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 훌린의 수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 훌린의 수태"는 쿠 훌린의 탄생에 대한 아일랜드 신화 이야기로, 여러 필사본에 걸쳐 전해지며 크게 두 가지 판본으로 나뉜다. 초기 판본과 후기 판본 모두 쿠 훌린의 아버지인 신 루 라와더가 데크티너의 자궁에 아이를 수태시키는 과정을 묘사하며, 데크티너는 울라의 국왕 콘코바르 막 네사의 딸 또는 누이로 묘사된다. 각 판본은 데크티너가 루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는 배경과 쿠 훌린의 양육 방식에 차이를 보인다. 초기 판본은 데크티너가 세탄타라는 아이를 낳아 기르다 죽고, 루가 나타나 쿠 훌린의 아버지임을 밝히는 내용이며, 후기 판본에서는 데크티너가 루의 아내가 되어 쿠 훌린을 낳고, 울라의 여러 귀족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아이를 기르는 내용이 담겨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문학 - 음유시가
    음유시가는 고대 켈트 사회에서 추장과 전사의 업적을 기리는 시를 짓고 노래하는 역할을 했으며, 중세 시대의 트루바두르 등과 유사한 활동을 하고, 현대에는 바드코어 음악 장르와 AI 챗봇 바드 등에 영향을 주었다.
  • 아일랜드 문학 - 더블린 작가 박물관
    더블린 작가 박물관은 아일랜드 문학을 기념하기 위해 1991년 설립되었으나, 2020년 폐쇄되어 현재 소장품은 포일테 아일랜드가 관리하고 건물은 해리 클라크 미술관으로 재활용될 예정이다.
  • 아일랜드 신화 (얼스터 대계) - 메브
    메브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코노트의 여왕으로,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키고 쿠 훌린과 대립하며 주권 여신으로 해석된다.
  • 아일랜드 신화 (얼스터 대계) - 콘코바르 막 네사
    콘코바르 막 네사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울라 지방의 왕으로, 네스의 아들이며 데르드러와의 비극, 쿠얼러의 소몰이 전쟁 등에 연루되었고, 케트 막 마가크에 의해 사망했다.
쿠 훌린의 수태
개요
다른 제목Feis Tige Becfholtaig (2nd recension)
Gineamain Chonculainn
언어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어
장르이야기
주제쿠 훌린 (세탄타)
콘초바르
데히티네
세부 정보
작성자알 수 없음
기록 시기알 수 없음
원고Recension I: LU, RIA 23 N 10, D IV 2, BL Egerton 1782, BL Egerton 88, TCD MS 1363, NLI Phillipps G 7, TCD MS 1287.
Recension II: Egerton 1782 and D IV 2.

2. 필사본

〈쿠 훌린의 수태〉는 여러 필사본에 걸쳐 전해지며, 크게 두 가지 주요 판본으로 나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12세기에 편찬된 회갈색 암소의 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판본은 주요 필경사가 텍스트를 기록하고, 후대의 교열자가 결말을 지워 자신의 이야기를 추가한 형태이다. 또한 이 텍스트는 현재는 유실된 8세기의 드림 스네크타의 서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두 번째 판본은 Egerton 1782와 D IV 2 필사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첫 번째 판본 바로 뒤에 이어진다.[8] D IV 2 필사본에서는 '벡폴타흐의 집에서 열리는 축제'라는 뜻의 ''Feis Tige Becfholtaig''라는 제목으로도 불린다.

2. 1. 판본 I

텍스트는 두 가지 판본이 있으며, 둘 중 앞선 판본이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12세기의 회갈색 암소의 서(LU)이다. 필경사(M)가 메인 텍스트를 썼고, 그 뒤 교열자(H)가 마지막 부분을 삭제해서 자기 이야기를 쓸 공간을 마련했다. H의 주석에 따르면 〈쿠 훌린의 수태〉는 8세기 문헌인 드림 스네크타의 서에 수록되어 있었다는데, 이 책은 현재 소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첫 번째 판본이 보존된 문헌은 그 뒤로도 15세기와 16세기의 물건 6개가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어떤 식으로든 코나크타와 연관되어 있다.[7]

