개념 지도에는 특수화된 것이 많지만,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정형화된 개념 지도는 소프트웨어 설계에 사용되며, 널리 사용되는 통합 모델링 언어의 그림 규정 및 작성법은 개념 지도와 유사하다.

개념 지도법은 온톨로지 구축의 첫 단계로 볼 수도 있으며, 형식적 논증을 유연하게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개념 지도는 교육이나 비즈니스의 다음과 같은 장면에서 널리 사용된다.


  • 문헌 등에서 핵심 개념을 수집하고 요약하여, 그들의 관계와 계층을 부여한다.
  • 새로운 지식의 생성. 즉, 암묵지를 조직적인 리소스로 변환하여 공유 가능한 지식으로 매핑한다.
  • 제도적인 지식의 보존. 예를 들어, 퇴직 전 직원의 전문 지식을 개념 지도화하여 공유 가능하게 한다.
  • 협조적 지식 모델링과 전문 지식의 전송
  • 팀이나 조직에서의 비전 및 이해 공유를 용이하게 한다.
  • 교육 설계: 개념 지도는 데이비드 오수벨이 말하는 "선행 조직자"로도 사용되며, 그 이후의 정보나 학습을 위한 개념 프레임을 제공한다.
  • 트레이닝: 개념 지도는 데이비드 오수벨이 말하는 "선행 조직자"로도 사용되며, 트레이닝과 대상자의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트레이닝의 목표와의 관계를 표현한다.
  • 복잡한 아이디어와 주장을 구조적으로 상세화하고 설명한다.
  • 메타인지(학습이란 무엇인가를 배우고, 지식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
  • 언어 능력의 강화
  • 학습자의 이해도(개념 간의 관계 등)의 평가

5. 1.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개념 지도는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창의력을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에 활용될 수 있다. 개념 지도는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개념 지도는 교육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 문헌 등의 핵심 개념을 요약하고 관계와 계층을 부여한다.
  • 새로운 지식 생성, 즉 암묵지를 조직적인 자원으로 변환하여 공유 가능한 지식으로 만든다.
  • 제도적인 지식 보존 (예: 퇴직 전 직원의 전문 지식 공유).
  • 협조적 지식 모델링과 전문 지식 전송.
  • 팀이나 조직 내 비전 및 이해 공유.
  • 교육 설계: 아우스벨(Ausubel)의 "선행 조직자"로 사용되어 학습을 위한 개념 프레임을 제공한다.
  • 트레이닝: 아우스벨(Ausubel)의 "선행 조직자"로 사용되어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트레이닝 목표 간 관계를 표현한다.
  • 복잡한 아이디어와 주장을 구조화하고 상세화한다.
  • 메타인지 (학습과 지식에 대한 생각) 능력 향상.
  • 언어 능력 강화.
  • 학습자의 이해도(개념 간 관계 등) 평가.

5. 2. 기업의 지식 경영

개념 지도는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창의력을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정형화된 개념 지도는 소프트웨어 설계에 사용되며, 통합 모델링 언어의 그림 규정 및 작성법과 유사하다. 개념 지도법은 온톨로지 구축의 첫 단계로 볼 수도 있으며, 형식적 논증을 유연하게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개념 지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문헌 등에서 핵심 개념을 수집하고 요약하여 관계와 계층을 부여한다.
  • 새로운 지식 생성, 즉 암묵지를 조직적인 리소스로 변환하여 공유 가능한 지식으로 매핑한다.
  • 제도적인 지식 보존 (예: 퇴직 전 직원의 전문 지식 개념 지도화).
  • 협조적 지식 모델링과 전문 지식 전송.
  • 팀이나 조직 내 비전 및 이해 공유.
  • 교육 설계에서 "선행 조직자"로 활용되어 학습을 위한 개념 프레임을 제공한다.
  • 트레이닝에서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트레이닝 목표 간 관계 표현.
  • 복잡한 아이디어와 주장을 구조적으로 상세화하고 설명.
  • 메타인지 (학습과 지식에 대한 고찰).
  • 언어 능력 강화.
  • 학습자의 이해도 평가.

5. 3. 정치 및 정책 분야에서의 활용

개념 지도는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창의력을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정형화된 개념 지도는 소프트웨어 설계에 사용되며, 통합 모델링 언어의 그림 규정 및 작성법과 유사하다. 개념 지도법은 온톨로지 구축의 첫 단계로 간주될 수 있으며, 형식적 논증을 유연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념 지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문헌 등에서 핵심 개념을 수집하고 요약하여 관계와 계층을 부여한다.
  • 새로운 지식 생성, 즉 암묵지를 조직적인 리소스로 변환하여 공유 가능한 지식으로 매핑한다.
  • 제도적인 지식 보존 (예: 퇴직 전 직원의 전문 지식 공유).
  • 협조적 지식 모델링과 전문 지식 전송.
  • 팀이나 조직 내 비전 및 이해 공유.
  • 교육 설계: 데이비드 오수벨이 말하는 "선행 조직자"로 사용되어 이후 정보나 학습을 위한 개념 프레임을 제공한다.
  • 트레이닝: "선행 조직자"로 사용되어 트레이닝과 대상자의 직무, 조직의 전략적 목표, 트레이닝 목표 간 관계를 표현한다.
  • 복잡한 아이디어와 주장을 구조적으로 상세화하고 설명한다.
  • 메타인지 (학습과 지식에 대한 고찰).
  • 언어 능력 강화.
  • 학습자의 이해도 평가.

6. 한계점 및 비판

6. 1. 주관성 개입 가능성

6. 2. 복잡성 증가 문제

6. 3. 정보 과부하 문제

참조

[1] 서적 Designing & Delivering: Scientific, Technical, and Managerial Presentations 1997
[2] 간행물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and use them http://cmap.ihmc.us/[...] 2008-11-24
[3] 서적 Concept maps: theory, methodology,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cept Mapping, CMC 2004, Pamplona, Spain, Sept 14–17, 2004 Dirección de Publicaciones de la Universidad Pública de Navarra 2004-09
[4] 간행물 Concept mapping: tools for echoing the minds eye 1998-01
[5] 간행물 Concept mapping as a tool for learning: broadening the framework for student-centered instruction 1999
[6] 웹사이트 Joseph D. Novak http://www.ihmc.us/u[...]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IHMC) 2008-04-06
[7] 서적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Holt, Rinehart & Winston, New York 1968
[8] 간행물 One hundred references related to concept mapping 1990
[9] 간행물 The knowledge arena as an extension to the concept map: reflection in action 1998
[10] 웹인용 Mapping knowledge: concept ma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ttp://ecrp.uiuc.edu[...] 2006
[11] 웹사이트 Science Framework for the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https://www.nagb.gov[...] 2020-11-01
[12] 웹사이트 Joseph D. Novak http://www.ihmc.us/u[...]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IHMC) 2008-04-06
[13] 서적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Holt, Rinehart & Winston, New York 1968
[14] 서적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6
[15] 서적 The atomic components of thought Mahwah, NJ: Erlbaum 1998
[16] 간행물 An Integrated Theory of the Mind 2004
[17] 서적 Designing & Delivering: Scientific, Technical, and Managerial Presentations 1997
[18] 간행물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and use them http://cmap.ihmc.us/[...] 2008-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