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2세 치세 동안 러시아 해군 제독으로 해군 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농노 해방에 기여했으며, 자유주의적 개혁을 지지하여 러시아 제국 지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폴란드 부왕으로 임명되어 자유주의 정책을 펼치려 했으나 1월 봉기로 인해 실패하고 러시아로 소환되었다.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와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찰스 3세 국왕의 부계 증조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콜라이 1세 - 데카브리스트의 난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1825년 러시아 제국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와 농노제 폐지를 요구한 군 장교들이 알렉산드르 1세 사망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으킨 봉기로, 실패로 끝났지만 러시아 자유주의 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 니콜라이 1세 - 크림 전쟁
크림 전쟁은 1853년부터 1856년까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프랑스, 영국, 사르데냐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 쇠퇴, 러시아 남하 정책, 종교적 갈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1856년 파리 조약으로 러시아의 흑해 해군력 제한 등의 결과를 낳고 근대 간호 발전 등에 영향을 주었다. - 러시아 대공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러시아 대공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러시아 제국의 군인 - 라브르 코르닐로프
라브르 코르닐로프는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러시아 혁명 당시 쿠데타 시도 실패 후 백군에 가담하여 의용군을 지휘하다 전사했고, 그의 사건은 러시아 혁명의 주요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 제국의 군인 - 아나톨리 스테셀
아나톨리 스테셀은 러시아 제국 장군으로 러일 전쟁 당시 뤼순 요새 사령관을 지냈으며,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의화단 운동에도 참전했으나 뤼순 요새 항복 후 러시아에서는 무능하다는 비판을, 일본에서는 초기 방어 성공을 인정받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
러시아어 이름 | 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
풀네임 |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
출생 | 1827년 9월 21일 |
출생 장소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 |
사망 | 1892년 1월 25일 |
사망 장소 | 러시아 제국, 파블롭스크, 파블롭스크 궁전 |
안장 장소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공 묘소 |
배우자 |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1848년 9월 11일 결혼) |
자녀 | 니콜라이 콘스탄티노비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그리스 왕비 베라 콘스탄티노브나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뱌체슬라프 콘스탄티노비치 |
아버지 | 니콜라이 1세 |
어머니 |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
가문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 |
직위 | |
직함 | 러시아 제국 대공 |
폴란드 왕국 총독 | 제9대 |
임기 시작 | 1862년 5월 27일 |
임기 종료 | 1863년 10월 19일 |
군주 | 알렉산드르 2세 |
이전 | 알렉산드르 폰 뤼더르스 |
이후 | 프리드리히 빌헬름 렘베르트 폰 베르크 |
2. 생애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는 알렉산드르 2세 통치 시기 러시아 함대의 해군 제독을 맡아 러시아 해군을 개혁했다. 또한 농노 해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폴란드 부왕으로서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자유주의에 대한 공격을 받으며 러시아로 소환되었다.
2. 1. 초기 생애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는 니콜라이 1세와 프로이센의 샤를로테(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루이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2. 2. 개혁 정치 참여
콘스탄틴 대공은 형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정치에 참여하여 자유주의적 관료들을 지지했다. 그는 러시아 제국 지리학회(1845년 창립)의 회장을 역임했는데, 이 학회는 내무부 산하 기관으로 니콜라이 밀류틴을 포함한 상당수의 자유주의 관료들이 있었다.1861년 농노 해방 개혁을 지지하고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1854년부터 러시아 제국 해군에서도 개혁을 단행했다.
콘스탄틴의 형인 알렉산드르 2세는 "폴란드인들에게 그들만의 법정과 음모를 갖게 하라"고 말했다고 한다.[1] 대공은 폴란드인들에게 자유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려고 노력했지만, 그의 노력은 너무 늦었고, 1863년 1월 봉기가 발발하면서 소환되었다.[1]
2. 3. 폴란드 총독 시절
콘스탄틴 대공은 형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시대 동안 자유주의적 관료들을 지지했다. 그는 러시아 제국 지리학회(1845년 창립)의 회장을 역임했는데, 지리학회는 내무부 산하 기관이었으며 니콜라이 밀류틴을 포함한 상당수의 Либеральные бюрократы|자유주의 관료ru들이 있었다.1861년 농노 해방 개혁을 지지하고 참여한 것 외에도, 콘스탄틴 대공은 1854년부터 러시아 제국 해군에서도 개혁을 단행했다.
콘스탄틴의 형인 알렉산드르 2세는 "폴란드인들에게 그들만의 법정과 음모를 갖게 하라"고 말했다고 한다. 대공은 폴란드인들에게 자유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려고 노력했지만, 그의 노력은 너무 늦었고, 1863년 1월 봉기가 발발하면서 소환되었다.
3. 가계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1848년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와 결혼하여 4남 2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기타 |
---|---|---|---|
니콜라이 | 1850년 | 1918년 | |
올가 | 1851년 | 1926년 | 그리스 왕 요르요스 1세와 결혼 |
베라 | 1854년 | 1912년 | 뷔르템베르크 공작 오이겐과 결혼 |
콘스탄틴 | 1858년 | 1915년 | |
드미트리 | 1860년 | 1919년 | |
뱌체슬라프 | 1862년 | 1879년 |
정부 안나 쿠즈네초바와의 사이에서는 3남 2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기타 |
---|---|---|---|
세르게이 | 1873년 | 1873년 | |
마리나 | 1875년 | 1941년 | |
안나 | 1878년 | 1920년 | |
이즈마일 | 1879년 | 1885년 | |
레프 | 1883년 | 1885년 |
콘스탄틴 대공의 딸 올가는 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1세와 결혼했고, 그의 아들 안드레아스는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주와 결혼하여 필립의 부모가 되었다. 따라서 콘스탄틴은 영국의 찰스 3세 국왕의 부계 증조부이다. 또한 올가와 게오르기오스 1세의 또 다른 아들인 그리스의 콘스탄티노스 1세를 통해, 콘스탄틴은 스페인의 펠리페 6세 국왕의 어머니인 소피아의 부계 증조부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Forty-Ninth
[2]
간행물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9-02-20
[3]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4]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5]
웹사이트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web.archive.[...]
1859
[6]
문서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1847
[7]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Württemberg: 1869
https://books.google[...]
[8]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https://books.google[...]
Berenberg
[9]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Romanov, Constantin Nicolajevitsj
https://www.defensie[...]
1849-08-30
[10]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Romanov, Constantin Nicolajevitsj
https://www.defensie[...]
1857-06-03
[1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892
[12]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67
https://archive.org/[...]
Landesamt
[13]
서적
Almanacco di corte
https://books.google[...]
1858
[1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1879
https://books.google[...]
Schulze
[15]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Hessen und bei Rhein
1879
[16]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17]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18]
서적
Le livre d'or de l'ordre de Léopold et de la croix de fer
https://books.google[...]
lelong
[19]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58
[20]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65/66
https://books.google[...]
Heinrich
[21]
서적
Almanacco reale del Regno delle Due Sicilie: per l'anno ...
https://books.google[...]
Stamp. Reale
[22]
간행물
Guía Oficial de España
18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