필사본소재지비고
드림 스네크타의 서(소실)8세기 문헌
회갈색 암소의 서 (23 E 25)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p 128a-b (+H). 결말이 지워져 있음.
23 N 10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pp. 62–63.
D IV 2 (Stowe 992)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f 46rb-47vb. 두 판본이 모두 수록됨.
Egerton 1782런던 대영도서관f 78v-80r. 두 판본이 모두 수록됨.
Egerton 88런던 대영도서관f 12vb-13rb. Gineamain Chonculainn라는 제목으로 수록됨.
MS 1363 (olim H 4.22)더블린 트리니티 대학IV, pp. 46–47.
(Phillipps) G 7더블린 아일랜드 국립도서관col. 7-9.
MS 1287 (olim H 1.13)더블린 트리니티 대학p. 342 ff.


2. 2. 판본 II

두 번째 판본은 Egerton 1782 필사본과 D IV 2 필사본에 보존되어 있으며, 첫 번째 판본이 수록된 바로 뒤에 이어서 수록되어 있다.[8] D IV 2 필사본에서는 ''Feis Tige Becfholtaig''("벡폴타흐의 집에서 열리는 축제")라는 제목으로도 불린다.

이 판본이 수록된 필사본은 다음과 같다.

소재지필사본명수록 내용
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D IV 2 (Stowe 992)f 46rb-47vb
런던 대영도서관Egerton 1782f 78v-80r


3. 줄거리

쿠 훌린의 수태는 초기 판본과 후기 판본의 내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초기 판본에서 데크티너울라 국왕 콘코바르 막 네사의 딸이자 그의 전차 마차부였다. 콘코바르 왕과 울라 귀족들이 마법의 새떼를 사냥하러 갈 때 데크티너도 따라갔다. 눈이 내리고 일행은 쉴 곳을 찾다가 집 한 채를 찾아 환영을 받았다. 그런데 집주인의 아내가 산기가 있자 데크티너는 산파 노릇을 하여 아들이 태어나는 것을 도왔다. 한편 같은 시각 밖에 묶인 암말도 망아지 두 마리를 낳았다. 아침이 밝자 울라인들은 자기들이 브루 너 보너에 있음을 깨달았다. 어제 묵었던 집과 그 주민들은 사라졌고, 아기와 망아지 두 마리만 남았다. 데크티너는 그 아기를 데려가 어느 정도 클 때까지 길렀지만 아이는 병이 들어 죽는다. 이때 루가 나타나 그날 밤의 집주인은 자신이었으며, 데크티너의 자궁에 자기 아기를 넣었으며 그 아이의 이름은 세탄타라고 하리라고 이른다. 데크티너는 수얼탐 막 로크와 약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의 임신은 추문이 되었다. 울라인들은 혹시 애 아버지가 콘코바르 왕이 아닌지 의심했다. 그래서 데크티너는 낙태를 하고 수얼탐과 결혼한다. 그리고 수얼탐과 동침해 수태한 아이에게 세탄타라는 이름을 붙였다.[9]

후기 판본에서 데크티너는 콘코바르의 누이이다. 어느 날 데크티너는 울라의 수도 에번 바허에서 갑자기 실종된다. 그 뒤 초기 판본에서 그랬던 것처럼 울라인들은 새 사냥을 갔다가 눈보라에 갇혀 한 집에 피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집주인은 루인데, 여기서는 실종되었던 데크티너가 루의 아내로 나타나 그날 밤 아들을 낳게 된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에게 세탄타라는 이름이 붙는다.[11]

3. 1. 초기 판본 (드림 스네크타의 서)

데크티너울라 국왕 콘코바르 막 네사의 딸이자 그의 전차 마차부였다. 콘코바르 왕과 울라 귀족들이 마법의 새떼를 사냥하러 갈 때 데크티너도 따라갔다. 눈이 내리자 일행은 쉴 곳을 찾다가 집 한 채를 발견하고 환영을 받았다. 집주인의 아내가 산기가 있자 데크티너는 산파 노릇을 하여 아들이 태어나는 것을 도왔다. 같은 시각 밖에 묶인 암말도 망아지 두 마리를 낳았다. 아침이 밝자 울라인들은 자기들이 브루 너 보너에 있음을 깨달았다. 전날 묵었던 집과 그 주민들은 사라졌고, 아기와 망아지 두 마리만 남았다. 데크티너는 아기를 데려가 어느 정도 클 때까지 길렀지만 아이는 병이 들어 죽었다. 이때 루가 나타나 그날 밤의 집주인은 자신이었으며, 데크티너의 자궁에 자기 아기를 넣었고 그 아이의 이름은 세탄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크티너는 수얼탐 막 로크와 약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신은 추문이 되었다. 울라인들은 혹시 애 아버지가 콘코바르 왕이 아닌지 의심했다. 그래서 데크티너는 낙태를 하고 수얼탐과 결혼했다. 그리고 수얼탐과 동침해 수태한 아이에게 세탄타라는 이름을 붙였다.[9] 이렇게 3중으로 수태가 일어나는 것은 그만큼 아이가 특별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10]

3. 2. 후기 판본 (회갈색 암소의 서)

데크티너콘코바르 왕의 누이동생으로, 에번 바허에서 갑자기 실종된다. 이후 울라인들이 새 사냥을 갔다가 눈보라에 갇혀 한 집에 피신하게 되는데, 그 집주인은 루였고, 실종되었던 데크티너가 루의 아내로 나타나 아들을 낳는다. 그 아이가 바로 세탄타이다.[11]

울라의 귀족들은 세탄타의 양육을 두고 논쟁을 벌였는데, 현명한 모란이 모두가 함께 기를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세탄타를 함께 기르게 된다.[12]

역할담당자내용
왕으로서 배경콘코바르 막 네사
법률과 웅변 교육센카 막 알렐라
양육 및 재정 지원블리 브루구
약자 보호 교육페르구스 막 로크
전반적인 교육아메르긴 막 에키트
젖 먹이기핀드콤



세탄타는 아메르긴핀드콤 부부의 집에서 그들의 아들 코날 케르나크와 젖형제로서 함께 자라게 된다.[12]

3. 3. 공통 내용

쿠 훌린은 세탄타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신 루이다.[9][11] 쿠 훌린의 탄생은 3중 수태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그가 특별한 존재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10][3]

초기 판본에서 쿠 훌린의 어머니가 될 데크티너울라콘코바르 막 네사의 딸이자 그의 전차 마부였다. 콘코바르 왕과 울라인들이 마법의 새떼를 사냥하러 갈 때 데크티너도 따라갔다. 눈이 내리자 일행은 쉴 곳을 찾다가 집 한 채를 발견하고 환영을 받는다. 집주인의 아내가 산기가 있자 데크티너는 산파 노릇을 하여 아들(세탄타)이 태어나는 것을 돕는다. 같은 시각 밖에 묶인 암말도 망아지 두 마리를 낳는다. 아침이 밝자 울라인들은 브루 너 보너에 있음을 깨닫는다. 어제 묵었던 집과 주민들은 사라졌고, 아기와 망아지 두 마리만 남았다. 데크티너는 아기를 데려가 어느 정도 클 때까지 기르지만 아이는 병이 들어 죽는다. 이때 루가 나타나 자신이 그날 밤의 집주인이었으며, 데크티너의 자궁에 자기 아기를 넣었고 그 아이의 이름은 세탄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데크티너는 수얼탐 막 로크와 약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신은 추문이 되었고, 울라인들은 애 아버지가 콘코바르 왕이 아닌지 의심한다. 그래서 데크티너는 낙태를 하고 수얼탐과 결혼하여 동침해 수태한 아이에게 세탄타라는 이름을 붙인다.[9]

후기 판본에서 데크티너는 콘코바르의 딸이 아니고 누이다. 어느 날 데크티너는 울라의 수도 에번 바허에서 갑자기 실종된다. 울라인들은 새사냥을 갔다가 눈보라에 갇혀 한 집에 피신하게 된다. 집주인은 루인데, 실종되었던 데크티너가 루의 아내로 나타나 그날 밤 아들을 낳게 된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에게 세탄타라는 이름이 붙는다.[11]

4. 주요 등장인물


  • '''세탄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자 울라의 위대한 영웅이다.
  • '''데크티너''': 쿠 훌린의 어머니이다. 초기 판본에서는 콘코바르 막 네사 왕의 딸이자 그의 전차 마차부였고, 후기 판본에서는 콘코바르 왕의 누이동생으로 나온다.
  • '''루''': 빛과 태양의 신이자 쿠 훌린의 아버지이다.
  • '''콘코바르 막 네사''': 울라의 왕으로, 데크티너의 아버지 또는 오빠이다.
  • '''수얼탐 막 로크''': 데크티너의 남편이다.
  • '''페르구스 막 로크''': 울라의 전사로, 세탄타를 양육했다.
  • '''아메르긴 막 에키트''': 울라의 시인으로, 세탄타를 양육했다.
  • '''핀드콤''': 아메르긴의 아내로, 세탄타를 양육했다.
  • '''코날 케르나크''': 아메르긴과 핀드콤의 아들로, 세탄타와 젖형제로 함께 자랐다.[12]

5. 연구 및 번역

A.G. 반 하멜은 ''Compert Con Culainn and other stories''를 편집하여 1933년에 출판했으며, 1978년에 재인쇄되었다. 이 책은 레보르 나 허드레를 기반으로 한다.[1] 에른스트 빈디쉬는 "Die Geburt Cuchulainn's"를 편집 및 번역하여 ''Irische Texte mit Wörterbuch'' I에 1880년에 게재했다. 이 판본은 LU 및 에거튼 1782 필사본을 바탕으로 한다.[2] 루돌프 투르네이젠은 1912년 ''Zu irischen Handschriften und Literaturdenkmälern''에서 Druim Snechta 필사본을 기반으로 한 "Compert ConCulainn"과 D. 4. 2 필사본의 첫 번째 버전을 기반으로 한 "Compert ConCulaind" 두 가지 판본을 편집 및 번역했다.[3]

쿠노 마이어는 1905년 ''켈트어 문헌 저널''에 D IV 2 필사본의 두 번째 버전인 "Feis Tige Becfoltaig"를 편집 및 번역하여 게재했다.[4] 버넘 헐은 1954년 ''켈트어 문헌 저널''에 Phillipps G 7 필사본에 수록된 ''Compert Con Culainn'' 버전을 게재했다.[5] 막스 네틀라우는 ''켈트 평론'' 10권에 H 4.22 필사본을 편집하여 게재했다.[6]

엘리너 헐은 Duvau의 프랑스어 번역을 각색하여 "The Birth of Cuchulainn"을 번역하고 ''The Cuchullin Saga''에 수록했다.[7] 제프리 간츠는 "The Birth of Cú Chulaind"를 번역하여 ''초기 아일랜드 신화와 사가''에 1981년에 수록했으며, 1983년에 재판되었다.[8] 토마스 킨셀라는 ''The Táin''을 번역하여 1969년 더블린의 돌멘에서 출판했다.[9] T.P. 크로스와 C.H. 슬로버는 ''고대 아일랜드 이야기''를 편집하여 1936년 뉴욕에서 출판했으며, 이 책의 134-136쪽에 관련 내용이 있다.[10]

루돌프 투르네이젠은 "Setantas Geburt"를 번역하여 ''Sagen aus dem alten Irland''에 1901년 베를린에서 출판했다.[11] 루이 뒤보는 "La légende de la conception de Cûchulainn"을 번역하여 ''켈트 평론'' 9권(1888)에 게재했다.[12] 또한 뒤보는 ''L'Épopée celtique en Irlande''에 두 가지 버전(A, B)으로 번역하여 게재했다. 크리스티앙-J. 기용바르크는 "La conception de Cuchulainn"을 번역하여 ''Ogam'' 17권(1965)에 게재했다. 이 번역은 버전 1 (LU, 에거튼 1782)과 버전 2 (에거튼 1782, D IV 2)를 포함하며, F. 르 루의 해설이 이어진다. 아르젤 에번은 ''Ogam''에 에거튼 1782 필사본의 버전 2(1952)와 Libur Dromma Snechta에 따른 버전(1953)을 번역하여 게재했다.

참조

[1] 서적 The textual tradition
[2] 서적 The textual tradition
[3] 서적 Compert Con Culainn and Other Stories
[4] 서적 The Epics of Celtic Ireland: Ancient Tales of Mystery and Magic 2000
[5] 서적 Ancient Irish Tales
[6] 서적 The Táin
[7] 서적 The textual tradition
[8] 서적 The textual tradition
[9] 서적 Compert Con Culainn and Other Stories
[10] 서적 The Epics of Celtic Ireland: Ancient Tales of Mystery and Magic 2000
[11] 서적 Ancient Irish Tales
[12] 서적 The Tá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